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571B1 -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571B1
KR101258571B1 KR1020110095029A KR20110095029A KR101258571B1 KR 101258571 B1 KR101258571 B1 KR 101258571B1 KR 1020110095029 A KR1020110095029 A KR 1020110095029A KR 20110095029 A KR20110095029 A KR 20110095029A KR 101258571 B1 KR101258571 B1 KR 10125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magnet
outlet
hydraulic pressure
back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452A (ko
Inventor
허지승
Original Assignee
허지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지승 filed Critical 허지승
Priority to KR102011009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5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16K15/03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spring-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체 형상의 본체 내부를 막아 오폐수 및 악취의 역류 및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차단판이 영구자석의 인력 및 척력, 고무바의 탄성력, 오폐수의 수압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걸림돌기가 돌설된 관체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회전축에 축설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이 하방으로 접히는 차단판과; 차단판의 상면 중간에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차단판이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복귀바와; 차단판의 하면에 서로 같은 극으로 설치되어 수압에 의해 접혀진 차단판을 척력을 통해 펼치는 펼침자석과; 차단판과 걸림돌기의 접촉면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으로 설치된 밀폐자석;으로 구성되어, 수압의 작용시 수압에 의해 차단판이 접혀 배출구가 개방되고, 수압의 해제시 탄성복귀바와 밀폐자석, 펼침자석에 의해 차단판이 수평으로 펼쳐져 배출구가 폐쇄됨을 특징으로 한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Drain trap for preventing backflow}
본 발명은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체 형상의 본체 내부를 막아 오폐수 및 악취의 역류 및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차단판이 영구자석의 인력 및 척력, 고무바의 탄성력, 오폐수의 수압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공개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20-2006-0028265, 2006년 10월 23일
[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049054호, 2011년 07월 07일
일반적으로 배수트랩은 욕실이나 화장실, 싱크대 등의 배수관에 연결되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폐수 및 오폐수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역류를 막아, 오폐수 및 악취의 역류에 의해 유발되는 위생상의 문제 및 불쾌감 문제, 그리고 해충의 침입 문제 등을 해소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배수트랩의 구조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부력에 의해 동작하는 관로차단수단을 통해 배수관을 막는 구조이다.
이는 문헌 1과 같이, 상부와 하부에 오폐수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바닥에서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되 오수의 유입시 부력에 의해 떠올라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게 되는 부구가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부구는 관로차단수단이다.
둘째, 오폐수의 유량 및 유속에 의해 관로차단수단을 작동시켜 배수관을 막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문헌 2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유입구와 배출구가 개구된 통 형상의 본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차단판; 차단판이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차단판에 설치되는 무게 추 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차단판는 관로차단수단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중 문헌 1은 본체에 내입된 부구를 통해 유입구 및 배출구가 폐쇄되어야 함에 따라 부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유입구 및 배출구가 구성됨으로써 오폐수의 투입 유량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문헌 2는 차단판이 가진 면적으로 배출구를 막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때, 차단판과 배출구가 견고히 밀착되는 것이 무게 추에 의해서만 이루어 짐으로써 차단판와 배출구 사이에 틈이 생겨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못해 해충이나 악취 등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오폐수가 흐르는 관로의 직경에 대한 축소 없이 유입되는 오폐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영구자석과 패킹을 통해 차단판이 배수트랩의 관로를 견고히 막을 수 있도록 한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걸림돌기가 돌설된 관체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회전축에 축설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이 하방으로 접히는 차단판과; 차단판의 상면 중간에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차단판이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복귀바와; 차단판의 하면에 서로 같은 극으로 설치되어 수압에 의해 접혀진 차단판을 척력을 통해 펼치는 펼침자석과; 차단판과 걸림돌기의 접촉면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으로 설치된 밀폐자석;으로 구성되어, 수압의 작용시 수압에 의해 차단판이 접혀 배출구가 개방되고, 수압의 해제시 탄성복귀바와 밀폐자석, 펼침자석에 의해 차단판이 수평으로 펼쳐져 배출구가 폐쇄됨을 특징으로 한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첫째, 배출구의 폐쇄 상태가 견고히 유지됨으로써 오폐수의 역류, 악취의 역류, 벌레의 침입 등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오폐수가 흐르는 유로의 직경이 일정함에 따라 오폐수가 안정된 상태로 흐를 수 있게 되어 오폐수의 배출이 용이하며, 설치 및 분리가 쉽고, 직선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설치면적이 작아 공간의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단순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제조 원가가 저렴하며, 제조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속하여 복수 설치하는 것으로 해머링 현상을 방지하여 소음을 용이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100)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입구(1)와 배출구(2)가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걸림돌기(3)가 돌설된 관체 형상의 본체(4)와; 본체(4)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회전축(5)에 축설되어 회전축(5)을 중심으로 양측이 하방으로 접히는 차단판(6)과; 차단판(6)의 상면 중간에 회전축(5)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차단판(6)이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복귀바(7)와; 차단판(6)의 하면에 서로 같은 극으로 설치되어 수압에 의해 접혀진 차단판(6)을 척력을 통해 펼치는 펼침자석(8)과; 차단판(6)과 걸림돌기(3)의 접촉면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으로 설치된 밀폐자석(9);으로 구성되어, 수압의 작용시 수압에 의해 차단판(6)이 접혀 배출구(2)가 개방되고, 수압의 해제시 탄성복귀바(7)와 밀폐자석(9), 펼침자석(8)에 의해 차단판(6)이 수평으로 펼쳐져 배출구(2)가 폐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4)의 배출구측 내주면에는 차단판(6)에 설치된 밀폐자석(9)을 끌어당겨 차단판(6)이 수평으로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자석(10)이 밀폐자석(9)과 다른 극으로 설치된다.
