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952B1 -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 Google Patents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952B1
KR101724952B1 KR1020150166074A KR20150166074A KR101724952B1 KR 101724952 B1 KR101724952 B1 KR 101724952B1 KR 1020150166074 A KR1020150166074 A KR 1020150166074A KR 20150166074 A KR20150166074 A KR 20150166074A KR 101724952 B1 KR101724952 B1 KR 10172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jaw
block
roller
mov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대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56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 H01H19/58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2057/0056Mounting parts arranged in special position or by special sequence, e.g. for keeping particular parts in his position during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2Application transmission, e.g.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 gear selector or automa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는 시프트 레버에 연결된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10)가 관통하여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무빙 블록(20)의 한쪽 끝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무빙 블록(20)의 회전반경에서 상이한 높이차 P-R-N-D를 갖는 변속구간블록(40)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상이한 높이차 P-R-N-D에 의한 압력센서(31)의 물리적 변화로 변속단 온/오프(ON/OFF)신호 패턴이 형성되는 무빙 컨텍터(30)를 포함함으로써 비접촉식과 같이 자성에 취약하지 않고 동시에 접촉식과 같이 마모로 인한 이상 신호 출력도 해소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Pressing Contact type Inhibitor Switch}
본 발명은 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력센서가 적용된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 하우징에 장착된 인히비터 스위치는 시프트레버 조작에 의한 자동변속기의 P, R, N, D의 신호를 터미널과 컨텍터의 물리적 접촉으로 만들어진 조합 신호을 MCU(Motor Control Unit)(또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MCU는 TCU로부터 송신되는 변속 신호에 따라 각도조절밸브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각도조절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공급 방향을 결정하여 다수 개의 마찰요소에 선택적으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는 도 6의 접촉식 인히비터 스위치와 도 7의 비접촉식 인히비터 스위치로 구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촉식 인히비터 스위치는 P, R, N, D를 조작하는 시프트 fp버와 연계된 매뉴얼컨트롤 샤프트의 회전운동이 M-블록과 함께 조립되어 있는 M-컨텍터를 터미널간의 슬라이딩 운동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전기적 통전신호를 만들어내 MCU로 신호를 보내는 방식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비접촉식 인히비터 스위치는 매뉴얼컨트롤 샤프트와 회전운동을 같이하는 블록에 자석을 장착하고, 블록의 움직임을 홀 IC가 감지하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여 MCU로 신호를 보내는 방식이다.
국내특허공개공보10-2000-0066788호(2000.11.15)
하지만, 접촉식 인히비터 스위치는 M-컨텍터와 터미널간의 접촉 부위 마모로 접촉 불량을 발생함으로써 이상 신호 출력 가능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또한, 비접촉식 인히비터 스위치는 자석과 홀 IC를 이용함으로써 외부 장치 및 자성체의 대한 영향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P-R-N-D 구간별 높이차에 의한 스프링 압축 변형이 압력센서의 물리적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압력센서의 변화된 압력값으로 전기적 통전신호를 만들어내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는 시프트 레버에 연결된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가 관통하여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무빙 블록; 상기 무빙 블록의 한쪽 끝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무빙 블록의 회전반경에 위치된 변속구간블록을 따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고, 상기 변속구간블록의 상이한 높이차 P-R-N-D에 의해 변속단 온/오프(ON/OFF)신호 패턴을 형성하는 무빙 컨텍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무빙 컨텍터는 상기 변속단 온/오프(ON/OFF)신호 패턴을 압력센서의 물리적 변화로 생성한다. 