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311B1 - 작동 이벤트의 발생 시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작동 이벤트의 발생 시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311B1
KR101517311B1 KR1020137019018A KR20137019018A KR101517311B1 KR 101517311 B1 KR101517311 B1 KR 101517311B1 KR 1020137019018 A KR1020137019018 A KR 1020137019018A KR 20137019018 A KR20137019018 A KR 20137019018A KR 101517311 B1 KR101517311 B1 KR 101517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nitoring
event
fault
measur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007A (ko
Inventor
데트레프 러스
홀거 뷔르스트레인
토스텐 훅스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ublication of KR2013010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3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using the door logic and door and engine unlock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han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5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foot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devices carried by persons or objects, e.g. magnets or ref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E05Y2400/86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by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변위식 폐쇄 부재(7)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폐쇄 부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작동 메시지의 생성을 위해 센서 어셈블리(1)와 센서 컨트롤러(4)가 제공된다. 작동 메시지를 통해 폐쇄 부재(7)의 모터 변위가 야기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4)는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 동안 센서 측정값들(5, 6)을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센서 컨트롤러(4)는 결함 상황 모니터링 동안 결함 상황을 특징짓는 거동의 발생과 관련하여 센서 측정값들(5, 6)을 모니터링한다. 센서 컨트롤러(4)는 결함 상황 모니터링 동안, 모니터링 시점에 결함 지시가 검출되고 결함 지시자에 대해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센서 컨트롤러(4)에서 결함 상황이 검출된 것으로서 간주된다면, "결함 지시자" 변수를 증가시킨다. 센서 컨트롤러(4)는, 두 모니터링 조치에 따라 작동 이벤트가 존재하지만 결함 상황은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작동 메시지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작동 이벤트의 발생 시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METHOD FOR GENERATING AN OPERATING MESSAGE UPON OCCURRENCE OF AN OPERATING EVENT}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작동 이벤트의 발생 시 작동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뿐 아니라, 청구항 제 15 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자동차의 폐쇄 부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의 차량 전기 시스템들은 상당 부분까지 편의 기능들의 구현에 이용되는 다수의 전기 부하 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전술한 편의 기능들 중에서 한 가지 편의 기능은 자동차의 전동식 리프트 게이트의 자동 작동에 할당된다. 공지된 편의 기능(DE 20 2005 020 140 U1)의 경우, 사용자 측의 작동 이벤트, 여기서는 사용자 측의 발동작이 리프트 게이트의 전동식 개방을 야기한다. 이를 위해, 자동차는 상응하는 센서 어셈블리와 이 센서 어셈블리에 할당되는 센서 컨트롤러를 장착하고 있다. 어셈블리는, 작동 이벤트가 있는 경우, 센서 컨트롤러가 작동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 동안, 검출되는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센서 측정값들의 거동의 발생과 관련하여 센서 측정값들이 센서 컨트롤러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작동 이벤트를 센서 검출하기 위한 전술한 공지된 방법은 자동차의 리프트 게이트의 특히 편리한 전동식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작동의 신뢰성을 위해서는 센서 컨트롤러의 레이아웃이 중요하다. 그러나 결함 상황이, 부분적으로 검출되는 작동 이벤트의 센서 신호의 거동에 상응하는 센서 측정값들의 거동을 야기한다면,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실제로 결함 상황만이 존재하더라도, 작동 이벤트가 검출된 것으로서 간주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문제가 되는 방법의 작동 안전성의 감소와 결부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작동 안전성이 증가하는 방식으로 공지된 방법을 개량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방법에서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의 특징들을 통해 해결된다.
핵심은,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에 추가로,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의 센서 측정값들이, 결함 상황을 특징짓는, 센서 측정값들의 거동과 관련하여, 센서 컨트롤러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결함 상황 모니터링이 마련된다는 점에 있다. 다시 말해, 제안에 따라서,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뿐 아니라, 결함 상황 모니터링도 실행된다.
추가의 핵심은, 두 모니터링 조치, 다시 말해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 및 결함 상황 모니터링에 따라 작동 이벤트가 존재하지만 결함 상황은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센서 컨트롤러에 의해 작동 메시지가 생성된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작동 이벤트의 검출이 근본적으로 결함 상황에만 기인하는 점은 배제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제안에 따른 방법은 자동차의 폐쇄 부재 어셈블리와 관련되어 적용된다(청구항 제 2 항). 이를 위해, 청구항 제 3 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자동차의 후방 페어링부(fairing part)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센서 부재의 모니터링이 제공된다.
