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505B1 - 지오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급경사지 공간정보 처리 플랫폼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지오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급경사지 공간정보 처리 플랫폼 및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505B1
KR102237505B1 KR1020190157941A KR20190157941A KR102237505B1 KR 102237505 B1 KR102237505 B1 KR 102237505B1 KR 1020190157941 A KR1020190157941 A KR 1020190157941A KR 20190157941 A KR20190157941 A KR 20190157941A KR 102237505 B1 KR102237505 B1 KR 102237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p slope
data
information
steep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505B9 (ko
Inventor
양동민
Original Assignee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505B1/ko
Publication of KR10223750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50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미리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경사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지역의 지리에 관한 복수의 공공 데이터(각각은 서로 상이한 주체에 의해 미리 생성됨) 및,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급경사지와 상기 급경사지의 주변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관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공공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지역 내에서 상기 급경사지 외에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을 추가 급경사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치를 일정 좌표체계에 따라 표현하는 도형 데이터와, 상기 도형 데이터와 연계되어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급경사지 공간정보 제공시스템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기기로부터 정보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공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오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급경사지 공간정보 처리 플랫폼 및 데이터 처리 방법{Platform for processing spatial information of steep slope-land in real time based on Geo-cloud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 및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국토의 70% 이상은 산지로 구성되어 있고, 표층이 얇아서 산사태에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각종 개발 사업에 따라 절토사면, 옹벽, 축대 등과 같은 급경사면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이, 연평균 강우량(1500~1600mm)의 2/3 정도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기후 특성 때문에 사면의 붕괴가 발생하기 쉬우며, 이로 인해 매년 반복적으로 사면의 붕괴가 발생되고, 인명 및 재산 피해 역시 뒤따르고 있다.
이러한 급경사지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급경사지 현황을 정확하게 확인 및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이후에 파악된 급경사지에 관한 재해위험도 판단, 평가 및 관리 등의 후속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691790호(발명의 명칭: 급경사지 붕괴위험도 판단시스템)에서는 붕괴위험 기준선을 설정하고 실시간으로 수집된 강우자료를 이와 대비하여 붕괴위험 정도를 정량적인 값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여, 전국적으로 분포된 수많은 급경사지의 붕괴위험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고, 이와 같이 급경사지의 붕괴위험도를 사전에 정확하게 판단하고 안정성을 평가하는 발명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급경사지 현황은 조사자가 실제 현장을 방문함으로써 확인 및 파악되고, 조사자는 급경사지에 대해 측정, 조사 및 평가한 후 일제조사서 양식에 따라 그 내용을 기입한다.
그런데 급경사지 현황 조사는 대규모 인력, 시간, 비용 등이 필요하여 빈번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급경사지에 대한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급경사지 현황 자체를 업데이트하는 작업부터 수행하기보다는 기존에 확보된 급경사지 현황자료를 근거로 하여 그에 대한 재해위험도 판단 등의 후속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급경사지의 지리/지형적 요소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조사시점 당시 급경사지가 정확하게 조사되었다 하더라도 현 시점에는 급경사지 현황 자료의 정확도가 떨어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조사되어야 하는 급경사지가 초기부터 누락될 수 있고, 측정장비의 오작동 문제, 조사자의 실수, 일제조사서 상의 정보 기재 오류, 수기 자료에 대한 데이터 자료로의 가공 과정 문제 등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전체 프로세스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급경사지 현황 자료에 대한 보완 내지 보강 작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모니터링 지역에 관하여 수집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통합 및 가공하여 정확도 높은 정보 제공을 위한 급경사지에 관한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대대적인 급경사지 현황 조사 없이도 미리 확인된 급경사지 외에 다른 급경사지에 대한 관리 및 위험도 판단을 수행하고, 다수의 주체와 그 수행결과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현재 상태가 재해 상황인지 여부에 따라 급경사지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대상을 다르게 처리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미리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경사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지역의 지리에 관한 복수의 공공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급경사지와 상기 급경사지의 주변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관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공공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지역 내에서 상기 급경사지 외에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을 추가 급경사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치를 일정 좌표체계에 따라 표현하는 도형 데이터와, 상기 도형 데이터와 연계되어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급경사지 공간정보 제공시스템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기기로부터 정보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공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공 데이터는 각각 서로 상이한 주체에 의해 미리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기기로 상기 