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874B1 -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874B1
KR101516874B1 KR1020130092115A KR20130092115A KR101516874B1 KR 101516874 B1 KR101516874 B1 KR 101516874B1 KR 1020130092115 A KR1020130092115 A KR 1020130092115A KR 20130092115 A KR20130092115 A KR 20130092115A KR 101516874 B1 KR101516874 B1 KR 101516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keyboard
input
gesture input
area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980A (ko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키
Priority to KR102013009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874B1/ko
Priority to PCT/KR2013/011048 priority patent/WO2015016434A1/ko
Publication of KR2015001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터치 패널은 버추얼 키보드 영역과 버추얼 키보드 외부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기 버추얼 키보드 영역 상에서 제스쳐 입력이 이루어지면 이를 버추얼 키보드 외부 영역에서의 기능 수행 명령으로 인식하는 데 있다. 상기 기능 수행 명령은 커서 이동 명령일 수 있다. 이 경우 버추얼 키보드는 기존의 터치패드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버추얼 키보드 영역 상에서의 제스쳐 입력이 커서 이동 명령으로 인식되는 경우 버추얼 키보드 영역에 마련된 특정 키를 누른 상태에서 제스처 입력이 이루어지면 커서가 이동한 영역을 구역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버추얼 키보드 상에서의 제스쳐 입력이 버추얼 키보드 외부 영역에서의 스크롤 명령으로 인식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의 키 입력과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의 제스쳐 입력이 함께 이루어지면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실행된다는 데 있다. 특정 기능의 한 예로서, 제스쳐 입력의 길이에 따라 키 입력을 복수 회 반복 실행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키 입력의 반복 실행 횟수는 제스쳐 입력의 길이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APPARATUS INCLUDING IMPROVED VIRTUAL KEYBOARD}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이 장착된 휴대폰 등의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 상에 구현된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이 장착된 휴대폰 등의 장치에서는 물리적인 키보드가 아닌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터치 패널에 표시된 버추얼 키보드를 사용하여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고 있다.
도1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것으로서, 터치 패널이 장착된 스마트폰에서 화면 하단에는 버추얼 키보드가, 화면 상단에는 입력 중인 문장이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이미 입력한 문장 중에 오타 등의 수정하여야 할 부분이 발견되는 경우 사용자는 화면 하단의 버추얼 키보드에서 손가락을 떼어 화면 상단의 수정하고자 하는 문자 위치를 터치함으로써 커서를 이동시켜 수정을 실행한다. 그 이후, 사용자는 수정 전 입력 중이던 문자 위치를 터치하여 커서를 이동시키고 문자 입력을 재개한다.
이러한 수정 동작 이외에 이미 입력한 문장 중의 일부 구역을 설정하는데 있어서도 동일한 동작이 요구된다. 즉, 도1의 예에서 "집에 오는 길은 때론 너무 길어"를 구역 설정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버추얼 키보드에서 손가락을 떼어 화면 상단의 설정하고자 하는 구역의 시작 위치에 손가락을 놓고 드래그 동작을 통하여 구역 설정을 완료한 이후 저장을 실행하고 지속적인 문자 입력을 위하여 버추얼 키보드로 손가락을 복귀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 즉 문자 등의 입력 중에 버추얼 키보드에서 손가락을 떼어 버추얼 키보드 외부의 영역에서 손가락을 사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실행한 후 다시 버추얼 키보드로 손가락을 복귀시키는 동작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수반하는 동시에 문자 입력의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문자 등의 입력 중에 버추얼 키보드에서 손가락을 떼어 버추얼 키보드 외부의 영역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동작 없이,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의 제스쳐 입력을 통하여 문자 입력 이외의 다른 기능, 예컨대 포인팅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의 제스쳐 입력과 동일 영역 내에서의 키 입력의 결합을 통하여 기존의 버추얼 키보드가 수행할 수 없었던 새롭고 편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터치 패널은 버추얼 키보드 영역과 버추얼 키보드 외부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버추얼 키보드 영역 상에서 제스쳐 입력이 이루어지면 이를 버추얼 키보드 외부 영역에서의 기능 수행 명령으로 인식한다. 상기 기능 수행 명령은 커서 이동 명령일 수 있다. 이 경우 버추얼 키보드는 기존의 터치패드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버추얼 키보드 영역 상에서의 제스쳐 입력이 커서 이동 명령으로 인식되는 경우 버추얼 키보드 영역에 마련된 특정 키를 누른 상태에서 제스처 입력이 이루어지면 커서가 이동한 영역을 구역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버추얼 키보드 상에서의 제스쳐 입력이 버추얼 키보드 외부 영역에서의 스크롤 명령으로 인식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의 키 입력과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의 제스쳐 입력이 함께 이루어지면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실행된다는 데 있다. 