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720B1 -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720B1
KR102587720B1 KR1020230022947A KR20230022947A KR102587720B1 KR 102587720 B1 KR102587720 B1 KR 102587720B1 KR 1020230022947 A KR1020230022947 A KR 1020230022947A KR 20230022947 A KR20230022947 A KR 20230022947A KR 102587720 B1 KR102587720 B1 KR 102587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easurement
steep slope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잇
Priority to KR102023002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계측센서의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계측정보 수집모듈, 지능형 CCTV를 통해 촬영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모듈, 상기 계측데이터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분산저장모듈, 상기 분산저장모듈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 및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매핑된 영상인 매핑영상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산출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STEEP SLOPE MONITORING SYSTEM WITH MEASUREMENT DATA MAPPING FUCTION AND ITS METHHOD}
본 발명은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해 국지성 호우, 짧아진 장마 등 예측하기 힘든 기상 여건으로 인하여 전국 각지에서 다수의 산사태 피해 발생하였으며, 급경사지의 위험도가 급증함에 따라 이에 대한 피해 및 복구비용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0년도에 산사태 피해가 집중되면서 최근 5년동안 전체 건수의 70%에 달하는 6천175건이 발생하였고, 산사태 복구 예산도 3천315억원으로 2019년도의 429억보다 8배 가까이 늘었다고 한다.
이러한 재해로부터 대비하기 위해서는 사전 붕괴 징후 감시, 비상 상황 시 주민 대피 등 선제적 예방조치로서의 상시계측관리가 필요하며, 상시계측관리를 통해 사전에 붕괴의 위험성을 알려주고 미리 대비토록 하여 피해에 대해 최소화하는 것이 필수이다.
이를 위해서 인력을 활용한 현재의 안전진단 방식에 의존할 경우, 시설물 점검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손실이 발생하며, 이를 관리하고 점검할 인력, 자원 역시도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책으로 ICT를 활용한 재해경감대책이 하나의 실제적 솔루션으로 자리잡고 있는 추세를 따라, 효과적인 예방 정책을 수립하고 선제 대응을 위한 입체적인 공간 영상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방재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ICT기술이 접목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급경사지 붕괴위험에 대한 실시간 감지 및 사전 경보를 갖추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효과적인 관리체계가 수립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계측센서의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계측정보 수집모듈, 지능형 CCTV를 통해 촬영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모듈, 상기 계측데이터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분산저장모듈, 상기 분산저장모듈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 및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매핑된 영상인 매핑영상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산출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모듈은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따라 상기 위험도을 1단계(관심), 2단계(주의), 3단계(경계) 및 4단계(심각)의 범주 중에서 하나로 선정되도록 산출하고, 상기 매핑영상은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에 의해 상기 위험도의 단계마다 색깔이 다르게 산출되고, 인접한 단계끼리는 연속적인 색깔로 산출된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입혀진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은 상기 계측센서의 제조사, 제조년월, 기기특성, 계측기능 및 설치위치에 따른 분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분류대로 상기 계측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계측센서는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변위, 경사, 간극수압, 체적함수비, 하중, 지하수위, 강우 및 온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계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과 타 모듈을 중계하는 중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모듈은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에서 수집된 상기 계측데이터를 취합하여 분산저장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연계되어 사용자가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의 제어 및 고장유무 판단이 가능하도록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장유무 판단은 상기 계측센서의 장애 발생 즉시 상기 중계모듈에 의해 실시간으로 장애 신호가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에 전달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에 의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산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고장유무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진동센서의 진동데이터를 수집하는 진동정보 수집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데이터는 상기 진동정보 수집모듈에 의해 상기 분산저장모듈에 전송되어 분산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벤트 처리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된 경보기기 및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연동되는 임의의 기기의 경보를 제어하는 경보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서 이벤트 발생 시 제1 발생시간 내에 상기 계측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의 제2 발생시간 내에 상기 계측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위험도가 산출되며,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의 제3 발생시간 내에 상기 경보제어모듈에 의해 경보가 발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은 이벤트 영상 및 상기 매핑영상이 인터페이스 상에 동시에 병렬적으로 표시되도록 산출하고, 상기 이벤트 영상은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에 의해 이벤트 추적 및 이벤트 구간 확대가 가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산출되는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은 상기 이벤트 영상이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매핑영상이 상기 이벤트 영상과 인접하여 상기 이벤트 영상의 오른쪽에 배치되도록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계측센서의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지능형 CCTV를 통해 촬영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계측데이터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분산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분석된 데이터 및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매핑된 