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564B1 - 인히비터 스위치 - Google Patents

인히비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564B1
KR101500564B1 KR20140008251A KR20140008251A KR101500564B1 KR 101500564 B1 KR101500564 B1 KR 101500564B1 KR 20140008251 A KR20140008251 A KR 20140008251A KR 20140008251 A KR20140008251 A KR 20140008251A KR 101500564 B1 KR101500564 B1 KR 101500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astic member
contactor
contact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구
유대현
조성화
조수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2014000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38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spring or other flexible shaf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는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히비터 스위치는, 차량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트랜스미션컨트롤유닛(TCU)에 변속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인히비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면에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이 상호 이격되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된 로터,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에 각각 접촉하는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고, 상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 장착되는 컨택터, 상기 수용홈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컨택터를 상기 로터의 하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컨택터와 접하는 일단의 직경이 상기 탄성부재의 최대 직경보다 작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인히비터 스위치{INHIBITOR SWITCH}
본 발명은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는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히비터 스위치는 자동 변속기에 적용되어 시프트 레버의 P-R-N-D단 위치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변속제어유닛에 제공한다.
그리고 변속제어유닛으로 하여금 선택된 레인지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의 조건에 따라 업/다운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가 'P' 레인지 혹은 'N' 레인지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엔진제어수단에 시동성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는 등록특허공보 제10-0634228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측에 레버홀(41)이 형성된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 상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4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터미널(42)과, 상기 터미널(4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터미널(42)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시키는 다수개의 돌기부(43)와, 상기 레버홀(41)에 끼워져 가동되고 탄성부재(32)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22)이 마련된 로터(20)와, 상기 로터(20)에 장착되어 상기 터미널(42)의 연결을 제어하되 상기 터미널(42)방향의 하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컨택터(30) 및 상기 하우징(40)을 커버하는 커버(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택터(30)는 상기 탄성부재(32)의 타단이 삽입되는 수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1)의 양측부의 상부가 상기 삽입홈(22)에 삽입 장착되어 상하이동되는 컨택터몸체(3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는 사용온도조건에 의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기 하우징(40)과 커버(10)의 열 변형, 또는 상기 하우징(40)과 커버(10)의 조립구조에 의해 상기 컨택터(30)의 좌우 양측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변형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42)의 간의 높낮이가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2)의 직경이 작은 경우 상기 탄성부재(32)의 탄성력이 상기 터미널(42) 간의 사이 중심부에 집중되어, 상기 탄성부재(32)와 컨택터(30)의 접촉면을 중심으로 상기 컨택터(30)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터미널(42)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컨택터(30)가 상기 터미널(42)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탄성부재(32)의 직경이 작아 탄성력이 약할 수밖에 없음으로,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에 외부의 진동이 전달될 경우, 상기 컨택터(30)와 터미널(42)이 서로 접하였다 떨어지는 접속불량이 반복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터(30')에 가해지는 상기 탄성부재(32')의 직경이 상기 터미널(42') 간의 거리와 비슷한 크기로 형성되어 도 2(a)에 도시된 탄성부재(32)보다 큰 경우, 상기 탄성부재(32')의 외측부분이 상기 컨택터(30')에 접하여 상기 탄성부재(32')가 상기 컨택터(30')의 중심부에 집중되지 못함으로써, 상기 컨택터(30')의 일단방향은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터미널(42')에 접촉되고 상기 타단방향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터미널(42')과 이격된다.
즉, 상기 컨택터(30')와 터미널(42') 간의 접촉불량이 발생되어 상기 컨택터(30')에 의한 상기 터미널(42')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컨택터의 중심부에 집중되어 컨택터가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 인히비터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히비터 스위치는, 차량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트랜스미션컨트롤유닛(TCU)에 변속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인히비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면에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이 상호 이격되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된 로터,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에 각각 접촉하는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고, 상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 장착되는 컨택터, 상기 수용홈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컨택터를 상기 로터의 하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컨택터와 접하는 일단의 직경이 상기 탄성부재의 최대 직경보다 작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 사이 거리(L1)는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사이의 거리(L2)보다 좁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의 직경이 타단의 직경보다 작은 역원뿔대형의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의 직경 및 타단의 직경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배치된 최대 직경보다 작은 나선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의 단면 중 하부에 위치한 제1단면의 중심과 상기 제1단면의 상부에 위치한 제2단면의 중심 사이의 수평 거리(L3)는 상기 탄성부재 단면의 지름(D)보다 짧다.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는 일단이 상기 로터 방향의 타단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은,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는 타단이 상기 컨택터 방향의 일단보다 좁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 직경이 상기 타단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서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의 사용온도조건에 의한 상기 하우징과 커버의 열 변형, 또는 상기 하우징과 커버의 조립구조에 의해 컨택터의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변형되거나,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 간의 높낮이가 변형되어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컨택터의 중심부에 집중되어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사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컨택터의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컨택터가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를 통해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에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 사이 거리는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사이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이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 사이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중 어느 한쪽이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 중 어느 한쪽에 접촉 후,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 중 나머지 한쪽이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 중 나머지 한쪽에 효과적으로 기울어져 명확하게 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역원뿔대형의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위치한 제1단면의 중심과 상기 제1단면의 상부에 위치한 제2단면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1단면 및 제2단면의 지름보다 짧은 거리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 나선형의 탄성부재가 완전히 눌려 탄성부재의 외측부분이 상기 컨택터에 접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컨택터의 중심부에 집중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직경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 및 타단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될 때, 휘어지는 것이 저지된다.
