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767B1 -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767B1
KR101518767B1 KR1020110109106A KR20110109106A KR101518767B1 KR 101518767 B1 KR101518767 B1 KR 101518767B1 KR 1020110109106 A KR1020110109106 A KR 1020110109106A KR 20110109106 A KR20110109106 A KR 20110109106A KR 101518767 B1 KR101518767 B1 KR 101518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s
field terminal
equipment
integrated management
standard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828A (ko
Inventor
임영섭
윤장호
김연정
김정화
노창수
유정은
최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09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7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59Inter-group management mechanisms, e.g. splitting, merging or interconnection of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장비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전용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기종 현장 단말 장치들을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하나의 통합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통합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현장 단말 장비들이 사용하는 전용 프로토콜들을 표준 프로토콜과 맵핑한 후, 현장 단말 장비들의 전용 프로토콜을 네트워크 장비 전단에 구비된 원격단말장치에서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관제 상황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heterogeneous equipments}
본 발명은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기종의 현장 단말 장비에서 백본 네트워크 장비에 이르는 모든 장비들을 통합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제 상황실 등에서 건물 및 건물의 옥외에 설치되어 있는 현장 단말 장비들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이때 관리의 대상이 되는 현장 단말 장비들은 예를 들어 온도, 습도, 소음, 화재 등을 검출하는 각종 센서류, CCTV 등의 영상장비는 물론, 가로등, 전광판, 상하수도, 가스, 전기, 공조, 냉난방 설비, 엘리베이터, 조명, 전산 설비 등이 있다.
한편 관제 상황실에서 현장 단말 장비들의 상태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현장 단말 장비들과 관리 시스템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여야 한다. 즉,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단말 장비들의 상태값을 측정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송출하고, 이러한 제어명령을 송신한 현장 단말 장비들은 자신의 상태값 등 상기 제어명령에 대한 적절한 응답을 관리 시스템으로 송출하여야 한다.
그런데, 현장 단말 장비들은 서로 다른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장비들인 것이 보통이므로, 각각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기종의 현장 단말 장비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리 시스템에 각 장비별 제조사가 제공하는 개별적인 관리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이기종 장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양한 이기종의 현장 단말 장비들(100)은 유무선 네트워크(110)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들(130)에 연결되고, 네트워크 장비들(130)에 포함되어 있는 백본 네트워크 장비를 거쳐 최종적으로 관제 상황실(140)에 연결된다. 관제 상황실(140)에서는 모니터를 통해 다양한 현장 단말 장비들(100)의 상태가 모니터링되고, 이상 상황 등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를 모니터에 표시하고 적절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등의 관리 작업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기종의 현장 단말 장비들(100)은 서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이러한 다양한 장비들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하나의 통합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는 것은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의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관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제조사가 제공하는 별도의 관리용 개별 소프트웨어(141)를 설치할 수 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다양한 장비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관리 시스템은 현장 단말 장비에서 백본 네트워크 장비까지에 이르는 엔드 투 엔드(end to end) 간 연결된 모든 장비에 대한 통합관리를 할 수 없었으므로, 장애 발생 시 문제의 원인이 되는 고장 장비 또는 구간 판단이 불가능하여 효과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기종의 현장 단말 장비에 대한 통합관리 구현의 기술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다양한 이기종 장비들을 소규모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통합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단말 장비에서 백본 네트워크 장비에 이르는 엔드 투 엔드 장비들을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은,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 및 상기 현장 단말 장비들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를 통합하여 관리함에 있어서, 통합관리에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을 결정하고, 상기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이 사용하는 전용 프로토콜들을 상기 표준 프로토콜과 맵핑(Mapping)하며, 상기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 원격단말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원격단말장치에서 