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759B1 - 토글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토글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759B1
KR102329759B1 KR1020210087130A KR20210087130A KR102329759B1 KR 102329759 B1 KR102329759 B1 KR 102329759B1 KR 1020210087130 A KR1020210087130 A KR 1020210087130A KR 20210087130 A KR20210087130 A KR 20210087130A KR 102329759 B1 KR102329759 B1 KR 102329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groov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코
Priority to KR102021008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2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01H21/4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토글 스위치 장치는 일측이 그를 관통하는 설치 홀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1 접속 단자부;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2 접속 단자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는 스위치 레버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칭 단자부; 및 일단이 상기 스위치 레버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칭 단자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상기 제1 접속 단자부를 향해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단자부는, 상기 스위치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접속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단락될 수 있다.

Description

토글 스위치 장치{A toggle switch apparatus}
본 발명은 토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 단자들 간의 접촉 불량 및 화재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외부 전선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는 토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는 전자제품이나 전기장치 등에 사용되는 소형의 스위치로서, 손잡이의 하단에 양방향으로 접속될 수 있는 스프링과 가동단자가 설치되어 손잡이를 직선적인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조작하여 손잡이의 하단이 가동단자를 시소운동하도록 하므로서 가동단자의 일단이 회로와 접점을 이루는 고정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레버형태의 스위치이다.
기존의 토글 스위치는 외부 전선을 단자에 볼트 조임 방식 또는 납땜 방식을 통해 연결하였으나, 외부 환경 또는 장시간 사용으로 체결 풀림 등의 체결 불량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외부 전선과 단자 간의 체결 불량은 합선에 의한 화재, 작동 불량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토글 스위치는 시소 운동을 통해 접점들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그리스 등의 오일을 칠하였으나, 이물질 유입, 장시간 사용 등에 따른 그리스 칠 제거 등으로 접촉 불량, 스파크 발생 등에 따른 화재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체결 불량, 접촉 불량, 화재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한 토글 스위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인 추세이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59647호(2009.06.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동이 용이한 토글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오일 도포없는 스위칭 구조를 채택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접촉 불량을 저감하는 토글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볼트 조임 및 납땜 없이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토글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스위치 레버부를 하우징에 인서트 사출 성형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토글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글 스위치 장치는, 일측이 그를 관통하는 설치 홀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1 접속 단자부;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2 접속 단자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는 스위치 레버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칭 단자부; 및 일단이 상기 스위치 레버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칭 단자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상기 제1 접속 단자부를 향해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단자부는, 상기 스위치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접속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단락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토글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 도포없는 스위칭 구조를 채택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접촉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 조임 및 납땜 없이 전선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위치 레버부를 하우징에 인서트 사출 성형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글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글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토글 스위치 장치는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제1 접속 단자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제2 접속 단자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몸체부에 제1 전선 연결부와 제2 전선 연결부를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제1 전선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b는 도 10의 제2 전선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몸체부에 제1 접속 단자부와 제2 접속 단자부를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토글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스위치 표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글 스위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글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글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토글 스위치 장치는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제1 접속 단자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제2 접속 단자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몸체부에 제1 전선 연결부와 제2 전선 연결부를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제1 전선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b는 도 10의 제2 전선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몸체부에 제1 접속 단자부와 제2 접속 단자부를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글 스위치 장치(10)는 전자제품이나 전기장치 등에 구동을 온/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일 수 있다. 토글 스위치 장치(10)는 하우징(100), 스위치 레버부(200), 탄성 부재(400), 제1 접속 단자부(500), 제2 접속 단자부(600), 및 스위칭 단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토글 스위치 장치(10)는 제1 전선 연결부(700) 및 제2 전선 연결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 접속 단자부(500), 제2 접속 단자부(600), 스위칭 단자부(300) 등을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측에 그를 관통하는 설치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커버부(110)와 몸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설치 홀(111)은 커버부(110)에 위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절연성과 내열성을 갖되,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 부품이 일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몸체부(150)는 일측이 개구(O)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접속 단자부(500), 제2 접속 단자부(600), 스위칭 단자부(300), 제1 전선 연결부(700) 및 제2 전선 연결부(750)가 개구(O)를 통해 몸체부(150) 내에 삽입되어 몸체부(150)에 설치될 수 있다.