상기 수용홈의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는 일단이 상기 로터 방향의 타단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홈에 접하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 사이의 중심부로부터 과도하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인히비터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인히비터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탄성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탄성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의 높낮이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높낮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인히비터 스위치의 사용온도조건에 의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커버의 열 변형, 또는 하우징과 커버의 조립구조에 의해 터미널의 간의 높낮이가 변형되어 상기 터미널 간의 높낮이가 서로 다른 것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는 차량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트랜스미션컨트롤유닛(TCU)에 변속신호를 온/오프시키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로터(200), 컨택터(300), 탄성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면에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이 서로 상호 이격되어 장착 배치된다.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은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어 동심원호(同心圓孤)형상으로 장착 배치되며,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사이에는 돌출부(130)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이 각각 1개씩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장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원호방향으로 다수개가 서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데 그 길이는 장치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로터(200)는 상기 변속단(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터(200)의 회전된 위치가 자동 변속기에 적용되어 상기 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시프트 레버의 P-R-N-D단 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로터(200)의 원호 방향에는 삽입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10)은 상기 로터(200)의 하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상으로 개방되어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로터(200)의 하방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컨택터(300)는 상기 로터(20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210)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200)의 회전시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모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컨택터(300)에 의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제1터미널(110) 또는 제2터미널(12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이격되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은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컨택터(300)는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금속과 같은 전도체 재질을 사용해야 하며, 상기 컨택터(300)와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의 전기적인 통전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컨택터(300)와 제1터미널(110)및 제2터미널(120)을 은으로 도금하여 사용됨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컨택터(300)는 제1접촉부(310)와 제2접촉부(320)와 수용홈(3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컨택터(300)의 하면에서 상기 돌출부(130)의 돌출 높이보다 낮게 돌출되고, 상기 컨택터(300)의 하면에서 상기 돌출부(130)의 폭보다 넓은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컨택터(300)의 하면에 상기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을 전기적으로 명확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택터(300)의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는 상기 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돌출부(130)의 상면에 배치될 경우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을 전기적으로 차단한다.
반대로, 상기 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돌출부(130)의 상면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수용홈(330)은 상기 탄성부재(400)가 수용되어 상기 탄성부재(400)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써, 상기 수용홈(330)의 내측면 거리(L1)는 상기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사이의 거리(L2)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330)에 수용된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사이에서 과도하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이 상기 컨택터(300)의 중심부에 집중적으로 발생되어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역원뿔대형의 나선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컨택터(300)의 수용홈(33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200)의 삽입홈(210)에 삽입 장착된 상기 컨택터(300)를 상기 로터(200)로부터 하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은 상기 컨택터(300)의 수용홈(330)에 수용되어 상기 컨택터(300)와 접하고, 타단은 상기 로터(200)의 상면과 맞닿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삽입홈(210)의 하방향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컨택터(300)와 접하는 일단의 직경이 상기 탄성부재(400)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이 상기 로터(200)와 접하는 타단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은 상기 제1접촉부(310)와 제2접촉부(320)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인히비터 스위치의 사용온도조건에 의한 상기 하우징(30)과 커버(10)의 열 변형, 또는 상기 하우징(30)과 커버(10)의 조립구조에 의해 컨택터(30)의 일단 및 타단방향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변형되거나, 터미널(42) 간의 높낮이가 변형되면, 종래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터(30)의 일단방향은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터미널(42)에 접촉되고 타단방향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터미널(42)과 이격되어 접촉불량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 직경이 상기 타단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이 상기 수용홈(33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터(300)의 제2접촉부(320)가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터미널(120)에 접촉되면,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이 상기 