상기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이 사용하는 전용 프로토콜과 상기 표준 프로토콜의 변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은, 통합관리에 사용하는 제어명령 또는 메시지를 상기 표준 프로토콜로 정의한 표준 프로토콜 탬플릿(Template)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준 프로토콜은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의 SWE(Sensor Web Enablement) 통신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표준 프로토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은 상기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합관리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현장 단말 장비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합관리용 소프트웨어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들도 통합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장비들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는 표준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 및 상기 현장 단말 장비들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를 통합하여 관리함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 장비들 및 네트워크 장비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현장 단말 장비들 및 네트워크 장비들을 제어하는 장비 통합관리 모듈, 상기 수집된 데이터 및 각 장비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가공하는 데이터 저장/가공 모듈 및 관제 상황실에 마련된 모니터에 각 장비별 정보를 표현하는 통합관리 표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 원격단말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이 사용하는 전용 프로토콜들을 통합관리에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옥외 시설물 및 건물에 존재하는 다양한 이기종의 현장 단말 장비들을 효과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현장 단말 장비에서 백본 네트워크 장비에 이르는 전 구간에 연결된 모든 장비들을 효과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통합관리 프로토콜과 소프트웨어를 통해 유연성, 확장성, 경제성이 뛰어난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기종 장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시스템의 세부 모듈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장비 데이터 측정/수집 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통합관리 모듈의 구성 및 그 통합관리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가공 모듈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관리 표현 모듈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이기종의 현장 단말 장비들이 사용하는 전용 프로토콜들을 통합관리 시스템이 사용하는 표준 프로토콜과 맵핑(Mapping)하여 놓고, 통합관리 시스템은 상기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합관리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현장 단말 장비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다양한 이기종의 현장 단말 장비들(200)은 유무선 네트워크(210)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230)에 연결되고, 네트워크 장비(230)에 포함되어 있는 백본 네트워크 장비를 거쳐 최종적으로 관제 상황실(240)에 연결된다. 관제 상황실(240)에서는 모니터를 통해 다양한 현장 단말 장비들(200)의 상태가 모니터링되고, 이상 상황 등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를 모니터에 표시하고 적절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등의 관리 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장비 전단에 원격단말장치(Remote Terminal Unit; RTU)(220)를 구비하여 다양한 현장 단말 장치(200)의 전용 프로토콜을 통합 관리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원격단말장치(220)는 원격지에서 데이터를 수집한 후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현장 단말 장비(200)로부터의 신호를 감지 또는 측정하기 위한 입력 채널, 현장 단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채널, 및 통신을 위한 통신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현장 단말 장비들(200)은 중간의 네트워크 장비(230)를 통해 관제 상황실(240)과 이렇게 표준화된 프로토콜로 통신하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시스템은 종래 기술과 같이 각 현장 단말 장비별로 별도의 관리용 개별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필요 없이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하나의 통합관리용 소프트웨어(241)만을 구비하여 다양한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200)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현장 단말 장비(200)에서 사용되는 전용 프로토콜을 표준 프로토콜로 맵핑(Mapping)하여 정의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각 현장 단말 장비들이 사용하는 전용 프로토콜 분석을 통하여 관리 시스템이 사용하는 각종 제어명령이나 메시지에 상응하도록 전용 프로토콜과 표준 프로토콜을 일 대 일로 맵핑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각 현장 단말 장비 제조사들의 전용 프로토콜은 공개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시스템이 사용하는 각종 제어명령이나 메시지 등을 표준 프로토콜로 정의한 표준 프로토콜 탬플릿(Template)을 각 현장 단말 장비 업체에 제공함으로써, 관리 시스템 제공자 입장에서는 각 현장 단말 장비 업체가 사용하는 전용 프로토콜을 공개하거나 분석하지 않고 단지 표준 프로토콜 탬플릿을 작성하여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이러한 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합관리 시스템이 사용하는 표준 프로토콜은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의 SWE(Sensor Web Enablement) 통신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표준 