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647A -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647A
KR20090059647A KR1020070126616A KR20070126616A KR20090059647A KR 20090059647 A KR20090059647 A KR 20090059647A KR 1020070126616 A KR1020070126616 A KR 1020070126616A KR 20070126616 A KR20070126616 A KR 20070126616A KR 20090059647 A KR20090059647 A KR 20090059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operating rod
toggle switch
rotating tube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9647A/ko
Publication of KR20090059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는,
토글(Toggle) 스위치에 직접 설치되어 탄발수단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는 레버(토글;Toggle)를 누를 때마다 레버의 수직 상하운동을 운동변형수단에 의해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시키고, 정역 회전운동에 의해 레버와 회동관체에 장착된 록킹수단을 록킹시키거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토글(Toggle) 스위치에 직접 설치하여 줌으로서 스위치를 설치할 때에 별도로 조립(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고,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록킹/해제 기능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다.
토글 스위치, 레버캡, 작동봉, 회동관체

Description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toggle switches}
본 발명은 전기계통에서 설치되어 레버(토글;Toggle)를 정역으로 작동시키거나 반복적으로 누를 때마다 ON/OFF가 변경되는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토글(Toggle) 스위치에 직접 설치되어 탄발수단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는 레버(토글;Toggle)를 누를 때마다 레버의 수직 상하운동을 운동변형수단에 의해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시키고, 정역 회전운동에 의해 레버와 회동관체에 장착된 록킹수단을 록킹시키거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보편적으로 전기계통(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토글스위치(1)를 보인 도시하여 보인 것이다.
토글스위치(1)는 가동접편(4)을 포함하는 각종 장치(부품)가 내장되고 밑면으로 단자(5)들이 노출된 몸체(2)와, 몸체(3)의 상측에 장착되어 정역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가동접편(4)을 전후(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스위치를 ON/OFF시키는 레 버(3;Toggle)로 이루어져 있으며, 레버(3)를 중립에서 전후(또는 좌우)로 젖혀주면 몸체(2)의 내부에 장착된 가동접편(4)이 중립상태(OFF)에서 전후(또는 좌우)로 이동하여 ON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토글스위치(1)는 전이구역(TRANSITION REGION)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스위칭효과가 우수하여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토글스위치(1)는 단순히 ON/OFF 기능만을 제공할 뿐이고, 스위치 자체에 안전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중요한 기능 또는 긴급상황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하여야 할 스위치에는 특별히 안전기능(장치)을 별도로 제조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토글스위치(1)를 자동차(유니 버스 등)의 스위치패널(8)에 비상스위치(9)로 설치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토글스위치(1)를 비상스위치(9)로 설치할 때에는 운전자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캡(6)과 하우징(7)을 별도로 제조하여 장착하였으며, 이와 같이 안전장치로서 별도의 캡(6)과 하우징(7)을 제조 장착하게 되면 제품의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요인(문제)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토글(Toggle) 스위치에 직접 설치되어 탄발수단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는 레버(토글;Toggle)를 누를 때마다 레버의 수직 상하운동을 운동변형수단에 의해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시키고, 정역 회전운동에 의해 레버와 회동관체에 장착된 록킹수단을 록킹시키거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글(Toggle) 스위치에 직접 설치하여 줌으로서 스위치를 설치할 때에 별도로 조립(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고,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록킹/해제 기능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는,
밑면으로 단자들이 노출된 몸체와, 그 몸체의 상측에 장착되어 정역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스위치를 ON/OFF시키는 레버로 형성된 토글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토글스위치에 안전장치가 직접 설치되어, 탄발수단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는 레버(Toggle)를 누를 때마다 레버의 수직 상하운동이 운동변형수단에 의해 회동관체의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되고, 정역 회전운동에 의해 레버와 회동관체에 장착된 록킹수단이 록킹되거나 록킹 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글스위치에 직접 설치되는 안전장치는;
가동접편의 상측에 장착되는 레버에 있어서;
레버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체결수단에 의해 굴대 설치되는 작동봉과;
작동봉의 하단과 가동접편과의 사이에서 장착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작동봉과 함께 레버를 상측으로 탄발시키는 탄발수단과;
작동봉의 측면에서 가동접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관체와;
