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720B1 - 인히비터 스위치 - Google Patents

인히비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720B1
KR101514720B1 KR1020130103173A KR20130103173A KR101514720B1 KR 101514720 B1 KR101514720 B1 KR 101514720B1 KR 1020130103173 A KR1020130103173 A KR 1020130103173A KR 20130103173 A KR20130103173 A KR 20130103173A KR 101514720 B1 KR101514720 B1 KR 101514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or
contact portion
contact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426A (ko
Inventor
임승구
유대현
조성화
조수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3010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72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는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히비터 스위치는, 차량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트랜스미션컨트롤유닛(TCU)에 변속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인히비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면에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상호 이격되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된 로터,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컨택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택터는, 일면이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에 접촉하는 접촉부, 일단이 상기 접촉부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히비터 스위치{INHIBITOR SWITCH}
본 발명은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는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히비터 스위치는 자동 변속기에 적용되어 시프트 레버의 P-R-N-D단 위치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변속제어유닛에 제공한다.
그리고 변속제어유닛으로 하여금 선택된 레인지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의 조건에 따라 업/다운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가 'P' 레인지 혹은 'N' 레인지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엔진제어수단에 시동성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는 등록특허공보 제10-0634228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측에 레버홀(41)이 형성된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 상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4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터미널(42)과, 상기 터미널(4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터미널(42)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시키는 다수개의 돌기부(43)와, 상기 레버홀(41)에 끼워져 가동되고 탄성부재(32)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22)이 마련된 로터(20)와, 상기 로터(20)에 장착되어 상기 터미널(42)의 연결을 제어하되 상기 터미널(42)방향의 하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컨택터(30) 및 상기 하우징(40)을 커버하는 커버(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택터(30)는 상기 탄성부재(32)의 타단이 삽입되는 수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1)의 양측부의 상부가 상기 삽입홈(22)에 삽입 장착되어 상하이동되는 컨택터몸체(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2)와 컨택터(30)가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수의 부품으로 인한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32)와 상기 컨택터(30) 및 로터(20)가 서로 독립된 부품으로 구성되어 상기 컨택터(30)를 상기 로터(20)의 삽입홈(22)에 결합시킬 때, 상기 컨택터(30)가 상기 탄성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홈(22)으로부터 이탈되기도 하였고, 상기 탄성부재(32)와 상기 컨택터(30) 및 로터(20)를 조립하기 위한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의 조립 불량률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부재와 컨택터를 일체로 형성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상기 컨택터의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의 조립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인히비터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히비터 스위치는, 차량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트랜스미션컨트롤유닛(TCU)에 변속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인히비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면에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상호 이격되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된 로터,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컨택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택터는, 일면이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에 접촉하는 접촉부, 일단이 상기 접촉부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부의 타면으로부터 바깥쪽 방향 및 안쪽 방향으로 교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부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의 하면에 결합되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좌우로 휘어진다.
상기 탄성부는, 타단이 상기 삽입홈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는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와 컨택터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상기 컨택터의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의 조립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가 상기 접촉부의 타면으로부터 바깥쪽 방향 또는 안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택터가 외력에 의해 상승 후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 될 수 있다.
상기 컨택터의 타면이 상기 삽입홈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컨택터가 상기 로터의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전기적으로 더 명확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히비터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인히비터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컨택터와 로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컨택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컨택터와 로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컨택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는 차량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트랜스미션컨트롤유닛(TCU)에 변속신호를 온/오프시키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로터(200), 컨택터(300: CONTAC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면에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이 서로 상호 이격되어 장착 배치된다.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은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원호형상으로 장착 배치되며,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사이에는 돌출부(130)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이 각각 1개씩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장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원호방향으로 다수개가 서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데 그 길이는 장치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로터(200)는 상기 변속단(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터(200)의 회전된 위치가 자동 변속기에 적용되어 상기 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시프트 레버의 P-R-N-D단 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로터(200)의 원호 방향에는 삽입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10)은 상기 로터(200)의 하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상으로 개방되어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로터(200)의 하방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컨택터(300)는 상기 로터(20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210)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200)의 회전시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컨택터(300)의 일면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모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컨택터(300)에 의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제1터미널(110) 또는 제2터미널(12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이격되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은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컨택터(300)는 상기 컨택터(300)는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금속과 같은 전도체 재질을 사용해야 하며, 상기 컨택터(300)와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의 전기적인 통전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컨택터(300)와 제1터미널(110)및 제2터미널(120)을 은으로 도금하여 사용됨도 가능하다.
상기 컨택터(300)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접촉부(310)와 탄성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310)는 일면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접촉부(310)의 일면에는 접촉돌기(3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31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1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부(130)의 돌출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접촉부(310)의 일면 양쪽에서 상기 돌출부(130)의 폭보다 넓은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310)의 일면에 접촉돌기(311)가 돌출 형성되어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을 전기적으로 명확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310)의 돌출부(130)는 상기 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돌출부(130)의 상면에 배치될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을 전기적으로 차단한다.
반대로, 상기 접촉부(310)의 돌출부(130)는 상기 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돌출부(130)의 상면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탄성부(320)는 일단이 상기 접촉부(310)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310)를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320)일단이 상기 접촉부(310)의 타면 양쪽으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삽입홈(210)의 하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320)를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접촉부(310)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310)를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면, 상기 판 스프링 외에도 코일스프링과 같은 종류의 탄성체를 사용함도 가능하다.
따라서,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은 상기 접촉부(310)의 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310)의 타면으로부터 바깥쪽 방향 및 안쪽 방향으로 교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320)의 타단은 상기 삽입홈(310)의 하면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서트(INSERT)방식으로 결합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이 상기 접촉부(310)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310)의 타면으로부터 바깥쪽 방향 및 안쪽 방향으로 교대로 경사진 상기 탄성부(320)에 의해 상기 접촉부(310)를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즉, 상기 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돌출부(130)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경우, 상기 탄성부(3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310)가 상기 삽입홈(210)의 하방향으로 밀림으로써, 상기 접촉돌기(311)가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각각 용이하게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돌출부(130)에 의해 발생된 외력이 적용되어 상승 후,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부(32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 될 수 있다.
또한, 컨택터(30)를 조립할 때, 상기 컨택터(30)의 탄성부재(32)가 로터(20)의 삽입홈(22)으로부터 이탈되었던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의 컨택터(300)는 상기 탄성부(320)가 삽입홈(210)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로터(200)의 삽입홈(2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컨택터(300)의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의 조립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탄성부(320)는 도 6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부(310)의 타면으로부터 바깥쪽 방향 및 안쪽 방향으로 교대로 경사진 상기 탄성부(320)로 이루어졌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과 타단 사이가 서로 바깥쪽 방향으로 약간 휘어져 상기 삽입홈(210')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컨택터(300')는 전체적으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과 타단 사이가 서로 바깥쪽 방향으로 약간 휘어진 상태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은 상기 접촉부(310')의 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320')의 타단은 상기 삽입홈(210')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30')에 의해 발생된 외력이 상기 접촉부(310')에 가해지면, 상기 삽입홈(210')의 하면방향으로 상승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휘어짐으로써, 상기 컨택터(300')가 외력에 의해 상승 후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부(32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바깥쪽 방향으로 약간 휘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안쪽 방향으로 약간 휘어진 상태로 연장됨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과 타단 사이가 서로 바깥쪽 방향 또는 안쪽 방향으로 약간 휘어짐으로써, 상기 돌출부(130')에 의해 발생된 외력이 상기 접촉부(310')에 가해질 때,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과 타단 사이가 한쪽은 바깥쪽 방향으로 휘어지고 다른 한쪽은 안쪽 방향으로 휘어지는것이 저지된다.
즉, 상기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에 접촉되는 상기 접촉부(310)의 접촉균형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어 발생된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히비터 스위치는 상기 탄성부(320, 320')에 의해 상기 컨택터(300, 300')가 상기 돌출부(130, 130')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승 후 외력이 사라지면 다시 윈위치 될 수 있고, 상기 컨택터(300, 300')가 상기 로터(200, 200')의 삽입홈(210, 210')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컨택터(300, 300')를 조립하거나, 상기 컨택터(300, 300')에 상기 돌출부(130, 130')에 의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컨택터(300, 300')가 상기 로터(200, 200')의 삽입홈(210, 2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310, 310')의 하면에 상기 접촉돌기(311, 311')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택터(300, 300')가 상기 제1터미널(110, 110') 및 제2터미널(120, 120')을 전기적으로 명확하게 연결 및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컨택터(300, 300')의 탄성부(320, 320')가 상기 접촉부(310, 310')의 타면으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택터(300, 300')를 이루는 부품수 및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10: 제1터미널
120: 제2터미널 130: 돌출부
200: 로터 210: 삽입홈
300: 컨택터 310: 접촉부
311: 접촉돌기 320: 탄성부