프로토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GC는 표준 지리정보, 위치정보에 관한 국제 표준화를 담당하는 개방형 지리정보 컨소시엄이고, SWE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센서들을 웹을 통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OGC에서 개발하여 제공하는 표준 프레임워크이므로, SWE 기반의 XML 프로토콜로 각 현장 단말 장비들을 관리하게 되면, XM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하나의 통합관리용 소프트웨어(241)만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각 현장 단말 장비들(200)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관제 상황실(240)에서 실제 지리정보에 기반한 통합 관제 뷰(View)를 구현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통합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방법은 현장 단말 장비들(200) 뿐만 아니라 현장 단말 장비(200)에서 관제 상황실(240)까지 중간에 경유하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230)도 하나의 통합관리용 소프트웨어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표준 프로토콜 탬플릿에 모든 네트워크 장비(230)의 전용 프로토콜도 함께 맵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현장 단말 장비들과는 달리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들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ICMP(Internet Control Messaging Protocol), TCP/IP 소켓(Socket) 등 표준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이러한 작업은 별도의 전용 프로토콜 분석 작업 없이도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기종의 현장 단말 장비들은 각각이 사용하는 전용 프로토콜이 공개되어 있지 않아 각 전용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관리하도록 통합관리용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지만, 네트워크 장비들(230)은 표준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이들 네트워크 장비들에 대해서는 XML 등의 표준 프로토콜 대신 각 네트워크 장비들이 사용하는 표준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모니터링하도록 통합관리용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시스템은 현장 단말 장비들(200) 및 모든 중간 네트워크 장비(230)을 포함한 엔드 투 엔드(end to end) 간 모든 장비의 장애 및 고장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장 단말 장비들 및 네트워크 장비들로부터 전달된 측정 데이터들은 통합관리 시스템의 통합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데, 통합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장비별 단위 DB와 계층형 통합 DB로 구성하여 전체 장비를 효과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들에 대하여 실제 지리 정보에 기반한 통합 관제 뷰(View)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하나의 웹 화면을 모니터링하는 것만으로 직관적으로 모든 장비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관리 시스템(30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 모듈(310), 장비 통합관리 모듈(320), 데이터 저장/가공 모듈(330), 통합관리 표현 모듈(340)의 4가지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듈(Module)은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는 용어이며,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시스템(300)의 구성 중 먼저 데이터 수집 모듈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데이터 수집 모듈(40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콜 매니저(Protocol Manager)(401)와 로그/이벤트 매니저(402)를 포함한다.
프로토콜 매니저(401)는 다양한 현장 단말 장비들(410)로부터 데이터를 측정/수집하도록 표준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OGC SWE 기반의 SOS(Sensor Observation Service), SPS(Sensor Planning Service), SAS(Sensor Alert Service)의 XM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SOS 프로토콜은 현장 단말 장비(410)를 통합관리 시스템에 고유한 아이디(ID)로 저장하여 등록하고 현장 단말 장비(410)와의 데이터 측정 요청 및 응답 등의 상호 통신에 사용하고, SPS는 현장 단말 장비(410)에서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의 유형과 형태를 정의하며, SAS는 현장 단말 장비(410)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초과 등의 이상 상황에 대한 이벤트를 자동으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표준 프로토콜을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토토콜 매니저(401)는 다양한 현장 단말 장비들과 통신하기 위하여 최소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Socket,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CGI(Common Gateway Interface) 등의 프로토콜들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그/이벤트 매니저(Log/Event Manager)(402)는 수집된 데이터를 장비별 로그/이벤트에 저장하고, 통합 관리를 위한 통합 로그/이벤트를 정의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테이터 수집 모듈(400)은 통합관리 데이터베이스(450)과 연동되어 있는데, 통합관리 데이터베이스(450)는 단위 DB와 통합 DB로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장비 통합관리 모듈의 구성 및 그 통합관리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것이다. 장비 통합관리 모듈(500)은 관리의 대상이 되는 현장 단말 장비들(510)에서 통합관제 상황실까지 중간을 경유하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520)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통합관리 기능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프로토콜 통합 서브모듈(501), 장비 링크(Link) 정의 서브모듈(502), 장비 로그/이벤트(Log/Event) 관리 서브모듈(503) 및 E2E(End to End) 상태 감시/제어 서브모듈(504)의 4개의 하위 모듈로 구성된다.