몸체부(150)는 개구(O)된 일측과 마주보는 바닥부(150a)및 바닥부(150a)의 경계로부터 개구(O)를 향해 연장되어 바닥부(150a)와 개구(O)를 연결하는 둘레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50)는 제1 전선 수용부(152), 단자 수용부(151) 및 제2 전선 수용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선 수용부(152)와 제2 전선 수용부(153)는 단자 수용부(15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전선 수용부(152)는 몸체부(150)의 일단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전선 수용부(152)는 제1 전선 연결부(700)를 수용하는 제1 수용 홈(1521)과, 제1 수용 홈(1521)과 단자 수용부(151)를 구획하는 제1 격벽(15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선 수용부(152)는 바닥부(150a)를 관통하며 외부 전선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선 홀(154)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전선 수용부(152)는 한 쌍의 제1 전선 홀들(1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선 홀들(154)은 몸체부(15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전선 홀(154)은 제1 수용 홈(152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용 홈(1521)은 몸체부(150)의 개구(O)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수용 홈(1521)은 제1 전선 홀(154)과 개구(O)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전선 수용부(152)는 제1 격벽(151a)으로부터 제1 수용 홈(1521)을 향해 돌출된 제1 가이드 레일부(1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부(1523)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제1 전선 홀(15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부(1523)는 후술할 제1 전선 연결부(700)의 제1 가이드 부재(730)의 제1 슬라이딩 돌기(735)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슬리아딩 홈(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홈은 개구(O)로부터 제1 전선 홀(154)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선 수용부(152)는 제1 가이드 레일부(1523)와 둘레부(150b)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고정 홀(15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홀(1545)은 바닥부(150a)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고정 홀(1545)에는 제1 가이드 레일부(1523)를 통해 제1 수용 홈(1521)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부재(73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전선 수용부(153)는 몸체부(150)의 타단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전선 수용부(153)는 제1 전선 수용부(152)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전선 수용부(153)는 제2 전선 연결부(750)를 수용하는 제2 수용 홈(1531)과, 제2 수용 홈(1531)과 단자 수용부(151)를 구획하는 제2 격벽(1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선 수용부(153)는 바닥부(150a)를 관통하며 외부 전선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선 홀(15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전선 수용부(153)는 한 쌍의 제2 전선 홀들(1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선 홀들(155)은 몸체부(15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전선 홀(155)은 제2 수용 홈(153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용 홈(1531)은 몸체부(150)의 개구(O)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수용 홈(1531)은 제2 전선 홀(155)과 개구(O)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전선 수용부(153)는 제2 격벽(151b)으로부터 제2 수용 홈(1531)을 향해 돌출된 제2 가이드 레일부(1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부(1533)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2 전선 홀(15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부(1533)는 후술할 제1 전선 연결부(700)의 제1 가이드 부재(730)의 제1 슬라이딩 돌기(735)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슬리아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홈은 개구(O)에서 제1 전선 홀(154)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고정 홀(1555)에는 제2 가이드 레일부(1533)를 통해 제2 수용 홈(1531)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부재(78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151)는 제1 전선 수용부(152)와 제2 전선 수용부(15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151)는 제1 접속 단자부(500)의 일부와 제2 접속 단자부(600)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단자 수용부(151)는 내부에 후술할 단자 지지부(510), 제1 연장부(520), 제2 연장부(620) 및 스위칭 단자부(300)가 삽입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151)는 제1 격벽(151a)과 제2 격벽(151b)을 연결하는 제1 측벽(151c) 및 제2 측벽(15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51c)과 제2 측벽(151d)은 몸체부(15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측벽(151c)과 제2 측벽(151d)은 둘레부(150b)와 이격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151)는 후술한 제1 접속 단자부(500)의 단자 지지부(510)가 삽입되는 단자 홈(1511)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 홈(1511)은 바닥부(150a), 제1 격벽(151a), 제2 격벽(151b), 제1 측벽(151c) 및 제2 측벽(151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단자 홈(1511)에 삽입된 단자 지지부(510)는 그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151)는 제1 연장 홈(1512)과 제2 연장 홈(151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장 홈(1512)은 제1 격벽(151a)으로부터 제1 수용 홈(1521)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 홈(1512)은 단자 홈(1511)의 일단으로부터 개구(O)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장 홈(1512)은 단자 홈(1511)의 일단과 개구(O)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장 홈(1512)에는 후술할 제1 접속 단자부(500)의 제1 연장부(520)가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장 홈(1513)은 제2 격벽(151b)으로부터 제2 수용 홈(1531)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 홈(1513)은 단자 홈(1511)의 타단으로부터 개구(O)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장 홈(1513)은 단자 홈(1511)의 타단과 개구(O)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장 홈(1513)에는 후술할 제2 접속 단자부(600)의 제2 연장부(620)의 제1 영역(621)이 