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542A - 배수구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542A
KR20180103542A KR1020170030631A KR20170030631A KR20180103542A KR 20180103542 A KR20180103542 A KR 20180103542A KR 1020170030631 A KR1020170030631 A KR 1020170030631A KR 20170030631 A KR20170030631 A KR 20170030631A KR 20180103542 A KR20180103542 A KR 20180103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reign matter
water pressure
groove
matter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규
김가현
박정인
신성훈
윤희재
Original Assignee
이명규
윤희재
박정인
김가현
신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규, 윤희재, 박정인, 김가현, 신성훈 filed Critical 이명규
Priority to KR102017003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3542A/ko
Publication of KR2018010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수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배수관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이물질 거름부; 및 상기 이물질 거름부의 하단측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수압의 작용 시 개방되고 수압의 해제 시 폐쇄되는 악취방지부;를 포함하는 배수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구 장치{Device for draining water}
본 발명은 배수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악취 차단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걸러주는 배수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 주택, 아파트 등 공동주택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의 하수처리를 위해 배수관과 연결된 배수구가 마련된다. 이러한 배수구에는 이물질이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배수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함은 물론, 벌레 등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도록 배수트랩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배수트랩은 배수구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 배수트랩은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비싸고 설치가 번거로웠으며,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냄새를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구의 입구에는 망 또는 그릴 형태의 커버가 마련되어 배수구로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고 있으나, 완벽하게 걸려지지 않아 배수구가 막혀 하수가 빠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장치는 이물질에 의한 배수구 막힘을 방지함은 물론,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배수관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이물질 거름부; 및 상기 이물질 거름부의 하단측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수압의 작용 시 개방되고 수압의 해제 시 폐쇄되는 악취방지부;를 포함하는 배수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거름부는 소정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회전축을 갖는 롤브러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도록 요입된 하부 요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이물질 거름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요입홈과 대칭되는 상부 요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거름부는 상기 요입홈 사이에서 자기 부양하도록 부양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부양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양극성을 갖는 제1 자석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 요입홈과 상기 본체의 하부 요입홈 내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2 자석을 갖추어, 상기 제1 자석은 제2 자석 사이에서 인력과 척력에 의하여 자기 부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취방지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수압에 의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탄성편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편은 복수개로 이루어져 서로 이웃하는 탄성편이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취방지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장치는 롤브러쉬 형태의 이물질 걸림부가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자기 부양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하수의 유입방향에 따라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며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고정장치에 이물질이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악취방지부가 얇은 판막 구조를 가지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춤으로써 하수 처리 시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실내로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구 장치가 하나의 조립체로 마련됨으로써 기존 배수구 또는 새로운 배수구에 적용 및 설치가 용이하며 하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장치에 마련된 이물질 걸림부의 자기 부양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장치에 마련된 악취방지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수구 장치(1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형성된 본체(110)와, 본체(110) 내에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물질 거름부(130) 및 이물질 거름부(130)의 하단측에 마련되는 악취방지부(15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배수관(10)에 설치된다. 예컨대, 본체(110)는 욕실, 화장실, 싱크대, 베란다 등의 하수 또는 오수가 배수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배수구에는 배수관(10)의 직경보다 큰 사각형의 배수커버(116)가 마련되고, 이 배수커버(116)의 중앙부에 하수 또는 오수 등이 배수되는 배수구멍(117)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110)는 배수구멍(117)을 통해 삽입되어 배수관(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체(110)는 배수커버(116)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상부측은 사각형상으로 마련되고, 하부측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110)의 형상은 상부측에 후술할 이물질 걸림부(130)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며, 또한 하부측을 배수관(1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체(110)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의 상부 내측에는 후술할 이물질 걸림부(130)의 회전축(133)이 배치되도록 하측으로 요입된 하부 요입홈(113)이 마련된다. 