프로토콜 통합 서브모듈(501)은 센서 등 다양한 현장 단말 장비(510)에서 사용 중인 프로토콜을 통합하여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장비 링크 정의 서브모듈(502)은 현장 단말 장비(510) 및 네트워크 장비들(520)의 링크 연결정보를 구성하고 각 장비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연동하여 장비 로그/이벤트 관리 서브모듈(503)로 전달한다. 장비 로그/이벤트 관리 서브모듈(503)은 각 장비의 로그와 이벤트를 단위 DB 및 통합 DB로 관리하며, E2E 상태 감시/제어 서브모듈(504)은 장애나 고장 등의 이상 상황 이벤트 발생 시에 전체 장비 통합관리 모듈(500)을 통하여 지능적으로 고장 장비와 구간을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하며, 특정 장비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 저장/가공 모듈은 수집된 데이터 및 프로토콜 등의 장비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인데, 다양한 이기종 장비들의 정보를 연동하고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통합관리 데이터베이스(600)를 디바이스 DB(610), 프로토콜 DB(620) 및 로그/이벤트 DB(630)의 세 가지 통합관리 DB로 구분하고, 각 통합관리 DB를 단위 DB, 링크 DB 및 통합 DB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관리자는 다양한 장비를 마치 레고 블록처럼 쉽게 개별적 분산 관리 또는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새로운 장비가 추가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설계하고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통합관리 시스템의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통합관리 표현 모듈(700)은 관제 상황실에 마련된 모니터에 각 장비별 정보를 통합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7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리자가 정의한 단위 장비 유형별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단위 뷰(View)(710) 및 전체 장비에 대하여 하나의 뷰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통합 뷰(720)를 제공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UI)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각각은 또 다양한 형식으로 각 장비 상태를 표현하는 메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각 장비들의 지리적 위치정보를 2D/3D 화면에 표시하고 측정된 각 장비 데이터들을 수치 또는 이미지 형태로 함께 제공하는 2D/3D GIS View 메뉴, 수많은 장비의 로그/이벤트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만을 검색 및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지능형 전광판 View 메뉴, 모든 로그/이벤트를 표시하는 로그/이벤트 View 메뉴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410, 510 : 현장 단말 장치
110, 210 : 유무선 네트워크
130, 230, 430, 520 : 네트워크 장비
140, 240 : 관제 상황실
141 : 관리용 개별 소프트웨어
220, 420 : 원격 단말 장치
241 : 통합관리용 소프트웨어
300 : 통합관리 시스템
310, 400 : 데이터 수집 모듈
320, 500 : 장비 통합 관리 모듈
330 : 데이터 저장/가공 모듈
340, 700 : 통합관리 표현 모듈
401 : 프로토콜 매니저
402 : 로그/이벤트 매니저
450, 600 : 통합관리 데이터베이스
501 : 프로토콜 통합 서브모듈
502 : 장비 링크 정의 서브모듈
503 : 장비 로그/이벤트 관리 서브모듈
504 : E2E 상태 감시/제어 서브모듈
610 : 디바이스 DB
620 : 프로토콜 DB
630 : 로그/이벤트 DB
710 : 단위 뷰(View)
720 : 통합 뷰(View)

Claims (8)

  1.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 및 상기 현장 단말 장비들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통합관리에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단계;
    통합관리에 사용하는 제어명령 또는 메시지를 상기 표준 프로토콜로 정의한 표준 프로토콜 탬플릿(Template)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이 사용하는 전용 프로토콜들을 상기 표준 프로토콜과 맵핑(Mapping)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 원격단말장치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단말장치에서 상기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이 사용하는 전용 프로토콜과 상기 표준 프로토콜의 변환이 일어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합관리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기 현장 단말 장비들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합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프로토콜은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의 SWE(Sensor Web Enablement) 통신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표준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용 소프트웨어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들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표준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7.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 및 상기 현장 단말 장비들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 장비들 및 네트워크 장비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현장 단말 장비들 및 네트워크 장비들을 제어하는 장비 통합관리 모듈;
    상기 수집된 데이터 및 각 장비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가공하는 데이터 저장/가공 모듈; 및
    관제 상황실에 마련된 모니터에 각 장비별 정보를 표현하는 통합관리 표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비 통합관리 모듈은 상기 현장 단말 장비들에서 사용 중인 프로토콜을 통합하여 데이터를 측정하는 프로토콜 통합 서브모듈;
