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430B1 -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430B1
KR101517430B1 KR1020140142648A KR20140142648A KR101517430B1 KR 101517430 B1 KR101517430 B1 KR 101517430B1 KR 1020140142648 A KR1020140142648 A KR 1020140142648A KR 20140142648 A KR20140142648 A KR 20140142648A KR 101517430 B1 KR101517430 B1 KR 101517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torsion spring
longitudinal direction
spring
connec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세원
구자연
이봉주
김병섭
황동언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에 따른 걸림봉의 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하여 토션 스프링을 도입한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토션 스프링을 도입한 스크린 장치는, 하수관로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받침대(10);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축(20); 일단이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20)에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봉(30); 및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축(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20)을 상기 받침대(10)에 결합시키며, 상기 복수의 걸림봉(30)과 상기 바닥면이 이루는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부(42)가 구비된 토션 스프링(40);을 포함하되, 상기 하수관로의 유수에 따라 상기 연결축(20)이 회전되고, 상기 결합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Description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SCREEN DEVICE USING TORTION SPRING}
본 발명은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수에 따른 걸림봉의 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하여 토션 스프링을 도입한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 공정은 우오수에 포함된 부유물 중 소정의 크기를 갖는 부유물(이하, 협잡물)을 제거하는 예비처리, 미세 부유물을 여과하는 1차 처리, 용해성 오염원을 여과하는 2차 처리 및 고도의 수질을 만들기 위한 3차 처리 순서로 이루어진다.
스크린 장치는 상기 예비처리에 이용되는 장치로서, 하수관로에 고정 시공되어 우오수에 포함된 나뭇잎이나 페트병 등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기능을 한다. 통상 우오수나 비점오염원이 다량 함유된 초기우수는 차집관로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는데, 상기 시설의 입구 전방에 스크린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크린 장치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걸림봉이 고정된 구성이 다수 제안되어 왔으나, 상기 기술은 우천 시 다량의 협잡물이 걸림봉에 걸려 축적되면서 우오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우오수가 범람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 스크린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3045호에서는 걸림봉이 전도될 수 있는 스크린 장치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3045호는 하수관로에 3Q 이상의 우오수가 유입되는 경우 걸림봉이 자동으로 전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걸림봉에 축적된 협잡물이 우오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3045호의 스크린 장치는 전도용토션바와 토션스프링을 이용하여 걸림봉의 전도가 조절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수에 따른 전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실제 설계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3045호의 스크린 장치는 토션바의 비틀림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경우 끊어짐이 발생될 수 있어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으며, 토션바의 노화와 약화에 의해 충분한 복원력이 발휘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기술에 의한 스크린 장치는 전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우천 시 다량의 협잡물을 걸러내게 되었고, 여전히 우오수 범람의 위험을 갖고 있었으며, 실제 활용에 제약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작은 힘으로도 쉽게 변형이 생겨 전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크린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30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03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수에 따른 걸림봉의 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하여 토션 스프링을 도입한 스크린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토션 스프링에서 발생되는 비틀림을 이용하여 걸림봉의 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변형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우오수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합부와 체결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토션 스프링을 구성함으로써 변형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린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설계가 용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제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스크린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는, 하수관로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10);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축(20); 일단이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20)에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봉(30); 및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축(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20)을 상기 받침대(10)에 결합시키며, 상기 복수의 걸림봉(30)과 상기 하수관로에 상기 받침대(10)가 설치된 면이 이루는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부(42)가 구비된 토션 스프링(40);을 포함하되, 상기 하수관로의 유수에 따라 상기 연결축(20)이 회전되고, 상기 결합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52)가 형성된 접합부(50); 및 상기 접합부(5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중공부(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62)가 형성된 체결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50)는 상기 받침대(1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60)는 상기 연결축(2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공부(52)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62)가 회전하며 비틀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42)의 일단은 상기 체결부(60)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부(42)의 타단은 상기 접합부(50)에 연결되며, 상기 비틀림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부(42)의 탄성력이 상기 체결부(60) 및 상기 접합부(50)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60)와 상기 연결축(20)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볼트(26);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볼트(26)의 일부는 상기 연결축(20)의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10)는, 상기 받침대(10)의 저면을 이루는 받침 저면(12); 및 상기 받침 저면(12)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토퍼(1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14)는 상기 