청구항 제 4 항 내지 제 7 항에 따른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센서 신호들이 다수의 특징짓는 특징들의 발생과 관련하여 모니터링되는, 패턴 인식의 유형에 따르는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원에서 적용될 수 있는 고성능 메커니즘이 공지된다.
청구항 제 9 항에 따라서는, 결함 상황 모니터링 동안, 어느 경우든,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보다 시간상 특히 바로 직전에 존재하는 영역도 고려되는 점이 제안된다. 따라서, 추정상 작동 이벤트가 선행된 센서 측정값들의 전후 관계에서 적합한지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는, 일련의 제로 측정값들이 언제나 실제 작동 이벤트에 선행한다는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다. "제로 측정값"은, 각각의 센서 부재의 작용 범위가 센서로 검출될 수 있는 그 어떤 요소로부터도 구속을 받지 않을 때 생성되는 측정값을 지시한다.
제안에 따라서,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에 결함 지시(fault indication)가 검출된다면 항상 증가하는 "결함 지시자(fault indicator)" 변수가 정의된다. 결함 지시가 검출되지 않는 점에 한해서, 바람직하게는 결함 지시자는 사전 결정된 방식으로 감소된다(청구항 제 10항). 이는, 특히 센서 측정값들에서 "이상값들"의 영향이 사소하게만 유지되는 점이 보장될 수 있게 하는 간단한 적분 함수에 상응한다.
청구항 제 11 항 내지 제 14 항은 결함 지시에 대한 일련의 바람직한 정의에 관한 것이며, 결함 지시는, 가장 간단한 경우,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에, 일측의 센서 부재가 유일한 센서 부재로서 제로 측정값과 상이하거나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하회하는 센서 측정값들을 공급한다는 점에 있다(청구항 제 14 항). 이는, 실제 작동 이벤트의 경우 대개 두 센서 부재가 제로 측정값과 상이하거나 임계값을 상회하는 센서 측정값들을 공급할 때 적합하다.
독립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청구항 제 15 항에 따른 추가 교시에 따라, 모터 변위식 폐쇄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폐쇄 부재 어셈블리가 청구되며, 이 경우 할당된 센서 컨트롤러의 전술한 작동 메시지를 통해 폐쇄 부재의 모터 변위가 야기될 수 있다. 작동 메시지의 생성은 설명한 제안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제안에 따른 방법에 관계하는 모든 설명이 참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음에서 일 실시예만을 도시하는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제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안에 따른 폐쇄 부재 어셈블리를 장착한 자동차의 후방 영역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제안에 따른, 검출되는 작동 이벤트의 시퀀스를 5단계 a) 내지 e)로 각각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르는 작동 이벤트 동안 도 1에 따르는 폐쇄 부재 어셈블리의 2개의 센서 부재에 생성되는 2가지 예시의 신호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 4는 결함 상황 동안 2개의 센서 부재의 센서 측정값들[a) 및 b)], 임계값 필터링 후 상응하는 센서 측정값들[c) 및 d)], "결함 지시자" 변수[e)], 임계값 필터링 후 "결함 지시자" 변수[f)],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의 결과[g)] 및 작동 메시지의 생성의 결과[h)]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작동 이벤트의 발생 시 작동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제안에 따른 방법은 다음에서 자동차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작동 이벤트에 따라 설명된다. 그러나 제안에 따른 방법은 작동 이벤트들의 센서 검출에 관계되는 생각해볼 수 있는 모든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작동 이벤트의 센서 검출은 제안에 따라,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근접 센서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와 센서 컨트롤러(4)가 할당되어 있는 센서 어셈블리(1)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는, 다음에서 계속 설명되는 것처럼, 정확히 2개의 센서 부재(2, 3)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이다.
센서 컨트롤러(4)는 우선 실제 작동 이벤트가 존재하면 곧바로 작동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 메시지는, 후속 프로세스, 예컨대 인증 확인 대화 또는 구동 장치의 제어를 야기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작동 메시지의 생성은, 검출되는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센서 측정값들(5, 6)의 거동의 발생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이 센서 컨트롤러(4)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의 결과를 기초로 한다. 센서 컨트롤러(4)는 바람직하게는 클록 작동 모드로 작동하며, 그럼으로써 특히 전술한 모니터링은 클록 제어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은 계속해서 이루어지며, 다시 말해 모니터링 기간에 걸쳐서 볼 때 지속적으로, 또는 어느 경우든 소정의 클록 제어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검출되는 작동 이벤트는, 계속해서 설명되는 것처럼, 자동차 사용자의 발동작이다.