    상기 현장 단말 장비들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들의 링크 연결 정보를 구성하고 각 장비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연동하여 장비 로그/이벤트 관리 서브모듈로 전달하는 장비 링크 정의 서브모듈; 및
    각 장비의 로그와 이벤트를 단위 DB 및 통합 DB로 관리하는 장비 로그/이벤트 관리 서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 원격단말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다수의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이 사용하는 전용 프로토콜들을 표준 프로토콜 탬플릿 상에 맵핑되어 정의된 통합관리에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이기종 현장 단말 장비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프로토콜은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의 SWE(Sensor Web Enablement) 통신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표준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10109106A 2011-10-25 2011-10-25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518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106A KR101518767B1 (ko) 2011-10-25 2011-10-25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106A KR101518767B1 (ko) 2011-10-25 2011-10-25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828A KR20130044828A (ko) 2013-05-03
KR101518767B1 true KR101518767B1 (ko) 2015-05-13

Family

ID=4865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106A KR101518767B1 (ko) 2011-10-25 2011-10-25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894A1 (ko) * 2013-10-31 2015-05-07 주식회사 에이씨앤티시스템 장치의 가상 표준 모델링을 통한, 장치의 통합 관리 제어 방법
KR101521970B1 (ko) * 2014-06-02 2015-05-21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
KR102137309B1 (ko) * 2018-05-29 2020-07-23 이점한 원격 접속 제어 기반 기기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39788B1 (ko) * 2018-06-29 2019-01-17 한화시스템(주) 단일 이더넷 연동 지원 장비에 대한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연동처리 방법
KR102600678B1 (ko) * 2018-10-16 2023-11-10 주식회사 케이티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KR102286203B1 (ko) 2019-08-28 2021-08-05 씨제이대한통운 (주) 이기종 물류 자동화 설비의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90535B1 (ko) * 2021-02-10 2021-08-18 시엔디컨버전스 주식회사 승강장 안전문 시스템의 표준화 프로토콜 변환장치
KR102434944B1 (ko) * 2021-06-25 2022-08-23 (주)일렉콤 스마트 rtu
CN114189365B (zh) * 2021-11-26 2024-05-28 特赞(上海)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字段映射的通用多租户业务授权方法和装置
CN114625039A (zh) * 2021-12-07 2022-06-14 浙江中控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医药行业基于scada数据采集及3d效果监控显示方法
KR102591358B1 (ko) * 2022-01-26 2023-10-20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828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767B1 (ko)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509976B2 (en) Modification of a sensor data management system to enable sensors as a service
CN106053103B (zh) 节点动态数据采集与传播
KR100925288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시스템
KR101337619B1 (ko) 통합 관제 시스템 및 통합 관제 방법
CN104267698A (zh) 基于网络通信技术的电缆井安全运行监控系统及监控方法
US114879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3D visually monitoring a building, and memorizer
KR101090644B1 (ko) 개선된 p형 수신기 기반의 화재 자동탐지 시스템
WO2012157269A1 (ja) 機器マップ表示装置および機器マップ表示方法
US20150341979A1 (en) Sensor associated data processing customization
CN208297993U (zh) 数据中心的动力机房数据采集系统
KR102055984B1 (ko) 도시가스 기반 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플랫폼 시스템 제어방법
CN202632069U (zh) 基于物联网的环保设备远程监控系统
CN112202789A (zh) 一种变电站全景感知数据处理方法及系统
KR101066822B1 (ko)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KR20210144455A (ko) 센서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시각화 기술 기반의 융복합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754001A (zh) 展示三维巡检数据的方法和智能巡检系统
CN103309337A (zh) 一种基于嵌入式以太网的可定制远程监控系统及方法
KR102434944B1 (ko) 스마트 rtu
WO2021004276A1 (zh) 一种用于人防设备维护的监测方法及系统
CN204166364U (zh) 基于网络通信技术的电缆井安全运行监控系统
KR20050087569A (ko) 원격계측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와 관리방법및 그 시스템
KR100415937B1 (ko) 실시간 유무선 원격 모니터링 계측 제어시스템
CN213579468U (zh) 一种设备状态查询运维系统
KR102588769B1 (ko) 네트워크기반 정보수집장치 다중연동과 수집데이터 분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