위험도의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공공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특성별 수치 값과 미리 설정된 특성별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제 1 위험도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비정상 이벤트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제 2 위험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는 상기 정보기기의 화면을 통해, 상기 제 1, 제 2 위험도의 분석 결과에 의해 구성되는 사분면 상에서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기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급경사지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기관의 정보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상태가 미리 설정된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식별된 정보기기 이외의 정보기기로 상기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현재 상태가 상기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식별된 정보기기로만 상기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기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급경사지 전문가가 사용하는 것으로 등록된 정보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정보기기로 상기 급경사지의 유형별로 구분된 평가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정보기기로부터 상기 평가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공공 데이터, 모니터링 데이터 및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며, 상기 답변 데이터는 상기 급경사지 전문가의 현장 조사결과가 반영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은, 미리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경사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지역의 지리에 관한 복수의 공공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부;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급경사지와 상기 급경사지의 주변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관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처리부; 상기 수신된 공공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지역 내에서 상기 급경사지 외에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을 추가 급경사지로 결정하는 급경사지 결정부;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치를 일정 좌표체계에 따라 표현하는 도형 데이터와, 상기 도형 데이터와 연계되어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기기의 정보제공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공 데이터는 각각 서로 상이한 주체에 의해 미리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위험도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정보기기로 상기 위험도의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기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정보기기를 식별하는 정보기기 식별부; 및 상기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기기 식별부는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급경사지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기관의 정보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현재 상태가 미리 설정된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식별된 관리기관의 정보기기 이외의 정보기기로 상기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기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정보기기를 식별하는 정보기기 식별부; 및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식별된 급경사지 전문가의 정보기기로 상기 급경사지의 유형별로 구분된 평가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표를 전송하고, 상기 급경사지 전문가의 정보기기로부터 상기 평가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전문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경사지 결정부는 상기 수신된 공공 데이터, 모니터링 데이터 및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며, 상기 답변 데이터는 상기 급경사지 전문가의 현장 조사결과가 반영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이 전술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주체에 의해 미리 생성되어 있는 복수의 공공 데이터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데이터, 전문가 데이터까지 선택적으로 통합하여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을 하기 때문에,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 사용자 업무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를 때 미리 확인된 급경사지 외에 추가 급경사지를 결정하여 각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를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통합 관리함으로써, 현실적인 이유로 인해 빈번하게 업데이트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류를 내포할 수도 있는 급경사지 현황 자료를 보완할 수 있고, 급경사지 현황 조사 당시로부터 현 시점까지의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를 때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제공되는 정보의 실시간 측면을 강화할 수 있고, 시스템이 지오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시스템에 쉽게 접근하여 다양한 급경사지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를 때 미리 확인된 급경사지뿐만 아니라 추가 급경사지에 대한 위험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재해 대응 전략 수립 시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를 때 평상 시와 재해 시를 구분하여 급경사지 관련 정보 및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대상을 다르게 선정함으로써, 비용을 절약하고 정보 제공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에서 활용되는 모니터링 지역의 다양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 의 세부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받은 정보기기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및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내용의 기재 중 일부 개념은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급경사지"란 택지, 도로, 철도 및 공원시설 등에 부속된 자연 비탈면, 옹벽 및 축대 등을 포함하는 인공 비탈면, 또는 이에 접한 산지 등을 일컫는다.
"자연 비탈면"은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50미터 이상이고 경사도가 34도 이상인 장소를 의미하고, "인공 비탈면"은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5미터 이상이고 경사도가 34도 이상이며, 길이가 20미터 이상인 장소를 의미한다.