영상인 매핑영상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도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따라 1단계(관심), 2단계(주의), 3단계(경계) 및 4단계(심각)의 범주 중에서 하나로 선정되고, 상기 매핑영상은 상기 위험도의 단계마다 색깔이 다르게 산출되고, 인접한 단계끼리는 연속적인 색깔로 산출된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입혀진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은 급경사지 현장에 위험이 발생할 경우 신속히 경보를 발령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계측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관측인자들을 분석하여 영상 데이터에 매핑함으로 위험 인자에 대한 직관적이고 입체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모듈에 의해 산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계측센서의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계측정보 수집모듈(110), 지능형 CCTV를 통해 촬영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모듈(120), 상기 계측데이터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분산저장모듈(130), 상기 분산저장모듈(130)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분석모듈(140) 및 상기 분석모듈(140)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 및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매핑된 영상인 매핑영상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산출하는 인터페이스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과 타 모듈을 중계하는 중계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진동센서의 진동데이터를 수집하는 진동정보 수집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이벤트 처리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된 경보기기 및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과 연동되는 임의의 기기에 경보를 제어하는 경보제어모듈(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계측정보 수집모듈, 영상저장모듈, 진동정보 수집모듈 및 중계모듈은 외부 시스템에 해당되고, 분산저장모듈, 분석모듈, 인터페이스모듈 및 경보제어모듈은 내부 시스템에 해당될 수 있다.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200) 및 임의의 단말기(300)와 정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외부 서버(200)는 NDMS(국가 재난관리 정보 시스템) 서버, 국민재난안전포털 서버를 포함하는 정부기관의 공공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의해 관측되는 급경사지 현장의 과거 이벤트 발생 이력,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구축되지 않은 타 급경사지 현장의 과거 및 현재 이벤트 발생 이력을 포함하는 외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서버(200)은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영, 관리하는 업체의 물품 재고 운영 시스템을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서버는 서버의 서버 환경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서버는 임의의 형태의 장치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서버는 디지털 기기로서,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웹 패드, 이동 전화기와 같이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메모리를 구비한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일례로, 서버는 웹 서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서버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상기 외부 서버(200)를 통해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임의의 단말기(300)는 상기 급경사지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의의 단말기(300)는 상기 급경사지 시스템(100)에 의해 발령된 경보를 수신하는 수신자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임의의 단말기(300)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위치되어 위험에 노출된 대상자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언급하는 단말기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단말기, 컴퓨팅 장치,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등이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 및/또는 스마트 TV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계측센서의 계측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상기 계측센서의 제조사, 제조년월, 기기특성, 계측기능 및 설치위치에 따른 분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분류대로 상기 계측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계측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는 복수개의 계측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계측기능을 기준으로 분류된 상기 계측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어 변위를 계측하는 복수개의 계측센서와 연결되는 제1 계측정보 수집모듈,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어 경사를 계측하는 복수개의 계측센서와 연결되는 제2 계측정보 수집모듈 및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어 간극수압을 계측하는 복수개의 계측센서와 연결되는 제3 계측정보 수집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상기 제1 계측정보 수집모듈이 고장나더라도 상기 제2 계측정보 수집모듈 및 상기 제3 계측정보 수집모듈에 의해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위험을 판단하기 위한 계측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어,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의 고장에 있어서 유연성을 갖출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과 상기 계측센서의 연결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계측 기능과 계측센서 종류를 기준으로 분류된 계측센서 단위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계측기 종류는 계측기 제조사 혹은 브랜드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는 동일한 계측 기능과 동일한 계측기 종류만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하나의 계측정보 수집모듈에는 변위를 계측하는 기능을 가지며, A 제조사에서 생산된 계측기만이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계측정보 수집모듈에 변위를 계측하는 기능을 가지는 A 제조사의 계측센서와 B 제조사의 계측센서가 동시에 연결될 경우, 계측정보 수집모듈은 소정의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현장의 작업자는 잘못된 부분을 현장에서 바로 시정할 수 있다.
상술한 알림 기능이 구현되기 위해서,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는 계측센서 구분 모델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계측센서 구분모델은 분석모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계측센서 구분모델은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 연결되는 계측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파일 형식과 데이터 구조 등을 분석하여 계측 기능과 계측기 종류를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영하는 업체의 서버와 정보 통신하여 그 업체의 물품 재고량을 수신받을 수 있다.