연결축(2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고정볼트(26)의 일부와 걸림으로써 상기 결합각도가 일정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상기 돌출부(62)의 회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6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슬리브(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70)는, 상기 중공부(52)와 상기 돌출부(62)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내륜부(72); 및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내륜부(72)보다 큰 외경을 갖는 외륜부(74);로 구성되고, 상기 접합부(50)의 일단은 상기 단차에 접한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상기 연결축(20)과 상기 접합부(50)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20)을 밀폐하는 오링(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52)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62)의 단부는, 상기 중공부(52)의 내벽(54)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20)의 좌측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40)의 스프링부(42)는 좌턴의 회전 방향을 갖고, 상기 연결축(20)의 우측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40)의 스프링부(42)는 우턴의 회전 방향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축(20)의 전면에 배치되는 고정부(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80)는, 상기 하수관로에 고정되는 고정판(82); 및 상기 고정판(82)과 경사를 이루며 상기 고정판(82)에 결합되는 우오수유도판(8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80)에는, 상기 우오수유도판(84)의 배면에 토사의 침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된 침적 방지홀(8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걸림봉(30)은, 변형의 방지를 위하여 탄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은, 한 쌍으로 구성된 토션 스프링(40)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토션 스프링(40)을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축(20)의 양단에 설치하는 제 2 단계; 상기 토션 스프링(40)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축(20)을 받침대(10)에 결합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받침대를 하수관로에 고정 설치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축(20)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복수의 걸림봉(30)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봉(30)이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20)에 설치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40)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봉(30)과 상기 하수관로에 상기 받침대(10)가 설치된 면이 이루는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부(42)가 구비되고, 상기 하수관로의 유수에 따라 상기 연결축(20)이 회전되고, 상기 결합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접합부(50); 및 돌출부(62)가 형성된 체결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계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52)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합부(50)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부(60)의 돌출부(62)를 상기 접합부(5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중공부(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제어방법은, 하수관로의 유수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축(20)이 회전되는 단계; 및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20)에 설치된 복수의 걸림봉(30)과 상기 하수관로에 받침대(10)가 설치된 면이 이루는 결합각도가 변경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수관로에는 상기 받침대(1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20)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걸림봉(30)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며, 토션 스프링(4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축(20)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20)을 상기 받침대(10)에 결합시키며, 상기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수에 따른 걸림봉의 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하여 토션 스프링을 도입한 스크린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토션 스프링에서 발생되는 비틀림을 이용하여 걸림봉의 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변형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우오수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합부와 체결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토션 스프링을 구성함으로써 변형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린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설계가 용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제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스크린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일 실시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저면부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접합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다른 실시례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일 실시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100)는 크게 받침대(10), 연결축(20), 걸림봉(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받침대(10)는 하수관로의 천정이나 바닥, 좌우 측면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100)의 좌우에 한 쌍이 구비된다.
받침대(1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도 2를 먼저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저면부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대(10)의 저면을 이루는 받침 저면(12)에는 개구된 설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나 볼트와 같은 결합장치를 설치공에 삽입하여 받침대(10)를 하수관로의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받침 저면(12)에는 상부로 돌출된 스토퍼(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14)는 고정볼트(26)의 일부와 걸릴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연결축(20)의 회전에 따라 연결축(20)에 돌출된 고정볼트(26)의 단부가 스토퍼(14)에 걸리게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걸림봉(30)이 90˚ 역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걸림봉(30)과 하수관로의 받침대(10)가 설치된 면이 이루는 결합각도가 예각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연결축(20)은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이루며, 한 쌍의 받침대(10)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축(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에 걸림봉(3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걸림봉(30)은 연결축(20)의 삽입공에 결합되어 연결축(2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유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걸림봉(30) 사이의 간격은 걸러내고자 하는 협잡물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조목 스크린 장치의 경우 5cm, 세목 스크린 장치의 경우 3cm의 간격을 이루게 된다.