상기 차단판(6)과 걸림돌기(3)의 접촉면에는 다수의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가 형성된 한 쌍의 패킹(13)이 경사지게 접하도록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수관에 연결하여 배출되는 오폐수의 역류 및 악취의 역류,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오폐수의 수압과 자석의 인력 및 척력, 고무의 탄성을 상호 조합하여 배출구(2)를 폐쇄하는 차단판(6)을 동작시킴으로써, 관경이 급격히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차단판(6)를 통한 배출구(2)의 폐쇄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이를 오폐수의 흐름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폐수가 유입구(1)를 통해 배수트랩(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차단판(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펼쳐져 배출구(2)를 폐쇄한 상태로 즉, 차단판(6)의 가장자리가 걸림돌기(3)에 밀착된 최초의 상태이다.
여기서 차단판(6)의 가장자리와 걸림돌기(3)를 결합하는 수단으로 서로 다른 극으로 구성된 한 쌍의 밀폐자석(9)이 사용된다.
즉, 차단판(6)의 가장자리에는 S극을 가진 밀폐자석(9)을 설치하고, 걸림돌기(3)에는 N극을 가진 밀폐자석(9)을 설치하여 밀폐자석(9)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을 통해 차단판(6)과 걸림돌기(3)의 접촉면을 결합하여 배출구(2)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연속해서 유입되는 오폐수의 중량과 유속에 의해 유발되는 수압에 의해 차단판(6)과 걸림돌기(3)의 접촉면이 분리된다.
그런 다음, 양측으로 분할된 차단판(6)이 회전축(5)을 중심으로 오폐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출구(2)를 개방하게 되고, 유입구(1)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가 배출구(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차단판(6)이 회전축(5)을 중심으로 접히면서 유로를 완전히 개방하게 되어 오폐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수트랩(100)은 유입구(1) 및 배출구(2), 본체(4)의 직경이 배수관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됨에 따라 오폐수가 안정된 상태로 흐르게 됨으로써 유로의 직경에 축소가 일어나 오폐수의 흐름이 불안정하여 배출이 용이하지 못하던 문헌 1과 달리 오폐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오폐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걸림돌기(3)가 위치한 방향으로 탄성복귀바(7)와 펼침자석(8)에 의해 차단판(6) 양측이 펼처지면서 최초의 상태와 동일하게 배출구(2)를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복귀바(7)는 오폐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차단판(6)이 접혔을 때 발생한 탄성력을 통해 오폐수의 배출이 완료된 후 상기 탄성력에 의해 차단판(6)이 펼쳐져 배출구(2)를 폐쇄하도록 한다.
그리고 펼침자석(8)은 오폐수에 의해 차단판(6)의 양측이 접혔을 때 발생하는 척력을 통해 오폐수의 배출이 완료된 후 차단판(6)을 수평으로 펼치게 된다.