도 2에는 그림 a) 내지 e)로 사용자의 발의 전후 동작을 포함하는 작동 이벤트의 시퀀스의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두 센서 부재(2, 3)의 결과에 따른 센서 측정값들(5, 6)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의 그래프에는 도 2에 도시된 단계 a) 내지 e)가 시간 범위에 그에 상응하게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는, 예컨대 자동 세차장을 통과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결함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무질서한 신호 곡선들을 통해, 이 경우 소정의 시점에, 검출되는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센서 측정값들의 거동이 발생하게 된다. 신호 측정값들의 상응하는 영역들은 도 a), b)와 도 c), d)에 각각 타원 궤도(orbit)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 동안, 작동 이벤트가 검출된 것으로서 간주되며, 이는 추가의 조치 없이 의도하지 않은 작동을 초래할 수도 있다.
작동 이벤트의 전술한 오검출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제안에 따라서, 결함 상황 모니터링 동안, 결함 상황을 특징짓는, 센서 측정값들(5, 6)의 거동의 발생과 관련하여, 센서 컨트롤러(4)에 의해,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이 특히 클록 제어 방식으로 모니터링된다. 또한, 결함 상황 모니터링은 여기서는 계속해서 이루어지며, 다시 말하면 모니터링 기간에 걸쳐 볼 때 지속적으로, 또는 어느 경우든 소정의 클록 제어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도 3과 도 4의 비교에서, 도 4에 도시된 결함 상황은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인식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편, 핵심은, 두 모니터링 조치에 따라서, 다시 말해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과 결함 상황 모니터링에 따라 작동 이벤트가 존재하지만 결함 상황은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센서 컨트롤러(4)에 의해 작동 메시지가 생성된다는 점에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결함 상황이 추정상 작동 이벤트를 간단히 포함할 수 있다는 고려 사항을 기초로 한다.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와 센서 컨트롤러(4)가 모터 변위식 폐쇄 부재(7)와 바람직하게는 모터 변위식 게이트(7), 특히 리프트 게이트(7)를 포함하는 폐쇄 부재 어셈블리, 여기서는 리프트 게이트 어셈블리에 할당되고, 이 경우 작동 메시지를 통해 폐쇄 부재(7), 여기서는 리프트 게이트(7)의 모터 변위, 여기서는 전동식 개방이 야기될 수 있다는 점은 이미 참조 지시하였다.
본원에서, 검출되는 작동 이벤트는 이미 언급한 것처럼 사용자의 발동작이며, 센서 어셈블리(1)는 근접 센서로서 형성되는 2개 이상, 여기서는 정확히 2개의 센서 부재(2, 3)를 포함하며, 이들 센서 부재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자동차의 후방 페어링부(7a),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리어 범퍼(7a)의 내부 또는 그 표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두 센서 부재(2, 3)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자동차의 폭의 주요 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전극들을 포함한 용량성 근접 센서이다. 따라서, 작동 이벤트의 검출이 그에 상응하게 자동차의 폭의 주요 부분에 걸쳐 가능한 점이 보장된다.
도 1에 따르는 도해로부터는, 상부 센서 부재(2)의 개략적으로 도시된 검출 범위가 어느 경우든 후방 방향으로 향해 있고 하부 센서 부재(3)의 검출 범위는 어느 경우든 하부 방향으로 향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1)는 그에 상응하게 도 3에 도시된 센서 측정값들(5, 6)을 제공한다.
실험으로 확인된 점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동작과 같은 작동 이벤트는 비록 언제나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의 거동이면서 정성적(qualitative)으로 항상 동일하고 특징짓는 상기 거동을 초래하기는 하지만, 각각의 사용자에 따라서 결과에 따른 센서 측정값들(5, 6)은 상세하게는 서로 다르다. 여기서 그에 상응하게 기본적으로 공지된 패턴 인식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패턴 인식에 대한 원칙으로서,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의 거동이면서 검출되는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상기 거동에는, 대응하는 발생이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의 범위에서 모니터링되는 일련의 특징짓는 특징들이 할당된다. 패턴 인식의 범위에서, 상기 특징들은 먼저 센서 측정값들(5, 6)로부터 추출되고 이어서 분류된다.
이는 패턴 인식 시 기본적인 개념에 상응한다. 이 경우, 경우에 따라 사전 필터링되는 측정값들이 먼저 특징 추출 과정으로 처리된다. 추출되는 특징들은, "분리 효과가 가능하도록" 선택된다. 이는, 특징들이, "작동 이벤트를 미포함한" 상태와 "작동 이벤트를 포함한" 상태를 구분하도록 하기 위해 적합해야만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Christopher M. Bishop, "패턴 인식 및 기계 학습(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Springer 출판사, 베를린, 2006년, ISBN 0-387-31073-8].
