KR101518796B1 - 보강용 직물 보강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강용 직물 보강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796B1
KR101518796B1 KR1020097026006A KR20097026006A KR101518796B1 KR 101518796 B1 KR101518796 B1 KR 101518796B1 KR 1020097026006 A KR1020097026006 A KR 1020097026006A KR 20097026006 A KR20097026006 A KR 20097026006A KR 101518796 B1 KR101518796 B1 KR 101518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sections
fiber sections
chemical fiber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931A (ko
Inventor
길버뜨 초마라
Original Assignee
길버뜨 초마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6627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187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길버뜨 초마라 filed Critical 길버뜨 초마라
Publication of KR2010002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0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4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hree directions forming a three dimension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18Glass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91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 D04H1/4391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nonlinear fibres, e.g. crimped or coil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재료 또는 부분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직물 보강재(1)에 관한 것이고, 상기 직물 보강재(1)는 제 1 유형의 합성 재료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을 수용하는 중심층(3)으로서, 상기 섹션들이 층으로 형성되기 전에 상기 섹션들에 영구 주름을 제공하는 처리를 받는 중심층(3); 영구 주름을 제공하는 처리를 미리 받은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과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의 혼합체를 포함하고, 외부층들(21,22)의 화학 섬유들(7)의 세그먼트들의 적어도 일부가 그 길이의 일부를 따라 중심층(3) 안으로 침투되는 외부층(21,22)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층의 화학 섬유들(70)의 제 1 세그먼트들은 이들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착되고 직물 보강재(1)의 다른 섬유 세그먼트(3a,4)에 접착된다.
Figure R1020097026006
직물 보강재, 중심층, 외부층,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

Description

보강용 직물 보강재 및 그 제조 방법{REINFORCEMENT TEXTILE ARMA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본 발명은 복합 품목 즉, 보강용 직물 보강재에 의해서 보강된 수지(폴리에스테르 또는 다른 수지)계 품목들을 보강하기 위한 제조품으로서 사용된 직물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보강 직물 보강재들은 문헌 EP 0 395 548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은 영구 파형체들을 갖는 섬유들에 기초한 매트로 구성되는 중심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직물 보강층의 사용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보강 직물층들과 중심층은 함께 스티치/니트(stitch/knitt)된다.
그 부분에 대한 문헌 EP 0 694 643호는 직물 보강재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고, 상기 직물성 보강재는 복합 품목을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재료의 두께를 제공하는 중심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보강 직물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층들은 함께 스티치/니트되며, 상기 보강재는 합성 섬유 베일(veil)과 대면하는 그 외면들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일은 베일을 복합체의 외측에 접착시킴으로써 또는 여러 층들을 함께 스티치함으로써 부착된다.
스티치/니트 기술은 비교적 느려서 느린 제조 속도를 초래하며, 제조 속도는 분당 3 내지 5 미터 정도의 가속될 수 없는 속도이다.
상기 문헌의 직물 보강재는 또한 여러 직물층들을 서로 고정하는 스티치/니트 수단의 사용으로 인하여, 그 표면에 대해서 불균일한 변형 능력(deformation capacity)을 가진다.
또한, 스티치/니트 열들의 제공은 직물 보강재에 수지를 함침한 후에 얻어진 마무리 부분에 표면 외형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문헌 EP 0 659 922호는 보강 직물층들중 적어도 하나에서 섬유성 베일이 영구 주름을 갖는 화학 섬유들에 기초하고 선형 밀도가 중심층의 섬유의 선형 밀도보다 낮은, 영구 파형체들을 갖는 섬유들에 기초한 매트로 구성되는 중심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직물 보강층의 사용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섬유성 베일 또는 베일들, 보강 직물층들 및 중심층은 함께 바늘 펀칭된다.
바늘 펀칭 기술은 아직 느려서, 스티치/니트 기술과 동일한 정도의 제조 속도로 유도된다. 또한, 보강재 층들 사이의 연결은 종종 충분하지 않다.
또한, 취급될 제조물에 대한 충분한 접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강력한 바늘 펀칭이 사용되어야 하며, 이것은 유리 섬유들을 파괴시킨다.
본 발명에 의해서 처리되는 제 1 문제점은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비용이 저렴하고 복합 재료 또는 부분들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때, 양호한 다중방향 변형 능력을 갖는 직물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시에, 본 발명은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진공 성형 기술을 사용할 때, 용이하고 균질하게 수지가 함침될 수 있는 직물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닳지 않고 용이하게 컷팅할 수 있는 상술한 종류의 직물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합 재료들 또는 부분들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직물 보강재를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직물 보강재는
- 제 1 유형의 합성 재료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에 기초하는 중심층으로서, 상기 섹션들이 층으로 형성되기 전에 상기 섹션들에 영구 주름을 제공하는 처리를 받는 중심층,
- 상기 중심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외부층들을 포함하며,
- 상기 외부층들은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과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은 이 섹션들에 영구 주름을 제공하는 처리를 미리 받으며,
-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의 적어도 일부는 그 길이의 일부에 걸쳐 침투하여 상기 중심층 안으로 들어가고,
-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은 상기 중심층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의 용융점과 같거나 또는 낮은 용융점을 구비한 열가소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을 포함하고,
- 상기 외부층들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은 서로에 대해서 그리고 직물 보강재의 다른 잘려진 섬유 섹션들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직물 보강재는 다수의 방향으로 양호한 변형 능력을 가진다. 더욱 특히, 이러한 보강재는 양호한 변형 방향과 변형이 방지되는 방향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직물 보강재는 모든 방향의 여러 직물층들 사이의 균질한 부착성을 가진다.