걸림봉(30)의 타단은 유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32)가 형성된다. 절곡부(32)는 걸림봉(30) 상단에 협잡물이 걸려 하수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곡부(32)의 내각은 100˚ 내지 150˚ 범위가 될 수 있다.
걸림봉(30)은 탄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스크린 장치에 이용되는 걸림봉은 주로 환봉을 이용하였으나, 이는 걸러지는 물질에 의하여 걸림봉이 휘어지거나 변형이 쉽게 일어난다는 단점이 유발시켰다. 본 발명에서는 걸림봉(30)을 탄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변형이 있어도 원상태로 쉽게 복원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걸림봉(3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연결축(20)의 양단에는 토션 스프링(40)이 설치되어 있으며, 토션 스프링(4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도 3a 및 도 3b와 도 4a 및 도 4b를 살펴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a 및 도 3b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토션 스프링(40)은 접합부(50), 체결부(60), 슬리브(70), 스프링부(42), 오링(4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상기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토션 스프링(4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접합부(50)는 일면은 받침대(10)에 고정 결합된다. 접합부(50)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중공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부(52)에는 접합부(50)의 돌출부(62)와 슬리브(70)의 내륜부(72)가 삽입될 수 있다.
접합부(50)의 외면 일부에는 스프링부(42)가 감길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오링(44)이 부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60)에는 돌출부(6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62)는 접합부(5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중공부(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공부(52)에 삽입된 돌출부(62)의 단부는 중공부(52)의 내벽(54)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는 돌출부(62)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비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체결부(6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접합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결부(60)는 돌출부(62), 중간부(64), 몸체부(66) 등으로 구성된다.
중간부(64)는 돌출부(62)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중간부(64)의 외면에는 스프링부(42)가 감길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66)는 중간부(64)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상기 몸체부(66)에는 결합홈(6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68)에 고정볼트(26)를 체결함으로써 체결부(60)를 연결축(20)에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a 및 도 3b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슬리브(70)의 내부는 돌출부(6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되어 있다. 슬리브(70)는 돌출부(6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돌출부(62)의 회전을 지원한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리브(70)의 외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를 기준으로 내륜부(72)와 외륜부(74)로 나뉠 수 있다. 내륜부(72)는 외륜부(74)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중공부(52)와 상기 돌출부(62)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된다. 외륜부(74)는 단차에 의하여 중공부(52)에 삽입되지 않으며, 접합부(50)의 일단은 상기 단차에 접하게 된다.
스프링부(42)의 일단은 체결부(60)에 연결되고, 스프링부(42)의 타단은 접합부(50)에 연결된다. 스프링부(42)는 돌출부(62)의 비틀림에 대응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탄성력은 스프링부(42)의 양단에 연결된 체결부(60)와 접합부(50)에 인가된다.
연결축(20)의 일단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40)의 스프링부(42)와 상기 연결축(20)의 타단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40)의 스프링부(42)는 서로 반대의 회전 방향을 갖도록 연결되어야 하며, 양 스프링부(42)가 같은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도록 스프링부(42)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여야 한다.
즉, 연결축(20)의 좌측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40)은 좌턴 방향을 갖는 스프링부(42)를 사용하여야 하며, 연결축(20)의 우측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40)은 우턴 방향을 갖는 스프링부(42)를 사용하여야 한다. 스프링부(42)를 이와 반대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걸림봉(30)의 전도 동작이 제대로 일어날 수 없다.