컨택터(300)의 중심부에 집중되어 상기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 사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컨택터(300)의 제1접촉부(310)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컨택터(300)의 제1접촉부(310)가 상기 제1터미널(110)에 접하게되어 상기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를 통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330)의 내측면 사이 거리(L1)는 상기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 사이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사이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 중 어느 한쪽이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중 어느 한쪽에 접촉 후, 제1접촉부(310)와 제2접촉부(320) 중 나머지 한쪽이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중 나머지 한쪽에 효과적으로 기울어져 명확하게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00)의 단면 중 하부에 위치한 제1단면(400_1)의 중심과 상기 제1단면(400_1)의 상부에 위치한 제2단면(400_2)의 중심 사이의 거리(L3)가 상기 탄성부재(400)의 단면 지름보다 클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00)가 압축되면, 나선형의 상기 탄성부재(400)가 완전히 눌려 탄성부재(400)의 외측부분이 상기 컨택터(300)에 접하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이 상기 수용홈(330)의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간의 사이 중심부에 집중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상기 컨택터(300)의 제2접촉부(320)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2터미널(120)에 접촉되고, 상기 컨택터(300)의 제1접촉부(310)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1터미널(110)과 이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탄성부재(400)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00)의 단면 중 하부에 위치한 제1단면(400_1)의 중심과 상기 제1단면(400_1)의 상부에 위치한 제2단면(400_2)의 중심 사이의 거리(L3)가 상기 탄성부재(400)의 단면 지름보다 짧도록 한다.
이로 인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00)가 압축되면, 상기 탄성부재(400)의 외측부분이 상기 컨택터(300)에 접하게 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이 상기 컨택터(300)의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간의 사이 중심부에 집중되어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 중 어느 한쪽이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중 어느 한쪽에 접촉 후, 제1접촉부(310)와 제2접촉부(320) 중 나머지 한쪽이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중 나머지 한쪽에 효과적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의 로터는 하우징(100'), 로터(200'), 컨택터(300'), 탄성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로터(200')의 삽입홈(210') 상면에는 지지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211')은 상기 탄성부재(400')의 타단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홈(211')의 상면에 접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211')의 내측면에서 상기 탄성부재(400')의 상면은 상기 컨택터(300') 방향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컨택터(300')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이 수용되는 수용홈(33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30')의 내측면은 상기 탄성부재(400')와 접하는 방향이 상기 로터(200') 방향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400')가 압축될 때, 상기 지지홈(211')과 상기 수용홈(330')에 수용되어 접하는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사이의 중심부로부터 과도하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지지홈(211')과 상기 수용홈(330')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사이의 중심부로부터 과도하게 벗어나는 것이 효과적으로 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 사이의 중심부에 집중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터(300')는 상기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 사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컨택터(300')의 제1접촉부(310')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컨택터(300')의 제1접촉부(310')가 상기 제1터미널(110')에 접하게 되어 상기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를 통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일단이 상기 컨택터(300')의 수용홈(330')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로터(200')의 지지홈(211')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200')의 삽입홈(210')에 삽입 장착된 상기 컨택터(300')를 상기 로터(200')로부터 하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은 상기 컨택터(300')의 수용홈(330')에 수용되어 상기 컨택터(300')와 접하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타단은 상기 로터(200')의 지지홈(211')에 수용되어 상기 로터(200')와 접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컨택터(300')가 상기 삽입홈(210')의 하방향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컨택터(300')와 접하는 일단의 직경 및 상기 로터(200')와 접하는 타단의 직경이 상기 탄성부재(400')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 및 타단의 직경이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400')의 형상은 상기 컨택터(300')의 삽입홈(210') 내측면 및 상기 로터(200')의 지지홈(211') 내측면과 전체적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마름모형 또는, 육각형 형상의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직경이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 및 타단의 직경보다 큼으로써, 상기 탄성부재(400')가 압축될 때, 상기 탄성부재(400')가 휘어지는 것이 저지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이 상기 수용홈(33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컨택터(300')의 제2접촉부(320')가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터미널(120')에 접촉되면,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이 상기 컨택터(300')의 중심부에 집중되어 상기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 사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컨택터(300')의 제1접촉부(310')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로 인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터(300')의 제1접촉부(310')가 상기 제1터미널(110')에 접하게되어 상기 제1접촉부(310') 및 제2접촉부(320')를 통해 상기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에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히비터 스위치는 상기 탄성부재(400, 400')의 일단 직경이 상기 탄성부재(400, 400')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400, 