계측센서 구분모델은 기준 시점의 업체의 물품 재고량를 반영하여 계측정보 수집모듈에 연결되는 계측센서의 계측 기능과 계측기 종류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 재고량을 판단하는 기준 시점은 소정 시간 전의 재고 데이터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는, 현장에서 작업할 때와 업체의 물품 관리 창고에서 계측센서를 준비할 때의 시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계측센서는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변위, 경사, 간극수압, 체적함수비, 하중, 지하수위, 강우 및 온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계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측센서는 변위계, 경사계, 간극수압계, 체적함수비계, 하중계, 지하수위계, 강우량계 및 온도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다양한 종류의 계측센서와의 호환이 가능하도록 호환에 필요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다양한 종류의 계측센서별 출력방식을 고려하여 다중 입출력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출력방식은 아날로그 방식이나 디지털 방식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다중 입출력 포트는 아날로그 방식이나 디지털 방식을 고려하여 각각의 포트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다양한 종류의 계측센서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표준 통신 회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준 통신 회로부는 시리얼 통신(RS232 & RS485/422) 및 이너넷 통신과 같은 표준규격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타 모듈 및 각종 계측센서와의 연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표준 통신 회로부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모니터링되는 지역 현장에 직접적으로 설치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은 미리 정해진 제1 연결방법으로 계측센서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연결방법으로 계측센서가 연결되지 않았다면, 소정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연결방법은 계측정보 수집모듈에는 동일한 계측기능과 계측센서 종류인 계측센서가 연결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처음에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 연결되는 계측 센서를 기준으로 동일한 계측 기능과 계측 센서 종류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계측센서 구분모델은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 처음으로 연결되는 계측 센서가 송신하는 정보들을 토대로 연결된 계측 센서의 계측 기능과 종류를 판정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1 연결방법을 통해, 동일한 기능과 종류를 가진 계측 센서 단위로 데이터를 정리하고 가공하고, 송신하여, 데이터 관리, 운영 저장이 용이할 수 있다.
중계모듈(160)은 미리 정해진 제2 연결방법으로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이 중계모듈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연결방법으로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이 연결되지 않았다면, 소정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2 연결방법은 중계모듈(160)에 연결된 계측정보 수집모듈(110)들 간에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 연결된 계측센서의 계측 기능과 계측 종류모두가 중복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알림 기능이 구현되기 위해서, 중계모듈(160)에는 상기 계측센서 구분모델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중계모듈(160)에 계측센서 수집모듈(110)이 연결되는 경우, 중계모듈(110)은 계측센서 수집모듈(110)에 연결된 계측센서의 계측 기능과 종류를 예측하고, 미리 정행진 제2 연결 방법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중계모듈(160)은 미리 정해진 제 2 연결방법으로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이 중계모듈에 연결되었더라도, 중계모듈(160)은 미리 정해진 추가연결 방법으로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이 중계모듈(160)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추가연결 방법은, 중계모듈(160)에 연결된 계측정보 수집모듈(110)들 간에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 연결된 계측센서의 계측 기능이 동일하게 연결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중계모듈(160)은 미리 정해진 제2 연결방법이 만족되나 미리 정해진 추가연결 방법이 만족되는 경우, 임의의 단말기(300)와 통신하여 미리 정해진 추가연결 방법이 만족되게 연결된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 연결된 계측센서의 위치를 수집하라고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모듈(160)은 임의의 단말기(300)로 미리 정해진 추가연결 방법이 만족되게 연결된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 연결된 계측센서의 위치를 수집하고 송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임의의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임의의 단말기(300)에는 로 미리 정해진 추가연결 방법이 만족되게 연결된 계측정보 수집모듈(110)과 그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 연결된 계측센서가 이미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는 단말기(300)에 표시된 계측센서가 설치된 장소에 기립한 상태에서 단말기(300)의 위치를 저장하고 중계모듈(160)에 전송활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이 반복되어, 미리 정해진 추가연결 방법이 만족되게 연결된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 연결된 계측센서의 위치가 수집되며, 이러한 위치 정보들은 분석모듈(140)로 전달될 수 있다.
분석모듈(140)은 동일한 계측 기능을 가지지만 계측 센서 종류가 상이해서 발생되는 오류를 계측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최소화할 수 있다.
계측 센서마다 계측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센싱 데이터 값이 차이날 수 있다.