삽입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151)는 스위칭 단자부(300)가 삽입되는 커넥터 홈(1514)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홈(1514)은 제1 연장 홈(1512)과 제2 연장 홈(151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커넥터 홈(1514)은 제1 측벽(151c)과 제2 측벽(151d)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홈(1514)은 후술할 연결 플레이트(310)의 양측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커넥터 홈(1514)은 단자 홈(1511)과 교차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커넥터 홈(1514)은 제1 홈부와 제2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부는 제1 홈부와 개구(O)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단자부(300)의 일단은 제2 홈부를 통해 삽입되어 제1 홈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홈부는 바닥부(150a)로부터 제2 홈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홈부의 폭은 일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홈부는 평면적 관점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홈부는 제1 홈부의 일단으로부터 개구(O)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홈부 폭은 제1 홈부의 일단으로부터 개구(O)를 향해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홈부는 평면적 관점에서 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자 수용부(151)는 바닥부(150a)로부터 개구(O)를 향해 돌출된 돌출 지지부(151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지지부(1515)는 단자 홈(151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돌출 지지부(1515)는 제2 연장 홈(1513)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돌출 지지부(1515)는 제2 연장 홈(1513)과 후술할 제2 접속 단자부(600)의 제3 영역(62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 지지부(1515)는 제2 접속 단자부(600)의 제3 영역(623)을 지지할 수 있다.
몸체부(150)는 둘레부(150b)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결합 돌기들(157)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들(157)은 몸체부(150)의 일단 영역과 타단 영역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커버부(110)는 몸체부(150)의 개구(O)를 개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110)는 그를 관통하는 설치 홀(111)을 포함할 수 잇다. 설치 홀(111)은 평면적 관점에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설치 홀(111)은 커버부(110)의 중심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부(110)는 몸체부(150)의 결합 돌기들(157)이 삽입되는 결합 홀들(11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10)는 브라켓과 결합되는 브라켓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브라켓 돌기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브라켓 돌기들은 커버부(1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브라켓 돌기들은 커버부(110)의 일단과 타단으로부터 커버부(110)의 길이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브라켓 돌기들의 각각은 브라켓에 형성된 브라켓 결합 홀들(113)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글 스위치 장치(10)가 브라켓과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 레버부(200)는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하우징(100)의 설치 홀(111)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 레버부(200)는 설치 홀(111)에 삽입되는 레버 결합부(210), 레버 결합부(210)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글 레버(230), 및 토글 레버(230)와 레버 결합부(210)를 관통하는 레버 힌지 축(25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레버부(200)는 절연 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버 결합부(210)는 일측이 설치 홀(11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레버 결합부(210)는 내부에 설치 홀(111)과 중첩되는 중공(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은 레버 결합부(210)를 관통할 수 있다. 중공에는 토글 레버(230)가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중공은 제1 중공부, 제2 중공부 및 제3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공부는 제2 중공부와 제3 중공부보다 몸체부(150)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중공부는 제1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공부는 설치 홀(11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중공부는 제1 중공부 상에 위치되어 제1 중공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중공부는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중공부는 제2 중공부 상에 위치되어 제2 중공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중공부는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중공부와 제3 중공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중공부는 제2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결합부(210)는 레버 힌지 축(250)이 삽입되는 제1 힌지 홀(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 홀(215)은 중공과 연결될 수 있다. 레버 결합부(210)는 그를 관통하면서 중공과 연결되는 복수의 인서트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인서트 홀들은 레버 결합부(2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인서트 홀들 각각에는 설치 홀(111)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된 인서트 돌기들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 결합부(210)는 설치 홀(11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레버 결합부(210)는 금속 재질(예를 들면, 철, 구리, 알루미늄 등)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 재질의 레버 결합부(210)는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부(110)에 인서트 사출되어 커버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인서트 돌기 들이 레버 결합부(210)의 인서트 홀들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레버 결합부(210)은 커버부(110)과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커버부(1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 결합부(210)는 커버부(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레버 결합부(210)는 둘레면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 결합부(210)에 너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성품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사산과 너트 등의 구성품을 이용하여 토글 스위치 장치 단독으로서 고정 및 그 기능을 작동할 수 있다.