상기 압력센서는 스프링의 압축변형에 따른 스프링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변속단 온/오프(ON/OFF)신호 패턴을 압력센서로 생성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변속구간블록의 P-R-N-D의 위치를 지나는 롤러의 높이 변화로 압축 길이를 달리한다. 상기 롤러와 상기 스프링의 사이에는 롤러 핀을 매개로 상기 무빙 블록과 결합된 롤러 브래킷이 위치되고, 상기 롤러 핀은 상기 롤러의 자유 회전 축으로 작용한다. 상기 롤러 핀은 상기 롤러가 상기 무빙 블록의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서 상기 무빙 블록을 관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변속구간블록은 P 구간 턱과 R 구간 턱, N 구간 턱 및 D 구간 턱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P 구간 턱, 상기 R 구간 턱, 상기 N 구간 턱, 상기 D 구간 턱은 상기 상이한 높이차 P-R-N-D를 형성한다. 상기 상이한 높이차 P-R-N-D는 상기 P 구간 턱의 높이를 최대높이로 하고, 상기 D 구간 턱의 높이를 최소높이로 하며, 상기 R 구간 턱의 높이와 상기 N 구간 턱의 높이는 상기 최대높이와 상기 최소높이의 사이에서 높이차를 갖는다. 상기 R 구간 턱의 높이는 상기 N 구간 턱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무빙 블록은 센서 바디를 형성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상기 무빙 컨텍터를 내부공간으로 수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는 상기 무빙 블록이 수용된 내부공간을 형성한 커버를 관통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으로 상기 변속구간블록이 배열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한 언더 커버, 상기 언더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어퍼 커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는 스프링 압축 변형을 압력센서의 물리적 변화에 이용함으로써 비접촉식과 같이 자성에 취약하지 않고 동시에 접촉식과 같이 마모로 인한 이상 신호 출력도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의 구성도이며, 도 2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가 P, R, N, D의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 상태이고, 도 6은 종래에 따른 접촉식 인히비터 스위치의 예이며, 도 7은 종래에 따른 비 접촉식 인히비터 스위치의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는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10), 무빙 블록(20), 무빙 컨텍터(30), P-R-N-D의 변속구간블록(40), 커버(5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10)는 무빙 블록(20)을 관통하여 무빙블록(20)을 고정하고, 케이블로 연결된 시프트 레버의 조작으로 회전됨으로써 무빙 블록(20)을 회전시켜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블록(20)은 직사각체로 형성되어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10)와 고정된 고정단과 무빙 컨텍터(30)를 구비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무빙 블록(20)은 직사각체로 이루어진 회전 암(21), 회전 암(21)의 끝에서 직사각체로 이루어진 센서 바디(23)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 암(21)은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10)와 결합된 고정단과 센서 바디(23)를 형성한 자유단으로 구분된다. 상기 센서 바디(23)는 바디의 내부로 센서 홈(23-1)과 축홀(23-2)을 형성하여 무빙 컨텍터(30)가 내장된다. 특히, 상기 센서 홈(23-1)은 센서 바디(23)의 위쪽부위에서 센서 바디(23)의 일부 절개에 의한 외부노출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축홀(23-2)은 센서 홈(23-1)과 연통되어 센서 바디(23)의 아래쪽이 트여진 개방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컨텍터(30)는 센서 바디(23)에 내장되어 무빙 블록(20)과 일체로 형성되고, 무빙 블록(20)의 회전으로 지나가는 변속구간블록(40)에 대한 압력변화로 도시되지 않은 MCU 또는 TCU로 전송되는 P-R-N-D의 변속단 온/오프(ON/OFF)신호 패턴을 발생시켜 준다.