분석모듈(140)은 계측 센서의 위치 정보와 수집되는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오차를 정정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오차 없이 필요한 연산을 처리할 수 있다.
계측 센서에 위치 장비를 모두 설치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자원 낭비 및 비용 증가 등의 비 효율적인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조건 하에서만 특정 계측 센서에 대해서만 위치를 수집함으로써, 모니터링 방법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계측정보 수집모듈(110)과 중계모듈(160)의 알림은 경고등, 경고 소리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저장모듈(120)은 지능형 CCTV를 통해 촬영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능형 CCTV는 PTZ 기능을 갖춘 카메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PTZ 카메라는 팬, 틸트 및 줌 기능을 이용하여 카메라 한 대로도 넓은 영역을 커버하고, 감지된 이벤트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감지된 이벤트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줌-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저장모듈(120)은 PoE(Power over Ethernet)을 이용하여 상기 지능형 CCTV의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저장모듈(120)은 스위칭허브를 통해 분산저장모듈(1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스위칭허브는 근거리통신망 구축시 단말기의 집선 장치로 이용하는 스위칭 기능을 가진 통신장비로 통신 효율을 향상시킨 허브이다. 대역폭이 커서 여러개의 포트입력을 동시에 받을 수 있으며 수신 단말기의 주소 번지를 파악하여 특정 포트로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허브는 VPN방화벽, 게이트웨이 등 ISP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저장모듈(130)은 상기 계측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계측데이터 및 상기 영상저장모듈(12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저장모듈(130)은 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상기 계측데이터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빅데이터 처리 기술은 하둡 기반일 수 있다.
여기서, 하둡(Hadoop)은 대표적인 빅데이터 기술로써 대용량 데이터 분석 처리를 위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이다. 하둡은 대용량 데이터을 분산시키고 저장하고 관리하는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HDFS)과 대용량 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하는 맵리듀스로 구성된다.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HDFS)은 다수의 리눅스 서버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뛰어난 확장성으로 페타바이트 이상의 대용량 데이터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대의 서버가 동시에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여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있어 빠른 속도를 보장한다. 특히, 리눅스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에 비해 시스템 구축비용이 저렴하다. 저가의 장비 사용으로 인한 데이터 유실 및 저장 실패 등의 문제는 그림2와 같이 데이터를 다양한 노드(서버)에 분산 저장하여 해결한다.
이로 인해, 상기 분산저장모듈(130)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분산저장모듈(130)의 빅데이터 처리 기술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산저장모듈(130)은 상기 외부 서버(200)의 외부데이터를 더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데이터는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구축되기 전에 관측된 급경사지 현장의 과거 이벤트 발생 이력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데이터는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구축되지 않은 타 급경사지 현장의 과거 및 현재 이벤트 발생 이력 데이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외부데이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분석모듈(140)은 상기 분산저장모듈(130)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모듈(140)은 컴퓨팅 장치 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컴퓨팅 장치는 정보 처리 연산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단말기 등이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 및/또는 스마트 TV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모듈(140)은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1단계(관심), 2단계(주의), 3단계(경계) 및 4단계(심각)의 범주 중에서 하나로 선정되도록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은 행정안전부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에 근거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은 행정안전부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에 근거한 변위계측데이터의 누적변위(mm)를 기준으로 1단계(관심)이면 14mm 미만, 2단계(주의)이면 14mm 이상 ~ 36mm 미만, 3단계(경계)이면 36mm 이상 ~ 90mm, 4단계(심각)이면 90mm 이상 ~ 209mm미만으로 누적변위의 임계값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은 상기 외부데이터에 근거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데이터가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구축되지 않은 타 급경사지 현장의 과거 이벤트 발생 이력 데이터일 경우, 타 급경사지 현장의 과거 이벤트 발생 시 계측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이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으로 반영되어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은 복수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은 변위계측데이터의 변위속도(mm/day)를 기준으로 1단계 내지 4단계가 분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은 경사계측데이터의 누적변위 경사도(deg.)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모듈(140)은 서로 다른 종류의 계측센서에 의해 측정된 계측데이터별로 상기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된 계측센서가 변위계, 경사계, 간극수압계, 체적함수비계, 하중계, 지하수위계, 강우량계 및 온도계를 포함하여 설치된 경우, 각각의 계측센서에 의해 측정된 계측데이터별로 위험도가 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분석모듈(140)에서 산출된 각각의 계측센서에 의해 측정된 계측데이터 및 상기 계측데이터별 위험도가 인터페이스모듈(150)에 전달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모듈(140)은 복수개의 계측데이터에 의해 서로 다른 상기 위험도가 산출될 경우, 복수개의 산출된 위험도 중에서 가장 높은 단계의 위험도가 선정되도록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석모듈(140)에 의해 변위계측데이터와 상기 변위계측데이터와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비교하여 2단계(주의)가 산출되고, 경사계측데이터와 상기 경사계측데이터와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비교하여 3단계(경계)가 산출된 경우, 상기 분석모듈(140)은 최종 위험도로 3단계(경계)가 선정되도록 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분석모듈(140)에 의해 산출된 최종 위험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사전 경보가 발령될 수 있다.
