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788B1 - 단일 이더넷 연동 지원 장비에 대한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연동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단일 이더넷 연동 지원 장비에 대한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연동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788B1
KR101939788B1 KR1020180075788A KR20180075788A KR101939788B1 KR 101939788 B1 KR101939788 B1 KR 101939788B1 KR 1020180075788 A KR1020180075788 A KR 1020180075788A KR 20180075788 A KR20180075788 A KR 20180075788A KR 101939788 B1 KR101939788 B1 KR 101939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working
interlocking
processing
integrated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진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80075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Multivendor or multi-standard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 H04L61/2007
    • H04L61/30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45Types of network names containing wildcard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제1 복수 개의 연동장비 각각과 연결되어 랜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는 연동네트워크장치, 연동네트워크장치와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연동처리 소프트웨어와 장치관리 소프트웨어를 내장하는 제2 복수 개의 연동처리장치, 연동처리장치 각각과 연결되며 랜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는 관리네트워크장치, 관리네트워크장치와 연결되며 내부에 통합관리 소프트웨어를 내장하여 연동처리장치를 통해 연동장비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단일 이더넷 연동 지원 장비에 대한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연동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서로 관련된 복수 장비에서의 연동 규격 수정 및 장비의 재개발 없이도, 연동처리장치를 다중화하여 이들 장비를 연동시킬 수 있고, 동작중 이상이 발생하여도 재연동을 통해 이들 장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체계(system)의 자원관리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일 이더넷 연동 지원 장비에 대한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연동처리 방법{integrated processing system for apparatuses mutually linked by ethernet and method of link process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수 장비에 대한 연동처리 시스템 및 연동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 이더넷(Ethernet) 연동을 지원하는 장비에 대해서 연동을 처리하는 장치를 다중화 할 수 있는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연동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 과업에 참가하는 다수의 인원은 일사불란하게 협동적으로 각자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경우, 가령 하나의 전투 작전을 수행하는 경우, 참가하는 인원들 사이에는 유선이나 무선 통화를 통해 각자의 상황을 알리고, 지원 요청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초를 다투는 긴박한 상황에서 인원들 사이의 이런 통신을 진행하는 것은 어렵거나 무의미할 수도 있고, 대규모 작전에서는 모든 인원들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통신을 통해 현황을 전달하고, 협력하는 것은 더욱 어렵게 된다.
한편, 최근의 통신 및 컴퓨터의 발달은 짧은 시간 내에 수많은 인원이 각자가 소지하는 단말기 통신기 혹은 단말 컴퓨터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의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무기와 같은 전투 장비에 장착될 경우, 각 전투 장비에서 얻어지는 관련 정보가 아군 전투 장비에 실시간으로 전해져 공유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이런 상황은 항공모함 선단과 같은 대규모의 전투 단위나 그보다는 작지만 내부에 다수의 다양한 무기 및 장비 체계를 가지고 있는 함선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선박 내에서 각자의 위치에 있는 각각의 장비를 다루는 인원은 공통의 과업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공유된 정보나 계획을 바탕으로 필요한 업무를 분담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이와 함께 장비의 측면에서도 전체가 가장 좋은 성과를 얻기 위해 다수의 장비는 그 장비를 조절하는 개별 컴퓨터장치와 같은 조절장치가 이더넷 등 내부 통신망을 통해 메인 컴퓨터장치와 같은 통합관리장치의 통일적인 관리를 받고 서로 밀접하게 연동되어, 공통의 임무 수행을 위해 각 장비의 동작이 서로 협력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에도 다양한 장비들을 연동시키는 처리를 담당하는 통합연동처리 시스템이 존재하고, 이 시스템 내에서 연동 처리를 담당하는 연동처리장치가 존재한다. 이 연동처리장치는 연동장비와의 메시지 교환, 연동 프로토콜의 변경, 그리고 다양한 관리 기능들을 함으로써 전투체계를 통합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현재까지 설계된 연동처리장치는 그 프로세서 하나당 연동장비 하나씩을 담당하여 1:1 방식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런 경우 해당 연동처리장치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거나 비가용 상태가 될 경우에는 전체 연동처리 시스템으로서는 이 연동처리장치가 담당하던 해당 장비와의 연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의 연동처리 시스템에서는 연동처리를 통한 전투체계 통합과 자원(장비)의 효율적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의 1;1 방식에서의 연동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동처리장치에 대한 이중화 혹은 다중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내부에서 통신을 위해 이더넷을 사용함에 따라 연동 사용에 대한 제약 사항이 따른다.