화학 섬유들은 이 섬유들이 침투하는 직물 보강재 중심층 섬유들에 부착되기 때문에, 중심층을 침투하는 비교적 작은 수의 그러한 화학 섬유들에 의해서 보강재 층들의 효과적인 상호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 비교적 작은 수의 화학 섬유들의 침투는 그때 작은 밀도 바늘 펀칭으로 구성되는 예비적인 바늘 펀칭 또는 가벼운 바늘 펀칭 기술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비적인 바늘 펀칭은 특히 유리 섬유일 때, 니트/스티칭보다 훨씬 빠르고 보강 섬유들의 파괴를 피할 수 있다.
중심층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의 영구 주름들은 성형 기술에서 사용될 때, 직물 보강재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중심층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의 영구 주름은 잘려진 섬유 섹션들 사이의 자유 공간을 유지하고, 따라서 보강재에서 발포형 형태(aerated character)를 부여하고, 이것은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진공 성형 기술을 사용할 때, 수지의 유동을 촉진시킨다.
외부층들에 있는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의 서로에 대한 부착은 컷팅될 때, 직물 보강재의 닳아 해어짐(fraying)의 위험성을 효율적으로 제한한다. 특히, 직물 보강재를 보강하는 잘려진 섬유 섹션들의 닳아 해어짐을 회피할 수 있다.
화학 섬유는 균질한 외부층들이 예를 들어,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과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의 균질한 혼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게 하는 영구 주름(crimp)을 가진다. 화학 섬유들의 주름은 그들의 상이한 상대 밀도 또는 섹션들로 인하여, 섬유들의 혼합체의 "경화(settling)"를 피하게 한다. 제 1 실시예에서, 그에 따라서 균질한 혼합체가 얻어질 수 있게 하여서, 균질한 외부층들이 제조되게 유도한다: 외부층들에서, 화학 섬유들 및 보강 섬유들은 그때 일반적인 균질한 방식으로 혼합된다.
보강 섬유들은 유리 섬유 또는 식물성[대마(hemp), 용설란(sisal), 아마(flax) 등] 섬유들일 수 있다.
상기 중심층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은 양호하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상기 섬유들이 비교적 저렴하고, 탄력적인 영구 주름을 갖는 잘려진 섬유 섹션들을 제조하도록 형성하기에 용이하고 방적(spin)하기에 용이한 직물 산업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때문이다.
더욱 규칙적인 중심층을 위하여, 중심층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단일 선형 밀도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층들에 제공된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은 유리하게 상기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보다 작은 직경의 단면을 구비한다. 이 직경차는 예비적인 바늘 펀칭 공정에 의한 중심층으로 외부층들의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의 적어도 일부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른 동반 및 침투를 촉진시킨다. 예비적인 바늘 펀칭동안,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을 동반하도록 선택된 바늘들은 작은 단면을 가지므로, 어째든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을 많이 동반하지 않는다. 이것은 특히 보강 유리 섬유들의 경우에 있어서, 직물 보강재를 보강하는 취약성의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의 파괴를 방지한다.
상기 외부층들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은 유리하게 상기 중심층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층들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은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비교적 저비용이고 낮은 용융점을 갖는 직물 산업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재료이다. 그것은 저에너지 비용으로 열 접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제공될 수 있다:
- 상기 외부층들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은 제 1 성분의 중심 코어와 제 2 성분의 외부 덮개를 구비한 2 성분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이고,
- 상기 중심 코어의 제 1 성분의 용융점은 상기 외부 덮개의 제 2 성분의 용융점보다 높다.
이러한 2 성분 섬유들을 사용하면, 외부층들에 대한 명백하거나 또는 부주의한 손상의 가능성없이 중심층에 연결하도록 열 접합을 제조한다: 2 성분 섬유들의 외부 덮개만이 연화되고 열 접합에 관여하며, 그 코어는 손상되지 않고 그 기계적 특성을 유지한다.
일부의 경우, 특히 보강 유리 섬유의 경우에 있어서, 외부층들에 있는 화학 섬유들과 보강 섬유들의 충분히 균질한 혼합을 보장하기가 비교적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의 필수적인 외부 평행층(stratum),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의 필수적인 내부 평행층 및 보강 섬유 섹션들의 필수적인 중간 평행층을 포함하는 상기 외부층들은 유리하게 성층배열(stratify)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평행층 사이의 연결은 그후 예비적인 바늘 펀칭에 의하여 제공되고, 그후 직물 보강재의 중심층 안으로 침투하도록,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 외부층의 중간 평행층 및 내부 평행층을 통과하는 외부 평행층의 일부 화학 섬유들이 표면 연화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장점은 직물 보강재의 외면이 필수적으로 화학 섬유들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상기 화학 섬유들의 열가소성 재료 표면층들은 서로에 대해서 부착되고 따라서 수지에 아직 끼워지지 않을 때, 직물 보강재의 차후 취급시 보강 섬유들에 대한 닳아 해어짐 또는 손상에 대해서 저항한다.
화학 섬유의 내부 평행층을 제조하는 가능성에 대해서 기재할 것이다.
제 1 변형의 양 실시예들에 따라서, 외부층들의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은 단지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제 2 변형의 양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외부층들의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은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과 제 2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의 혼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은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의 열가소성 재료의 용융점보다 높은 용융점을 가지며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이 제조되는 화학 섬유들의 가격보다 훨씬 낮은 가격을 갖는 재료이다. 예를 들어, 제 2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은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복합 재료들 또는 부분들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직물 보강재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며, 이 방법은 다음 연속적인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제 1 유형의 합성 재료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에 기초하는 중심층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섹션들이 층으로 형성되기 전에 상기 섹션들에 영구 주름을 제공하는 처리를 받는 단계,
b) 상기 중심층을 사이에 두고 외부층들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부층들은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과 영구 주름을 갖는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화학 섬유 섹션들은 제 1 유형의 합성 재료의 용융점과 같거나 또는 낮은 용융점을 갖는 제 2 유형의 열가소성 합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층을 구비한 적어도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을 포함하는 단계,
c)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이 그 길이의 일부에 걸쳐 상기 중심층 안으로 침투하게 유발하도록, 예비적인 바늘 펀칭을 실행하는 단계,
d) 적어도 표면적으로 연화시켜서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을 접합성이 있게 하도록, 상기 직물 보강재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 공정은 직물 산업에서 알려져 있고 광범위하게 사용된 기술 수단(기계, 공구 등)으로 실행하기에 용이하다. 이 공정은 따라서 비교적 저렴하다. 열 접합의 사용은 또한 스티치/니트에 의한 또는 바늘 펀칭에 의한 접합을 사용하는 것보다 큰 제조 속도를 허용한다.
