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073B1 -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073B1
KR101989073B1 KR1020170179762A KR20170179762A KR101989073B1 KR 101989073 B1 KR101989073 B1 KR 101989073B1 KR 1020170179762 A KR1020170179762 A KR 1020170179762A KR 20170179762 A KR20170179762 A KR 20170179762A KR 101989073 B1 KR101989073 B1 KR 101989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lock
sensor
pressure sensor
pressure
automatic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대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시프트레버와 연결되는 무빙블록과, 본체에 구비되며, 무빙블록의 움직임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변속감지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INHIBITOR SWITCH FOR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빙블록의 움직임을 단순한 구조로 감지하여 사용되는 부품의 수량을 줄이면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히비터 스위치(Inhibitor Switch)는 운전자가 조작레버를 조작하면 조작레버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여 자동변속기 제어장치(Transmission Control Unit; TCU)에 그 변속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이다. 인히비터 스위치는 조작레버의 포지션이 N레인지와 P레인지 이외에서는 엔진이 시동되지 않도록 하며, 조작레버의 포지션이 R레인지인 경우에는 백업 램프가 점등되도록 한다.
인히비터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스위치 하우징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 개의 터미널부와, 터미널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컨텍터부가 설치되고, 스위치 하우징에 회전되도록 설치된 회전레버부와, 스위치 하우징의 상측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4890호(2005.12.01 등록, 발명의 명칭: 자동 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의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인히비터 스위치는 컨텍터가 움직임에 따라 접점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터미널 단자로 인하여 부품수가 증가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빙블록의 움직임을 단순한 구성으로 감지하여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시프트레버와 연결되는 무빙블록;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블록의 움직임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변속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속감지 센서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압력센서; 및 상기 무빙블록과 상기 압력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블록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센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무빙블록과 상기 센서 가압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가압부재는, 상기 무빙블록의 움직임에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면서 상기 압력센서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가압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가압부재는, 일단이 상기 무빙블록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압력센서에 접촉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빙블록와 변속감지 센서부를 이용하여 변속신호를 출력하므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100)는 본체(110)와, 무빙블록(120)과, 변속감지 센서부(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내부에 무빙블록(120) 및 변속감지 센서부(13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일측에 변속감지 센서부(130)와 TCU(도시생략)를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113)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110)는 설치공간부(111)에 무빙블록(1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설치공간부(111)가 커버(도시생략)에 의해 밀폐된다.
특히, 본체(110)는 무빙블록(120)의 회전 및 변속감지 센서부(130)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15)를 구비한다. 가이드부재(115)는 설치공간부(111)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결합되어 작동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무빙블록(120)은 설치공간부(111)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변속감지 센서부(13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무빙블록(120)은 케이블(도시생략)에 의해 시프트레버(10)와 연결되며, 자동차의 기어를 변속하기 위해 시프트레버(10)를 조작하면, 시프트레버(10)에 연결된 케이블이 이동함에 따라 본체(110)에서 P-R-N-D단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P는 차량의 주차(Parking), R은 차량의 후진(Reverse), N은 차량의 중립(Neutral), D는 차량의 주행(Drive)을 의미하며, 본체(110)에서 회전하는 무빙블록(120)의 위치에 따라 P-R-N-D 중 어느 하나의 신호로 검출된다.
예를 들어 무빙블록(120)은 P단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R단, N단, D단 위치로 회전하면서 변속감지 센서부(130)를 가압한다. 그러면 변속감지 센서부(130)에서 P, R, N, D 신호를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무빙블록(120)은 변속감지 센서부(130)와 접촉하는 가압플레이트(121)를 구비하고, 가압플레이트(121)의 끝단부가 가이드부재(115)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변속감지 센서부(130)는, 본체(110)의 설치공간부(111)에 구비되며, 무빙블록(120)이 회전함에 따라 가압되어 압축 또는 이완되면서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압력신호를 TCU로 전송한다. 이러한 변속감지 센서부(130)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도록 설치공간부(111)에 구비되는 압력센서(131)와, 무빙블록(120)의 회전에 따라 압력센서(131)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센서 가압부재(133)를 포함한다.
압력센서(131)는 가이드부재(115)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도록 설치공간부(111)에 결합되며, 센서 가압부재(133)가 접촉된다. 이러한 압력센서(131)는 센서 가압부재(133)에서 전달되는 압력 변화에 따라 P, R, N, D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TCU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압력센서(131)는 센서 가압부재(133)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이 가장 약하면 P 신호를 출력하고, 센서 가압부재(133)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R, N, D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센서 가압부재(133)는 압축 또는 이완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며, 일단이 무빙블록(120)에 지지되고 타단이 압력센서에 접촉된다. 이러한 센서 가압부재(133)는 본체(110)의 가이드부재(115)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작동공간에 삽입되며, 무빙블록(120)을 통해 압축 또는 이완되면서 압력센서(131)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센서 가압부재(133)는 무빙블록(120)이 압력센서(131)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압축되면서 압력센서(131)를 가압하는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센서 가압부재(133)는 무빙블록(120)이 P단에 위치하면 압력센서(131)를 가장 작은 압력으로 가압하고, 무빙블록(120)이 P단에서 R단, N단, D단으로 회전할수록 압력센서(131)를 가압하는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센서 가압부재(133)는 무빙블록(120)의 가압플레이트(121)가 압력센서(131)에 근접할수록 압력센서(131)를 더 큰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시프트레버(10)가 P단에 위치하면 무빙블록(120)의 가압플레이트(121)가 압력센서(131)에서 가장 멀리 이격되고, 센서 가압부재(133)가 압력센서(131)를 가압하는 압력값이 가장 작은 압력값을 유지한다. 이때, 압력센서(131)는 P 신호를 TCU로 전송한다.