즉, 처음부터 1:2 혹은 1:N 방식으로 설계된 장비는 다양한 목적지 IP를 가지거나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다중화가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전투체계 장비들은 1:1 방식으로 설계가 되어 있으며, 이 말은 장비는 목적지 IP 주소를 1개만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목적지 IP 주소가 하나라는 말은 연동처리장치를 다중화 하더라도 결국은 1개의 IP를 다수 개의 장비가 모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중화 처리장치에 대한 설계가 가능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연동 규격을 수정하고 장비 자체를 1:N 방식의 이더넷 연동으로 수정하려면 기간, 비용 등 계약상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그러한 수정도 쉽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4842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543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9589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32593
본 발명은 종래의 통합연동처리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연동 규격 수정 및 장비의 재개발 없이도, 연동처리장치를 다중화하여 전투체계 혹은 일반적인 체계의 자원관리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연동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합연동처리 시스템은,
제1 복수 개의 연동장비 각각과 연결되어 랜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는 연동네트워크장치, 상기 연동네트워크장치와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연동처리 소프트웨어와 장치관리 소프트웨어를 내장하는 제2 복수 개의 연동처리장치, 상기 연동처리장치 각각과 연결되며 랜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는 관리네트워크장치, 상기 관리네트워크장치와 연결되며 내부에 통합관리 소프트웨어를 내장하여 상기 연동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연동장비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합연동처리 방법은, 본 발명의 통합연동처리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연동처리장치에 고정적 IP를 없앤 상태로 IP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통합관리장치의 상기 통합관리 소프트웨어가 하나 이상의 IP 주소를 상기 연동처리장치에 할당하고,
상기 연동처리장치 각각은 상기 연동처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입력하여 할당된 IP 주소를 상기 연동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할당 갯수만큼의 상기 연동장비에 분배하여 상기 연동장비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방법은 연동처리장치 각각의 연동처리 소프트웨어는 소켓 생성시 입력할 IP 주소로 와일드카드(Wildcard: '0')를 입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서 고장에 의해 가용상태의 연동처리장치가 비가용상태가 될 때, 상기 통합관리 소프트웨어는 비가용상태의 연동처리장치를 인식하고 재연동을 수행하기 위해 비가용상태의 연동처리장치를 대신할 연동처리장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며, 결정이 이루어지면 결정된 연동처리장치의 장치관리 소프트웨어는 연동될 연동장비를 향해 ARPing을 전송하여 변경된 MAC 주소로 해당 연동장비 ARP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통합관리 소프트웨어에서 비가용상태의 연동처리장치를 대신할 연동처리장치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우선, 재연동이 필요한 연동 IP의 포트 넘버(Port Number)가 동일한 연동을 처리하고 있는 연동처리장치(문제가 발생한 연동처리장치)는 재할당을 실시할 후보군에서 제외하고, 잔류 후보군에서 CPU와 메모리 사용율이 특정 값을 넘지 않는지 검사하여 부적격 후보를 제외하고, 그 잔류 후보군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 가용 네트워크 포트가 가장 많은, 즉, 처리 용량에 여유가 가장 많은 연동처리장치를 선정하고 IP 주소 할당하는 IP 통합 관리 결정 메커니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서로 관련된 복수 장비에서의 연동 규격 수정 및 장비의 재개발 없이도, 연동처리장치를 다중화하여 이들 장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체계(system)의 자원관리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에는 연동처리장치가 고장이 날 경우 연동장비와의 연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1:1 방식으로 설계가 되어 연동처리장치의 수는 장비의 수와 동일하고 각 연동처리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부수적인 장비들이 많이 요청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화 연동처리를 활용하여 처리성능에 맞는 적정 수량의 연동처리장치 및 그 부대 