단계 d) 동안, 고온 공기를 직물 보강재를 관통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양호하게 가열이 실행될 수 있다. 이 가열 방법은 직물 보강재의 중심부까지 서로에 대해서 섬유들의 열 접합을 제공하고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을 포함하는 외부층들이 배치되는 직물 보강재의 하면 및 상면의 집중 가열을 피한다. 이것은 따라서 외부층들의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의 과도한 용융과 냉각후에 열가소성 재료의 연속층의 형성을 피하게 하고, 상기 연속층은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진공 성형 기술에서 사용될 때 수지에 의하여 직물 보강재의 양호한 함침을 포함한다.
다른 방안으로, 단계 d) 동안,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을 연화시키기 위하여, 고주파 마이크로파 복사에 의해서 또는 적당한 파장의 적외선 복사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형태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에서 비롯된다.
도 1은 제작 동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직물 보강재의 종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예비적인 바늘 펀칭 동작 동안 도 1의 직물 보강재의 종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가열 동작 동안 도 2의 직물 보강재의 종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2 성분 구조의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직물 보강재의 종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직물 보강재(1)는 3개의 직물층(21,3,22)을 포함한다. 중심층(3)은 합성 재료의 제 1 유형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에 기초한다.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은 층으로 형성되기 전에, 상기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에 영구 주름을 부여하도록 처리된다.
주름형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의 증가한 탄성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잘려진 섬유 섹션들은 유리하게는 단일 스트랜드 섬유들로 제작될 수 있다.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은 동일한 단일 선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이 중심층(3)의 큰 규칙성에 대해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단일 선형 밀도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심층(3)은 예를 들어, 110 dTex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과 70dTex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층(3)을 사이에 두고 외부 직물층(21,22)이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외부 직물층(21,22)은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과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의 혼합체에 기초한다.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이들에 영구 주름을 부여하도록 미리 처리되었다.
외부 직물층(21,22)은 유리 섬유들 또는 식물성 섬유들과 같은,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과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의 균질한 혼합체로부터 얻어진다. 이러한 균질한 혼합체는 적당한 커터(cutter)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고 그후 중심층(3)의 두 면들 상으로 중력에 의해서 배치될 것이다.
혼합체의 균질성은 또한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의 영구 주름의 결과이고, 상기 영구 주름은 혼합체에 "그래브(grab)"를 제공하고 상이한 상대 밀도들 또는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과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의 섹션들에 의해서 유발된 "경화(settling)"로 알려진 현상을 방지한다.
양호한 결과들은 잘려진 유리섬유 섹션들(4)의 90중량%와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의 10중량%를 함유하는 균일한 혼합체로부터 제조된 외부 직물층(21,22)으로 얻어졌다.
외부 직물층(21,22)의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중심층(3)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의 용융점 이하의 용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에 적어도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직물 보강재(1)는 고정된 접착부 및 연결부를 갖지 않으므로 운송될 수 있다.
일단, 3개의 직물층(21,3,22)이 제공되면, 직물 보강재(1)는 도 2에 도시된 예비적인 바늘 펀칭 처리를 겪는다. 이러한 예비적인 바늘 펀칭 동작 동안, 바늘(8)은 각각의 외부 직물층(21,22)의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포함함]의 적어도 일부가 그 길이의 일부에 걸쳐 중심층(3) 안으로 침투하게 한다. 직물 보강재(1)의 이동 방향은 화살표 12로 표시되며 바늘의 이동 방향은 방향(12)과 직물 보강재(1)의 표면에 직각이다.
사용된 바늘(8)은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 특히,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의 양호한 동반을 위한 적당한 크기의 바브들(8a;barb)을 가지며 외부 직물층(21,22)의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을 동반하지 않는다. 실제,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 특히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예를 들어, 약 2 내지 6 데니어(denier)의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과 약 40 Tex 최소값의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는 잘려진 섬유 섹션들(3a,4,7,70)을 나타내는 라인의 두께 및 크기는 잘려진 섬유 섹션들(3a,4,7,70)의 실제 두께 및 크기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두께 및 크기들은 단순히 독자가 여러 잘려진 섬유 섹션들(3a,4,7,70)과 직물층들(21,3,22) 사이의 차이를 더욱 용이하게 예측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비적인 바늘 펀칭은 직물 보강재(1)가 고속으로 바늘들(8) 사이를 통과하고 바늘들(8)의 밀도가 낮다는 점에서 바늘 펀칭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표준 바늘 펀칭은 분당 약 4m의 제작 속도를 달성하고, 예비적인 바늘 펀칭은 분당 약 8m와 분당 약 20m 사이의 속도를 달성한다. 예시 및 예를 들어, 바늘 펀칭기는 종래에 약 1600 내지 32000 사이의 주행 미터당 바늘 밀도를 가지며, 예비적인 바늘 펀칭기는 약 900 내지 1400 사이의 주행 미터당 바늘 밀도를 가진다.
주행 미터당 낮은 바늘 밀도는 바늘들(8)이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의 일부로 하여금 특히 보강 유리 섬유(4)의 경우에 중심층(3)에 있는 외부 직물 층(21,22)을 침투하게 유발할 때, 직물층(21,22)의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을 파괴할 가능성을 제한한다.