"공간정보"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에서의 지리정보와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지리정보는 공간 상에 있는 객체나 현상의 공간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도형 데이터(graphic data)와, 도형 데이터에 연계된 속성 데이터(attribute data)로 구분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에서 활용되는 모니터링 지역의 다양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은 통신방식이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특별한 제약 없이 유무선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1)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외부 컴퓨팅 장치와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는 서버 및 단말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데이터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기술발전에 따라 추가되는 네트워크도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특수 서버 컴퓨터(예를 들어, PC 서버, 유닉스 서버, 미드 레인지(mid-range) 서버, 메인 프레임 컴퓨터, 랙 장착형(rack-mounted) 서버 등), 서버 팜, 서버 클러스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배열 및/또는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은 ESRI사의 ArcGIS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이한 운영 체제를 포함할 수 있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은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표준화된 프로토콜, 아키텍처 스타일, 및/또는 포맷(예컨대, REST 프로토콜)에 따라 요청(그의 파라미터를 포함함)이 소정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공통 또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품질검사 시스템(100)의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거나 각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변환 또는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REST 프로토콜에 따른 요청을 지원하는 REST API일 수 있고, REST 프로토콜은 URI 또는 URL을 포함하는 포맷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은 지오 클라우드(Geo-cloud) 기반의 실시간 급경사지 공간정보 처리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1) 통신을 지원하는 정보기기(50)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 전용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에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급경사지 관련 콘텐츠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모니터링 지역(10)은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으로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고, 요청되는 주소, 행정 구획, 임의의 사용자 설정 영역 등에 의하여 그 경계선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정보기기로 모니터링 지역(10)의 선택 내지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를 때, 모니터링 지역(10)은 미리 확인되거나 식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경사지(A, B, C)를 포함할 수 있다.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은 모니터링 지역(10)에 관한 복수의 공공 데이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가 데이터를 각각 수집하여 통합 과정을 거쳐 활용할 수 있다.
공공 데이터는 공공기관이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로서, 공공 데이터 포털(www.data.go.kr), 각각의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홈페이지 등과 같은 다양한 공개된 루트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공공 데이터는 파일데이터, 오픈 API, 데이터 시각화 자료, 공간정보, 관련 메타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를 때 복수의 공공 데이터는 모니터링 지역(10)의 지리(지형, 기상을 포함하는 개념)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서로 상이한 주체(21, 22, 23)에 의해 미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국토지리정보원 등이 생성 및 배포하는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 데이터, 항공사진 데이터, 수치지형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이 생성 및 배포하는 지질도, 국립환경과학원 등이 생성 및 배포하는 수계도, 농촌진흥청 등이 생성 및 배포하는 토양도, 토양경사도, 기상청 등이 생성 및 배포하는 각종 기상 관측 데이터(통계 데이터 포함) 등이 공공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는 센서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센싱 또는 측정되어 수치화된 데이터, 촬영장비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촬영장비는 급경사지 또는 급경사지의 주변 지역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를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데이터는 모니터링 지역(10)에 설치된 센서, 촬영장비 등의 모니터링 장치(30) 혹은 각 모니터링 장치(30)와 연결된 중계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되고, 모니터링 지역(10) 내 급경사지(A, B, C)와 급경사지의 주변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관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사면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사면 또는 낙석방책에 작용하는 힘에 의한 가속도(충격량)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사면의 변위 감지 센서, 설치된 센서 간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강수량 측정 센서, 지진 감지 센서, 온습도 센서일 수 있고, 촬영장비는 예를 들어 카메라, 캠코더, CCTV일 수 있다.
전문가 데이터는 급경사지 전문가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로서, 급경사지 전문가의 정보기기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를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가 데이터는 급경사지 전문가(41)가 사용하는 것으로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 상에 등록된 정보기기(40)를 통하여 수집될 수 있다.
또한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와 위 정보기기(40) 사이에서 급경사지의 유형별로 구분된 평가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표가 전송되고, 그 평가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는데, 전문가 데이터는 급경사지 전문가(41)의 현장 조사결과가 반영되어 있는 답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 의 세부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의 세부 구성은 서로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지만, 일부 실시 예에서는 일부 혹은 모든 구성이 임베디드 형태로 내장되어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은 설계 또는 용도에 따라 변경, 대체 혹은 모듈화될 수 있으며, 일 구성의 특정 기능이 타 구성에 의해 동작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 내 하드웨어 구성요소는 버스를 통해 전기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은 앞서 설명한 공공 데이터, 모니터링 데이터, 전문가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여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를 이용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은 공공 데이터 처리부(110), 모니터링 데이터 처리부(120), 전문가 데이터 처리부(130), 급경사지 결정부(140),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 정보기기 식별부(160), 상태 판단부(170), 위험도 평가부(180), 정보 제공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공 데이터 처리부(110)는 모니터링 지역의 지리에 관한 복수의 공공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지역은 미리 확인되거나 식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경사지를 포함하고, 공공 데이터는 각각 서로 상이한 주체에 의해 미리 생성되는 것이다.