이 하부 요입홈(113)은 복수의 이물질 걸림부(13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부 요입홈(113)은 이물질 걸림부(130)의 양측에 마련된 회전축(133)이 배치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상기 하부 요입홈(113)에 배치되는 이물질 걸림부(130)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110)의 상단에는 지지프레임(120)이 설치된다. 이 지지프레임(120)은 본체(11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지지프레임(120)의 하부에는 하부 요입홈(113)과 대칭되는 상부 요입홈(123)이 마련된다. 이에, 하부 요입홈(113)과 상부 요입홈(123) 사이에는 회전축(133)이 배치된다. 이때, 회전축(133)은 하부 요입홈(113) 및 상부 요입홈(123)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수단에 의한 것으로서, 그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이물질 걸림부(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120)을 더 마련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수커버(116)에 지지프레임(120)을 일체로 형성하여 본체(110)와 조립할 수 있다. 예컨대, 배수구멍(117)의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을 형성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체(110)가 결합된 배수커버(116)의 상단에는 배수커버(116)의 상면을 덮는 덮개(118)가 마련된다. 이 덮개(118)에는 다수의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즉, 덮개(118)를 통하여 1차적으로 비교적 큰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이물질 거름부(130)는 복수개 마련된다. 이 복수의 이물질 거름부(130)는 본체(110)의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예컨대, 이물질 거름부(130)는 소정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몸체(131)와, 몸체(131)의 양단에 형성된 회전축(133)을 갖는 롤브러쉬(130)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롤브러쉬(130)는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되는 하수의 유입에 따라 회전되며 이물질을 걸르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덮개(118)를 통한 1차적인 이물질이 걸러진 후 롤브러쉬(1130)를 통해 머리카락 등의 비교적 작은 이물질이 2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전술된 바에 따르면, 롤브러쉬(130)의 양단 회전축(133)은 본체(110)에 형성된 하부 요입홈(113)과 상부 요입홈(123)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롤브러쉬(130)는 부양수단에 의하여 상부 및 하부 요입홈(113, 123) 사이에서 자기 부양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양수단으로서, 회전축(133)에 양극성을 갖는 제1 자석(141)과, 본체(110)와 지지프레임(120) 내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자석(142)을 갖출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자석(141)은 회전축(133)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제1 자석(141)은 N극(141a)과 S극(141b)이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측에 N극(141a)이 배치되고 하측에 S극(141b)이 배치된다. 이에, 롤브러쉬(130)가 오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 시 회전축(133)이 회전하며 N극(141a) 및 S극(141b)의 위치가 전환된다.
이러한 회전축(133)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자석(142)이 배치된다. 예컨대, 하부 요입홈(113)이 형성된 부분에는 S극(142b)이 배치되고, 상부 요입홈(123)이 형성된 부분에는 N극(142a)이 배치된다. 이 제2 자석(142)은 각각 본체(110)와 지지프레임(120) 내에 수용된 상태로 마련되며, 제1 자석(141)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자석(141)과 제2 자석(142)을 마련함에 따라 롤브러쉬(130)는 자기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1 자석(141)이 제2 자석(142) 사이에서 인력과 척력에 의하여 자기 부양됨으로써 롤브러쉬(130)가 부양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자석(141)의 N극(141a)이 상측에 위치하고 S극(141b)이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 자석(142)의 S극(142b)이 하부 요입홈(113)에 배치되고 N극(142a)이 상부 요입홈(123)에 배치됨에 따라 서로 같은 극성이 마주하고 있으므로 척력에 의하여 회전축(133)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요입홈들(113, 123) 사이에서 자기 부양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오수의 흐름에 따라 롤브러쉬(130)가 회전되는 경우 제1 자석(141)의 N극(141a)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S극(142b)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자석(141)과 제2 자석(142)은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하고 있으므로 인력에 의하여 회전축(133)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자기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롤브러쉬(130)가 회전되더라도 제1 및 제2 자석(141, 142)에 의하여 롤브러쉬(130)는 자기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롤브러쉬(130)에 이물질이 걸리더라도 롤브러쉬(130)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없으므로, 이물질이 롤브러쉬(130)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롤브러쉬(130)를 교체 및 청소하여야 하는 경우 지지프레임(120)을 탈거하면 제2 자석(142)의 N극(142a)과 함께 탈거됨으로써 회전축(133)의 상부측이 노출되어 손쉽게 롤부러쉬(13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악취방지부(150)는 이물질 거름부(13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악취방지부(150)는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악취방지부(150)는 판막 구조를 갖추어 수압의 작용 시 개방되고 수압의 해제 시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악취방지부(150)는 본체(110)에 장착되는 고정편(155)과, 고정편(155)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수압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탄성편(156)을 구비한다.