이를 위해, 상기 무빙 컨텍터(30)는 압력센서(31), 무빙 엔드(32), 스프링(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센서(31)는 센서 바디(23)의 센서 홈(23-1)에 수용되고, 기계식이나 전자식이나 반도체식으로 P-R-N-D의 접점에 대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며, 도시되지 않은 MCU 또는 TCU로 이어진 P-R-N-D의 접점 스위치와 전기 회로를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무빙 엔드(32)는 변속구간블록(4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롤러(32-1), 롤러 핀(32-3)을 매개로 무빙 블록(20)의 센서 바디(23)에 고정되어 롤러(32-1)가 센서 바디(23)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자유 회전되는 롤러 브래킷(32-2)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롤러 브래킷(32-2)은 센서 바디(23)의 축홀(23-2)로 삽입되고, 상기 롤러 핀(32-3)은 센서 바디(23)에 수직하게 뚫린 장공을 관통함으로써 롤러(32-1)의 상승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스프링(33)은 센서 바디(23)의 축홀(23-2)로 수용되고, 압력센서(31)와 롤러 브래킷(32-2)의 사이에서 수직하게 배열됨으로써 변속구간블록(40)의 P-R-N-D에 의한 롤러(32-1)의 높이 변화로 압축량을 달리하여 탄성변형되며, 압축량의 변화로 압력센서(31)의 물리적 변화를 발생시킴으로써 압력센서(31)에서 P-R-N-D 구간별 전기 신호인 변속단 온/오프(ON/OFF)신호 패턴이 생성된다. 상기 스프링(33)은 코일스프링 타입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속구간블록(40)은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10)에 의한 무빙 블록(20)의 회전반경에서 센서 바디(23)가 지나는 경로와 일치하는 반경을 갖고, P 구간 턱(40-1)과 R 구간 턱(40-2), N 구간 턱(40-3) 및 D 구간 턱(40-4)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호형상을 이루어 커버(50)에 구비된다. 특히, 상기 P 구간 턱(40-1)과 상기 R 구간 턱(40-2), 상기 N 구간 턱(40-3) 및 상기 D 구간 턱(40-4)은 P-R-N-D 구간별 높이차를 둠으로써 롤러(32-1)의 높이 차로 달라지는 스프링(33)의 압축량이 압력센서(31)의 물리적 변화를 발생시킨다.
일례로, 상기 P 구간 턱(40-1)의 높이 Hp를 100%로 하였을 때, 상기 R 구간 턱(40-2)의 높이 HR는 150%이고, 상기 N 구간 턱(40-3)의 높이 HN는 125%이며, 상기 D 구간 턱(40-4)의 높이 HD는 175%이다. 그러므로, 상기 P 구간 턱(40-1)의 높이 Hp에 의한 스프링(33)의 압축길이 Lp를 100%로 하였을 때, 상기 R 구간 턱(40-2)의 높이 HR에 의한 스프링(33)의 압축길이 LR은 150%이고, 상기 N 구간 턱(40-3)의 높이 HN에 의한 스프링(33)의 압축길이 LN은 125%이며, 상기 D 구간 턱(40-4)의 높이 HD에 의한 스프링(33)의 압축길이 LD는 175%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50)는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10)가 관통하는 언더 커버(51)와 어퍼 커버(53)로 구분된다. 상기 언더 커버(51)는 무빙 컨텍터(30)와 일체화된 무빙 블록(20) 및 P-R-N-D의 변속구간블록(40)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특히 상기 변속구간블록(40)은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상기 어퍼 커버(53)는 언더 커버(51)의 위쪽으로 결합됨으로써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여 준다. 상기 언더 커버(51)와 상기 어퍼 커버(53)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억지 끼움체결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한 고정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도 2내지 도 5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의 P, R, N, D의 신호 발생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스프링(33)의 길이인 최대 압축길이를 6mm로 하고, 최소압축길이를 10.5mm로 적용한다.
도 2는 P 변속의 온/오프(ON/OFF)신호 발생 상태로서, 이는 시프트 레버의 P 조작으로 무빙 블록(20)과 함께 무빙 컨텍터(30)가 변속구간블록(40)의 P 구간 턱(40-1)으로 회전되고, 그러면 P 구간 턱(40-1)에 위치된 롤러(32-1)에 의한 롤러 브래킷(32-2)의 높이 상승은 스프링(33)을 최대 압축길이 Lp로 압축 변형시킴으로써 스프링(33)의 길이는 10.5mm에서 6mm로 줄어든다. 그 결과 압력센서(31)는 스프링(33)의 6mm 압축에 의한 스프링 가압력을 그대로 전달받음으로써 P 변속 접점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P 변속 접점신호는 스위칭 회로를 거쳐 MCU 또는 TCU로 입력된다.
도 3은 R 변속의 온/오프(ON/OFF)신호 발생 상태로서, 이는 시프트 레버의 R 조작으로 무빙 블록(20)과 함께 무빙 컨텍터(30)가 변속구간블록(40)의 R 구간 턱(40-2)으로 회전되고, 그러면 R 구간 턱(40-2)에 위치된 롤러(32-1)에 의한 롤러 브래킷(32-2)의 높이 상승은 스프링(33)을 최대 압축길이보다 긴 R구간 압축길이 LR로 압축 변형시킴으로써 스프링(33)의 길이는 10.5mm에서 9mm로 줄어든다. 그 결과 압력센서(31)는 스프링(33)은 9mm 압축에 의한 스프링 가압력을 그대로 전달받음으로써 R 변속 접점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R 변속 접점신호는 스위칭 회로를 거쳐 MCU 또는 TCU로 입력된다.
