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204Y1 - 하수트랩 - Google Patents

하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204Y1
KR200493204Y1 KR2020190004586U KR20190004586U KR200493204Y1 KR 200493204 Y1 KR200493204 Y1 KR 200493204Y1 KR 2020190004586 U KR2020190004586 U KR 2020190004586U KR 20190004586 U KR20190004586 U KR 20190004586U KR 200493204 Y1 KR200493204 Y1 KR 200493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magnet
backflow prevention
magnet par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낙 권 김
Original Assignee
김낙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권 filed Critical 김낙권
Priority to KR2020190004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2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피배수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에 대한 개폐작동이 인력을 통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배출구의 개폐구성이 휘어짐 없이 회동작동만 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고장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은, 배수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배수물을 통과시키는 통로가 형성된 배수본체부, 상기 배수본체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역류방지부, 상기 역류방지부에 설치되는 제1자석부, 상기 배수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역류방지부가 배수물의 하중에 의해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시, 인력으로 제1자석부를 당겨 역류방지부를 원위치시키는 제2자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트랩{DRAIN TRAP}
본 고안은 하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 배수관 등의 배수장치에 설치되어 물은 배수시키고 악취는 역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하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와 욕실의 하수구는 생활오수를 배출하게 되는데, 생활오수는 대부분이 물건을 세척하거나 세탁을 하고 버려지는 물로서 많은 유기물이 포함되어 오염된 것이므로 부패하면서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악취는 배수관을 따라 실내로 유입되게 되므로 실내가 악취로 오염되게 된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이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 중 가장 기본적인 수단으로는 가정용 싱크대 배수구에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구를 폐쇄하는 고무재질의 덮개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덮개는 배수구를 완전 밀폐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특성상 싱크대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덮개를 다시 개방시켜야 하는바 덮개의 개방시에 싱크대 배수구를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물을 배수시킬 때는 덮개를 매번 열어 주어야 하고 배수 후에는 다시 덮개를 덮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악취방지의 또 다른 방법으로는 배수관의 일부분을 배수트랩(U자형, P자형, S자형 등)으로 형성하여 굴곡진 배수관의 하단에 물이 고이게 하여 악취가배수관을 따라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 것이 있었는데, 이러한 경우는 배수관의 굴곡부에 생활오수나 음식물찌꺼기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면 배수관이 막히게 되므로 수시로 분해하여 청소를 하여야 하고 싱크대 및 세면기와 같이 배수관이 노출된 곳에는 사용이 가능하며, 하수구가 바닥에 설치되는 곳에는 사용조차 불가능하다.
악취방지의 또 다른 방법으로는 배수관의 하단에 비닐과 같이 얇은 재질로 된 튜브를 구성함으로써 물이 유입되면 튜브가 벌어지면서 배수가 이루어지고 배수가 완료된 후에는 튜브가 밀착됨으로써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있었으나, 이는 튜브의 수명이 짧아 오랜 시간 원활한 밀착을 기대할 수가 없어서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악취방지의 또 다른 방법으로는 배수관 또는 배수트랩 자체에 고무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의 역류방지판을 설치함으로써 물이 유입되면 역류방지판이 휘어지면서 배수관 또는 배수트랩의 통로를 개방시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수과 완료된 후에는 역류방지판이 자체 탄성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통로를 폐쇄시킴으로써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있다.