Claims (5)

  1. 차량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트랜스미션컨트롤유닛(TCU)에 변속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인히비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면에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상호 이격되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된 로터;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컨택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택터는,
    일면이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에 접촉하는 접촉부;
    일단이 상기 접촉부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타단이 상기 삽입홈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인서트 고정 결합되는 탄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부의 타면으로부터 바깥쪽 방향 및 안쪽 방향으로 교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부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의 하면에 결합되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좌우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는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KR1020130103173A 2013-08-29 2013-08-29 인히비터 스위치 KR101514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73A KR101514720B1 (ko) 2013-08-29 2013-08-29 인히비터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73A KR101514720B1 (ko) 2013-08-29 2013-08-29 인히비터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426A KR20150025426A (ko) 2015-03-10
KR101514720B1 true KR101514720B1 (ko) 2015-04-24

Family

ID=5302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173A KR101514720B1 (ko) 2013-08-29 2013-08-29 인히비터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073B1 (ko) * 2017-12-26 2019-06-13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0343A (ja) * 2004-10-19 2006-05-11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0343A (ja) * 2004-10-19 2006-05-11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426A (ko) 201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253B1 (ko) 로터리형 푸시 스위치
JP2012151021A (ja) コネクタ
US4389549A (en) Side actuated miniature dip switch
AU762140B2 (en) Power supply terminal-housing motor
JP5596633B2 (ja) スイッチ装置
CN101730919B (zh) 用于机动车的电开关
EP378374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704021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514720B1 (ko) 인히비터 스위치
WO2012077362A1 (ja) 電磁継電器
CN109859991B (zh) 继电器
KR101112211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CN110970266A (zh) 电磁继电器
JP5194733B2 (ja) 車両用スイッチ
CN205863070U (zh) 三档开关
US9208974B2 (en) Disk type off-circuit tap changer
KR101500564B1 (ko) 인히비터 스위치
JP6554829B2 (ja) 液面検出装置
US814221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actuator
US5856774A (en) Holding structure for terminal of variable resistor
CA1266873A (en) Cammed wire snap switch
US2011024473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well electrical connection performance
CN111463069A (zh) 电磁继电器
CN201788861U (zh) 大距离微动开关
US4384177A (e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