분석모듈은 기계학습/ 딥러닝을 활용하여 계측센서 구분모델을 산출할 수 있다.
계측센서의 측정 데이터들과, 계측센서의 상세 스펙, 제조사명 등의 외재적정보들을 수집하여 기계학습/딥러닝을 통해 계측센서 구분모델을 산출할 수 있다.
기계학습/딥러닝의 구체적인 알고리즘은 공지된 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모듈(150)은 상기 분석모듈(140)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 및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매핑된 영상인 매핑영상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은 컴퓨팅 장치 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컴퓨팅 장치는 정보 처리 연산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단말기 등이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 및/또는 스마트 TV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은 임의의 단말기(300)와 연계되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임의의 단말기(300)에 표시되도록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의의 단말기(300)는 상기 급경사지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급경사지를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임의의 단말기(300)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은 상기 위험도의 색깔을 단계마다 색깔이 다르게 산출하고, 인접한 단계끼리는 연속적인 색깔로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위험도의 단계별 색깔은 1단계(관심) 파랑, 2단계(주의) 노랑, 3단계(경계) 주황, 4단계(심각) 빨강일 수 있다.
또한, 2단계(주의)로 산정된 상기 위험도가 1단계(관심)보다 3단계(경계)의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가까울 경우, 2단계(주의) 위험도의 색깔은 주황색에 가까운 노랑색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위험도의 색깔이 파랑에서 빨강으로 변해갈수록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위험도가 더 크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위험도의 단계별 색깔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은 위험 단계별로 색깔이 매칭된 상기 위험도를 상기 영상데이터에 매핑한 영상인 매핑영상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은 지능형 CCTV를 통해 촬영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대한 영상데이터에 상기 계측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가 입력된 파일인 제1 영상파일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영상파일에 상기 계측센서의 계측범위가 입력된 파일인 제2 영상파일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은 상기 제2 영상파일에 상기 계측센서의 실시간 계측데이터에 따른 상기 위험도가 색깔로 표현된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제2 영상파일이 상기 계측센서의 계측범위와 대응되어 상기 위험도가 색깔로 표현되도록 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임의의 사용자는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대한 위험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과 타 모듈을 중계하는 중계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모듈(160)은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서 수집된 상기 계측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분산저장모듈(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중계모듈(160)은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서 수집된 상기 계측데이터를 취합하기 위한 중계모듈용 표준 통신 회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중계모듈용 표준 통신 회로부는 시리얼 통신(RS232 & RS485/422) 및 이너넷 통신과 같은 표준규격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중계모듈(160)은 타 모듈 및 각종 계측센서와의 연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중계모듈용 표준 통신 회로부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계모듈(160)은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과 연계되어 사용자가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의 제어 및 고장유무 판단이 가능하도록 중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측센서의 장애 발생 즉시 상기 중계모듈(160)에 의해 실시간으로 장애 신호가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내부 시스템으로 전달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산출되어 고장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계측된 데이터를 통해 고장유무를 즉시 판단할 수 있는 지능형CCTV, 영상수집모듈(120), 진동센서 및 진동정보 수집모듈(170)과 달리 고장유무를 즉시 판단할 수 없는 계측센서 및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에 대해서, 상기 중계모듈(160)을 이용하게 되면 고장유무를 즉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진동센서는 측정된 값만을 가지고 상기 내부 시스템에서 고장 판단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광역적으로 이벤트가 발생되는 진동의 특성상 복수개의 진동센서가 동시에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고, 동일한 이벤트에 의해 측정된 값은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유사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진동센서 중에서 오차범위 밖의 측정값을 출력한 진동센서는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계측센서는 측정된 값만을 가지고 상기 내부 시스템에서 고장 판단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동일한 종류의 관측인자를 측정하는 계측센서들끼리도 서로 다른 값이 측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두 개의 계측센서가 지면의 온도를 측정한다고 할 경우, 하나의 계측센서는 25도를 측정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계측센서는 16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측 센서는 진동센서, 지능형 CCTV 및 경보 기기와 다르게, 내부 시스템이 측정되는 값 만으로 고장 판단을 할 수 없으며, 현장에 배치된 중계모듈(160)에 의해 실시간적으로 고장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또해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의 제어 및 고장유무 판단이 가능한 상기 중계모듈(160)과 같은 별도의 모듈이 필요하다.