그러나, 역류방지판은 물을 배수시킬 때마다 반복적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역류방지판 중 배수관 또는 배수트랩에 고정되어 휘어지지 않는 부분과 휘어지는 부분의 연결지점에 크랙이 발생되어 역류방지판의 복귀가 느려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심한 경우 연결지점이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604호(2014.05.02.)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피배수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에 대한 개폐작동이 인력을 통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배출구의 개폐구성이 휘어짐 없이 회동작동만 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고장률을 낮출 수 있는 하수트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은, 배수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배수물을 통과시키는 통로가 형성된 배수본체부, 상기 배수본체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역류방지부, 상기 역류방지부에 설치되는 제1자석부, 상기 배수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역류방지부가 배수물의 하중에 의해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시, 인력으로 제1자석부를 당겨 역류방지부를 원위치시키는 제2자석부, 상기 배수본체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제2자석부의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용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제1자석부와 인력을 발생시키며 돌기형태의 손잡이를 갖는 제3자석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3자석부는 상기 수용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제3자석부를 제1자석부에 대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3자석부의 외면에는 상기 수용홈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간격조절부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방지부의 상면과 바디부의 통로 내벽면에는 제1자석부와 제2자석부가 각각 매립되는 매립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자석부와 제2자석부의 표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의 코팅층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배수본체부의 입구에 안착되며 상기 통로로 배수물을 흘려보내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홀이 형성된 통과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은, 악취와 오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방지수단의 개폐작동이 자력을 통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힌지나 경첩에 의해 역류방지수단 전체가 회동되어 배수물을 통과시키거나 또는, 악취와 오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때문에, 종래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자체 형상이 변형되면서 작동되는 하수트랩에 비해 고장률이 낮은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을 도시한 저면 결합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이 배수장치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에 적용된 역류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에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에 제3자석부 및 간격유지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하수트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을 도시한 저면 결합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이 배수장치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에 적용된 역류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에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배수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장치(80)에 설치되어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트랩(1)으로써, 배수본체부(10), 통과부(70), 역류방지부(20), 제1자석부(30), 제2자석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장치(80)는 욕실, 화장실, 씽크대의 세척통 등에 설치된 배수구 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배수장치(80)가 씽크대의 세척통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배수본체부(10)는 도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걸침부(11) 및 바디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침부(11)는 대략 원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구의 상단에 위치된 입구(121a)측 및 세척통의 바닥면에 동시에 걸쳐질 수 있다.
상기 걸침부(11)는 중앙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식기류나 과일 등을 세척시 흘러내려오는 물을 바디부(12)로 흘려보낼 수 있다.
상기 바디부(12)는 걸침부(11)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침부(11)의 중앙부분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12)는 배수장치(8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상기 걸침부(11)를 통과한 물을 배수구 측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통로(12a)가 형성된다.
바디부(12)의 저면 일측에는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힌지편(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편(121)에는 힌지축(90)이 관통설치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통과부(70)는 상기 바디부(12)의 상단 입구(121a)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부(12)의 통로(12a)로 배수물을 흘려보내기 위한 다수개의 통과홀(7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과부(70)는 상기 바디부(12)의 상면에 단순 안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역류방지부(20)는 상기 바디부(12)의 저면, 측 통로(12a)의 배출구(122a)측에 설치되어 악취, 오수 등이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바디부(12)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정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힌지편(121)과 각각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역류방지부(20)의 절개된 부분에는 힌지편(121)의 관통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역류방지부(20)의 관통홀과 힌지편(121)의 관통홀에 힌지축(90)을 공동으로 설치하면, 상기 역류방지부(20)가 힌지축(9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부(30) 및 제2자석부(40)는 상기 역류방지부(20)가 배수물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 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자석부(30)는 역류방지부(20)의 상면 중앙에 실리콘이나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제2자석부(40)는 바디부(12)의 통로(12a) 내벽면에 실리콘이나 접착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자석부(40)는 역류방지부(20)가 배수물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배수본체부(10)와 역류방지부(20)의 연결지점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부(20)의 상면과 바디부(12)의 통로(12a) 내벽면에는 제1자석부(30)와 제2자석부(40)가 각각 매립되는 매립홈(12c,2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자석부(30)와 제2자석부(40)를 매립홈(12c,20a)에 각각 매립하여 역류방지부(20)와 바디부(12)에 보다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2자석부(40)를 매립홈(12c)에 매립하면, 제2자석부(40)가 통로(12a) 상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배수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1자석부(30)와 제2자석부(40)의 표면에는 코팅층(C1,C2)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C1,C2)은 각각 액상의 실리콘 또는 고무를 제1자석부(30)와 제2자석부(40)의 표면에 각각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제1자석부(30)와 제2자석부(40)에 배수물이 묻거나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의 작동 및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배수물이 통로(12a)를 통과하지 아니할 경우 제1자석부(30)와 제2자석부(40)의 인력에 의해 역류방지부(20)가 바디부(12)의 저면에 밀착되어 통로(12a)의 배출구(122a)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통로(12a)로 배수물이 투입되면 역류방지부(20)가 배수물의 하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배출구(122a)를 개방시킴에 따라, 배수물이 배수장치(80)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그리고, 배수물이 배수되면, 제2자석부(40)가 제1자석부(30)를 당겨 역류방지부(20)를 원위치 시킨다. 이로 인해 역류방지부(20)는 배출구(122a)를 다시 폐쇄시켜 악취, 오수 등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자석부(30)와 제2자석부(40) 간에 발생되는 인력을 통해 통로(12a)에서 배수물이 소멸되는 즉시 역류방지부(20)를 신속하게 원위치 시킬 수 있음에 따라 악취역류 차단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의 하수트랩에 적용된 역류방지부는 고무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고, 일측 가장자리만 하수트랩 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배수물의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배수를 완료한 이후에는 자체 탄성력으로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위치됨에 따라 악취, 오수 등이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바, 배수물이 배수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상,하 회동되기 때문에 역류방지부의 고정된 부분과 회동되는 부분의 연결지점에 크랙이 발생되어 절단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1)은 제1자석부(30)와 제2자석부(40)의 인력을 통해 역류방지부(20)를 신속하게 원위치시킬 수 있는 바, 역류방지부(20)를 크랙이나 분리가 쉽게 발생되지 않는 합성수지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하수트랩(1)의 수명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6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에 제3자석부 및 간격유지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역류방지부(20)의 개방력을 제한하면서 역류방지부(20)의 복원력을 증대시키기 제3자석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2)의 내벽면에는, 제2자석부(30)의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용홈(12b)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2b)에는 제1자석부(30)를 당기는 제3자석부(50)가 수용된다.