도 4는 N 변속의 온/오프(ON/OFF)신호 발생 상태로서, 이는 시프트 레버의 N 조작으로 무빙 블록(20)과 함께 무빙 컨텍터(30)가 변속구간블록(40)의 N 구간 턱(40-3)으로 회전되고, 그러면 N 구간 턱(40-3)에 위치된 롤러(32-1)에 의한 롤러 브래킷(32-2)의 높이 상승은 스프링(33)을 최대 압축길이보다 긴 N구간 압축길이 LN로 압축 변형시킴으로써 스프링(33)의 길이는 10.5mm에서 7.5mm로 줄어든다. 그 결과 압력센서(31)는 스프링(33)은 7.5mm 압축에 의한 스프링 가압력을 그대로 전달받음으로써 N 변속 접점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N 변속 접점신호는 스위칭 회로를 거쳐 MCU 또는 TCU로 입력된다.
도 5는 D 변속의 온/오프(ON/OFF)신호 발생 상태로서, 이는 시프트 레버의 D 조작으로 무빙 블록(20)과 함께 무빙 컨텍터(30)가 변속구간블록(40)의 D 구간 턱(40-4)으로 회전되고, 그러면 D 구간 턱(40-4)에 위치된 롤러(32-1)에 의한 롤러 브래킷(32-2)의 높이 상승은 스프링(33)을 최소 압축길이 LD로 유지시킴으로써 스프링(33)의 길이는 10.5mm가 유지된다. 그 결과 압력센서(31)는 스프링(33)은 10.5mm 길이에 의한 스프링 가압력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D 변속 접점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D 변속 접점신호는 스위칭 회로를 거쳐 MCU 또는 TCU로 입력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는 시프트 레버에 연결된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10)가 관통하여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무빙 블록(20)의 한쪽 끝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무빙 블록(20)의 회전반경에서 상이한 높이차 P-R-N-D를 갖는 변속구간블록(40)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상이한 높이차 P-R-N-D에 의한 압력센서(31)의 물리적 변화로 변속단 온/오프(ON/OFF)신호 패턴이 형성되는 무빙 컨텍터(30)를 포함함으로써 비접촉식과 같이 자성에 취약하지 않고 동시에 접촉식과 같이 마모로 인한 이상 신호 출력도 해소된다.
1 :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10 :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 20 : 무빙 블록
21 : 회전 암 23 : 센서 바디
23-1 : 센서 홈 23-2 : 축홀
30 : 무빙 컨텍터 31 : 압력센서
32 : 무빙 엔드 32-1 : 롤러
32-2 : 롤러 브래킷 32-3 : 롤러 핀
33 : 스프링 40 : 변속구간블록
40-1 : P 구간 턱 40-2 : R 구간 턱
40-3 : N 구간 턱 40-4 : D 구간 턱
50 : 커버 51 : 언더 커버
53 : 어퍼 커버

Claims (11)

  1. 시프트 레버에 연결된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가 관통하여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무빙 블록;
    상기 무빙 블록의 한쪽 끝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무빙 블록의 회전반경에 위치된 변속구간블록을 따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고, 상기 변속구간블록의 상이한 높이차 P-R-N-D에 의해 변속단 온/오프(ON/OFF)신호 패턴을 형성하는 무빙 컨텍터;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 컨텍터는 상기 변속단 온/오프(ON/OFF)신호 패턴을 압력센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스프링의 압축변형에 따른 스프링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변속단 온/오프(ON/OFF)신호 패턴을 압력센서로 생성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변속구간블록의 P-R-N-D의 위치를 지나는 롤러의 높이 변화로 압축 길이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상기 스프링의 사이에는 롤러 핀을 매개로 상기 무빙 블록과 결합된 롤러 브래킷이 위치되고, 상기 롤러 핀은 상기 롤러의 자유 회전 축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롤러 핀은 상기 롤러가 상기 무빙 블록의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서 상기 무빙 블록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속구간블록은 P 구간 턱과 R 구간 턱, N 구간 턱 및 D 구간 턱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P 구간 턱, 상기 R 구간 턱, 상기 N 구간 턱, 상기 D 구간 턱은 상기 상이한 높이차 P-R-N-D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높이차 P-R-N-D는 상기 P 구간 턱의 높이를 최대높이로 하고, 상기 D 구간 턱의 높이를 최소높이로 하며, 상기 R 구간 턱의 높이와 상기 N 구간 턱의 높이는 상기 최대높이와 상기 최소높이의 사이에서 높이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R 구간 턱의 높이는 상기 N 구간 턱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 블록은 센서 바디를 형성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상기 무빙 컨텍터를 내부공간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는 상기 무빙 블록이 수용된 내부공간을 형성한 커버를 관통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으로 