오링(44)은 연결축(20)과 접합부(50)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연결축(20)을 밀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다른 실시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100)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부(80)가 더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80)는 스크린고정판(82), 우오수유도판(8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고정판(82)은 고정부(80)의 저면을 이루며,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에는 나사나 앙카볼트와 같은 결합장치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고정부(80)가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우오수유도판(84)은 스크린고정판(82)과 경사를 이루며 스크린고정판(82)에 결합된다. 우오수유도판(84)의 상면은 우오수가 경사진 상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우오수유도판(84)에는 개구된 침적 방지홀(86)이 형성되어 있다. 침적 방지홀(86)은 우오수유도판(84)의 배면에 토사가 침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및 제어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은, 한 쌍으로 구성된 토션 스프링(40)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토션 스프링(40)을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축(20)의 양단에 설치하는 제 2 단계, 상기 토션 스프링(40)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축(20)을 받침대(10)에 결합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받침대를 하수관로에 고정 설치하는 제 4 단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계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52)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합부(50)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부(60)의 돌출부(62)를 상기 접합부(5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중공부(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제어방법은, 하수관로의 유수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축(20)이 회전되는 단계와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20)에 설치된 복수의 걸림봉(30)과 상기 하수관로에 받침대(10)가 설치된 면이 이루는 결합각도가 변경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받침대
12: 받침 저면
14: 스토퍼
20: 연결축
26: 고정볼트
30: 걸림봉
32: 절곡부
40: 토션 스프링
42: 스프링부
44: 오링
50: 접합부
52: 중공부
54: 내벽
60: 체결부
62: 돌출부
70: 슬리브
72: 내륜부
74: 외륜부
100: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Claims (17)

  1. 하수관로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10);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축(20);
    일단이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20)에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봉(30); 및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축(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20)을 상기 받침대(10)에 결합시키며, 상기 복수의 걸림봉(30)과 상기 하수관로에 상기 받침대(10)가 설치된 면이 이루는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부(42)가 구비된 토션 스프링(40);을 포함하되,
    상기 하수관로의 유수에 따라 상기 연결축(20)이 회전되고, 상기 결합각도가 변경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52)가 형성된 접합부(50); 및
    상기 접합부(5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중공부(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62)가 형성된 체결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50)는 상기 받침대(1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60)는 상기 연결축(2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공부(52)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62)가 회전하며 비틀림이 발생되고,
    상기 스프링부(42)의 일단은 상기 체결부(60)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부(42)의 타단은 상기 접합부(50)에 연결되며,
    상기 비틀림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부(42)의 탄성력이 상기 체결부(60) 및 상기 접합부(50)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고,
    상기 체결부(60)와 상기 연결축(20)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볼트(26);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볼트(26)의 일부는 상기 연결축(20)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받침대(10)는,
    상기 받침대(10)의 저면을 이루는 받침 저면(12); 및
    상기 받침 저면(12)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토퍼(1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14)는 상기 연결축(2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고정볼트(26)의 일부와 걸림으로써 상기 결합각도가 일정 범위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하수관로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10);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축(20);
    일단이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20)에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봉(30); 및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축(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20)을 상기 받침대(10)에 결합시키며, 상기 복수의 걸림봉(30)과 상기 하수관로에 상기 받침대(10)가 설치된 면이 이루는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부(42)가 구비된 토션 스프링(40);을 포함하되,
    상기 하수관로의 유수에 따라 상기 연결축(20)이 회전되고, 상기 결합각도가 변경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52)가 형성된 접합부(50);
    상기 접합부(5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중공부(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62)가 형성된 체결부(60); 및
    상기 돌출부(62)의 회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6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슬리브(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70)는,
    상기 중공부(52)와 상기 돌출부(62)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내륜부(72); 및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내륜부(72)보다 큰 외경을 갖는 외륜부(74);로 구성되고,
    상기 접합부(50)의 일단은 상기 단차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상기 연결축(20)과 상기 접합부(50)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20)을 밀폐하는 오링(4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52)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62)의 단부는,
    상기 중공부(52)의 내벽(54)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20)의 좌측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40)의 스프링부(42)는 좌턴의 회전 방향을 갖고,
    상기 연결축(20)의 우측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40)의 스프링부(42)는 우턴의 회전 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12. 하수관로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10);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축(20);