400')의 일단이 상기 수용홈(330, 33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접촉부(310, 310') 및 제2접촉부(320, 320')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400, 400')의 탄성력이 상기 컨택터(300, 300')의 중심부에 집중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접촉부(310, 310') 및 제2접촉부(320, 320') 사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컨택터(300, 300')의 제1접촉부(310, 310') 및 제2접촉부(320, 320')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컨택터(300, 300')가 상기 제1접촉부(310, 310') 및 제2접촉부(320, 320')를 통해 상기 제1터미널(110, 110') 및 제2터미널(120, 120')에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접촉부(310, 310') 및 제2접촉부(320, 320') 중 어느 한쪽이 제1터미널(110, 110') 및 제2터미널(120, 120') 중 어느 한쪽에 접촉 후, 제1접촉부(310, 310')와 제2접촉부(320, 320') 중 나머지 한쪽이 제1터미널(110, 110') 및 제2터미널(120, 120') 중 나머지 한쪽에 효과적으로 기울어져 명확하게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00, 400')는 나선형의 코일 스프링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탄성부재(400, 400')를 상기 제1접촉부(310, 310') 및 제2접촉부(320, 320')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기 컨택터(300, 300')를 집중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컨택터(300, 300')를 하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면, 판 스프링 등으로 사용됨도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10: 제1터미널
120: 제2터미널 130: 돌출부
200: 로터 210: 삽입홈
211': 지지홈 300: 컨택터
310: 제1접촉부 320: 제2접촉부
330: 수용홈 400: 탄성부재

Claims (7)

  1. 차량의 변속단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트랜스미션컨트롤유닛(TCU)에 변속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인히비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면에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이 상호 이격되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된 로터;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에 각각 접촉하는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고, 상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 장착되는 컨택터;
    상기 수용홈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컨택터를 상기 로터의 하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컨택터와 접하는 일단의 직경이 상기 탄성부재의 최대 직경보다 작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 사이 거리(L1)는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사이의 거리(L2)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의 직경이 타단의 직경보다 작은 역원뿔대형의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의 직경 및 타단의 직경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배치된 최대 직경보다 작은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단면 중 하부에 위치한 제1단면의 중심과 상기 제1단면의 상부에 위치한 제2단면의 중심 사이의 수평 거리(L3)는 상기 탄성부재 단면의 지름(D)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6.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는 일단이 상기 로터 방향의 타단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은,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는 타단이 상기 컨택터 방향의 일단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KR20140008251A 2014-01-23 2014-01-23 인히비터 스위치 KR101500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251A KR101500564B1 (ko) 2014-01-23 2014-01-23 인히비터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251A KR101500564B1 (ko) 2014-01-23 2014-01-23 인히비터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564B1 true KR101500564B1 (ko) 2015-03-09

Family

ID=5302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8251A KR101500564B1 (ko) 2014-01-23 2014-01-23 인히비터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5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731A (ja) * 1992-05-20 1993-12-10 Niles Parts Co Ltd 摺動スイッチ
JPH10125178A (ja) * 1996-10-18 1998-05-15 Aisin Aw Co Ltd 位置検出スイッチ
KR19980051384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차량 자동변속기의 록업제어장치
JP2003100177A (ja) * 2001-09-25 2003-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転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731A (ja) * 1992-05-20 1993-12-10 Niles Parts Co Ltd 摺動スイッチ
JPH10125178A (ja) * 1996-10-18 1998-05-15 Aisin Aw Co Ltd 位置検出スイッチ
KR19980051384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차량 자동변속기의 록업제어장치
JP2003100177A (ja) * 2001-09-25 2003-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転スイッ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7137B1 (en)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US8283583B2 (en) Switch
EP1187267B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US8337256B1 (en) Pogo-pin connector
US2011015970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feature for securing solder ball thereon
KR101239309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및 리셉터클
KR20000062615A (ko) 마이크로스위치
US20150280370A1 (en) RF Switch Connector
US3537056A (en) Miniature variable resistance control
EP378374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80139055A1 (en) Electric Plug Contact
KR101500564B1 (ko) 인히비터 스위치
US3040150A (en) Watch contact post
KR101514720B1 (ko) 인히비터 스위치
WO2001023793A3 (de) Aufbau zum elektrischen kontaktieren eines ventils
CN106910656A (zh) 具有预加载行程的触摸动作式电气开关
JP5050839B2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及び検査用プラグコネクタ、並びに回路検査スイッチ
US9208974B2 (en) Disk type off-circuit tap changer
US3056940A (en) Self-aligning coaxial connector
US3476901A (en) Means for m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US9500674B2 (en) Probe structure
US10686265B2 (en) Terminal stand
KR102329759B1 (ko) 토글 스위치 장치
KR101685603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101554975B1 (ko) 차량용 인히비터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