예비적인 바늘 펀칭은 직물 보강재 블랭크를 다음 워크스테이션으로 전달하는 동안 접착성을 보장하기에 충분하지만, 예비적인 바늘 펀칭을 따르는 보강 제조물로서 사용하기에 아직 운송가능하지 않은 직물 보강재(1)의 최종 접착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도 2에 도시된 예비적인 바늘 펀칭 동작후에, 직물 보강재(1)는 가열된다(도 3). 이 가열 단계 동안, 외부 직물층(21,22)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의 열가소성 표면층은 연화되고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이 접착성이 있게 한다. 예비적인 바늘 펀칭 바늘(8)에 의해서 동반된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외부 직물층(21,22)의 인접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에 접착되고 중심층(3)의 인접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에 접착된다. 냉각후에, 직물 보강재(1)의 여러 직물층(21,3,22)은 그에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인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의 바늘 펀칭 및 접착 결합된 섬유들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직물 보강재(1)는 그후에 운송될 수 있다. 외부 직물층(21,22)의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과 중심층(3)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인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의 접착은 예비적인 바늘 펀칭의 부족함을 보충하여서 직물 보강재(1)의 충분한 접착을 보장하므로, 상기 섬유 섹션들을 운송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중심층(3)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 은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방적되기에 용이하고 영구 탄성 주름을 갖는 잘려진 섬유 섹션들을 제조하도록 형성되기에 용이하다.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제 1 잘려진 열가소성의 폴리에틸렌 섬유 섹션들(70)을 포함한다. 중심층(3)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을 구비한 임의의 다른 재료의 제 1 잘려진 열가소성의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의 사용은 낮은 용융점으로 인하여 유리하다. 중심층(3)의 잘려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섹션들(3a)은 어쨋든 가열 동작에 의해서 많이 손상되지 않으며 이 경우 모든 그 물리적 및 기술적 특성들을 유지한다. 한편, 예비적인 바늘 펀칭에 의해서 외부 직물층(21,22) 안으로 인출된 폴리에틸렌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가열에 의해서 연화되고 외부 직물층(21,22)의 인접 섬유들에 그리고 서로에 대해서 접착된다.
가열은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용융시키지 않고 연화시켜서 접착성이 있게 하도록 조정된다. 이것은 수지에 대해서 불투과성인 직물 보강재(1)의 상면 및 하면 상에 균일한 외층들의 형성을 피하게 한다. 상기 균일하고 불투과성인 층들은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진공 성형에 의한 차후 형성 단계 동안 수지에 의해서 직물 보강재(1)의 양호한 함침을 절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수지에 대한 낮은 투과성의 외부층들의 모든 형성 가능성을 피하기 위하여, 2 성분 열가소성 섬유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섬 코어(7a)와 외부 덮개(7b)를 구비한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로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중심 코어(7a)의 용융점은 외부 덮개(7b)의 용융점보다 크다.
2 성분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심 코어(7a) 및 코폴리에스테르(copolyester), 폴리에틸렌 또는 중심층(3)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임의의 다른 재료의 외부 덮개(7b)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의 중심 코어와 코폴리에스테르의 외부 덮개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중심 코어 및 폴리에틸렌의 외부 덮개를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결과들이 얻어졌다. 다른 재료의 쌍들이 동축방향의 2 성분 섬유들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및 코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중심 코어(7a)는 외부 덮개(7b)보다 높은 용융점을 가지기 때문에, 직물 보강재(1)의 제작 동안 외부 직물층(21,22)의 열가소성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의 부주의한 완전한 용융의 가능성이 회피된다.
이것은 또한 가열 단계 동안, 과도하게 또는 불충분하게 제어된 가열에 의해서 열가소성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이 완전히 용융되어서, 직물 보강재(1)의 상면 및 하면에 걸친 그 구성 재료의 확산에 의해서 수지에 대한 불투과성의 균일층들을 형성하는 위험성을 제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2 성분 섬유들의 코어는 어쨋든 많이 손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직물층(21,22)은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 덮개(7b) 및 중심 코어(7a)를 갖는 2 성분 열가소성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직물 보강재(1)의 폴리올레핀 성분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고, 수지는 특히 폴리올레핀과 호환되지 않는다. 사실, 수지는 폴리올레핀 섬유들과 불량하게 부착된다.
2 성분 열가소성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이 사용되면, 그때 2 성분 열가소성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유리하게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의 외부 덮개(7b)를 구비할 수 있다. 중심층(3)의 잘려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섹션들(3a)은 그에 따라서 가열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사실, 코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에틸렌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진다. 그때 중심층(3)의 잘려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섹션들(3a)을 연화시키거나 또는 다르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2 성분 열가소성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의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을 연화시키기에 충분한 온도로 직물 보강재(1)를 가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직물 보강재(1)는 다시 3개의 직물층(21,3,22)을 포함한다. 중심층(3)은 상술한 도 1의 실시예의 중심층(3)과 동일 구조를 가진다.
도 5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 외부 직물층(21,22)의 구조에 차이가 있다. 이 경우에, 외부 직물층(21,22)은 각각의 외부 평행층(21c 또는 22c), 각각의 내부 평행층(21a 또는 22a) 및 각각의 중간 평행층(21b 또는 22b)을 포함하는 층들로 각각 성층된다.
외부 평행층(21c,22c) 및 내부 평행층(21a,22a)은 필수적으로 도 1 실시예[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재료의 표면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포함함]의 화학 섬유들(7)과 같은 화학 섬유들의 잘려진 섹션들로 구성된다.
중간 평행층(21b,22b)은 필수적으로 도 1 실시예의 보강 섬유(4)와 같은 보강 섬유들로 구성된다.
예비적인 바늘 펀칭 동안,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포함하는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중심층(3) 안으로 침투할 때까지 바늘에 의해서 평행층을 침투하여 인출된다. 차후 가열동작은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다른 섬유들에 접착시키고 층들과 평행층들을 연결한다.