장비만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용자의 자율적인 설계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장비의 고장이 일어날 경우 기존에는 장비를 새 장비로 대체하기 전에는 재연동이 불가능했으나, 본 발명 시스템에서는 장비의 최소기능만 살아있다면 재연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탑재 공간 및 설비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하드웨어 단종과 관련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으며, 제품 비용 및 시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운용자가 고장에 대해서 일일이 대처해주지 않아도 시스템 자체가 능동적으로 새로운 연동을 시작할 수 있으므로 운용 편리성이 증가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통합연동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개념도,
도2는 도1과 같은 실시예에서 최초로 연동을 개시하는 단계에서 하나의 연동처리장치에 하나의 IP를 할당하여 하나의 연동장비를 동작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적 설명도,
도3은 하나의 연동처리장치에 복수의 연동장비를 할당하여 다중 연동 처리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적 설명도,
도4 및 도5는 복수의 연동처리장치에 같은 복수의 연동장비를 할당하여 다중 연동 처리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적 설명도,
도6은 도5와 같은 정상 상태에서 특정 연동처리장치에 이상 발생되어 특정 연동장비에 대한 연동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적 설명도,
도7은 도6과 같은 연동 이상 발생시에 재연동이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통합연동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통합연동처리 시스템은 연동네트워크장치, 연동처리장치, 관리네트워크장치, 관리처리장치의 4 부분으로 크게 구성되며, 이들 가운데 연동네트워크장치는 복수 개, 여기서는 A, B, C라는 3 개의 연동장비 각각에서 하나씩 들어오는 네트워크 선들과 연결되어 #1 내지 #N의 각 연동처리장치로 분배할 수 있는 네트워크장치이며 랜스위치(LAN switch)로 구성된다.
연동처리장치는 운용자가 원하는 수량만큼 구성이 가능하며, 연동을 처리해주는 역할을 하며 HPC (High Performance Computer)등의 컴퓨터와 여기에 내장되는 연동처리 소프트웨어와 장치관리 소프트웨어가 일체적으로 결합된 일종의 모듈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연동처리 소프트웨어는 각 연동장비와의 연동처리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세트를 의미하며, 장치관리 소프트웨어는 장치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세트로 통합관리장치의 통합관리 소프트웨어로 연결되어 상태정보를 제시하고, 통합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얻어진 통합관리장치에서의 명령에 따라서 연동처리장치의 네트워크 IP 주소를 관리한다.
관리네트워크장치는 연동처리장치와 통합관리장치를 연결해주는 네트워크장치이며 연동네트워크장치와 마찬가지로 랜스위치로 구성된다.
통합관리장치는 운용되던 시스템 내에서 고장이 발생하거나 최초 시스템 구동에 의한 초기연동시 어떤 연동처리장치에서 연동기능을 수행할지 등을 정하고 연동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관련 연동처리장치들의 처리 부하가 균등하게 되도록 한다. 이러한 통합관리장치도 통상 HPC 등의 컴퓨터와 그에 내장된 통합관리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해당 처리 모듈로 구성된다.
통합관리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연동장비 전체를 시스템의 공통 목적에 효율적으로 기여하도록 연동시켜 통합적으로 조절, 운용하는 역할을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각 연동처리장치 속의 장치관리 소프트웨어 세트들로부터 각 장비들의 처리성능, 하드웨어 가용 여부 등을 적절히 판단하여 연동처리를 수행해야 할 개별 연동처리장치를 선정하고 그 처리장치 속에 들어있는 장치관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다중화 연동처리를 지원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통합연동처리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각 요소에서의 동작, 작용을 살펴보면, 연동네트워크장치를 이루는 랜스위치를 통한 신호 분배가 이루어진다. 즉, 각 연동장비가 제공하는 하나의 물리적인 통신라인을 여러 연동처리장치가 사용하기 위해서 연동네트워크장치를 이루는 랜스위치를 통해 신호를 분배한다.
본 발명 시스템에서 연동장비의 변화가 있는 것이 아니므로 앞서 설명했듯이 연동을 위한 목적지 IP 주소는 하나만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제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의 IP를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IP 주소의 공유 개념은 마치 하나의 열쇠를 공용된 장소에 관리자가 보관하다가 사용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해당 열쇠를 빌려주고 사용이 종료되거나 불가능할 경우에 반납받아 다시 적절히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열쇠를 주어 해당 공간을 사용하게 하는 개념과 같다.