특징 감소 후에는, 추출된 특징들의 형성이 검출되는 패턴들의 소정의 등급들에 할당되는 분류가 실행된다.
참조 문헌으로부터는 일련의 이른바 "분류자(classifier)"가 공지되었으며, 이들 분류자는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영역에서도 적용된다. 예시로서만 언급하자면 분류자는 "윈도우", "유클리드 거리", "최근접 이웃", "매핑", "퍼지 논리", 및 "신경 네트워크"이다.
상세하게는,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검출되는 작동 이벤트는 사용자 발의 전후 동작이며, 작동 이벤트 동안 두 센서 부재(2, 3)는 특히 실질적으로 동시에 센서 측정값들(5, 6)의 펄스형 시간 곡선을 생성하며, 이 시간 곡선은 하기에서 "센서 펄스"로서 지칭된다. 추출되는 특징들로서는, 하나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펄스들의 부분들의 폭, 그 높이, 그 에지 경사도 및 그 곡률과, 하나의 센서 부재(2, 3)의 2개의 센서 펄스의 시간 오프셋 등이 정의된다. 그 다음, 분류의 범위에서, 상기 특징들은 한계 값 또는 한계 범위와 관련하여 검사된다.
여기서 생각해볼 수 있는 추가 특징들은 2개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펄스들의 시간 오프셋이거나, 또는 2개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신호들(5, 6)의 사전 결정된 상호 간 상관 관계, 특히 상호 상관이다. 상기 특징들도 한계 값 및 한계 범위에 의해, 경우에 따라 앞서 언급한 특징들과 함께, 작동 이벤트의 발생 유무에 대한 귀납적 추론이 가능한 방식으로 분류된다.
본원에서 중요한 사항은, 결함 상황 모니터링과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진행된다는 사실이다. 특히, 두 모니터링 조치는 동일하고 경우에 따라 사전 필터링된 센서 측정값들(5, 6)에 접근할 수 있다.
도 4의 그래프에는, 결함 상황의 결정을 위해,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보다 앞서 존재하는 영역도 관련되며, 그럼으로써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결함 상황 모니터링 동안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보다 특히 직전에 존재하는 영역도 모니터링되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결함 상황 모니터링의 경우, 전체 일련의 바람직한 변형예들을 생각해볼 수 있다. 여기서는, 결함 상황 모니터링 동안,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에 사전 정의된 결함 지시가 검출되고, 결함 지시자에 대한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센서 컨트롤러(4)에서 결함 상황이 검출된 것으로 간주된다면, "결함 지시자" 변수가 특히 클록 제어 방식으로 증가하게 된다. 대개 이는 전술한 임계값이 초과될 때까지 결함 지시들이 합산된다고 말할 수도 있다.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에 결함 지시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바람직하게는 결함 지시자는 특히 클록 제어 방식으로 감소된다. 결국, 결함 지시자에 대해, 각각의 결함 지시에 대한 값들의 적분에 상응하는 거동이 제공된다.
결함 지시 또는 결함 지시들의 정의를 위해, 전체 일련의 바람직한 변형예들을 생각해볼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결함 지시는,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에, 또는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에 할당되는 시간 범위에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이 제로 측정값과는 다르지만,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하나 이상의 특징에 상응하지 않도록 정의된다. 이는,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가 어떻게 하든 대응하는 센서 범위에서 검출되기는 하지만,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특징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특징의 총 개수 중에서 특징짓는 특징들의 사전 결정된 최소 개수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비로소 결함 지시가 검출된 것으로서 간주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경우, 결함 지시자는 "1"의 수치만큼, 또는 충족되지 않는 특징짓는 특징들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값만큼 증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고,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센서 측정 값들(5, 6)의 거동에서는, 결함이 없는 경우 센서 부재들(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은 상호 간에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바람직하게는, 결함 지시는,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에 할당되는 범위에서 두 센서 부재(2, 3)의 신호 곡선들의 유사성의 정도가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하회한다는 점에 있다.
특히 신호 곡선들의 전술한 유사성의 정도는 상관값에 의해, 특히 상호 상관값에 의해 정의된다. 그에 상응하게, 결함 지시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 간의 상관값, 특히 상호 상관값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하회한다는 점에 있다.