상기 변속구간블록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한 언더 커버, 상기 언더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어퍼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KR1020150166074A 2015-11-26 2015-11-26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KR10172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074A KR101724952B1 (ko) 2015-11-26 2015-11-26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074A KR101724952B1 (ko) 2015-11-26 2015-11-26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952B1 true KR101724952B1 (ko) 2017-04-07

Family

ID=5858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074A KR101724952B1 (ko) 2015-11-26 2015-11-26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073B1 (ko) * 2017-12-26 2019-06-13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KR20190077976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인히비터 스위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5178A (ja) * 1996-10-18 1998-05-15 Aisin Aw Co Ltd 位置検出スイッチ
KR20000066788A (ko) 1999-04-21 2000-11-15 정몽규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JP2002270064A (ja) * 2001-03-12 2002-09-20 Niles Parts Co Ltd スイッチ
JP2007085429A (ja) * 2005-09-21 2007-04-05 Tokai Rika Co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位置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5178A (ja) * 1996-10-18 1998-05-15 Aisin Aw Co Ltd 位置検出スイッチ
KR20000066788A (ko) 1999-04-21 2000-11-15 정몽규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JP2002270064A (ja) * 2001-03-12 2002-09-20 Niles Parts Co Ltd スイッチ
JP2007085429A (ja) * 2005-09-21 2007-04-05 Tokai Rika Co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位置検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073B1 (ko) * 2017-12-26 2019-06-13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KR20190077976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인히비터 스위치
KR102013420B1 (ko) * 2017-12-26 2019-08-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인히비터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8713B2 (ja) 電動弁
US8869675B2 (en) Actuating drive for positioning a final control element and method for capturing a position of the final control element
US6823757B2 (en) Electromagnetic solenoid and shift actuator for a transmission using the same
EP1195528B1 (en) Selector valve with magnetometric sensor
CN102287531B (zh) 齿轮选择器装置以及机动车变速器的控制
KR101724952B1 (ko) 압력식 인히비터 스위치
CN105570444A (zh) 换挡装置
US10217554B2 (en) Bistable electromagnetic actuator device
US9882326B2 (en) Configurable switch emulator module
US20030061891A1 (en) Shift actuator for a transmission
MY159322A (en) Gate valve actuator and method
MX2008001171A (es) Dispositivo de ajuste para una transmision.
EP1271011B1 (en) Gear change device
JP5572017B2 (ja) レンジ検出装置
US6732607B2 (en) Gear change device
PL2126431T3 (pl) Siłownik elektromechaniczny, w szczególności do sterowania zaworami do płynów
CN101479507B (zh) 用于换挡变速箱的换挡装置
KR20060008071A (ko) 스위치 조립체
US2723830A (en) Motor operated valves
US11904764B2 (en) Cancellation device for an automotive feature
CN101809699A (zh) 磁促动的电转换器件
RU102736U1 (ru) Сигнализатор конечных положений
JP7287256B2 (ja) 真空遮断器の操作機構
JP6126334B2 (ja) 自動車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リバースギヤの係合を規制するためのロック装置
KR200453901Y1 (ko) 밸브 제어용 전동식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