제 2 실시예의 변형에서, 내부 평행층(21a,22a)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 보강재(1)는 하기 단계들을 연속적으로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a) 제 1 유형의 합성 재료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에 기초하는 중심층(3)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섹션들이 층으로 형성되기 전에 상기 섹션들에 영구 주름을 제공하는 처리를 받는 단계,
b) 상기 중심층(3)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외부층들(21,22)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부층들(21,22)은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과 영구 주름을 갖는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7)은 제 1 유형의 합성 재료의 용융점과 같거나 또는 낮은 용융점을 갖는 제 2 유형의 열가소성 합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층(7b)을 구비한 적어도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포함하는 단계,
c) 각 외부층(21,22)의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 특히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이 그 길이의 일부에 걸쳐 상기 중심층(3) 안으로 침투하게 유발하도록, 예비적인 바늘 펀칭을 실행하는 단계(도 2),
d) 적어도 상기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적어도 표면적으로 연화시켜서 접착성이 있게 하도록, 상기 직물 보강재(1)를 가열하는 단계(도 3).
상기 직물 보강재(1)를 가열하는 단계 d)후에, 유리하게 상기 직물 보강재(1)를 냉간 압연시켜서 일정하고 균질한 두께를 제공하는 단계 e)를 실행할 수 있다. 압연은 또한 섬유들을 컴팩트화시켜서 섬유들을 서로 접착시킨다.
외부층들(21,22)의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 특히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유리하게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할 수 있다. 단계 c)의 예비적인 바늘 펀칭은 양호하게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포함하는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을 동반하지만, 훨씬 큰 직경의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을 동반하지 않도록 구성된 바브들(8a)을 구비하는 바늘(8)(도 2)에 의해서 실행된다.
가열 단계 d) 동안, 직물 보강재(1)는 고온 공기 터널 오븐(9) 안으로 들어간다. 고온 공기 터널 오븐(9)은 화살표 13에 의해서 규정된 방향으로 오븐(9)을 통과하여 직물 보강재(1)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11)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11)는 천공된다. 고온 공기 분사물(1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 유형인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이 중심층(3)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에 부착되고 외부층들(21,22)의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에 부착되게 유발하기 위하여, 직물 보강재(1)를 관통하여 안내되어서 그 두께를 걸쳐 가열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보강재(1)를 제조하기 위하여,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과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의 균질한 혼합체는 단계 b) 동안 커터에 의해서 얻어져서 중력에 의해서 중심층(3)의 두 면 상으로 놓여진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보강재(1)를 제조하기 위하여, 화학 섬유 평행층(21a,22a,21c,22c)은 카딩(carding)에 의해서 각각 제조된다. 내부 평행층(21a,22a)은 어쨋든 중심층(3)의 양측에 배치되고, 그후 커터에 의해서 컷팅된 보강 섬유들의 중간 평행층(21b,22b)은 중력에 의해서 배치되고, 그후 외부 평행층(21c,22c)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조립체의 양측에 배치된다.
상술하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모든 실시예들의 제 1 변형예에서, 외부층(21,22)의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단지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로만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실시예들의 제 2 변형예에서, 외부층(21,22)의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과 제 2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1)의 혼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1)은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의 용융점보다 높은 용융점을 갖도록 채택되며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의 재료보다 저렴한 재료이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의 제 2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1)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과 제 2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1)의 혼합체를 사용하면, 본 발명의 직물 보강재의 제작 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1)의 대략 50중량% 내지 70중량%를 함침하는 혼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혼합체를 사용하면, 가열 단계 후에 직물 보강재(1)의 표면 상에 수지의 침투를 방지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불투과성 막을 형성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외부층들(21,22)에서 열가소성 재료의 품질을 감소시키고, 제 2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1)로 인하여, 종래의 카딩 디바이스에 의해서 카딩되기에 충분한 밀도를 상기 혼합체에 부여한다.
본 발명의 직물 보강재(1)는 특히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과 제 2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1)의 혼합체를 갖는 변형예에서, 소위 "예비형성" 기술에서 현저한 장점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 경우에, 직물 보강재(1)는 이에 필요한 형상을 적용하는 제작 공정의 단계 d)동안 가열된다. 얻어진 형상이 그 형상에 대응하는 몰드를 가진 수지 사출 성형기로 운송될 수 있도록 직물 보강재가 충분히 가열되어 수지의 사출 성형 전 또는 그 동안에 직물 보강재를 더욱 강하게 다시 가열할 수 있게 한다.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과 제 2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1)의 혼합체에서 외부층들(21,22)을 갖는 직물 보강재(1)를 예비형성하는 경우에, 약 50 중량% 이상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삭제
I) 종래의 카딩 디바이스에서, 중심층(3)은 110 dTex의 단일 선형 밀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잘려진 주름 모노필라멘트 섬유 섹션들(3a)로 제조된다.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은 약 90mm의 컷팅 길이, cm당 약 2개 파형체의 주름 및 약 170℃ 내지 180℃의 용융점을 가진다.
중심층(3)은 약 4 내지 5mm 사이의 평균 두께와 m2당 약 250g의 중량을 가진다.
중심층(3)의 더욱 큰 규칙성을 위하여, 70 dTex의 단일 선형 밀도를 갖는 잘려진 주름형 모노필라멘트 폴리프로필렌 섬유 섹션들(3a)은 110 dTex의 단일 선형 밀도를 구비한 잘려진 섬유 섹션들(3a)과 10중량% 내지 50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II)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로 구성되는 내부 평행층(21a,22a)이 중심층(3)의 각 면 상에 놓여진다.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폴리에스테르의 제 2 잘려진 주름형 화학 섬유 섹션들(71)의 70중량%와 2 성분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의 3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체로 구성된다. 2 성분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폴리에스테르의 중심 코어(7a)와 코폴리에스테르의 열가소성 외부덮개(7b)를 구비한다.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의 외부 덮개(7b)는 약 110℃의 용융점을 가진다.