또한, 계측 센서는 센서의 종류 및/또는 관측 인자들의 차이에 따라, 계측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신호와 방법들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계측 센서들이 직접적으로 중계모듈(160)에 연결된다면, 중계모듈이 다종의 계측 센서들의 고장 판단을 하는 과정에서 시스템 과부화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계측 센서의 종류별로 각각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관리되고, 고장판단을 진행할 수 있는 계측정보 수집모듈(110)이 필요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측센서는 변위, 경사, 간극수압, 체적함수비, 하중, 지하수위, 강우 및 온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관측인자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모듈(160)은 상기 계측센서의 고장데이터 및 계측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어 상기 분산저장모듈(130)에 고장데이터를 필터링한 계측데이터만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장유무 판단은 상기 분석모듈(140)에 의해 주기적인 신호를 상기 중계모듈(160)에 보내고, 상기 중계모듈(160)의 응답 유무에 따라 상기 중계모듈(160)의 고장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계모듈(160)로부터 응답 신호가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분석모듈(140)로 전달되지 않으면 고장으로 판단하여 상기 분석모듈(140)은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산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고장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모듈(160)의 통신에 적합한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SNMP를 기반으로 계측센서 및 각종 기기의 고장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중계모듈(160)은 SNMP Agen를 구비하고, 상기 분석모듈(140)은 SNMP Manager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모듈(160)은 스위칭허브를 통해 타 모듈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스위칭허브는 근거리통신망 구축시 단말기의 집선 장치로 이용하는 스위칭 기능을 가진 통신장비로 통신 효율을 향상시킨 허브이다. 대역폭이 커서 여러개의 포트입력을 동시에 받을 수 있으며 수신 단말기의 주소 번지를 파악하여 특정 포트로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허브는 VPN방화벽, 게이트웨이 등 ISP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진동센서의 진동데이터를 수집하는 진동정보 수집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데이터는 상기 진동정보 수집모듈(170)에 의해 상기 분산저장모듈(130)에 전송되어 분산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진동센서는 진동변위센서, 진동속도센서 및/또는 진동가속도센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진동센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진동센서는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정보 수집모듈(170)은 미리 정해진 조건에 기초하여 1차적으로 진동 발생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복수개의 진동센서로부터 수집된 진동데이터 중에서 소정 값 이상인 진동데이터가 소정 개수 이상인 조건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진동정보 수집모듈(170)은 노이즈 진동에 의한 오데이터를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진동정보 수집모듈(170)은 PoE(Power over Ethernet)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센서의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정보 수집모듈(170)은 스위칭허브를 통해 분산저장모듈(1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스위칭허브는 근거리통신망 구축시 단말기의 집선 장치로 이용하는 스위칭 기능을 가진 통신장비로 통신 효율을 향상시킨 허브이다. 대역폭이 커서 여러개의 포트입력을 동시에 받을 수 있으며 수신 단말기의 주소 번지를 파악하여 특정 포트로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허브는 VPN방화벽, 게이트웨이 등 ISP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이벤트 처리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된 경보기기 및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과 연동되는 임의의 기기의 경보를 제어하는 경보제어모듈(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서 이벤트 발생 시 제1 발생시간 내에 상기 계측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의 제2 발생시간 내에 상기 계측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위험도가 산출되며,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의 제3 발생시간 내에 상기 경보제어모듈에 의해 경보가 발령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발생시간은 1초, 상기 제2 발생시간은 2초, 상기 제3 발생시간은 3초일 수 있다.