각각의 공공 데이터는 데이터 포맷, 양식, 속성 정보 등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공공 데이터 처리부(110)는 공공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각 정보를 분류 및 정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공공 데이터가 바이너리(binary) 데이터인 경우 문자 파싱(parsing)을 통한 분류 및 정리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고,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 구축을 위해 공공 데이터 처리부(110)는 공공 데이터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하고,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데이터는 급경사지와 급경사지의 주변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관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센싱, 계측 포함)을 통해 획득되는 것이다.
각각의 모니터링 데이터는 데이터 포맷, 양식, 속성 정보 등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각 정보를 분류 및 정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 구축을 위해 모니터링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니터링 데이터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가 바이너리(binary) 데이터인 경우 문자 파싱(parsing)을 통한 분류 및 정리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전문가 데이터 처리부(130)는 급경사지 전문가의 정보기기로 급경사지의 유형별로 구분된 평가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표를 전송하고, 급경사지 전문가의 정보기기로부터 위 평가항목에 대응하는 전문가 데이터(답변 데이터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답변 데이터에는 급경사지 전문가의 현장 조사결과가 반영되어 있다.
또한 전문가 데이터 처리부(130)는 수신된 전문가 데이터를 전문가 평가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고, 다수의 정보기기 중에서 급경사지 전문가의 정보기기는 후술할 정보기기 식별부(160)에 의해 식별될 수 있으며,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 구축을 위해 전문가 데이터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급경사지 결정부(140)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취합 및 이용하여 미리 확인된 급경사지 외에 추가적으로 추가 급경사지를 결정하고, 미리 확인된 급경사지와 추가 급경사지를 별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급경사지 결정부(140)는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공공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지역 내에서 급경사지 외에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급경사지 결정부(140)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때 공공 데이터, 모니터링 데이터 및 전문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지역 내에서 급경사지 외에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공공 데이터, 모니터링 데이터 및 전문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각 정보는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에서 요구되는 항목에 따라 분류 및 정리될 수 있다. 급경사지 결정부(140)는 이와 같이 분류 및 정리된 각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을 대비하고,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급경사지 조건은 공공 데이터에 관한 조건, 모니터링 데이터에 관한 조건, 전문가 데이터에 관한 조건으로 각각 구분되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급경사지 결정부(140)는 각 데이터에 관한 조건을 동시에 모두 충족하거나, 우선적으로 모니터링 데이터나 전문가 데이터에 관한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복수의 공공 데이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공공 데이터에 관한 조건은 지면으로부터 높이 기준, 경사도 기준, 길이 기준 외에도 지질 기준, 수계 기준, 토양 기준, 기상 관측 기준 등과 같은 세부 조건을 포함할 수 있고, 급경사지 결정부(140)는 복수의 공공 데이터에 관하여 각 세부 기준을 동시에 모두 충족하거나 일정 개수 이상의 세부 기준을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에 관한 조건은 센서, 촬영장비 등의 종류에 부합하는 세부 조건을 포함할 수 있고, 급경사지 결정부(140)는 각 세부 기준을 동시에 모두 충족하거나 일정 개수 이상의 세부 기준을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전문가 데이터에 관한 조건은 평가표 내 각 평가항목에 부합하는 세부 조건을 포함할 수 있고, 위 세부 조건은 급경사지의 유형별로 구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급경사지 결정부(140)는 위 분석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을 추가 급경사지로 결정할 수 있다.
급경사지 결정부(140)는 미리 확인된 급경사지와 새롭게 결정된 추가 급경사지를 구분하여 각각 관리하거나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에 관한 데이터는 저장될 수 있다.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치를 일정 좌표체계에 따라 표현하는 도형 데이터와, 도형 데이터와 연계되어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이때 위치 값은 GPS 장치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종합적인 관리를 위하여 도형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를 가지는 다수의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도형 데이터는 불연속적인 데이터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지형지물(feature)에 연관된 벡터 데이터(혹은 경계 데이터)와, 일정 지역에 걸쳐 연속적인 데이터의 형태를 가지며 공간적인 위치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값을 의미하는 래스터 데이터(혹은 그리드 데이터, 커버리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벡터 데이터는 방향을 지닌 선의 부분들로 이루어진 집합이자 지형지물의 공간적인 구성을 표현하는 데이터로서, 불연속적인 현상 각각을 하나의 지형지물로 인식한다. 불연속적인 현실세계 현상의 공간적인 특성들은 점(point), 선(line), 면(polygon), 입체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하원형(geometry primitives)의 집합으로 표현되며, 이들을 지형지물 속성으로 기록하게 된다.