토글 레버(2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레버 힌지 축(250)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글 레버(230)는 전후좌우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토글 레버(2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글 레버(230)는 회동부(233), 조작부(231) 및 삽입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233)는 중공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회동부(233)는 중공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회동부(233)는 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부(233)는 제3 직경보다 작고, 제2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부(233)는 제1 중공부를 통해 레버 결합부(210)의 중공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제3 중공부를 통해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회동부(233)는 레버 힌지 축(250)이 관통하는 제2 힌지 홀(2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힌지 홀(2335)은 제1 힌지 홀(215)과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조작부(231)는 회동부(233)의 일측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조작부(231)는 회동부(233)로부터 커버부(110)와 멀어지는 방향을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조작부(231)는 방망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작부(231)는 제3 중공부의 제3 직경보다 작은 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부(231)는 레버 결합부(21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삽입부(235)는 회동부(233)의 타측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삽입부(235)는 조작부(231)와 동일 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삽입부(235)는 회동부(233)로부터 몸체부(15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삽입부(235)는 절연 부재(270)의 삽입 돌기부(273)가 삽입되는 돌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부재(270)는 토글 레버(230)와 탄성 부재(400)를 연결할 수 있다. 절연 부재(27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토글 레버(230)에 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 부재(270)는 비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27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연 부재(270)는 본체부(271)와 삽입 돌기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71)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함몰 형성된 고정 홈(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홈에는 탄성 부재(40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400)가 스위치 레버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본체부(27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삽입 돌기부(273)는 본체부(271)의 타단으로부터 토글 레버(23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삽입 돌기부(273)는 토글 레버(230)의 돌기 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 부재(270)는 토글 레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레버 힌지 축(250)은 제1 힌지 홀(215)과 제2 힌지 홀(2335)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레버 힌지 축(250)은 토글 레버(230)의 회전 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부(500)는 하우징(1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접속 단자부(500)는 몸체부(15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부(500)는 단자 지지부(510), 제1 연장부(520), 및 제1 연결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 단자부(500)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부들(5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부(500)는 전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접속 단자부(500)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자 지지부(510)는 스위치 레버부(200)와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단자 지지부(510)는 단자 홈(1511)에 삽입될 수 있다. 단자 지지부(510)는 스위칭 단자부(30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 지지부(510)는 스위칭 단자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 지지부(510)는 제1 연장부(520)의 일단으로부터 제2 접속 단자부(6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단자 지지부(510)는 몸체부(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자 지지부(510)의 길이는 단자 홈(1511)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연장부(520)는 단자 지지부(510)로부터 스위치 레버부(2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520)는 단자 지지부(510)의 일단으로부터 몸체부(150)의 개구(O)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520)는 몸체부(150)의 제1 연장 홈(15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연장부(520)의 길이 방향은 단자 지지부(5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결부(530)는 단자 지지부(5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530)는 제1 연장부(520)의 타단으로부터 제2 접속 단자부(6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530)는 단자 지지부(510)와 수직하게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연결부(530)는 제2 전선 수용부(15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530)는 제1 전선 연결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들(540)은 제1 연결부(530)로부터 단자 지지부(5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들(54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520)는 제1 가이드부들(5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들(540)은 제1 수용 홈(152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부(600)는 하우징(1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접속 단자부(600)는 몸체부(15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부(600)는 제2 연장부(620), 제2 접점부(610) 및 제2 연결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속 단자부(600)는 한 쌍의 제2 가이드부들(6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부(600)는 제1 접속 단자부(500)와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부(600)는 제1 접속 단자부(50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부(600)는 전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접속 단자부(600)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연장부(620)는 제1 연장부(520)와 마주볼 수 있다. 