그런데, IP 공유를 하기 위해서는 다시 문제가 발생한다. 첫 번째로 연동처리장치에 IP를 없앤 상태에서 연동처리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연동처리장치에서 IP를 없앤 상태가 되는 것은 동시에 여러 명이 해당 IP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IP를 네트워크 상에서 삭제하기 때문이다.
네트워크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연동처리 소프트웨어는 항상 소켓을 실행시켜야 하는데, 소켓에는 송신/수신 IP 주소와 포트 넘버(Port Number)를 모두 입력하게 되어 있다. 해당 IP로 소켓을 열겠다고 명령을 하지만 해당 연동처리장치에는 IP가 없으므로 소켓 생성에 실패하게 되고 그 이후에는 어떠한 조건에 의해서도 연동처리가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동처리 소프트웨어는 소켓 생성 시 입력하는 IP를 와일드카드(Wildcard: '0')로 생성하도록 수정함으로써 해당 문제를 해결한다.
이와 함께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서 연동장비에서 관리하는 에이알피 테이블(ARP Table) 갱신 시간 지연이 가령 5~6초 정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더넷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논리적 주소인 IP와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가 모두 필요하고 이를 에이알피 테이블을 통해 관리를 한다. 이상에서 언급된 상황에서 기존에 처리를 담당하는 연동처리장치가 비가용 상태로 전환되면 타 연동처리장치가 기능을 이양받아 기존에 사용하던 논리적 IP 주소를 사용하겠지만, 각 장비마다 정해진 MAC 주소는 다르므로 이를 바르게 매칭시키기 위해 연동장비 에이알피 테이블이 갱신이 되기까지 가령 5~6초라는 지연시간이 필요하고, 이런 지연시간이 지난 후에 비로소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장치관리 소프트웨어는 연동장비를 향해 ARPing을 전송하여 변경된 MAC 주소를 해당 연동장비 ARP 테이블에 갱신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5~6초가 걸리던 지연시간을 1초 이내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알핑(Arping)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호스트를 검색하고 확인(probing)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도구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로 식별되는 호스트로 주소 지정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요청 방법을 사용하여 링크 계층 프레임을 전송하여 연결된 네트워크 링크에서 호스트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다중화된 연동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2의 경우, 통합관리장치의 통합관리 소프트웨어에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혹은 랜덤하게 선택하여 연동처리장치 #1로 연동 IP 'A'를 할당하면 그 연동처리장치의 연동처리 소프트웨어는 연동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연동장비 A에 대해 IP 주소 A를 부여하고 장비 A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3는 동일한 연동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다중 연동 처리를 통해 연동장비 A, B를 연동 처리하는 경우로, 통합관리장치의 통합관리 소프트웨어에서 연동처리장치 #1로 연동 IP 'A' 및 'B'를 할당하면 그 연동처리장치의 연동처리 소프트웨어는 연동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연동장비 A, B에 대해 IP 주소 A 및 IP 주소 B를 각각 부여하고 장비 A, B의 연동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4는 복수 연동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장비의 다중 연동 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한 예로서, 통합관리장치의 통합관리 소프트웨어에서 연동처리장치 #1 및 #2로 연동 IP 'A' 및 'B'를 각각 하나씩 할당하면, 연동처리장치 #1의 연동처리 소프트웨어는 연동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연동장비 A에 대해 IP 주소 A를 부여하고 장비 A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하며, 연동처리장치 #2의 연동처리 소프트웨어는 연동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연동장비 B에 대해 IP 주소 B를 부여하고 장비 B의 연동적 구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도5는 도4와 실질적으로 같은 개념이며, 단 수적으로 확장되어 연동장비가 A, B, C가 모두 사용되고, 연동처리장치도 #1, #2, #N가 모두 사용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이상은 정상적인 상황에서의 연동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는 것이라면, 연동처리 시스템의 고장 시를 대비한 연동처리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도6은 연동장비들과 각각 연결되어 연동장비들을 연동시켜 운영하던 연동처리장치들 가운데 하나가 이상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통합관리장치의 통합관리 소프트웨어는 연동처리장치 #1, #2, #N에 각각 연동 IP A, 연동 IP B, 연동 IP C를 할당하여 연동장비 A, 연동장비 B, 연동장비 C를 연동시켜 운영하는 과정에서 연동처리장치 #N에 이상이 발생하고, 연동처리장치 #N과 연관된 연동장비 C는 일시적으로 연동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도7은 도6의 상태에서 통합관리 소프트웨어가 상황을 인지한 후 연동 IP C를 타 연동처리장치 #2로 이양함으로써 연동장비 C에 대한 재연동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통환관리 소프트웨어는 몇 가지 조건 혹은 상황을 순차적으로 고려하여 어떤 연동처리장치에 문제가 된 IP 주소를 재할당하는 것이 좋을지 결정하게 된다.