도 3의 그래프에서도,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도 3의 신호 곡선의 경우 거의 완전하게 두 센서 부재(2, 3)가 각각 제로 측정값과 다른 센서 측정값들을 공급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결함 상황에서 대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결함 지시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에 일측의 센서 부재(2, 3)가 유일한 센서 부재(2, 3)로서 제로 측정값과 다르거나, 또는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상회하는 센서 측정값들(5, 6)을 공급한다는 점에 있다(도 4e)).
다음에서는 제안에 따르는 방법이 도 4에 도시된 신호 곡선에 따라서 설명된다.
제1 단계에서, 두 센서 측정값(5, 6)은 임계값 필터에서 필터링되며, 그럼으로써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센서 측정값들이 생성된다. 결과에 따른 구형파 펄스들은, 계속해서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전체 일련의 특징짓는 특징들과 관련하여 분석된다. 이 경우,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은 부합 값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두 센서 부재(2, 3)의 구형파 펄스들(8 및 9)이 작동 이벤트의 존재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의 결과는 도 4g)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4e)에 따르는 결함 지시자의 그래프와 도 4f)에 따르는 임계값 필터링 후 결함 지시자의 대응하는 그래프로부터는, 결함 지시자가 추정상 작동 이벤트의 범위에서 사전 결정된 임계값(10)을 초과했으며, 이는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결함 상황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두 모니터링 조치에 따라 작동 이벤트가 존재하지만 결함 상황은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제안에 따라 센서 컨트롤러(4)에 의해 작동 메시지가 생성되는 것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센서 곡선의 경우, 도 4h)에 도시된 것처럼, 작동 메시지의 생성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로, 결함 상황 모니터링은, 기본적으로 결함 상황 모니터링 없이도 실행될 수도 있는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에 대한 보완 기능을 형성한다. 결함 상황 모니터링에 의해, 추정상(그러나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작동 이벤트의 검출은 효과적으로 그리고 간단한 수단들로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추가 교시에 따라서, 모터 변위식 폐쇄 부재(7), 여기서는 모터 변위식 리프트 게이트(7)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폐쇄 부재 어셈블리가 청구되며, 이 경우 작동 메시지의 센서 생성을 위해 특히 근접 센서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와 센서 컨트롤러(4)가 제공된다. 작동 메시지를 통해, 폐쇄 부재(7)의 모터 변위가 야기될 수 있다. 이 경우, 폐쇄 부재(7)의 모터 변위는 일련의 질의, 특히 리모컨 키(11)와의 인증 확인 대화를 전제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증 확인 대화는 도 1에 도시만 되어 있으며, 제안에 따르는 교시를 위해 어떠한 역할도 하지 않는다.
센서 컨트롤러(4)는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 동안, 검출되는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센서 측정값들(5, 6)의 거동의 발생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을 모니터링한다.
한편, 핵심은, 센서 컨트롤러(4)가 결함 상황 모니터링 동안, 결함 상황을 특징짓는, 센서 측정값들(5, 6)의 거동의 발생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을 모니터링하며, 그리고 두 모니터링 조치에 따라 작동 이벤트가 존재하지만 결함 상황은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센서 컨트롤러(4)가 작동 메시지를 생성한다는 점에 있다.
제안에 따르는 추가 교시의 설명 및 가능한 변형예들과 관련해서는, 제1 교시의 제안에 따른 방법에 대한 전술한 설명이 참조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작동 이벤트의 발생 시 작동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이며,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와 작동 이벤트의 존재 시 작동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 컨트롤러(4)가 제공되고,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 동안,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센서 측정값들(5, 6)의 거동의 발생과 관련하여, 센서 컨트롤러(4)에 의해,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이 모니터링되는, 상기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에 있어서,
    결함 상황 모니터링 동안, 결함 상황을 특징짓는, 센서 측정값들(5, 6)의 거동의 발생과 관련하여, 상기 센서 컨트롤러(4)에 의해,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이 클록 제어 방식으로 모니터링되고,
    두 모니터링 조치에 따라 작동 이벤트가 존재하지만 결함 상황은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상기 센서 컨트롤러(4)에 의해 작동 메시지가 생성되며,