일례로, 현장에 설치된 경보기기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경보기기는 PoE(Power over Ethernet)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기기는 스위칭허브를 통해 경보제어모듈(18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과 연동되는 임의의 기기는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하는 행정안전부 및 송출 권한을 부여 받은 지자체의 기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경보제어모듈(180)은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를 상기 분석모듈(140)에 의해 산출된 상기 위험도의 단계에 따라 다른 경보음 및 안내멘트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제어모듈(180)은 행정안전부의 긴급재난문자 전송기기에 경보를 전송하여 상기 전송기기에 의해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서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사람의 스마트폰에 문자메시지가 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이벤트 처리 프로세스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인터페이스모듈(150)에 의해 산출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인터페이스모듈(150)은 이벤트 영상 및 상기 매핑영상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동시에 병렬적으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영상은 이벤트 추적 및 이벤트 구간 확대가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산출된 영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벤트 영상 및 상기 매핑영상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은 상기 이벤트 영상이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매핑영상이 상기 이벤트 영상과 인접하여 상기 이벤트 영상의 오른쪽에 배치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바라봤을 때 상기 이벤트 영상의 오른쪽에 배치된 상기 매핑영상을 먼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전반적인 위험도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이벤트 영상 및 상기 매핑영상의 배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은 이벤트 발생 날짜, 계측센서별 계측데이터 및 알람 발생 유무가 포함된 정보인 이벤트 현황 목록이 상기 매핑영상 아래에 배치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은 계절별 실시간 파형 그래프 이미지가 상기 이벤트 현황 목록 왼쪽에 배치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은 급경사지 현장의 움직임을 시간에 대한 함수로 표현된 호도그램 이미지가 상기 계절별 실시간 파형 그래프 이미지 왼쪽에 배치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은 급경사지 현장의 기본정보 이미지가 상기 이벤트 현황 목록 오른쪽에 배치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50)에 의해 이미지 산출되는 각종 정보 및 각종 정보의 배치되는 위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은,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계측센서의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지능형 CCTV를 통해 촬영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계측데이터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분산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분석된 데이터 및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매핑된 영상인 매핑영상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계측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진동센서의 진동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이벤트 처리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된 경보기기 및 임의의 단말기에 경보가 발령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도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따라 1단계(관심), 2단계(주의), 3단계(경계) 및 4단계(심각)의 범주 중에서 하나로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핑영상은 상기 위험도의 단계마다 색깔이 다르게 산출되고, 인접한 단계끼리는 연속적인 색깔로 산출된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입혀진 영상일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0 : 계측정보 수집모듈 120 : 영상저장모듈
130 : 분산저장모듈 140 : 분석모듈
150 : 인터페이스모듈 160 : 중계모듈
170 : 진동정보 수집모듈 180 : 경보제어모듈

Claims (12)

  1.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계측센서의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계측정보 수집모듈;
    지능형 CCTV를 통해 촬영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모듈;
    상기 계측데이터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분산저장모듈;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에서 수집된 상기 계측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분산저장모듈에 전달하는 중계모듈;
    상기 분산저장모듈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 및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매핑된 영상인 매핑영상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산출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 상기 영상저장모듈 및 상기 중계모듈은,
    외부 시스템에 해당되고,
    상기 분산저장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은,
    내부 시스템에 해당되며,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은,
    계측정보 수집모듈에 계측기능과 계측종류가 동일한 계측센서가 연결되는 방법인 미리 정해진 제1 연결방법으로 계측센서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연결방법으로 계측센서가 연결되지 않았다면 소정의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중계모듈은,
    미리 정해진 제2 연결방법으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이 상기 중계모듈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연결방법으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이 연결되지 않았다면, 소정의 알림을 제공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연결방법은,
    상기 중계모듈에 연결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들 간에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에 연결된 계측센서의 계측 기능과 계측 종류 모두가 중복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방법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모듈은,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따라 상기 위험도을 1단계(관심), 2단계(주의), 3단계(경계) 및 4단계(심각)의 범주 중에서 하나로 선정되도록 산출하고,
    상기 매핑영상은,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에 의해 상기 위험도의 단계마다 색깔이 다르게 산출되고, 인접한 단계끼리는 연속적인 색깔로 산출된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입혀진 영상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은,
    상기 계측센서의 제조사, 제조년월, 기기특성, 계측기능 및 설치위치에 따른 분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분류대로 상기 계측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계측센서는,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변위, 경사, 간극수압, 체적함수비, 하중, 지하수위, 강우 및 온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계측하는,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연계되어 사용자가 상기 계측정보 수집모듈의 제어 및 고장유무 판단이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유무 판단은,