상기 수용홈(12b)은 도트 형태로 형성되며, 제3자석부(50)는 수용홈(12b)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3자석부(50)도 제1자석부(30)의 양측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3자석부(50)는 상기 제1자석부(30)를 과도한 힘으로 당기지 아니하도록 제3자석부(50)의 1/2 내지 1/5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자석부(50)를 더 적용하는 경우, 제1자석부(30)와 제3자석부(50)의 자력이 합해져 제2자석부(40)에 전해지기 때문에 역류방지부(20)가 일정수압 이상에서만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배출구(122a)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물이 수도꼭지에서 배출되는 물이 아닌 음식찌꺼기와 같이 비교적 크기만 가벼운 이물질에 의해서는 역류방지부(20)가 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물질이 배출구(122a)를 통해 배출되어 배수장치(80)의 내부를 막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2자석부(40)와 제3자석부(50)의 자력으로 인해 제1자석부(30)를 신속하게 당겨 역류방지부(20)를 원위시킬 수 있음에 따라, 악취와 오수가 역류되는 현상으로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자석부(50)는 모든 수용홈(12b)에 1:1 대응되게 수용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이 수용홈(12b)들에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홈(12b)이 2개로 형성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제3자석부(50)는 2개의 수용홈(12b)에 모두 적용되거나 또는 1개의 수용홈(12b)에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3자석부(50)가 적용되는 개수에 따라 제1자석부(30)에 대한 당김력이 상이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역류방지부(20)가 개방되는 정도와 원위치로 복귀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3자석부(50)의 중앙에는 제3자석부(5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돌기 형태의 손잡이(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51)를 잡고 제3자석부(50)를 수용홈(12b)에 수용하거나 인출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수트랩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3자석부(50) 및 상기 제1자석부(30)와 제3자석부(5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격조절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6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자석부(50)의 외면에 장착되며, 그 외주연에 나사산(6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2b)의 내주연에는 간격조절부(60)의 나사산(60a)과 맞물리는 나사산(121b)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자석부(50)의 손잡이(51)에는 일자홈 또는 십자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자드라이버 또는 십자드라이버로 제3자석부(5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1개 이상의 제3자석부(50)와 제1자석부(30)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1자석부(30)에 전달되는 제3자석부(50)의 자력 세기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자석부(5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자석부(50)가 수용홈(12b)으로 인입되어 제1자석부(30)와 멀어져 제1자석부(30)에 전달되는 제3자석부(50)의 자력 세기가 약해짐으로, 역류방지부(20)가 배수물에 의해 비교적 쉽게 회동 작동되어 배출구(122a)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제3자석부(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자석부(50)가 수용홈(12b)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자석부(30)와 가까워져 제1자석부(30)에 전달되는 제3자석부(50)의 자력 세기가 강해짐으로, 역류방지부(20)가 일정 압력 이하에서는 회동 작동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방식으로 제1자석부(30)와 제3자석부(50)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역류방지부(20)의 개방력과 복귀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하수트랩 10 : 배수본체부
11 : 걸침부 12 : 바디부
121 : 힌지편 12a : 통로
121a : 입구 122a : 배출구
12b : 수용홈 121b,60b : 나사산
20 : 역류방지부 30 : 제1자석부
40 : 제2자석부 50 : 제3자석부
51 : 손잡이 60 : 간격조절부
70 : 통과부 70a : 통과홀
80 : 배수장치 90 : 힌지축

Claims (4)

  1. 배수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배수물을 통과시키는 통로가 형성된 배수본체부,
    상기 배수본체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역류방지부,
    상기 역류방지부에 설치되는 제1자석부,
    상기 배수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역류방지부가 배수물의 하중에 의해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시, 인력으로 제1자석부를 당겨 역류방지부를 원위치시키는 제2자석부,