고정편(155)은 링 형상의 몸체를 갖추어 본체(11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편(155)은 본체(110)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턱(115)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고정편(155)은 본체(110) 내측면 사이를 통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본체(110)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탄성편(156)은 고정편(155)과 일체로 이루어져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탄성편(156)은 고정편(155)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탄성편(156)과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편들(156) 사이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편(156)은 오수가 유입 시 오수의 하중 및 수압에 의하여 하측으로 탄성변형됨에 따라 하수 처리 과장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뛰어난 복원력에 의하여 하수 처리 후 원위치로 복귀되며 악취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탄성편(156)은 오수가 흐르는 위치에 따라 일부분만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각각의 탄성편(156)이 독립적으로 탄성변형된다.
한편, 악취방지부(150)가 링 형상의 고정편(155)에 탄성편(156)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110)에 고정되는 고정편(155)과 탄성편(156)이 서로 동일한 개수를 갖는 복수개로 나누어져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악취방지부(150)는 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오수의 유입 시 탄성편(156)이 쉽게 탄성변형되며 오수의 흐름에 영향을 끼치지 않기 위함이며, 탄성편(156)이 탄성복원시 원활히 탄성복원되며 서로 이웃하는 탄성편(156)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배수구 장치(100)를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함으로써 배수구에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이물질 걸림에 의한 배수구 막힘 및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배수구 장치 110 : 본체
113 : 하부 요입홈 116 : 배수커버
120 : 지지프레임 123 : 상부 요입홈
130 : 이물질 걸림부 133 : 회전축
141 : 제1 자석 142 : 제2 자석
150 : 악취방지부 156 : 탄성편

Claims (7)

  1.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배수관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이물질 거름부; 및
    상기 이물질 거름부의 하단측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수압의 작용 시 개방되고 수압의 해제 시 폐쇄되는 악취방지부;를 포함하는 배수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거름부는 소정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회전축을 갖는 롤브러쉬로 이루어지는 배수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도록 요입된 하부 요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이물질 거름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배수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요입홈과 대칭되는 상부 요입홈이 마련되는 배수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거름부는 상기 요입홈 사이에서 자기 부양하도록 부양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부양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양극성을 갖는 제1 자석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 요입홈과 상기 본체의 하부 요입홈 내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2 자석을 갖추어, 상기 제1 자석은 제2 자석 사이에서 인력과 척력에 의하여 자기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는 배수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방지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수압에 의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탄성편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편은 복수개로 이루어져 서로 이웃하는 탄성편이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배수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방지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구 장치.
KR1020170030631A 2017-03-10 2017-03-10 배수구 장치 KR20180103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631A KR20180103542A (ko) 2017-03-10 2017-03-10 배수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631A KR20180103542A (ko) 2017-03-10 2017-03-10 배수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542A true KR20180103542A (ko) 2018-09-19

Family

ID=6371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631A KR20180103542A (ko) 2017-03-10 2017-03-10 배수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35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3724A (zh) * 2021-03-01 2021-07-06 雷明珍 一种与减速带配套使用的自清洁下水道
KR102341397B1 (ko) * 2020-09-21 2021-12-20 성광배 배수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397B1 (ko) * 2020-09-21 2021-12-20 성광배 배수트랩
CN113073724A (zh) * 2021-03-01 2021-07-06 雷明珍 一种与减速带配套使用的自清洁下水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571B1 (ko)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KR101264017B1 (ko)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구 개폐 조절 장치
KR20180103542A (ko) 배수구 장치
KR101086813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20090013258U (ko) 배수구의 악취차단구
CN203625995U (zh) 一种磁吸式防臭阀芯
KR200493623Y1 (ko) 척력 개폐식 하수트랩
CN110158746A (zh) 一种旋转自清磁悬浮地漏
KR20100083113A (ko) 배수트랩
CN210797818U (zh) 一种建筑房屋用地漏
CN203594095U (zh) 一种洗衣机用地漏
JP2562115B2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1609201B1 (ko)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200487178Y1 (ko) 하수구 악취차단기구
KR101955227B1 (ko) 배수트랩 구조체
CN210684939U (zh) 一种旋转自清磁悬浮地漏
KR20100136280A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JPH07197504A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KR101037772B1 (ko) 하수구의 냄새역류방지장치
KR102245460B1 (ko) 유체 배출구의 트랩
CN218667807U (zh) 一种大流量排水地漏
KR20090129111A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110046976A (ko) 탄성체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배수 장치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