    일단이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20)에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봉(30);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축(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20)을 상기 받침대(10)에 결합시키며, 상기 복수의 걸림봉(30)과 상기 하수관로에 상기 받침대(10)가 설치된 면이 이루는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부(42)가 구비된 토션 스프링(40); 및
    상기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축(20)의 전면에 배치되는 고정부(80);를 포함하되,
    상기 하수관로의 유수에 따라 상기 연결축(20)이 회전되고, 상기 결합각도가 변경되며,
    상기 고정부(80)는,
    상기 하수관로에 고정되는 고정판(82); 및
    상기 고정판(82)과 경사를 이루며 상기 고정판(82)에 결합되는 우오수유도판(8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80)에는,
    상기 우오수유도판(84)의 배면에 토사의 침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된 침적 방지홀(8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14. 제 1항, 제 7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봉(30)은,
    변형의 방지를 위하여 탄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15. 한 쌍으로 구성된 토션 스프링(40)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토션 스프링(40)을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축(20)의 양단에 설치하는 제 2 단계;
    상기 토션 스프링(40)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축(20)을 받침대(10)에 결합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받침대를 하수관로에 고정 설치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축(20)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복수의 걸림봉(30)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봉(30)이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20)에 설치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40)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봉(30)과 상기 하수관로에 상기 받침대(10)가 설치된 면이 이루는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부(42)가 구비되고,
    상기 하수관로의 유수에 따라 상기 연결축(20)이 회전되고, 상기 결합각도가 변경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52)가 형성된 접합부(50), 상기 접합부(5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중공부(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62)가 형성된 체결부(60) 및 상기 돌출부(62)의 회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6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슬리브(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16. 삭제
  17. 하수관로의 유수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축(20)이 회전되는 단계; 및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20)에 설치된 복수의 걸림봉(30)과 상기 하수관로에 받침대(10)가 설치된 면이 이루는 결합각도가 변경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수관로에는 상기 받침대(1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20)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걸림봉(30)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며,
    토션 스프링(4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축(20)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20)을 상기 받침대(10)에 결합시키며, 상기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부(42)가 구비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52)가 형성된 접합부(50), 상기 접합부(5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중공부(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62)가 형성된 체결부(60) 및 상기 돌출부(62)의 회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6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슬리브(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142648A 2014-10-21 2014-10-21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KR101517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648A KR101517430B1 (ko) 2014-10-21 2014-10-21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648A KR101517430B1 (ko) 2014-10-21 2014-10-21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430B1 true KR101517430B1 (ko) 2015-05-06

Family

ID=5339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648A KR101517430B1 (ko) 2014-10-21 2014-10-21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0609A (zh) * 2017-10-25 2018-01-23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采矿排水管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045B1 (ko) * 2013-07-15 2013-11-26 황동언 무동력 스크린장치
KR101345769B1 (ko) * 2013-11-05 2013-12-27 황동언 저류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045B1 (ko) * 2013-07-15 2013-11-26 황동언 무동력 스크린장치
KR101345769B1 (ko) * 2013-11-05 2013-12-27 황동언 저류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0609A (zh) * 2017-10-25 2018-01-23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采矿排水管道
CN107620609B (zh) * 2017-10-25 2024-03-26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采矿排水管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9495B1 (en) Adjustable floor drain apparatus
KR101517430B1 (ko)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
CN109469789B (zh) 一种具有防堵塞性能的水利管道
KR100937925B1 (ko) 파이프 연결장치
DK2113615T3 (da) Tovejsbarriere til at forhindre rotter eller andre skadedyr i at trænge ind i et kloakrørsystem
CA2794615A1 (en) Spring assembly
DE102008052285B4 (de) Ablaufvorrichtung
KR20050032090A (ko) 환경보호를 위한 이동식 오염물질제거장치
US20060032806A1 (en) Apparatus to filter water
KR101593374B1 (ko) 하수로용 스크린 장치
KR101253061B1 (ko)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KR101419774B1 (ko)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KR102128485B1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DK2295655T3 (en) Shaft, in particular, control and purification shaft for wastewater with a flow channel and a plate for the flow channel
KR101333045B1 (ko) 무동력 스크린장치
CN210069121U (zh) 管道柔性支架及内外管道安装结构
CN101368443A (zh) 临时设置横架件的钩部
KR101612384B1 (ko)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CN208733781U (zh) 一种洪涝灾害下安全井盖组合结构
KR100751756B1 (ko) 공동주택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하수속도저감장치
KR20180103542A (ko) 배수구 장치
EP0085618B1 (fr) Support de canalisation
KR101116660B1 (ko) 배수관용 협잡물 스크린 장치
KR102341397B1 (ko) 배수트랩
KR20150012717A (ko) 하수로용 다단 스크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