제2 연장부(620)는 제1 연장부(52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접점부(610)는 제2 연장부(620)로부터 제1 접속 단자부(5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접점부(610)는 후술할 스위칭 단자부(300)의 이동에 따라, 스위칭 단자부(300)의 제1 접점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제2 연결부(630)는 단자 지지부(5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630)는 제2 연장부(620)의 일단으로부터 제1 접속 단자부(5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630)는 제2 접점부(610)와 수직하게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연결부(630)는 제2 전선 수용부(15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630)는 제2 전선 수용부(153)에 수용된 제2 전선 연결부(7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들(640)은 제2 연결부(630)로부터 바닥부(150a)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들(64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장부(620)는 제2 가이드부들(6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들(640)은 제2 수용 홈(153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연장부(620)는 제1 영역(621), 제2 영역(622) 및 제3 영역(6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621)은 제2 연결부(630)로부터 하우징(100)의 바닥부(150a)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영역(622)은 제1 영역(621)의 일단으로부터 제1 접속 단자부(5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영역(621)과 제2 영역(622)은 서로 대략 수직할 수 있고, 제1 영역(621)은 제1 영역(621)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제2 영역(622)은 전술한 돌출 지지부(1515)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622)은 돌출 지지부(1515)와 중첩될 수 있다.
제3 영역(623)은 제1 영역(621)과 이격되고, 제2 영역(622)의 일단으로부터 하우징(100)의 바닥부(150a)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영역(623)은 제2 영역(622)과 대략 수직할 수 있고, 제1 영역(621)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 제2 연장부(620)는 "ㄱ"과 "ㄴ"형상이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623)은 돌출 지지부(1515)보다 제1 접속 단자부(50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점부(610)는 제3 영역(62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점부(610)는 제2 연장부(620) 또는 제2 연결부(630)보다 제1 접속 단자부(500) 또는 스위칭 단자부(30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스위칭 단자부(300)는 하우징(1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칭 단자부(300)는 제1 접속 단자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 단자부(300)는 스위치 레버부(200)의 회동에 의해 제2 접속 단자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단락될 수 있다. 스위칭 단자부(300)는 물리적으로 제2 접촉 단자부와 접촉하기에 접촉 불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오일을 도포하지 않아서, 화재 위험성 등을 저감할 수 있다.
스위칭 단자부(30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위칭 단자부(300)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칭 단자부(300)는 연결 플레이트(310), 커넥터 돌기(330) 및 제1 접점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10)는 그의 일단이 제1 접속 단자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결 플레이트(310)의 일단이 커넥터 홈(1514)에 삽입되어, 제1 접속 단자부(500)의 단자 지지부(510)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단자부(300)는 제1 접속 단자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1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10)의 두께는 전술한 제1 홈부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310)의 일단이 커넥터 홈(151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커넥터 돌기(330)는 연결 플레이트(310)의 타단으로부터 스위치 레버부(200) 및/또는 탄성 부재(4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커넥터 돌기(330)는 탄성 부재(400)의 타단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단자부(300)와 탄성 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점부(320)는 제2 접속 단자부(600)와 마주보는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접점부(320)는, 연결 플레이트(310)로부터 제2 접속 단자부(6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점부(320)와 제2 접점부(610)는 서로 마주볼 수 있고, 스위칭 단자부(300)의 이동에 따라 제1 접점부(320)와 제2 접점부(610)는 접촉 및/또는 비접촉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10)의 타단에는 끼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 홈은 커넥터 돌기(33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끼움 홈에는 탄성 부재(400)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단자부(300)와 탄성 부재(40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그의 일단이 스위치 레버부(200)와 연결되고, 타단이 스위칭 단자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400)의 일단은 절연 부재(270)의 고정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400)의 타단은 스위칭 단자부(300)의 끼움 