래스터 데이터는 공간을 그리드 셀로 분할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커브(curve)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망으로서, 각각의 집합은 서로 알고리즘적으로 다른 집합들의 구성원들과 교차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의 래스터 이미지, 임상도나 토지피복분류도 등의 폴리곤 레이어, 픽셀마다 각각의 고도 값을 가지고 있는 DEM 데이터, 불규칙한 삼각형 형태로 지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TIN(Triangular Irregular network) 데이터 등이 래스터 데이터에 포함된다. 선에 의해 분할된 단위공간은 셀 또는 픽셀로 정의되고, 이들과 연관된 값들은 셀 값 또는 픽셀 값으로 지칭된다. 즉 래스터 데이터는 셀과 셀 값이라는 공간적인 특성(spatial property)과 속성(attribute)의 두 가지 기본 성질을 가진다.
또한 속성 데이터는 위치 정보와 연계되어 대상물에 대한 설명, 또는 대상물의 특성에 대한 설명에 관한 데이터를 일컫는다. 속성 데이터는 통상 문자 또는 숫자의 형태로 저장되며, 영상, 소리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속성 데이터는 자료의 효율적 관리, 검색 및 질의 수행을 위해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 구축 시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게 된다.
도형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는 상호 연계되어 구축되어 있어서,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위치 정보에 의해 속성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즉 도형 데이터의 선택을 통해 그와 관련된 속성 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고, 그와 반대로 속성 데이터에 대한 조건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부합하는 위치 정보의 검색도 가능하다. 또한 도형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 모두에 대해 상호 동시 검색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다양한 위치에 상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 상에 상주할 수 있고,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또한,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SQL 또는 NoSQL로 구성된 명령어, 질의어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저장, 업데이트 및 검색할 수 있도록 구축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의하여 다양한 공공 데이터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데이터, 전문가 데이터 역시 통합하여 관리가 가능하므로, 정확성, 편의성 및 효율성이 증대된다.
예컨대 모니터링 지역 내 모니터링 장치의 설치 위치나 전문가의 답변 내용이 모니터링 지역에 해당하는 지도와 매핑되어 모니터링 지역 관련 데이터를 함께 검색 및 조회할 수 있게 된다.
정보기기 식별부(160)는 정보기기에 대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여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으로부터 접속허가를 부여받은 정보기기의 식별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정보기기 식별부(160)는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162)에 정보기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위 식별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정보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이렇게 정보기기를 식별한 결과는 전문가 데이터 처리부(130) 및 정보 제공부(19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태 판단부(170)는 모니터링 데이터 처리부(120)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정보기기 식별부(160)는 식별정보를 기초로 급경사지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기관의 정보기기를 식별할 수 있고, 상태 판단부(170)는 현재 상태가 미리 설정된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식별된 관리기관의 정보기기 이외의 정보기기로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에 관한 위험도의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상태가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태 판단부(170)는 급경사지 담당 관리기관의 정보기기로만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현재 상태가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위 관리기관의 정보기기뿐만 아니라 그 밖의 정보기기로도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재해 이벤트 조건은 재해 이벤트의 종류(예를 들어 폭우, 지진, 태풍 등)에 따라 다르게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수량 측정 센서에 의해 계측된 수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면서 촬영장비에서 획득된 영상에 대한 영상처리 결과 현재 수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수위를 넘으면, 상태 판단부(170)는 폭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170)는 평상 시와 재해 시를 구분하여 급경사지 관련 정보 및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대상을 다르게 선정함으로써, 정보 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험도 평가부(180)는 이미 공개되어 있는 다양한 방식의 평가방식에 따라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
위험도의 평가결과는 산출된 평가점수에 따라 A부터 E 등급까지로 나타날 수 있고, D, E 등급에 해당하는 급경사지 또는 추가 급경사지는 추후 붕괴위험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이때 A 등급은 재해위험성이 없으나 예상치 못한 붕괴가 발생하더라도 피해가 미비한 경우를 의미하고, B 등급은 재해위험성이 없으나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경우를 의미하며, C 등급은 재해위험성이 있어 지속적인 점검과 필요 시 정비계획 수립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하고, D 등급은 재해위험성이 높아 정비계획 수립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하며, E 등급은 재해위험성이 매우 높아 정비계획 수립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한다.