폴리에스테르의 제 2 잘려진 주름형 화학 섬유 섹션들(71)은 약 3 데니어 및 약 6 데니어 사이, 양호하게 약 3.5 데니어가 되게 채택된 단일 선형 밀도를 가진다.
2 성분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약 2 데니어 내지 4 데니어 사이의 단일 선형 밀도를 갖니다.
III)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로 구성되는 중간 평행층(21b,22b)이 각 내부 평행층(21a,22a) 상에 놓여진다.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은 약 50 Tex의 단일 선형 밀도와 약 50mm의 컷팅 길이를 구비한 잘려진 유리 섬유 섹션들(4)이다.
잘려진 유리 섬유 섹션들(4)의 단원 섬유들의 직경은 약 14미크론이다.
중간 평행층(21b,22b)은 450g/m2에 인접한 밀도를 가진다.
IV) 내부 평행층(21a,22a)과 동일한 조성의 외부 평행층(21c,22c)이 각각의 중간 평행층(21b,22b) 상에 놓여진다.
V) 직물 보강재(1)는 컨베이어 벨트(11)에 의해서 롤러형 예비 바늘 펀칭기 안으로 도입된다. 바늘들의 밀도는 cm2당 4.6이고, 롤러들의 이격 거리는 20mm이고, 바늘들의 침투 깊이는 12mm이다. 벨트는 분당 10m의 속도로 이동한다.
VI) 예비적인 바늘 펀칭 작동후에, 직물 보강재(1)는 분당 10m의 속도로 길이가 20m인 가열부분 구비한 고온 공기 터널 오븐(9)을 통과한다. 고온 공기 터널 오븐(9)의 온도는 약 120℃이다.
VII) 고온 공기 터널 오븐(9)으로부터의 출구에서, 냉간 압연은 직물 보강재(1)에 약 4 내지 5mm 부근의 최종 두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기술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하기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형되고 일반화된 구성을 포함한다.

Claims (15)

  1. 복합 재료들 또는 부품들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직물 보강재(1)로서,
    - 제 1 유형의 합성 재료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에 기초하는 중심층(3)으로서, 상기 섹션들이 층으로 형성되기 전에 상기 섹션들에 영구 주름을 제공하는 처리를 받는 중심층(3),
    - 상기 중심층(3)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외부층들(21,22)을 포함하며,
    - 상기 외부층들(21,22)은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과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7)은 이 섹션들에 영구 주름을 제공하는 처리를 미리 받으며,
    -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의 적어도 일부는 그 길이의 일부에 걸쳐 침투하여 상기 중심층(3) 안으로 들어가고,
    -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적어도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상기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외부 덮개(7b)를 구비하며, 상기 열가소성 재료는 상기 중심층(3)의 상기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의 용융점과 같거나 또는 낮은 용융점을 가지고,
    - 상기 외부층들(21,22)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서로에 대해서 그리고 직물 보강재(1)의 다른 잘려진 섬유 섹션들(3a,4)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3)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3)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은 2개 이상의 상이한 단일 선형 밀도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들(21,22)의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상기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들(21,22)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상기 중심층(3)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 상기 외부층들(21,22)의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제 1 성분의 중심 코어(7a)와 제 2 성분의 외부 덮개(7b)를 구비한 2 성분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이고,
    - 상기 중심 코어(7a)의 제 1 성분의 용융점은 상기 외부 덮개(7b)의 제 2 성분의 용융점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
  7. 제 6 항에 있어서,
    - 상기 중심 코어(7a)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이고,
    - 상기 외부 덮개(7b)는 상기 중심층(3)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들(21,22)에 있는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들(21,22)에 있는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과 제 2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1)의 혼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들(21,22)에 있는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 및 상기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은 일반적으로 균질한 방식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들(21,22)은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의 필수적인 외부 평행층(stratum;21c,22c),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의 생략 가능한 내부 평행층(21a,22a), 그리고 보강 섬유 섹션들(4)의 필수적인 중간 평행층(21b,22b)으로 성층배열(stratify)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
  12. 복합 재료들 또는 부품들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직물 보강재(1)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제 1 유형의 합성 재료의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에 기초하는 중심층(3)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섹션들이 층으로 형성되기 전에 상기 섹션들에 영구 주름을 제공하는 처리를 받는, 상기 제공 단계,
    b) 상기 중심층(3)을 사이에 두고 외부층들(21,22)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부층들(21,22)은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과 영구 주름을 갖는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을 포함하고,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적어도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은 열가소성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상기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외부 덮개(7b)를 구비하며, 상기 열가소성 재료는 제 1 유형의 합성 재료의 용융점과 같거나 또는 낮은 용융점을 갖는, 상기 외부층들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이 그 길이의 일부에 걸쳐 상기 중심층(3) 안으로 침투하게 유발하도록, 예비적인 바늘 펀칭을 실행하는 단계,
    d) 상기 직물 보강재(1)를 가열하여 적어도 표면을 연화시켜서 적어도 상기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상기 외부 직물층(21, 22)의 상기 인접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 및 상기 중심층(3)의 상기 인접 잘려진 섬유 섹션들(3a)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후에, 상기 직물 보강재(1)가 냉간 압연되는 단계 e)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 상기 외부층들(21,22)의 상기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은 상기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 상기 단계 c)의 예비 바늘 펀칭 단계는 바브(8a)를 갖는 바늘들(8)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바브는 상기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을 동반하지만, 상기 제 1 잘려진 화학 섬유 섹션들(70)보다 큰 직경의 상기 잘려진 보강 섬유 섹션들(4)을 동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의 제조 방법.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단계 d) 동안, 고온 공기를 직물 보강재(1)를 관통하여 순환시킴으로써 가열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보강재의 제조 방법.
KR1020097026006A 2007-05-15 2008-05-14 보강용 직물 보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8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55073 2007-05-15
FR0755073A FR2916208B1 (fr) 2007-05-15 2007-05-15 Armature textile de renforcement et son procede de realisation.