홈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스위칭 단자부(300)를 제1 접속 단자부(500)를 향해 가압하도록 스위칭 단자부(30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칭 단자부(300)는 탄성 부재(400)에 의해 제1 접속 단자부(500)와 접촉함으로써, 제1 접속 단자부(500)의 단자 지지부(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선 연결부(700)는 외부의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선 연결부(700)는 제1 접속 단자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속 단자부(500)는 제1 전선 연결부(700)를 통해 외부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선 연결부(700)는 몸체부(150)의 제1 수용 홈(152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전선 연결부(700)는 제1 가이드 부재(730) 및 한 쌍의 제1 탄성 연결부들(7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730)는 한 쌍의 제1 탄성 연결부들(710)이 제1 수용 홈(1521)에 삽입될 때, 그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7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 돌기(7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730)는 제1 수용 홈(152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부재(730)의 일단은 제1 고정 홀(1545)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부재(730)는 제1 수용 홈(152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730)는 제1 슬라이딩 돌기(735)가 돌출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가이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부는 제1 가이드 부재(730)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부의 상단면은 제1 슬라이딩 돌기(7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부는 제1 수용 홈(1521)에 삽입된 제1 탄성 연결부들(71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고정 홀(1545)에 삽입된 제1 가이드 부재(730)를 몸체부(150)의 개구(O)를 향해 제1 가이드 부재(730)를 밀어 올릴 경우, 제1 가이드 돌기부는 지지된 제1 탄성 연결부들(710)을 개구(O)를 향해 밀어 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수용 홈(1521)에 삽입된 제1 탄성 연결부들(710)을 용이하게 몸체부(1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730)는 일단에 타단을 향해 함몰된 제1 누름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탄성 연결부들(71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탄성 연결부들(710)은 제1 가이드 부재(730)를 사이에 두고 제1 수용 홈(152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탄성 연결부들(710) 각각은 제1 전선 홀들(154) 각각과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선 홀들(154)을 통해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외부 전선이 제1 탄성 연결부(710)와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탄성 연결부(710)는 외부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영역에 억지끼움되어 삽입된 외부 전선은 제1 탄성 연결부(71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탄성 연결부(71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탄성 연결부(710)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탄성 연결부들(710)은 제1 접촉 단자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탄성 연결부들(710)은 제1 접촉 단자부의 제1 연결부(530)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선과 제1 접촉 단자부는 제1 탄성 연결부(71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선 연결부(750)는 외부의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선 연결부(750)는 제2 접속 단자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속 단자부(600)는 제2 전선 연결부(750)를 통해 외부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선 연결부(750)는 전술한 몸체부(150)의 제2 수용 홈(153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전선 연결부(750)는 제2 가이드 부재(780) 및 한 쌍의 제2 탄성 연결부들(7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780)는 한 쌍의 제2 탄성 연결부들(760)이 제2 수용 홈(1531)에 삽입될 때, 그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7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 돌기(7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780)는 제2 수용 홈(153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부재(780)의 일단은 제2 고정 홀(1555)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이드 부재(780)는 제2 수용 홈(153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780)는 제2 슬라이딩 돌기(785)가 돌출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가이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부는 제2 가이드 부재(780)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부의 상단면은 제2 슬라이딩 돌기(78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부는 제2 수용 홈(1531)에 삽입된 제2 탄성 연결부들(76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고정 홀(1555)에 삽입된 제2 가이드 부재(780)를 몸체부(150)의 개구(O)를 향해 제2 가이드 부재(780)를 밀어 올릴 경우, 제2 가이드 돌기부는 지지된 제2 탄성 연결부들(780)을 개구(O)를 향해 밀어 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수용 홈(1531)에 삽입된 제2 탄성 연결부들(780)을 용이하게 몸체부(1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780)는 일단에 타단을 향해 함몰된 제2 누름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탄성 연결부들(76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2 탄성 연결부들(760)은 제2 가이드 부재(780)를 사이에 두고 제2 수용 홈(153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탄성 연결부들(760) 각각은 제2 전선 홀들(155) 각각과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선 홀들(155)을 통해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외부 전선이 제2 탄성 연결부(760)와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탄성 연결부(760)는 