즉, 차단판(6)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펼침자석(8)을 N극이나 S극 하나로 통일하여 설치한 구조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4)의 크기가 증대되어 차단판(6)의 중량이 증가하였을 때, 탄성복귀바(7)의 탄성력과 펼침자석(8)의 척력이 충분하지 못해 차단판(6)의 펼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를 위하여, 차단판(6)에 설치된 밀폐자석(9)과 다른 극으로 구성된 유도자석(10)이 걸림돌기(3)를 경계로 배출구(2) 측의 본체(4) 내주면에 설치되며, 복수로 설치하거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인력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복귀바(7)의 탄성력과 펼침자석(8)의 척력에 의해 차단판(6)이 펼쳐지는 상태에서 차단판(6)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밀폐자석(9)이 본체(4)의 내주면에 접근하게 되어, 밀폐자석(9)과 유도자석(1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인력을 통해 차단판(6)의 회전이 더욱 가속되면서 차단판(6)이 펼쳐지는 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유도자석(10)과 밀폐자석(9)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은 탄성복귀바(7)가 발생하는 탄성력 보다 작아야 한다.
이는 차단판(6)의 펼침 운동시 유도자석(10)과 밀폐자석(9)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펼침 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복귀바(7)는 차단판(6)를 펼치는 역할뿐만 아니라 회전축(5)에 축설된 차단판(6)이 형성하는 틈을 밀폐시켜 역류하는 오폐수나 악취, 벌레 등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차단판(6)과 걸림돌기(3)의 접촉면에 패킹(13)이 각각 설치되어 배출구(2)의 폐쇄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한다.
즉, 한 쌍의 패킹(13)이 경사지게 접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접촉면적이 수평으로 접하는 것보다 넓어진 구조와, 결합홈(11)에 결합돌기(12)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배출구(2)의 폐쇄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밀폐자석(9)과 패킹(13)에 의해 배출구(2)의 폐쇄 상태가 견고히 유지됨으로써 단순히 차단판에 설치된 추의 무게만을 이용하여 배출구를 폐쇄하던 문헌 2 보다 오폐수와 악취의 역류 및 벌레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판(6)이 배출구(2)를 차단한 상태에서 차단판(6)의 상부에 패킹(13)이 설치된 위치보다 높게 수압이 약해진 오폐수가 고이도록 함으로써 악취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때 밀폐자석(9)의 결합력은 차단판(6)의 상부에 고이는 물의 중량을 용이하게 견딜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트랩(100)을 수직으로 설치된 배수관에 복수로 설치함으로써 오폐수가 수직으로 낙하하는 속도를 감소시켜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100)은 첫째, 배출구(2)의 폐쇄 상태가 견고히 유지됨에 따라 오폐수의 역류, 악취의 역류, 벌레의 침입 등과 같은 문제를 해소한다.
둘째, 오폐수가 흐르는 유로의 직경이 일정함에 따라 오폐수가 안정된 상태로 흐를 수 있게 되어 오폐수의 배출이 용이하며, 설치 및 분리가 쉽고, 직선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설치면적이 작아 공간의 활용성이 증대된다.
셋째, 관체 형상의 본체(4) 내부에 축설된 차단판(6)를 통해 오폐수의 역류가 방지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제조 원가가 저렴하며, 제조가 용이하다.
마지막으로, 수직으로 입설된 배수관에 배수트랩(100)을 연속하여 복수 설치하는 것으로 해머링 현상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소음이 유발되는 것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 : 유입구 2 : 배출구
3 : 걸림돌기 4 : 본체
5 : 회전축 6 : 차단판
7 : 탄성복귀바 8 : 펼침자석
9 : 밀폐자석 10 : 유도자석
11 : 결합홈 12 : 결합돌기
13 : 패킹 100 : 배수트랩

Claims (3)

  1.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입구(1)와 배출구(2)가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걸림돌기(3)가 돌설된 관체 형상의 본체(4)와; 본체(4)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회전축(5)에 축설되어 회전축(5)을 중심으로 양측이 하방으로 접히는 차단판(6)과; 차단판(6)의 상면 중간에 회전축(5)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차단판(6)이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복귀바(7)와; 차단판(6)의 하면에 서로 같은 극으로 설치되어 수압에 의해 접혀진 차단판(6)을 척력을 통해 펼치는 펼침자석(8)과; 차단판(6)과 걸림돌기(3)의 접촉면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으로 설치된 밀폐자석(9);으로 구성되어, 수압의 작용시 수압에 의해 차단판(6)이 접혀 배출구(2)가 개방되고, 수압의 해제시탄성복귀바(7)와 밀폐자석(9), 펼침자석(8)에 의해 차단판(6)이 수평으로 펼쳐져 배출구(2)가 폐쇄됨을 특징으로 한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4)의 배출구측 내주면에는 차단판(6)에 