FR0757334 2007-09-03
FR0757334A FR2916209B1 (fr) 2007-05-15 2007-09-03 Armature textile de renforcement et son procede de realisation
PCT/IB2008/051905 WO2008139423A1 (fr) 2007-05-15 2008-05-14 Armature textile de renforcement et son procede de realis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931A KR20100024931A (ko) 2010-03-08
KR101518796B1 true KR101518796B1 (ko) 2015-05-12

Family

ID=3866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006A KR101518796B1 (ko) 2007-05-15 2008-05-14 보강용 직물 보강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20110151231A1 (ko)
EP (1) EP2145036B1 (ko)
JP (1) JP5185370B2 (ko)
KR (1) KR101518796B1 (ko)
CN (1) CN101680144B (ko)
AT (1) ATE501294T1 (ko)
AU (1) AU2008249626B2 (ko)
BR (1) BRPI0811867A2 (ko)
CA (1) CA2687221C (ko)
DE (1) DE602008005441D1 (ko)
DK (1) DK2145036T3 (ko)
EG (1) EG25302A (ko)
ES (1) ES2362813T3 (ko)
FR (2) FR2916208B1 (ko)
HK (1) HK1139441A1 (ko)
HR (1) HRP20110358T1 (ko)
IL (1) IL202004A (ko)
MX (1) MX2009012354A (ko)
NZ (1) NZ581626A (ko)
PL (1) PL2145036T3 (ko)
PT (1) PT2145036E (ko)
SI (1) SI2145036T1 (ko)
TN (1) TN2009000473A1 (ko)
WO (1) WO2008139423A1 (ko)
ZA (1) ZA2009085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9238B1 (fr) * 2009-08-21 2011-09-09 Gilbert Chomarat Armature textile a fils de verre continus
FR2949239B1 (fr) 2009-08-21 2011-10-28 Gilbert Chomarat Renfort a meche de fils de verre parralleles.
FR2992000B1 (fr) 2012-06-18 2015-01-02 Chomarat Textiles Ind Procede de fabrication d'une armature textile de renforcement pour materiaux composites, et armature ainsi obtenue
PL2716435T3 (pl) * 2012-10-02 2018-01-31 Reifenhaeuser Masch Sposób wytwarzania zespolonej części kształtowej, w szczególności włóknistej zespolonej części kształtowej oraz zespolona część kształtowa, w szczególności włóknista zespolona część kształtowa
FR3023565B1 (fr) * 2014-07-08 2016-07-08 Gilbert Chomarat Armature textile de renforcement et son procede de realisation
WO2017053433A1 (en) 2015-09-21 2017-03-30 Modern Meadow, Inc. Fiber reinforced tissue composites
US10519285B2 (en) 2016-02-15 2019-12-31 Modern Meadow, Inc. Method for biofabricating composite material
AU2018253595A1 (en) 2017-11-13 2019-05-30 Modern Meadow, Inc. Biofabricated leather articles having zonal properties
AU2019206704B2 (en) 2018-01-12 2024-02-08 Yeti Coolers, Llc Portable chair
USD904011S1 (en) 2019-01-14 2020-12-08 Yeti Coolers, Llc Bag
USD912423S1 (en) 2019-01-14 2021-03-09 Yeti Coolers, Llc Portable chair
USD911731S1 (en) 2019-01-14 2021-03-02 Yeti Coolers, Llc Portable chair
USD903305S1 (en) 2019-01-14 2020-12-01 Yeti Coolers, Llc Bag
USD902617S1 (en) 2019-01-14 2020-11-24 Yeti Coolers, Llc Portable chair
CA3121853A1 (en) 2019-01-17 2020-07-23 Modern Meadow, Inc. Layered collagen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9825946A (zh) * 2019-02-21 2019-05-31 浙江华恒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干法制备真空隔热板芯材的方法
MX2021010960A (es) * 2019-03-14 2021-12-10 Modern Meadow Inc Materiales compuestos infundidos con colágeno y métodos para fabricarlos.
MX2022005538A (es) 2019-12-10 2022-06-08 Auria Solutions Uk I Ltd Articulo no tejido cosido con aguja de multiples capas y metodos de manufactura del mismo.
CN113186645A (zh) * 2021-04-28 2021-07-30 上海沥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脱模透气毡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5548B1 (fr) 1989-04-28 1993-09-22 ETABLISSEMENTS LES FILS D'AUGUSTE CHOMARAT & CIE. Société Anonyme Armature textile utilisable pour la réalisation de matériaux composites et articles en forme comportant une telle armature
EP0659922B1 (fr) 1993-12-24 1996-04-10 Etablissements Les Fils D'auguste Chomarat Et Cie Armature textile utilisable pour la réalisation de matériaux composites
WO2006053978A1 (fr) 2004-11-16 2006-05-26 Gilbert Chomarat Produit de renforcement aere et procede pour sa realisation
EP1772258B1 (de) 2005-10-06 2008-03-12 J. H. Ziegler GmbH & Co. KG Verwendung eines Vlieslaminats für die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Kunststoffteilen und faserverstärktes Kunststofftei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08392A (en) * 1971-10-18 1975-10-01 Ici Ltd Non-woven fabrics
GB1498038A (en) * 1975-02-28 1978-01-18 Bondina Ltd Non-woven fabrics
JPS59223350A (ja) * 1983-05-26 1984-12-15 株式会社クラレ 不織布およびその製法
JP2500529Y2 (ja) * 1991-10-01 1996-06-05 株式会社ワコール 不織布積層体
US5415925A (en) * 1992-06-10 1995-05-16 Fiberweb North America, Inc. Gamma structure composite nonwoven fabric comprising at least two nonwoven webs adhesively bonded by a lightweight adhesive web
FR2700782B1 (fr) * 1993-01-26 1995-04-14 Libeltex Nv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non-tissé et non-tissé obtenu par ce procédé.