외부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영역에 억지끼움되어 삽입된 외부 전선은 제2 탄성 연결부(76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탄성 연결부(76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탄성 연결부(760)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탄성 연결부들(760)은 제2 접촉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탄성 연결부들(760)은 제2 접촉 단자부의 제2 연결부(630)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선과 제2 접촉 단자부는 제2 탄성 연결부(76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토글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스위치 표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토글 스위치 장치(10)는 하우징(100), 스위치 레버부(200), 탄성 부재(400), 제1 접속 단자부(500), 제2 접속 단자부(600), 및 스위칭 단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토글 스위치 장치(10)는 제1 전선 연결부(700) 및 제2 전선 연결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커버부(110)와 몸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측에 그를 관통하는 설치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 홀(111)은 커버부(1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스위치 레버부(200)는 하우징(100)의 설치 홀(111)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 레버부(200)는 설치 홀(111)에 삽입되는 레버 결합부(210), 레버 결합부(210)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글 레버(230), 및 토글 레버(230)와 레버 결합부(210)를 관통하는 레버 힌지 축(25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위치 레버부(200)는 스위치 표지부(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표지부(240)는 하우징(100)의 커버부(11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 표지부(240)는 토글 스위치 장치(10)가 온/오프되는 표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위치 표지부(240)는 "ON"으로 표시된 제1 표식과 "OFF"로 표시된 제2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표지부(240)는 그를 관통하는 레버 삽입 홀(241)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삽입 홀(241)에는 레버 결합부(2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 삽입 홀(241)은 레버 결합부(21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전술한 제1 표식과 제2 표식은 레버 삽입 홀(241)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스위치 표지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돌기(24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돌기(243)은 레버 삽입 홀(241)을 둘러싸는 스위치 표지부(24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 돌기(243)는 레버 결합부(210)의 둘레면에 형성된 스토퍼 홈(211)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토퍼 홈(211)은 레버 결합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돌기(243)가 스토퍼 홈(211)에 삽입됨으로써, 스위치 표지부(240)는 레버 결합부(210)를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고, 커버부(110) 상에서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위치 표지부(240)는 하나의 스토퍼 돌기(2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스위치 표지부(240)는 복수의 스토퍼 돌기들(24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토퍼 돌기들(243)은 레버 삽입 홀(241)의 경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홈(211)도 레버 결합부(21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위치 표지부(240)는 금속 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철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스위치 표지부(240)은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 표지부(240)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레버 결합부(210)와 함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부(110)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커버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토글 스위치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글 스위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토글 스위치 장치(10)의 토글 레버(230)를 조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토글 레버(230)를 회동시켜 토클 레버가 상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400)는 스위칭 단자부(300)를 단자 지지부(510)를 향해 가압하면서 스위칭 단자부(300)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스위칭 단자부(300)는 그의 일단을 기준으로 제2 접속 단자부(600)를 향해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단자부(300)의 제1 접점부(320)는 제2 접속 단자부(600)의 제2 접점부(610)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단자부(300)는 제1 접속 단자부(500)와 제2 접속 단자부(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토글 레버(230)를 회동시켜 토클 레버가 하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스위칭 단자부(300)를 단자 지지부(510)를 향해 가압하면서 스위칭 단자부(300)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스위칭 단자부(300)는 그의 일단을 기준으로 제1 전선 연결부(700)를 향해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단자부(300)의 제1 접점부(320)는 제2 접속 단자부(600)의 제2 접점부(610)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단자부(300)는 제1 접속 단자부(500)와 제2 접속 단자부(600)에 전기적으로 단락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토글 스위치 장치 100: 하우징
110: 커버부 150: 몸체부
151: 단자 수용부 152: 제1 전선 수용부
153: 제2 전선 수용부 200: 스위치 레버부
300: 스위치 단자부 400: 탄성 부재
500: 제1 접속 단자부 600: 제2 접속 단자부
700: 제1 전선 연결부 750: 제2 전선 연결부

Claims (8)