정보 제공부(190)는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를 이용하여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기기(50)의 정보제공 요청에 대하여 응답할 수 있다.
정보기기(50)의 정보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정보 제공부(190)는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대하여 그 정보제공 요청에 대한 질의를 하고, 그에 부합하는 도형 데이터, 및 그 도형 데이터와 상호 연계된 속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정보제공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정보기기(50)로 전달된 데이터에 포함된 도형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는 모니터링 지역에 해당하는 지도와, 그 지도 상에 매핑된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치를 함께 표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모니터링 지역 역시 정보기기(50)의 사용자가 지정하여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100)으로 요청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90)는 정보기기(50)로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에 관한 위험도의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도의 평가결과는 해당 급경사지 또는 추가 급경사지가 붕괴위험지역으로 지정되는 데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90)는 상태 판단부(17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다른 정보기기로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정보 제공부(190)는 현재 상태가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급경사지 담당 관리기관의 것으로 식별된 제1 그룹의 정보기기(51)로만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하고, 현재 상태가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정보기기(51, 52)로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정보기기(50, 51, 52)는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적어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에서는 다양한 공공 데이터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데이터, 전문가 데이터를 통합하여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확도 높은 급경사지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리 확인된 급경사지 외에 추가 급경사지를 결정하여 이들을 함께 통합 관리함으로써, 빈번하게 업데이트 하기 어려운 급경사지 현황 자료를 보완할 수 있고, 급경사지 현황 조사 당시로부터 현 시점까지의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다.
해결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도 및 실시간 측면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해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S310 단계에서는 모니터링 지역의 지리에 관한 복수의 공공 데이터를 수신하고,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모니터링 지역은 미리 확인되거나 식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경사지를 포함하고, 공공 데이터는 각각 서로 상이한 주체에 의해 미리 생성되는 것이며, 모니터링 데이터는 급경사지와 급경사지의 주변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관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것이다.
S320 단계에서는 앞서 수신된 공공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지역 내에서 미리 확인된 급경사지 외에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S330 단계에서는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을 모니터링 지역의 추가 급경사지로 결정한다.
S340 단계에서는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치를 일정 좌표체계에 따라 표현하는 도형 데이터와, 그 도형 데이터와 연계되어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S350 단계에서는 급경사지 공간정보 제공시스템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기기로부터 정보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위 정보제공 요청에 대하여 응답한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은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험도를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은 S310 단계에서 수신된 공공 데이터를 기초로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제 1 위험도를 분석하고, S310 단계에서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제 2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다.
즉 공공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급경사지의 특성별 수치 값과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의 특성별 기준 값을 비교하여 제 1 위험도가 분석될 수 있고, 모니터링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비정상 이벤트 조건을 비교하여 제 2 위험도가 분석될 수 있다.
이때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는 정보기기의 화면을 통해, 제 1, 제 2 위험도의 분석 결과에 의해 구성되는 사분면 상에서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받은 정보기기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분면의 X축은 제 1 위험도 분석결과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내고, Y축은 제 2 위험도 분석결과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낸다. 제 1 위험도 분석결과는 공공 데이터에 의한 것이어서 각 급경사지(A, B, C) 및 추가 급경사지(D, E)의 기본적인 정보가 상대적으로 많이 반영되어 있는 결과이고, 제 2 위험도 분석결과는 모니터링 데이터에 의한 것이어서 각 급경사지(A, B, C) 및 추가 급경사지(D, E)의 실시간 정보가 상대적으로 많이 반영되어 있는 결과이다.