    상기 배수본체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제2자석부의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용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제1자석부와 인력을 발생시키며 돌기형태의 손잡이를 갖는 제3자석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3자석부는 상기 수용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제3자석부를 제1자석부에 대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3자석부의 외면에는 상기 수용홈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간격조절부가 장착되는 하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의 상면과 바디부의 통로 내벽면에는 제1자석부와 제2자석부가 각각 매립되는 매립홈이 형성된 하수트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부와 제2자석부의 표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의 코팅층이 형성된 하수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본체부의 입구에 안착되며 상기 통로로 배수물을 흘려보내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홀이 형성된 통과부를 더 포함하는 하수트랩.
KR2020190004586U 2019-11-15 2019-11-15 하수트랩 KR200493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586U KR200493204Y1 (ko) 2019-11-15 2019-11-15 하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586U KR200493204Y1 (ko) 2019-11-15 2019-11-15 하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204Y1 true KR200493204Y1 (ko) 2021-02-17

Family

ID=7471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586U KR200493204Y1 (ko) 2019-11-15 2019-11-15 하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204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045A (ko) * 2009-09-22 2011-03-30 허녕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KR101258571B1 (ko) * 2011-09-21 2013-04-29 허지승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KR200472604Y1 (ko) 2012-05-25 2014-05-13 (주)도원드레인 하수구 보수용 역류방지 장치
CN105256880A (zh) * 2015-09-02 2016-01-20 杨晔辰 一种双翻板防臭地漏
CN107675777A (zh) * 2017-09-26 2018-02-09 霍永军 直通地漏
CN207878619U (zh) * 2018-01-29 2018-09-18 承德北宇环能科技有限公司 自开式冲洗水闸门
KR200489327Y1 (ko) * 2018-05-25 2019-09-03 김낙권 냄새차단 트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045A (ko) * 2009-09-22 2011-03-30 허녕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KR101258571B1 (ko) * 2011-09-21 2013-04-29 허지승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KR200472604Y1 (ko) 2012-05-25 2014-05-13 (주)도원드레인 하수구 보수용 역류방지 장치
CN105256880A (zh) * 2015-09-02 2016-01-20 杨晔辰 一种双翻板防臭地漏
CN107675777A (zh) * 2017-09-26 2018-02-09 霍永军 直通地漏
CN207878619U (zh) * 2018-01-29 2018-09-18 承德北宇环能科技有限公司 自开式冲洗水闸门
KR200489327Y1 (ko) * 2018-05-25 2019-09-03 김낙권 냄새차단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487B1 (ko)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KR200493623Y1 (ko) 척력 개폐식 하수트랩
KR101086813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US5925242A (en) Sand trap and flow controller mechanism for a bathtub
KR200493204Y1 (ko) 하수트랩
KR20090013258U (ko) 배수구의 악취차단구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20200112057A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493622Y1 (ko) 자력 개폐식 하수트랩
KR20010086955A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JPH08128091A (ja) 浴室ユニットの排水部構造
CN108678091B (zh) 排水阀及卫浴器具
KR101082633B1 (ko) 좌변기용 배수관
JP2006265971A (ja) 流水ボールオーバーフロー管の逆流防止構造
KR20080037918A (ko) 배수구용 악취방지구
JP2003003548A (ja) 排水弁
KR20100136280A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JP2017155455A (ja) 排水配管
KR200374754Y1 (ko) 개량 좌변기
KR20110006860A (ko) 씽크대 배수 구조
KR200395208Y1 (ko)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CN113639056B (zh) 一种具有自冲洗消毒功能的公共场所用水龙头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20100095756A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WO2024089824A1 (ja) 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