  1. 일측이 그를 관통하는 설치 홀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1 접속 단자부;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2 접속 단자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는 스위치 레버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칭 단자부; 및
    일단이 상기 스위치 레버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칭 단자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상기 제1 접속 단자부를 향해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단자부는, 상기 스위치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접속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단락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부는,
    상기 스위칭 단자부와 이격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접속 단자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스위칭 단자부의 일단을 지지하는 단자 지지부; 및
    상기 단자 지지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접속 단자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부는,
    상기 제1 연장부와 마주보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접속 단자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스위칭 단자부, 상기 단자 지지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수용부는,
    상기 단자 지지부가 삽입되는 단자 홈;
    상기 단자 홈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스위치 레버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부가 삽입되는 제1 연장 홈;
    상기 단자 홈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스위치 레버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영역이 삽입되는 제2 연장 홈; 및
    상기 제1 연장 홈과 상기 제2 연장 홈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스위칭 단자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홈을 포함하는 토클 스위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단자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에 삽입되는 커넥터 돌기;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접속 단자부를 향해 돌출된 제1 접점부를 포함하는 토글 스위치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단자부는, 상기 제3 영역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접속 단자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 접점부를 더 포함하는 토글 스위치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홈 내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스위치 레버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지지부는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2 연장 홈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3 영역을 지지하는 토글 스위치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레버부는,
    상기 설치 홀에 삽입되는 레버 결합부;
    상기 레버 결합부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글 레버; 및
    상기 레버 결합부와 상기 토글 레버를 관통하는 레버 힌지 축;
    상기 토글 레버와 상기 탄성 부재를 연결하고, 비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토글 스위치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결합부는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토글 스위치 장치.
KR1020210087130A 2021-07-02 2021-07-02 토글 스위치 장치 KR102329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130A KR102329759B1 (ko) 2021-07-02 2021-07-02 토글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130A KR102329759B1 (ko) 2021-07-02 2021-07-02 토글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759B1 true KR102329759B1 (ko) 2021-11-22

Family

ID=7871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130A KR102329759B1 (ko) 2021-07-02 2021-07-02 토글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7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518Y1 (ko) * 2001-10-23 2002-03-18 한영수 상개·상폐접점 겸용 스위치 유니트
JP2003297188A (ja) * 2002-03-29 2003-10-17 Nihon Kaiheiki Industry Co Ltd レバーロック式トグルスイッチ
KR20090059647A (ko) 2007-12-07 2009-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518Y1 (ko) * 2001-10-23 2002-03-18 한영수 상개·상폐접점 겸용 스위치 유니트
JP2003297188A (ja) * 2002-03-29 2003-10-17 Nihon Kaiheiki Industry Co Ltd レバーロック式トグルスイッチ
KR20090059647A (ko) 2007-12-07 2009-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2439B2 (ja) 電源遮断装置
US7217137B1 (en)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JP2005142107A (ja)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KR101239309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및 리셉터클
JP3067588B2 (ja) ブレーカスイッチ
KR102329759B1 (ko) 토글 스위치 장치
US20130037398A1 (en) Switch
US8803017B2 (en) Push button switch
KR101659669B1 (ko) 전자 장치
CN107968012B (zh) 旋转按压开关
US20090057110A1 (en) Vibration switch
US20050287863A1 (en) Insulation piercing contact alignment system
US8093976B2 (en) Vehicle switch
US6791047B1 (en) Toggle switch cover apparatus and method
EP3651177A1 (en) Switch device and opening/closing detection device
JP2002270323A (ja) 電気接続装置
CN111201580B (zh) 具有设置有测试端子的固定接触件的切换装置
US2881279A (en) Wiring device
US3819891A (en) Push button switch
US4320271A (en) AC Switch mechanism of the ball contact type
CN212033355U (zh) 用于屏蔽套管的导电连接装置及屏蔽套管
US3867604A (en) Electric switch toggle assembly
KR101685603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US3952178A (en) Switch construction
KR200401662Y1 (ko)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