    상기 계측센서의 장애 발생 즉시 상기 중계모듈에 의해 실시간으로 장애 신호가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에 전달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산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고장유무를 판단하는 것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진동센서의 진동데이터를 수집하는 진동정보 수집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데이터는,
    상기 진동정보 수집모듈에 의해 상기 분산저장모듈에 전송되어 분산 저장되는,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이벤트 처리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된 경보기기 및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연동되는 임의의 기기의 경보를 제어하는 경보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서 이벤트 발생 시 제1 발생시간 내에 상기 계측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의 제2 발생시간 내에 상기 계측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위험도가 산출되며,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의 제3 발생시간 내에 상기 경보제어모듈에 의해 경보가 발령되는,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은,
    이벤트 영상 및 상기 매핑영상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동시에 병렬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산출하고,
    상기 이벤트 영상은,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에 의해 이벤트 추적 및 이벤트 구간 확대가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영상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은,
    상기 매핑영상이 상기 이벤트 영상과 인접하여 상기 이벤트 영상의 오른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산출하는,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1항에 따른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되는 계측센서의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지능형 CCTV를 통해 촬영된 상기 급경사지 현장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계측데이터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분산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급경사지 현장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분석된 데이터 및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매핑된 영상인 매핑영상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따라 1단계(관심), 2단계(주의), 3단계(경계) 및 4단계(심각)의 범주 중에서 하나로 선정되고,
    상기 매핑영상은,
    상기 위험도의 단계마다 색깔이 다르게 산출되고, 인접한 단계끼리는 연속적인 색깔로 산출된 상기 위험도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입혀진 영상인,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KR1020230022947A 2023-02-21 2023-02-21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KR102587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947A KR102587720B1 (ko) 2023-02-21 2023-02-21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947A KR102587720B1 (ko) 2023-02-21 2023-02-21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720B1 true KR102587720B1 (ko) 2023-10-11

Family

ID=8829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947A KR102587720B1 (ko) 2023-02-21 2023-02-21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7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707B1 (ko) * 2019-11-01 2020-07-01 주식회사 이엘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리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시스템
KR102237505B1 (ko) * 2019-12-02 2021-04-07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지오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급경사지 공간정보 처리 플랫폼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260783B1 (ko) * 2020-11-25 2021-06-07 주식회사 아이자랩 경사지 붕괴위험 예측용 계측기 및 이를 구비하는 경사지 붕괴위험 예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707B1 (ko) * 2019-11-01 2020-07-01 주식회사 이엘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리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시스템
KR102237505B1 (ko) * 2019-12-02 2021-04-07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지오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급경사지 공간정보 처리 플랫폼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260783B1 (ko) * 2020-11-25 2021-06-07 주식회사 아이자랩 경사지 붕괴위험 예측용 계측기 및 이를 구비하는 경사지 붕괴위험 예측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진덕, 장기태, "Web-EOC 기반 경사지 실시간 계측관리시스템 구축 및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 21, pp. 107-119, 2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305354U (zh) 用于监测工业环境及室内农业设施的传感器套件及系统
CN102870144B (zh) 采用网络服务器和电子邮件通知的抽吸环境传感器
CN104091413B (zh) 一种防汛雨水情自动监测方法
US20170089739A1 (en) Sensor grouping for a sensor based detection system
KR102138340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관내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운영시스템
US20150248275A1 (en) Sensor Grouping for a Sensor Based Detection System
US20150100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early status
KR102135619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산불화재 감시 및 시설물 자율 점검 시스템
US200702225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a catastrophic event and coordination of response
CN111080968B (zh) 一种独居老人意外发生联动控制预警方法及系统
JP2017506788A (ja) スマート非常出口表示
KR101386591B1 (ko)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KR101518767B1 (ko)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3514711A (zh) 一种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泥石流临灾预警系统
US201503798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nsor based messaging
CN103647938A (zh) 安防监控一体机及其远程监控系统
CN103985008A (zh) 一种城市地下管道智能监控系统
Gaitan et al. From sensing to action: Quick and reliable access to information in cities vulnerable to heavy rain
CN105617588A (zh) 一种基于云服务的物联网消防监控系统
CN108408362A (zh) 一种用于输送带的智能传输监控系统及监控方法
KR102587720B1 (ko)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CN104103152B (zh) 一种防汛雨水情自动监测方法
CN108170060A (zh) 危险源及环境监测报警系统及方法
CN109587130B (zh) 一种基于rti时空一致的集成运行支撑系统
CN105721237A (zh) 使用安全系统的装备和网络健康监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