작동봉과 회동관체에 설치되어 레버의 상하운동을 회동관체의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시키는 운동변형수단과;
작동봉과 회동관체에 설치되어 레버의 상하운동에 의해 회동관체가 정역 회전운동할 때에 록킹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버의 하단과 작동봉을 회동가능하게 굴대 설치하는 체결수단은;
레버의 하단과 작동봉의 상단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숫체결편 및 암체결편과;
결합된 숫체결편과 암체결편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체결시켜 주는 체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동봉의 하단과 가동접편과의 사이에서 장착수단에 의해 장착되는 탄발수단 은;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동봉의 하단과 가동접편과의 사이에 장착되는 탄발수단을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은;
작동봉의 하단과 작동봉의 직하방 가동접편에는 각각 일체로 형성된 장착단봉과; 각 장착단봉에 탄발수단의 상단과하단을 각각 결합시킨 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동봉의 측면에서 회동관체를 가동접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은;
가동접편에 지지봉을 세워 일체로 고정시킨 것과; 상기 지지봉에 회동관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킨 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동봉과 회동관체에 설치되어 레버의 상하운동을 회동관체의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시키는 운동변형수단은;
작동봉에 웜기어를 일체로 형성하고 회동관체에는 웜휠을 자유롭게 정역 회전하도록 장착하여 웜기어와 웜휠을 치합시킨 것과;
회동관체와 웜휠에 형성되어 정역으로 회전하는 회동관체의 동력을 웜휠에 전달하여 웜휠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동봉과 회동관체에 설치되어 록킹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수단은;
작동봉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플레이트와;
회동관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편과;
록킹편이 록킹플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동관체와 웜휠에 형성되어 회동관체의 정역 동력을 웜휠에 전달하여 웜휠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동수단은;
웜휠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요홈의 대향편에 각각 형성되어 가이드요홈을 양측의 반원유격홈으로 분할하고, 회동관체의 연동편을 선택적으로 밀어 정역 회전 이동시키는 제1기동편 및 제2기동편과;
회동관체의 외주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웜휠의 제1기동편 또는 제2기동편에 의해 밀어지고, 중앙부에 형성된 반원유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회동관체를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연동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는,
토글(Toggle) 스위치에 직접 설치되어 탄발수단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는 레버(토글;Toggle)를 누를 때마다 레버의 수직 상하운동을 운동변형수단에 의해 정 역 회전운동으로 변형시키고, 정역 회전운동에 의해 레버와 회동관체에 장착된 록킹수단을 록킹시키거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토글(Toggle) 스위치에 직접 설치하여 줌으로서 스위치를 설치할 때에 별도로 조립(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고,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록킹/해제 기능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토글스위치안전장치(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글스위치안전장치(10)의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와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서 웜휠(32)과 회동관체(40)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이며, 도 7a 및 도 7b와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토글스위치안전장치(1)의 작동관계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글스위치안전장치(10)는;
밑면으로 단자(5)들이 노출된 몸체(2)의 상측에 레버(3)가 장착되는 토글스위치(1)에 있어서, 상기 토글스위치(1)에 토글스위치안전장치(10)를 직접 설치하였 다.
토글스위치(1)에 직접 설치되는 토글스위치안전장치(10)는, 탄발수단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는 레버(3)를 누를 때마다 레버(3)의 수직 상하운동이 운동변형수단(30)에 의해 회동관체(40)의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시키고, 회동관체(40)의 정역 회전운동에 의해 레버(3)와 회동관체(40)에 장착된 록킹수단이 록킹되거나 록킹 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특히, 상기 토글스위치(1)에 직접 설치되는 토글스위치안전장치(10)는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레버(3)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체결수단에 의해 굴대 설치되는 작동봉(31); 작동봉(31)의 하단과 가동접편(4)과의 사이에서 장착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작동봉(31)과 함께 레버(3)를 상측으로 탄발시키는 탄발수단; 작동봉(31)의 측면에서 가동접편(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관체(40); 작동봉(31)과 회동관체(40)에 설치되어 레버(3)의 상하운동을 회동관체(40)의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시키는 운동변형수단(30); 작동봉(31)과 회동관체(40)에 설치되어 레버(3)의 상하운동에 의해 회동관체(40)가 정역 회전운동할 때에 록킹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토글스위치안전장치(10)에서 레버(3)의 하단과 작동봉(31)을 회동가능하게 굴대 설치하는 체결수단은 도 3 및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레버(3)의 하단에는 체결공이 수평으로 뚫어진 숫체결편(20)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작동봉(31)의 상단에는 체결공이 뚫어진 암체결편(21)을 상기 숫체결 편(20)과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하였다.