설치된 밀폐자석(9)을 끌어당겨 차단판(6)이 수평으로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자석(10)이 밀폐자석(9)과 다른 극으로 설치된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6)과 걸림돌기(3)의 접촉면에는 다수의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가 형성된 한 쌍의 패킹(13)이 경사지게 접하도록 각각 설치된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KR1020110095029A 2011-09-21 2011-09-21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KR101258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029A KR101258571B1 (ko) 2011-09-21 2011-09-21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029A KR101258571B1 (ko) 2011-09-21 2011-09-21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52A KR20130031452A (ko) 2013-03-29
KR101258571B1 true KR101258571B1 (ko) 2013-04-29

Family

ID=4818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029A KR101258571B1 (ko) 2011-09-21 2011-09-21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5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5932A (zh) * 2014-09-19 2015-03-11 孙建林 一种双瓣蝶式止回阀
CN106436874A (zh) * 2016-12-07 2017-02-22 马建山 防堵塞地漏
CN106499037A (zh) * 2016-12-07 2017-03-15 马建山 一种防堵塞地漏
CN106499035A (zh) * 2016-12-07 2017-03-15 马建山 一种防止返臭返水的地漏
KR200493204Y1 (ko) * 2019-11-15 2021-02-17 김낙권 하수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935B1 (ko) * 2013-07-16 2014-02-24 주식회사 뉴보텍 악취 방지를 위한 오수받이
CN106151764A (zh) * 2015-04-13 2016-11-23 扬州帅因特光电科技开发有限公司 高灵敏度水流传感器
CN105839767A (zh) * 2015-12-30 2016-08-10 李正初 一种直通式防臭地漏
KR101964388B1 (ko) * 2016-11-15 2019-04-01 박동규 배수관로용 듀얼체크밸브
CN106638833A (zh) * 2017-02-28 2017-05-10 杨紫茜 自检测防异味水槽过滤装置
CN109654234B (zh) * 2019-01-29 2023-08-11 吕家杰 具有球形阀瓣的下水机构
CN110439088B (zh) * 2019-08-06 2023-05-23 太原金德尔洁具设备有限公司 水膜密封地漏芯
KR102264244B1 (ko) * 2019-11-12 2021-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스윙 체크 밸브
CN112064747A (zh) * 2020-09-08 2020-12-11 官春玲 一种防堵型海绵城市排水沟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719A (ko) *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719A (ko) *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5932A (zh) * 2014-09-19 2015-03-11 孙建林 一种双瓣蝶式止回阀
CN106436874A (zh) * 2016-12-07 2017-02-22 马建山 防堵塞地漏
CN106499037A (zh) * 2016-12-07 2017-03-15 马建山 一种防堵塞地漏
CN106499035A (zh) * 2016-12-07 2017-03-15 马建山 一种防止返臭返水的地漏
CN106499035B (zh) * 2016-12-07 2018-08-03 开平达威尔厨卫有限公司 一种防止返臭返水的地漏
CN106436874B (zh) * 2016-12-07 2019-05-24 北京知淘科技有限责任公司 防堵塞地漏
KR200493204Y1 (ko) * 2019-11-15 2021-02-17 김낙권 하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52A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571B1 (ko)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KR101086813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CN203625995U (zh) 一种磁吸式防臭阀芯
KR20120132024A (ko) 배수 트랩
KR20090013258U (ko) 배수구의 악취차단구
KR200493623Y1 (ko) 척력 개폐식 하수트랩
KR200437512Y1 (ko) 하수구의 악취 역류차단구
KR102083469B1 (ko) 배수용 트랩
KR100859736B1 (ko) 배수구용 악취방지구
KR20110005723U (ko) 악취 및 소음발생 방지용 배수트랩
JP6564987B2 (ja) 排水トラップ
KR20140005618A (ko) 부력식 악취방지 배수트랩
JPH06306908A (ja) 排水トラップ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100110933A (ko) 배수관의 악취 역류 차단용 트랩
KR20180103542A (ko) 배수구 장치
KR20180106024A (ko) 배수트랩 구조체
KR200249076Y1 (ko) 방취용 배수트랩
KR20100136280A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EP3507427B1 (en) Shower drain fitting
KR20120097922A (ko) 하수구냄새트랩
CN201981635U (zh) 地漏
CN218667807U (zh) 一种大流量排水地漏
KR200403107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