    결함 상황 모니터링 동안,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에 결함 지시가 검출된다면 "결함 지시자" 변수가 클록 제어 방식으로 증가하고, 상기 결함 지시자에 대해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센서 컨트롤러(4)에서 결함 상황이 검출된 것으로서 간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와 상기 센서 컨트롤러(4)는 모터 변위식 폐쇄 부재(7)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폐쇄 부재 어셈블리에 할당되고, 상기 작동 메시지를 통해 상기 폐쇄 부재(7)의 모터 변위가 야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이벤트는 사용자의 발동작으로서 정의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1)는 근접 센서로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센서 부재(2, 3)를 포함하고, 이들 센서 부재는 자동차의 후방 페어링부의 내부 또는 그 표면에 배치되고, 일측의 센서 부재(2, 3)의 검출 범위는 어느 경우든 후방 방향으로 향해 있으며, 타측의 센서 부재(2, 3)의 검출 범위는 어느 경우든 하부 방향으로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의 거동이면서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상기 거동에는, 대응하는 발생이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의 범위에서 모니터링되는 복수의 특징짓는 특징들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작동 이벤트로서 사용자 발의 전후 동작이 정의되고, 작동 이벤트 동안 두 센서 부재(2, 3)는 센서 측정값들(5, 6)의 펄스형 시간 곡선(센서 펄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특징짓는 특징은 하나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펄스들의 부분들의 폭으로서, 또는 그 높이로서, 또는 그 에지 경사도로서, 또는 그 곡률로서, 또는 하나의 센서 부재(2, 3)의 2개의 센서 펄스의 시간 오프셋으로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특징짓는 특징은 2개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펄스들의 시간 오프셋으로서, 또는 2개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신호들(5, 6)의 사전 결정된 상호 간 상관 관계로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상황 모니터링과 상기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은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상황 모니터링 동안 어느 경우든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보다 이전에 존재하는 영역도 모니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모니터링 시점에 결함 지시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결함 지시자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11. 제 4 항에 있어서, 결함 지시는, 모니터링 시점에, 또는 모니터링 시점에 할당되는 시간 범위에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이 제로 측정값과 다르면서, 하나 이상의 특징짓는 특징에도 상응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함 지시는,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에 할당되는 시간 범위에 2개의 센서 부재(2, 3)의 신호 곡선들(5, 6)의 유사성의 정도가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하회한다는 점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함 지시는, 2개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 간의 상관값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하회한다는 점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함 지시는,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에 일측의 센서 부재(2, 3)가 유일한 센서 부재(2, 3)로서 제로 측정값과 상이하거나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상회하는 센서 측정값들(5, 6)을 공급한다는 점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15. 모터 변위식 폐쇄 부재(7)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폐쇄 부재 어셈블리이며,
    작동 이벤트의 발생 시 작동 메시지의 생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와 센서 컨트롤러(4)가 제공되고, 작동 메시지를 통해 폐쇄 부재(7)의 모터 변위가 야기될 수 있고, 센서 컨트롤러(4)는 작동 이벤트 모니터링 동안, 검출되는 작동 이벤트를 특징짓는, 센서 측정값들(5, 6)의 거동의 발생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3 )의 센서 측정값들(5, 6)을 모니터링하는 폐쇄 부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컨트롤러(4)는 결함 상황 모니터링 동안, 결함 상황을 특징짓는, 센서 측정값들(5, 6)의 거동의 발생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2, 3)의 센서 측정값들(5, 6)을 클록 제어 방식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센서 컨트롤러(4)는, 두 모니터링 조치에 따라 작동 이벤트가 존재하지만 결함 상황은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작동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센서 컨트롤러(4)는 결함 상황 모니터링 동안, 각각의 모니터링 시점에 결함 지시가 검출된다면 "결함 지시자" 변수를 클록 제어 방식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결함 지시자에 대해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센서 컨트롤러(4)에서 결함 상황이 검출된 것으로서 간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부재 어셈블리.