각 급경사지(A, B, C) 및 추가 급경사지(D, E)의 위험도는 제 1, 제 2 위험도 분석결과 각각에 해당하는 값을 종합하여 산출될 수 있고, A부터 E 등급 중에서 그 산출 값에 해당하는 특정 등급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서 제 1 위험도 분석결과로만 판단했을 때 C 급경사지의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지만, 제1, 제2 위험도 분석결과를 종합한 결과로 판단했을 때 D 급경사지의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정보기기의 화면 상에서 어떤 것이 급경사지(A, B, C)이고 어떤 것이 추가 급경사지(D, E)인지 서로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미 공개된 위험도 평가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은 정보기기로 위험도의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은 정보기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급경사지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기관의 정보기기를 식별하고,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급경사지 및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은 현재 상태가 미리 설정된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식별된 정보기기 이외의 정보기기로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하고, 현재 상태가 상기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식별된 정보기기로만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S410 단계에서는 급경사지 공간정보 제공시스템과 통신하는 정보기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급경사지 전문가가 사용하는 것으로 등록된 정보기기를 식별한다.
S420 단계에서는 위 식별된 정보기기로 급경사지의 유형별로 구분된 평가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표를 전송한다.
S430 단계에서는 위 식별된 정보기기로부터 평가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답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답변 데이터는 급경사지 전문가의 현장 조사결과가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S430 단계에서는 답변 데이터 외에 도 3을 참고하여 설명된 S320 단계에서와 같은 복수의 공공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한다.
S440 단계에서는 앞서 수신된 공공 데이터, 모니터링 데이터 및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지역 내에서 미리 확인된 급경사지 외에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된 S330 단계 내지 S350 단계가 도 4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또는 상술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가독형 기록매체(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가독형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가독형 기록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미리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경사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지역의 지리에 관한 복수의 공공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급경사지와 상기 급경사지의 주변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관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공공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지역 내에서 상기 급경사지 외에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을 추가 급경사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치를 일정 좌표체계에 따라 표현하는 도형 데이터와, 상기 도형 데이터와 연계되어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급경사지 공간정보 제공시스템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기기로부터 정보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공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공 데이터는 각각 서로 상이한 주체에 의해 미리 생성되는 것인,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기기로 상기 위험도의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공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제 1 위험도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제 2 위험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는 상기 정보기기의 화면을 통해, 상기 제 1, 제 2 위험도의 분석 결과에 의해 구성되는 사분면 상에서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인,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기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급경사지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기관의 정보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상태가 미리 설정된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식별된 정보기기 이외의 정보기기로 상기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현재 상태가 상기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식별된 정보기기로만 상기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급경사지 전문가가 사용하는 것으로 등록된 정보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정보기기로 상기 급경사지의 유형별로 구분된 평가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정보기기로부터 상기 평가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공공 데이터, 모니터링 데이터 및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며,
    상기 답변 데이터는 상기 급경사지 전문가의 현장 조사결과가 반영되어 있는 것인, 데이터 처리 방법.
  6.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경사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지역의 지리에 관한 복수의 공공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부;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급경사지와 상기 급경사지의 주변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관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처리부;
    상기 수집된 공공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지역 내에서 상기 급경사지 외에 미리 설정된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급경사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점을 추가 급경사지로 결정하는 급경사지 결정부;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치를 일정 좌표체계에 따라 표현하는 도형 데이터와, 상기 도형 데이터와 연계되어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급경사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기기의 정보제공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공 데이터는 각각 서로 상이한 주체에 의해 미리 생성되는 것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위험도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정보기기로 상기 위험도의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하는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정보기기를 식별하는 정보기기 식별부; 및
    상기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급경사지 및 상기 추가 급경사지 각각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기기 식별부는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급경사지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기관의 정보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현재 상태가 미리 설정된 재해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식별된 관리기관의 정보기기 이외의 정보기기로 상기 급경사지 평가 데이터를 제공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정보기기를 식별하는 정보기기 식별부; 및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식별된 급경사지 전문가의 정보기기로 상기 급경사지의 유형별로 구분된 평가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표를 전송하고, 상기 급경사지 전문가의 정보기기로부터 상기 평가항목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전문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경사지 결정부는 상기 수집된 공공 데이터, 모니터링 데이터 및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며,