JP3510011B2 (ja) * 1995-08-23 2004-03-22 ユニチカ株式会社 難燃性複合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32850A (ja) * 1995-10-30 1997-05-20 Unitika Ltd 短繊維不織布
JPH09279465A (ja) * 1996-04-15 1997-10-28 Unitika Ltd 積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9678C (zh) * 1996-12-31 2002-08-28 欧文斯-康宁玻璃纤维西班牙有限公司 一种织物和制造织物的方法
WO1998035086A1 (de) * 1997-02-05 1998-08-13 Symalit Ag Matte aus fasern unterschiedlicher materialien, daraus hergestellter verbundkörp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aus einem solchen verbundkörper
CN2343184Y (zh) * 1998-08-12 1999-10-13 康那香企业股份有限公司 多层复合不织布
FR2804696B1 (fr) * 2000-02-07 2002-06-28 Textinap Procede de fabrication d'un complexe, notamment a partir de fibres naturelles et le complexe obtenu
WO2003038175A1 (de) * 2001-10-17 2003-05-08 Saertex Wagener Gmbh & Co. Kg Textile armierung mit wenigstens einer deckschicht und einer voluminösen vliesschicht
FR2834303B1 (fr) * 2001-12-31 2005-06-24 Chomarat Composites Complexe fibreux a face decoree pour la realisation de pieces composites et pieces composites en faisant application
CN2573523Y (zh) * 2002-07-28 2003-09-17 海南欣龙无纺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耐磨水刺布
WO2004056565A1 (en) * 2002-12-21 2004-07-08 Yeun Kwon Seo Method for making flexibl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nd sheet for the construction and its product made therefrom
KR101015513B1 (ko) * 2005-02-21 2011-02-16 (주)리앤에스 자동차 내장재용 경량복합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5548B1 (fr) 1989-04-28 1993-09-22 ETABLISSEMENTS LES FILS D'AUGUSTE CHOMARAT & CIE. Société Anonyme Armature textile utilisable pour la réalisation de matériaux composites et articles en forme comportant une telle armature
EP0659922B1 (fr) 1993-12-24 1996-04-10 Etablissements Les Fils D'auguste Chomarat Et Cie Armature textile utilisable pour la réalisation de matériaux composites
WO2006053978A1 (fr) 2004-11-16 2006-05-26 Gilbert Chomarat Produit de renforcement aere et procede pour sa realisation
EP1772258B1 (de) 2005-10-06 2008-03-12 J. H. Ziegler GmbH & Co. KG Verwendung eines Vlieslaminats für die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Kunststoffteilen und faserverstärktes Kunststoff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49626A1 (en) 2008-11-20
EP2145036A1 (fr) 2010-01-20
SI2145036T1 (sl) 2011-07-29
NZ581626A (en) 2011-04-29
KR20100024931A (ko) 2010-03-08
FR2916209A1 (fr) 2008-11-21
HK1139441A1 (en) 2010-09-17
CN101680144A (zh) 2010-03-24
ZA200908582B (en) 2010-07-28
FR2916209B1 (fr) 2009-07-03
DE602008005441D1 (de) 2011-04-21
TN2009000473A1 (fr) 2011-03-31
DK2145036T3 (da) 2011-06-20
EP2145036B1 (fr) 2011-03-09
IL202004A (en) 2014-02-27
EG25302A (en) 2011-12-07
PT2145036E (pt) 2011-06-15
ES2362813T3 (es) 2011-07-13
ATE501294T1 (de) 2011-03-15
JP5185370B2 (ja) 2013-04-17
WO2008139423A1 (fr) 2008-11-20
FR2916208B1 (fr) 2009-07-03
MX2009012354A (es) 2009-12-16
CA2687221A1 (fr) 2008-11-20
US20110151231A1 (en) 2011-06-23
AU2008249626B2 (en) 2014-10-02
HRP20110358T1 (hr) 2011-08-31
FR2916208A1 (fr) 2008-11-21
PL2145036T3 (pl) 2011-08-31
IL202004A0 (en) 2010-06-16
BRPI0811867A2 (pt) 2014-11-18
CN101680144B (zh) 2013-01-23
JP2010526691A (ja) 2010-08-05
CA2687221C (fr)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796B1 (ko) 보강용 직물 보강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1466535B (zh) 热塑性树脂多层增强片材及其制造方法、以及热塑性树脂复合材料成形品的成形方法
US7226518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a composite sheet with multiaxial fibrous reinforcement
EP2702092B1 (en) Steel fiber reinforced composites
FI88523B (fi) Foerfarande foer naolning av glasmatta av kontinuerliga glastraodar och naolplatta foer utfoerande av foerfarandet
JPH07149147A (ja) 木質系積層ファイバーマットとその木質系積層ファイバーマット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7201218A1 (en) Method of increasing loft in a por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sheet
JP5719364B2 (ja) 連続ガラス繊維を有する織物心材
US5667882A (en) Textile reinforcement which can be used for producing composite materials
RU2365687C1 (ru) Нетканый иглопробивно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4810481B2 (ja) 繊維強化樹脂用複合糸と中間体及びこれを用いた繊維強化樹脂成形体
US20120148790A1 (en) Reinforcement comprising parallel rovings of glass strands
JP2004504502A (ja) 複合材から作られた一方向性シート
JPH10503557A (ja) 二成分及び長繊維製品形成
CN220883900U (zh) 一种毛毡质工艺品
CN218985995U (zh) 一种汽车内饰用再生pet泡沫芯材无纺布
WO1996027039A1 (en) Reinforcement material
JP2017519666A (ja) 織物強化品フレームワーク及びその製造手段
EP4241979A1 (en) Sustainable nonwoven laminate for structural part applications
US20070072505A1 (en) Deformable mat with fibrous reinforcement for the production of thermoplastic matrix composites
JP2016180022A (ja) 繊維強化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作製用プレ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62695A (ja) 積層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