IP 통합 관리 결정 메커니즘에 고려되는 조건을 보면, 우선, 재연동이 필요한 연동 IP의 포트 넘버(Port Number)가 동일한 연동을 처리하고 있는 연동처리장치(문제가 발생한 연동처리장치)는 재할당을 실시할 후보군에서 제외한다. 다음으로, 후보군에서 CPU와 메모리 사용율이 특정 값을 넘지 않는지 검사한다. 이는 특정 연동처리장치로 부하가 집중되어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연동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후보군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 가용 네트워크 포트가 가장 많은, 즉, 처리 용량에 여유가 가장 많은 연동처리장치를 선정하고 IP 주소 할당을 한다.
이러한 결정 메커니즘은 여기서는 이상 발생시의 재할당을 위해 언급되지만 초기에 다수의 연동장비를 연동시켜 동작시키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제1 복수 개의 연동장비 각각과 연결되어 랜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는 연동네트워크장치,
    상기 연동네트워크장치와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연동처리 소프트웨어와 장치관리 소프트웨어를 내장하는 제2 복수 개의 연동처리장치,
    상기 연동처리장치 각각과 연결되며 랜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는 관리네트워크장치,
    상기 관리네트워크장치와 연결되며 내부에 통합관리 소프트웨어를 내장하여 상기 연동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연동장비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더넷 연동 지원 장비에 대한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2. 제 1 항의 통합연동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통합연동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연동처리장치에 고정적 IP를 없앤 상태로 IP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통합관리장치의 상기 통합관리 소프트웨어가 하나 이상의 IP 주소를 상기 연동처리장치에 할당하고,
    상기 연동처리장치 각각은 상기 연동처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입력하여 할당된 IP 주소를 상기 연동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할당 갯수만큼의 상기 연동장비에 분배하여 상기 연동장비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연동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처리장치 각각의 상기 연동처리 소프트웨어는 소켓 생성시 입력할 IP 주소로 와일드카드(Wildcard: '0')를 입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연동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 소프트웨어가 비가용상태의 연동처리장치를 인식하고 재연동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비가용상태의 연동처리장치를 대신할 연동처리장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에 따라 선택된 연동처리장치의 장치관리 소프트웨어가 상기 복수 개의 연동장비 가운데 연동될 연동장비를 향해 ARPing을 전송하여 변경된 MAC 주소로 해당 연동장비 ARP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하는 단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연동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 소프트웨어에서 상기 비가용상태의 연동처리장치를 대신할 연동처리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재연동이 필요한 연동 IP의 포트 넘버(Port Number)가 동일한 연동을 처리하고 있는 연동처리장치(문제가 발생한 연동처리장치)를 재할당을 실시할 후보군에서 제외하는 세부단계,
    잔류된 후보군에서 CPU와 메모리 사용율이 특정 값을 넘지 않는지 검사하여 부적격 연동처리장치를 제외하는 세부단계,
    잔류된 후보군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 가용 네트워크 포트가 가장 많은 연동처리장치를 선정하고 IP 주소를 할당하는 세부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연동처리 방법.