KR1020137019018A 2010-12-21 2011-11-23 작동 이벤트의 발생 시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KR101517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55297A DE102010055297A1 (de) 2010-12-21 2010-12-21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Bedienmeldung beim Auftreten eines Bedienereignisses
DE102010055297.6 2010-12-21
PCT/EP2011/005896 WO2012084111A1 (de) 2010-12-21 2011-11-23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bedienmeldung beim auftreten eines bedienereignis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007A KR20130100007A (ko) 2013-09-06
KR101517311B1 true KR101517311B1 (ko) 2015-05-04

Family

ID=4547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018A KR101517311B1 (ko) 2010-12-21 2011-11-23 작동 이벤트의 발생 시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37049B2 (ko)
EP (1) EP2655136B1 (ko)
KR (1) KR101517311B1 (ko)
CN (1) CN103459210B (ko)
DE (1) DE102010055297A1 (ko)
WO (1) WO2012084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2274A1 (de) 2011-09-05 2013-03-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Steuersystem
DE102011121775B3 (de) 2011-12-21 2013-01-3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Steuersystem
DE102012013065A1 (de) 2012-07-02 2014-01-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Verschlusselement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2014677A1 (de) 2012-07-25 2014-01-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Verschlusselementanordnung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2014676A1 (de) 2012-07-25 2014-01-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Verschlusselementanordnung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2107284A1 (de) * 2012-08-08 2014-02-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teuerungsverfahren und Steuerungssystem für ein Fahrzeugschließelement
LU92069B1 (en) * 2012-09-03 2014-03-04 Iee Sarl Capacitive sensor arrangement for switching a hatch opening on a vehicle
FR2995432B1 (fr) * 2012-09-10 2015-08-2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ouverture/fermeture d'ouvrant en acces main libre securise par detection de mouvement de membre inferieur d'utilisateur
GB2517128B (en) 2013-05-31 2015-12-09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GB2515006B (en) 2013-05-31 2015-11-25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GB2515005A (en) 2013-05-31 2014-12-17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GB2517129B (en) 2013-05-31 2015-12-09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GB2515007A (en) 2013-05-31 2014-12-17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DE102013010993A1 (de) * 2013-07-02 2015-01-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Objekterfass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2013018838A1 (de) * 2013-11-08 2015-05-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ahrzeug mit einer Stell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Stell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Stellvorrichtung
DE102013114881A1 (de) 2013-12-25 2015-06-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teuersystem für eine motorische Verschlusselement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3114883A1 (de) * 2013-12-25 2015-06-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teuersystem für eine motorische Verschlusselement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4101661A1 (de) 2014-02-11 2015-08-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Verschlusselement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4221244A1 (de) 2014-10-20 2016-04-2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Fahrzeug-Verstellelement
DE102015102633A1 (de) * 2015-02-24 2016-08-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Antriebsanordnung für ein Verschlusselement eines Kraftfahrzeugs
DE102015112589A1 (de) 2015-07-31 2017-02-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teuersystem für eine motorisch verstellbare Laderaum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CN107925407B (zh) 2015-08-13 2022-04-05 Iee国际电子工程股份公司 用于车辆后备箱开启器的电容性传感器系统的操作方法和鲁棒的电容性传感器系统
DE112016003831T5 (de) 2015-08-24 2018-05-24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 Engineering S.A. Adaptiver Signalschwellenwert zum Triggern einer Kickerfassung
JP6597198B2 (ja) 2015-11-05 2019-10-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操作入力検知装置及び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DE102015119701A1 (de) 2015-11-15 2017-05-1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für den Betrieb einer kapazitiven Sensor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5224108A1 (de) * 2015-12-02 2017-06-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uervorrichtung und Steuerverfahren für ein Fahrzeug mit automatisch öffnender und/oder automatisch schließender Klappe
DE102016108702A1 (de) * 2016-05-11 2017-11-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Bamber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motorischen Verschlusselement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JP6323694B2 (ja) * 2016-09-26 2018-05-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6805813B2 (ja) 2016-12-26 2020-12-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静電センサ
CN109849844B (zh) * 2017-11-30 2020-04-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避免误启动后背门的方法和装置
JP6485665B2 (ja) * 2018-03-26 2019-03-2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DE102019108693A1 (de) * 2019-04-03 2020-10-08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teuersystem für eine Verstellanordnung eines Verschlusselements eines Kraftfahrzeugs