특정 기능의 한 예로서, 제스쳐 입력의 길이에 따라 키 입력을 복수 회 반복 실행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키 입력의 반복 실행 횟수는 제스쳐 입력의 길이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 입력과 제스쳐 입력의 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새롭고 편리한 다양한 기능들은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추얼 키보드를 사용한 문자 입력 도중 원하는 위치로의 커서 이동을 위하여 버추얼 키보드 영역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화면 상단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종래기술 대비 훨씬 빠르고 편리하게 커서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원하는 위치로의 커서 이동 후에 버추얼 키보드로 복귀하여 문자 입력을 재개하는 것이 한결 수월해진다. 또한, 커서 이동 시뿐만 아니라 구역 설정 시나 리스트의 스크롤 등에 있어서도 손가락이 버추얼 키보드 영역을 떠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원하는 기능의 수행이 가능해진다. 한편, 키 입력과 제스쳐 입력의 결합에 의하여 기존의 버추얼 키보드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새로운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으며, 기존의 키보드에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서 실행되었던 기능들이 보다 직관적이고 빠르게 실행될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서 문자 입력 중 커서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추얼 키보드 영역에서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추얼 키보드 영역에서의 구역 설정 동작을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추얼 키보드 영역에서의 스크롤 동작을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추얼 키보드 영역에서 키 입력과 스크롤 입력이 결합되어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추얼 키보드 영역에서 문자 입력 중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 드래그 등의 제스쳐 입력을 하면 장치는 이를 커서 이동 명령으로 인식하여 화면 상단의 커서를 이동시킨다. 원하는 위치로의 커서 이동을 위하여 버추얼 키보드 영역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버추얼 키보드 외부의 영역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기술 대비 훨씬 빠르고 편리하게 커서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원하는 위치로의 커서 이동 후에 버추얼 키보드로 복귀하여 문자 입력을 재개하는 것이 수월해진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한 문자열의 일부를 구역 설정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버추얼 키보드 영역에서 문자 입력 중 동일 영역 내에서 드래그 등의 제스쳐 입력을 하면 장치가 버추얼 키보드를 커서를 이동시키는 포인팅 디바이스로 인식하는 점은 도2에서와 같다. 도3의 실시예에서는 도2에서와 달리 사용자가 한 손가락으로 제스쳐 입력을 하면서 다른 손가락으로 시프트(shift) 키를 누르고 있다. 그러면, 장치는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의 제스쳐 입력을 단순히 커서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인식하지 않고, 커서의 이동과 함께 구역을 설정하는 동작으로 인식한다. 즉, 장치는 시프트(shift) 키가 눌렸을 때의 커서의 위치에서부터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의 제스쳐 입력에 의하여 커서가 이동한 위치까지를 구역 설정한다. 이와 같이 구역 설정된 영역의 문자 또는 문자열은 예컨대 사용자의 저장 명령에 의하여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저장 명령 이외의 기타의 명령에 의하여 저장 이외의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반적인 키보드 장치에서 컨트롤(control) 키와 'C'입력을 동시에 하여 구역 설정된 문자 또는 문자열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과 같이, 저장 명령 등이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 문자 입력 중 구역을 설정하는 것에서부터 저장 명령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단 한번도 손가락이 버추얼 키보드 영역을 떠나지 않아도 된다. 이는 버추얼 키보드의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킨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과 같은 서비스의 게시물 입력 화면에서는 해시 태그(hash tag) 또는 특정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텍스트 입력 도중 텍스트 입력박스 위로 해당 리스트가 표시된다. 도4에는 "김"으로 시작하는 사용자 리스트가 터치 패널의 상단 표시부에 세로로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버추얼 키보드 영역 상에서 스크롤 동작을 행하면 장치는 이러한 동작을 화면 상단의 스크롤 바를 올리거나 내리라는 명령으로 인식한다. 이로써, 버추얼 키보드 영역에서 손가락을 떼어 화면 상단의 스크롤 바를 직접 터치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 없이도 연락처 리스트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이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5에서 사용자는 버추얼 키보드 상의 "ㅋ"을 입력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 제스쳐 입력을 실행한다. 그러면, 입력된 키인 "ㅋ"이 제스쳐 입력의 길이에 따라 복수회 반복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된 키인 "ㅋ"을 한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제스쳐 입력을 짧게 하면 "ㅋㅋ"가 입력되도록 하고, 입력된 키인 "ㅋ"을 한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제스쳐 입력을 길게 하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된 키의 반복 입력 횟수는 제스쳐 입력의 길이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 입력과 제스쳐 입력이 결합되어 수행되는 새로운 기능들의 예로서 다음의 것들이 가능하다.