KR1020180075788A 2018-06-29 2018-06-29 단일 이더넷 연동 지원 장비에 대한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연동처리 방법 KR101939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88A KR101939788B1 (ko) 2018-06-29 2018-06-29 단일 이더넷 연동 지원 장비에 대한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연동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88A KR101939788B1 (ko) 2018-06-29 2018-06-29 단일 이더넷 연동 지원 장비에 대한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연동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788B1 true KR101939788B1 (ko) 2019-01-17

Family

ID=6527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788A KR101939788B1 (ko) 2018-06-29 2018-06-29 단일 이더넷 연동 지원 장비에 대한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연동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78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368B1 (ko) * 2004-04-12 2007-05-04 최성원 인증 서버와 연동되는 ip 주소 관리 시스템
KR100948423B1 (ko) 2007-06-22 2010-03-22 유한대학산학협력단 플로차트 프로그램 방식의 이더넷/ip 분산 제어장치
KR20130044828A (ko)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475436B1 (ko) 2013-03-14 2014-12-30 국방과학연구소 V-c 연동 전투효과 분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559644B1 (ko) * 2011-03-23 2015-10-1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제어 시스템, 스위치 노드 및 통신 제어 방법
KR101795895B1 (ko) 2015-12-31 2017-1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동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연동 검증 방법
KR101832593B1 (ko) 2016-02-02 2018-02-27 국방과학연구소 다수의 지상무인체계 임무통제와 통신기능 점검을 위한 개발용 시뮬레이터 구축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368B1 (ko) * 2004-04-12 2007-05-04 최성원 인증 서버와 연동되는 ip 주소 관리 시스템
KR100948423B1 (ko) 2007-06-22 2010-03-22 유한대학산학협력단 플로차트 프로그램 방식의 이더넷/ip 분산 제어장치
KR101559644B1 (ko) * 2011-03-23 2015-10-1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제어 시스템, 스위치 노드 및 통신 제어 방법
KR20130044828A (ko)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475436B1 (ko) 2013-03-14 2014-12-30 국방과학연구소 V-c 연동 전투효과 분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795895B1 (ko) 2015-12-31 2017-1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동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연동 검증 방법
KR101832593B1 (ko) 2016-02-02 2018-02-27 국방과학연구소 다수의 지상무인체계 임무통제와 통신기능 점검을 위한 개발용 시뮬레이터 구축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11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b based storage on-demand distribution
KR100645733B1 (ko) 모니터링을 위한 네트워크의 자동 구성
US7225356B2 (en) System for managing operational failure occurrences in processing devices
US7389367B2 (en) Method of managing I/O interface modules in a computer system
CN101460907B (zh) 用于管理程序的执行的系统和方法
US5526492A (en) System having arbitrary master computer for selecting server and switching server to another server when selected processor malfunctions based upon priority order in connection request
US20020106068A1 (en) Tele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50262238A1 (en) Tolerating failure of traffic management systems
CN102027732B (zh) 经由因特网协议网络提供对服务器应用程序的访问
US20100077250A1 (en) Virtualization based high availability clust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ailure in virtualization based high availability cluster system
CN102845035A (zh) 在虚拟环境中识别目的地的方法
EP3864824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alancing utilization of computer resources
CN102843286A (zh) 虚拟路由器的实现方法、装置及系统
AU2001241700B2 (en) Multiple network fault tolerance via redundant network control
US20110196951A1 (en) Computer managing method
KR101939788B1 (ko) 단일 이더넷 연동 지원 장비에 대한 통합연동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연동처리 방법
WO1997049034A1 (fr) Systeme de prise en charge de taches
JP2012231636A (ja) 電力系統の監視制御システム
JP448160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伝送装置及び管理装置
JP6767016B2 (ja) ネットワーク機器の識別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の識別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の識別装置
CN116723225B (zh) 游戏任务的自动分配方法及系统
JP3923931B2 (ja) 論理ネットワークへの参加要求方法、参加受付方法、メッセージ送信方法、参加要求プログラム、参加受付プログラム、メッセージ送信プログラム、参加要求装置、参加受付装置、及びメッセージ送信装置
FI87716B (fi) Dubbleringsfoerfarande foer ett kopplingssystem, speciellt foer en telefoncentral
KR10030441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용 어드레스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0344322B1 (ko) 엑스.25 채널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