DE102021104283A1 (de) 2021-02-23 2022-08-25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motorischen Klapp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FR3141901A1 (fr) * 2022-11-14 2024-05-17 Vitesco Technologies Système sécurisé de pilotage de l’ouverture et la fermeture d’un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653A (ja) * 1999-11-09 2001-08-31 Mazda Motor Corp 車両の開閉体制御装置
JP2007016412A (ja) 2005-07-05 2007-01-25 Nippon Soken Inc 車両の開閉自在な部材を開放するための制御装置
US20070087898A1 (en) * 2005-10-18 2007-04-19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Passive Start with invalid brake ON-OFF switch state
JP2009127244A (ja) 2007-11-21 2009-06-11 Toyota Motor Corp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施解錠制御方法、施解錠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0501B1 (fr) 1995-10-26 1998-06-19 Valeo Securite Habitacle Systeme mains libres de deverrouillage et/ou d'ouvertur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DE19900415B4 (de) 1999-01-08 2008-02-21 Leopold Kostal Gmbh & Co. Kg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schlüssellosen Zugangsberechtigungskontrolle für Kraftfahrzeuge
DE19901855A1 (de) * 1999-01-19 2000-07-20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Verstellantriebs in einem Kraftfahrzeug
DE19941475A1 (de) * 1999-09-01 2001-03-1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grenzen der Schließkraft von beweglichen Teilen
DE10233726A1 (de) * 2002-07-24 2004-02-12 Webasto Vehicle Systems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hinderung von Sauerstoffunterversorgung im Fahrzeuginnenraum
DE10251113A1 (de) * 2002-11-02 2004-05-19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pracherkennungssystems
DE102004021505B3 (de) * 2004-04-30 2005-09-2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tätigen von elektrischen oder elektromechanischen Einrichtungen an oder in einem Fahrzeug
JP4610300B2 (ja) 2004-11-02 2011-01-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制御方法
DE102004055982A1 (de) * 2004-11-19 2006-06-01 Daimlerchrysler Ag Schließsystem für ein Fahrzeug
DE102005032402B3 (de) * 2005-07-12 2006-09-28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m Nachweis einer Berechtigung zum Ver- oder Entriegeln eines Objekts sowie Sicherheitsvorrichtung
DE202005020140U1 (de) 2005-12-22 2007-05-10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anordnung
US7688013B2 (en) 2006-06-21 2010-03-30 Flextronics Automotiv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of a closure member
JP4905219B2 (ja) * 2007-03-29 2012-03-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開閉装置
EP2098670B1 (de) 2008-03-04 2011-11-02 Hella KGaA Hueck & Co. Kraftfahrzeug mit einem automatisch in eine Offen- und eine Schließstellung verstellbaren Fahrzeugteil
CN102015381B (zh) * 2008-04-29 2013-05-22 大众汽车有限公司 用于操纵汽车门或翻盖的方法和装置
DE102008063366B4 (de) * 2008-12-30 2022-04-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inrichtung zum berührungslosen Betätigen einer Heckklappe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r Heckklappe eines Kraftfahrzeuges und Kraftfahrzeug
DE102009023594A1 (de) * 2009-06-02 2010-12-09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Schließelements eines Fahrzeug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653A (ja) * 1999-11-09 2001-08-31 Mazda Motor Corp 車両の開閉体制御装置
JP2007016412A (ja) 2005-07-05 2007-01-25 Nippon Soken Inc 車両の開閉自在な部材を開放するための制御装置
US20070087898A1 (en) * 2005-10-18 2007-04-19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Passive Start with invalid brake ON-OFF switch state
JP2009127244A (ja) 2007-11-21 2009-06-11 Toyota Motor Corp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施解錠制御方法、施解錠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59210A (zh) 2013-12-18
EP2655136A1 (de) 2013-10-30
WO2012084111A1 (de) 2012-06-28
DE102010055297A1 (de) 2012-06-21
EP2655136B1 (de) 2015-02-25
US20140324273A1 (en) 2014-10-30
KR20130100007A (ko) 2013-09-06
CN103459210B (zh) 2016-11-09
US9637049B2 (en)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311B1 (ko) 작동 이벤트의 발생 시 작동 메시지 생성 방법
KR101575945B1 (ko) 차량의 폐쇄 요소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9283905B2 (en) Error avoidance in the gesture-controlled opening of a motor vehicle door and trunk
US67114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triggering of a mot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CN100374324C (zh) 用于控制保护行人用致动机构的装置
CN103381775B (zh) 控制车外后视镜从展开位置进入叠起位置中的方法和装置
US7349783B2 (en) Supplemental restraint deployment method with anticipatory crash classification
WO2008039878A2 (en) Magnetic sensing system and method
KR101877091B1 (ko) 섀시 시스템의 공압식 지상고 제어 시스템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방법
US20040099462A1 (en) Device for detecting a deformation of a structural component
JP2007155700A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US20040232673A1 (en) Variable time venting algorithm
JP2015536867A (ja) 多領域の強化された識別を用いて作動可能な拘束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Chan On the detection of vehicular crashes-system characteristics and architecture
CN106965805A (zh) 基于风险的车辆控制
US99506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a sensor signal and for actuating a passenger protection means of a vehicle
US7286920B2 (en) Collision determining device
EP1904344B1 (de) Vorrichtung zur Aufprallerkennung eines Fußgängers mit einem Fahrzeug
US11358604B2 (en) Sensor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ensor
KR101871862B1 (ko) 철도 차량의 도어 모니터링 장치 및 도어 모니터링 방법
JP2007118831A (ja) 車両用衝突物体判別装置及び歩行者保護装置作動システム
US6559557B2 (en) Error detection circuit for an airbag deployment control system
DE102021119789A1 (de) Verfahren zur automatisierten Steuerung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Fensters in einem Kraftfahrzeug
CN100340427C (zh) 用于乘客保护的装置
US20100241318A1 (en)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triggering passenger protection means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