백스페이스(backspace)는 현재 커서의 위치 이전에 있는 문자들을 삭제하는 기능으로 사용된다. 복수의 문자를 삭제하려는 경우에는 백스페이스(backspace)를 삭제하려는 문자의 수만큼 입력하여야 했다. 그런데, 백스페이스(backspace) 키를 한 손가락으로 입력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제스쳐 입력을 하면 제스쳐 입력의 길이에 비례하여 삭제하려는 문자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백스페이스(backspace)를 누른 상태에서 횡방향 제스쳐 입력을 길게 하면 많은 문자들을 삭제할 수 있고, 백스페이스(backspace)를 누른 상태에서 횡방향 제스쳐 입력을 짧게 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문자들을 삭제할 수 있다. 삭제하려는 문자의 수를 조절하는 제스쳐 입력과 다른 제스쳐 입력, 예컨대 종방향 제스쳐 입력을 백스페이스(backspace) 키의 입력과 결합시키면 전체 텍스트를 삭제하는 등의 삭제와 관련되지만 다른 형태로의 기능 구현이 가능해진다.
백스페이스(backspace) 뿐만 아니라 엔터(enter) 키나 스페이스(space) 키가 제스쳐 입력과 결합될 수도 있다. 엔터(enter) 키가 제스쳐 입력과 결합되는 경우, 제스쳐 입력의 길이에 따라 여러 칸 줄 바꿈을 시행하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고, 스페이스(space) 키가 제스쳐 입력과 결합되는 경우, 제스쳐 입력의 길이에 따라 여러 칸 띄움을 시행하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대문자와 소문자 사이의 변환도 키 입력과 제스쳐 입력의 결합으로 보다 편리하게 구현 가능하다. 소문자 입력 중 예컨대 "a" 키를 입력한 상태에서 위쪽으로 제스쳐 입력을 하면 "A"로 변환되도록 구현 가능하다. 반대로, 대문자 입력 중 예컨대 "A" 키를 입력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제스쳐 입력을 하면 "a"로 변환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독일어/스페인어 등 특수 알파벳을 사용하는 언어의 입력 중에 키 입력과 제스쳐 입력을 결합하면 보다 편리한 특수 알파벳의 입력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독일어의 "ё" 입력 시에 "e" 키를 누른 상태에서 특정 방향 제스쳐 입력을 실행함으로써 별도의 창을 띄워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과정 없이 빠르고 편리하게 특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은 위에 기재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한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7)

  1. 제스쳐 입력을 제공받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상에는 버추얼 키보드 영역이 표시되고,
    상기 터치 패널 상의 제스쳐 입력과 상기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의 키 입력의 결합에 의하여 특정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특정 기능의 수행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 입력의 길이가 독립 변수로 활용되고,
    상기 특정 기능은 상기 버추얼 키보드 영역 내에서의 키 입력에 의한 특정 문자를 상기 제스쳐 입력의 길이에 비례하여 복수회 반복 입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92115A 2013-08-02 2013-08-02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KR101516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15A KR101516874B1 (ko) 2013-08-02 2013-08-02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PCT/KR2013/011048 WO2015016434A1 (ko) 2013-08-02 2013-12-02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15A KR101516874B1 (ko) 2013-08-02 2013-08-02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573A Division KR102057279B1 (ko) 2014-10-02 2014-10-02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980A KR20150015980A (ko) 2015-02-11
KR101516874B1 true KR101516874B1 (ko) 2015-05-04

Family

ID=5243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115A KR101516874B1 (ko) 2013-08-02 2013-08-02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6874B1 (ko)
WO (1) WO201501643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6183A1 (en) 2007-06-22 2008-12-25 Apple Inc.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US20110254798A1 (en) 2009-12-18 2011-10-20 Peter S Adamson Techniques for recognizing a series of touches with varying intensity or angle of descending on a touch panel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755B1 (ko) * 2009-07-06 2009-10-27 라오넥스(주) 멀티터치 방식 문자입력 방법
KR101013219B1 (ko) * 2010-02-11 2011-02-14 라오넥스(주)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156610B1 (ko) * 2012-03-20 2012-06-14 라오넥스(주)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입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6183A1 (en) 2007-06-22 2008-12-25 Apple Inc.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US20110254798A1 (en) 2009-12-18 2011-10-20 Peter S Adamson Techniques for recognizing a series of touches with varying intensity or angle of descending on a touch panel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980A (ko) 2015-02-11
WO2015016434A1 (ko)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6827B (zh) 一种人机交互设备的文档编辑方法和装置
US113796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based formatting
CN104066012A (zh) 一种智能电视输入汉字的方法及装置
WO2010089918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JP5102894B1 (ja) 文字入力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601417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更新プログラム
KR102057279B1 (ko)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KR101516874B1 (ko)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TWI489368B (zh) 周邊裝置及其操作方法及應用其之電子系統
JP2013081126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99755B2 (ja) 携帯端末、入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197051U (ja) キー入力装置
JP5712232B2 (ja) 入力装置
JP5189706B1 (ja)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携帯端末によって実行さ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140236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102129233B1 (ko)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3033553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WO2017159607A1 (ja) 入力支援装置、スマートフォンおよび入力支援方法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KR101328557B1 (ko)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
KR10117172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WO2010149225A1 (en) User interface for a device
JP2014089503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546687B1 (ko) 터치스크린 기반의 한글 자판을 갖는 전자장치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의 입력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JP201609114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