    상기 답변 데이터는 상기 급경사지 전문가의 현장 조사결과가 반영되어 있는 것인,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
  10. 급경사지 공간정보 통합 제공시스템이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57941A 2019-12-02 2019-12-02 지오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급경사지 공간정보 처리 플랫폼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237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941A KR102237505B1 (ko) 2019-12-02 2019-12-02 지오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급경사지 공간정보 처리 플랫폼 및 데이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941A KR102237505B1 (ko) 2019-12-02 2019-12-02 지오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급경사지 공간정보 처리 플랫폼 및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505B1 true KR102237505B1 (ko) 2021-04-07
KR102237505B9 KR102237505B9 (ko) 2022-05-10

Family

ID=7546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941A KR102237505B1 (ko) 2019-12-02 2019-12-02 지오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급경사지 공간정보 처리 플랫폼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720B1 (ko) * 2023-02-21 2023-10-11 주식회사 두잇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045A (ko) * 2004-06-28 2006-01-06 코쿠사이 코교 컴퍼니, 리미티드 경사면 감시시스템
KR101000553B1 (ko) * 2010-08-13 2010-12-14 대한민국(소방방재청장) 지역적 강우특성을 고려한 실시간 강우정보 수집 및 분석을 통한 급경사지 재해예보방법
KR101551413B1 (ko) * 2014-05-13 2015-09-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기반 eoc의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KR20160053652A (ko) * 2014-11-05 2016-05-13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급경사지 현장조사 전자 야장
KR20160092562A (ko) * 2015-01-27 2016-08-05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급경사지 붕괴위험도 판단시스템
KR20170011766A (ko) * 2015-07-24 2017-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045A (ko) * 2004-06-28 2006-01-06 코쿠사이 코교 컴퍼니, 리미티드 경사면 감시시스템
KR101000553B1 (ko) * 2010-08-13 2010-12-14 대한민국(소방방재청장) 지역적 강우특성을 고려한 실시간 강우정보 수집 및 분석을 통한 급경사지 재해예보방법
KR101551413B1 (ko) * 2014-05-13 2015-09-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기반 eoc의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KR20160053652A (ko) * 2014-11-05 2016-05-13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급경사지 현장조사 전자 야장
KR20160092562A (ko) * 2015-01-27 2016-08-05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급경사지 붕괴위험도 판단시스템
KR20170011766A (ko) * 2015-07-24 2017-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720B1 (ko) * 2023-02-21 2023-10-11 주식회사 두잇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505B9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k et al. Creating 3D city models with building footprints and LIDAR point cloud classification: A machine learning approach
Wang et al. Machine learning-based regional scale intelligent modeling of building information for natural hazard risk management
Yu et al. View-based greenery: A three-dimensional assessment of city buildings’ green visibility using Floor Green View Index
Pham et al. Urban growth and change analysis using remote sensing and spatial metrics from 1975 to 2003 for Hanoi, Vietnam
KR102024695B1 (ko) 감시카메라 배치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Demetriou et al. A parcel shape index for use in land consolidation planning
Azar et al. Spatial refinement of census population distribution using remotely sensed estimates of impervious surfaces in Haiti
Kotivuori et al. Forest inventories for small areas using drone imagery without in-situ field measurements
Qiao et al. Landslide investigation with remote sensing and sensor network: From susceptibility mapping and scaled-down simulation towards in situ sensor network design
Gamba Image and data fusion in remote sensing of urban areas: status issues and research trends
Chowdhury et al. Electricity consumption patterns within cities: application of a data-driven settlement characterization method
Klouček et al. How does data accuracy influence the reliability of digital viewshed models? A case study with wind turbines
US11392897B1 (en) Intelligent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structural damage using aerial imagery
Veljanovski et al. Object-based image analysis of VHR satellite imagery for population estimation in informal settlement Kibera-Nairobi, Kenya
Sertel et al. Comparison of pixel and object-based classification for burned area mapping using SPOT-6 images
Zhao et al. Mapping 3D visibility in an urban street environment from mobile LiDAR point clouds
Barreira-González et al. Configuring the neighbourhood effect in irregular cellular automata based models
Xu et al. Extraction of urban built-up areas from nighttime light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Li et al. Mapping population density distribution at multiple scales in Zhejiang Province using Landsat Thematic Mapper and census data
Klonner et al. Updating digital elevation models via change detection and fusion of human and remote sensor data in urban environments
Sharafi et al. Integrating environmental gap analysis with spatial conservation prioritization: A case study from Victoria, Australia
Qiu et al. Disaggregating population data for assessing progress of SDGs: methods and applications
KR20180131165A (ko) 빅 데이터를 활용한 단계별 방범 cctv 위치 선정 방법
Ehrlich et al. Quantifying the building stock from optical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for assessing disaster risk
Dong et al. A framework for automated assessment of post-earthquake building damage using geospatial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