이후, 시프트레버(10)가 R단으로 이동되면 무빙블록(120)이 압력센서(131)측으로 회전하면서 센서 가압부재(133)를 압력센서(131)측으로 압축시킨다. 그러면 센서 가압부재(133)가 압력센서(131)를 가압하는 압력값이 증가하고, 압력센서(131)는 R 신호를 TCU로 전송한다.
그리고 시프트레버(10)가 N단으로 이동되면 무빙블록(120)이 R단 위치에서 압력센서(131)측으로 회전하면서 센서 가압부재(133)를 압력센서(131)측으로 더 압축시킨다. 그러면 센서 가압부재(133)가 압력센서(131)를 가압하는 압력값이 R단 위치의 압력값보다 더 증가하게 되고, 압력센서(131)는 N 신호를 TCU로 전송한다.
더하여, 시프트레버(10)가 D단으로 이동되면 무빙블록(120)이 N단 위치에서 압력센서(131)측으로 더 회전하면서 센서 가압부재(133)를 압력센서(131)측으로 더 압축시킨다. 그러면 센서 가압부재(133)가 압력센서(131)를 가압하는 압력값이 N단 위치의 압력값보다 더 증가하게 되고, 압력센서(131)는 D 신호를 TCU로 전송한다.
즉, 무빙블록(120)이 P단에서 R단, N단, D단으로 회전할수록 압력센서(131)에 가해지는 압력값이 P단 < R단 < N단 < D단 순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100)는 변속감지 센서부(130)가 압력센서(131)와 센서 가압부재(133)만으로 이루어지므로, 본체(110)에 설치되는 구조 단순할 뿐만 아니라, 본체(110)의 구성 또한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100)는 압력센서(131)와 TCU가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압력센서(131)와 TCU를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113)의 접속단자 수량을 줄일 수 있어 터미널부(113)과 본체(1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100)는 변속감지 센서부(130)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생산공정을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조수석 에어백 도어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110 : 본체 111 : 설치공간부
113 : 터미널부 115 : 가이드부재
120 : 무빙블록 121 : 가압플레이트
130 : 변속감지 센서부 131 : 압력센서
133 : 센서 가압부재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시프트레버와 연결되는 무빙블록;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블록의 움직임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변속감지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감지 센서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압력센서; 및 상기 무빙블록과 상기 압력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블록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센서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무빙블록과 상기 센서 가압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가압부재는, 상기 무빙블록의 움직임에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면서 상기 압력센서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가압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6. 제1항,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가압부재는, 일단이 상기 무빙블록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압력센서에 접촉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KR1020170179762A 2017-12-26 2017-12-26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KR101989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62A KR101989073B1 (ko) 2017-12-26 2017-12-26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62A KR101989073B1 (ko) 2017-12-26 2017-12-26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073B1 true KR101989073B1 (ko) 2019-06-13

Family

ID=6684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762A KR101989073B1 (ko) 2017-12-26 2017-12-26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0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4796A (ja) * 2009-07-31 2011-02-17 Alps Electric Co Ltd 入力制御装置
JP2013030460A (ja) * 2011-06-20 2013-02-07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KR20150025426A (ko) * 2013-08-29 2015-03-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인히비터 스위치
KR101724952B1 (ko) * 2015-11-26 2017-04-07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4796A (ja) * 2009-07-31 2011-02-17 Alps Electric Co Ltd 入力制御装置
JP2013030460A (ja) * 2011-06-20 2013-02-07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KR20150025426A (ko) * 2013-08-29 2015-03-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인히비터 스위치
KR101724952B1 (ko) * 2015-11-26 2017-04-07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038B1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US5913935A (en) Shift control mechanism to manually shift an automatic transmission
CN102086931B (zh) 换档档位感应装置
US20040162661A1 (en) Range selection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US8397894B2 (en) Apparatus for locking shif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in vehicle
KR102238050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KR20120062445A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스위치
KR101704253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KR101989073B1 (ko)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KR20180098457A (ko) N 단 시프트락 기능을 구비한 변속 레버 시스템
KR102166706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CN112797149A (zh) 电子换挡系统的旋钮式换挡控制设备
KR102579361B1 (ko) 차량용 변속레버의 위치결정장치
CN111927945B (zh) 线缆的位置检测设备以及用于电子手动变速器的换挡线缆的位置检测设备
KR100844703B1 (ko) 자동변속기의 스포츠 모드 업/다운 스위치
CN109611544B (zh) 一种自动升降式电子旋钮换挡器总成
CN115289208A (zh) 电子换档控制装置
CN202371140U (zh) 变速操纵装置、变速操纵系统以及汽车
KR20160123601A (ko) Btsi 일체형 변속장치
KR101520192B1 (ko) 변속제어모듈
US10865876B2 (en) Shift lever apparatus for vehicle
KR100290354B1 (ko) 자동변속기용변속조작장치
KR20000010254A (ko) 자동차의 클러치조작용 보조장치
KR20180077486A (ko) 레버 및 버튼 타입의 sbw 센서 통합 장치
KR100298643B1 (ko) 차량용자동클러치장치의변속위치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