숫체결편(20)을 암체결편(21)에 결합(삽입)시킨 상태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숫체결편(20)과 암체결편(21)의 체결공에는 체결핀(22)을 삽입하여 숫체결편(20)과 암체결편(21)을 일체형으로 결합시켰다.
또, 작동봉(31)의 하단과 가동접편(4)과의 사이에는 탄발수단을 장착수단에 의해 장착하였는데, 상기 탄발수단으로서는 예시된 바와 같은 코일스프링(38)과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판스프링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38)을 장착하는 것이 요망된다.
상기 작동봉(31)의 하단과 가동접편(4)과의 사이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38) 또는 판스프링과 같은 탄발수단을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으로서는, 작동봉(31)의 하단과 작동봉(31)의 직하방 가동접편(4)에는 장착단봉(37)(39)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였고, 각 장착단봉(37)(39)에는 탄발수단으로서 코일스프링(38) 또는 판스프링(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결합(삽입)시켰다.
상기 작동봉(31)의 측면에서 가동접편(4)에는 도 3 내지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동관체(40)를 장착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시켰다.
상기 장착수단으로서는 가동접편(4)에 지지봉(43)을 세워 일체로 고정시켰고, 지지봉(43)에 회동관체(4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하여 결합시켜 형성하였다.
특히, 도 3과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동봉(31)과 회동관체(40)에는 운동변형수단(30)을 설치하여 레버(3)의 상하운동을 회동관체(40)의 정역 회전운동으 로 변형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레버(3)의 상하운동을 회동관체(40)의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시키는 운동변형수단(30)은, 작동봉(31)의 외주에 웜기어(32)를 일체로 형성하고, 회동관체(40)의 외주 상단부에는 웜휠(33)을 자유롭게 정역 회전하도록 장착하되, 웜기어(32)와 웜휠(33)이 치합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웜기어(32)는 상하로 작동할 때에 치합된 웜휠(33)이 벗어나지 않도록 충분한 높이(길이)로 형성하였다.
상기 회동관체(40)와 그 상단부에 장착되는 웜휠(33)과의 사이에는 도 5와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동수단을 형성하여, 정역으로 회전하는 회동관체(40)의 동력을 웜휠(33)에 전달하여 웜휠(33)을 정역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회동관체(40)와 웜휠(33)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동력전동수단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웜휠(33)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요홈(34)의 내주 면에는 제1기동편(35-1)과 제2기동편(35-2)을 대향 하도록 각각 형성하여 가이드요홈(34)을 양측의 반원유격홈(34-1)으로 분할하였다.
회동관체(40)의 외주 상단에는 연동편(41)을 일체로 형성하여 웜휠(33)의 제1기동편(35-1)과 제2기동편(35-2)에 의해 형성된 양측의 반원유격홈(34-1) 중에서 어느 일측의 반원유격홈(34-1)에 안치되도록 하였다.
또한, 도 3과 도 4 및 도 7a 내지 도 8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동봉(31)과 회동관체(40)에는 록킹수단을 장착하여 록킹시키거나 또는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작동봉(31)과 회동관체(40)에 장착되는 록킹수단은, 작동봉(31)의 외주 하단에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록킹플레이트(36)를 일체로 형성하고, 회동관체(40)의 외주 하단에는 록킹편(42)을 일체로 형성하되, 레버(3)와 함께 작동봉(31)이 상승하였을 때에는 록킹플레이트(36)가 록킹편(42)의 상측에 위치(이동)하고 하향하였을 때에 록킹플레이트(36)가 록킹편(42)의 하측에 위치(이동)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글스위치안전장치(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글스위치안전장치(10)는 토글스위치(1)에 장착되는 레버(3)가 도 3 및 도 7a 내지 도 8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 중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작동시킨다.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장된 코일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레버(3)와 작동봉(31)이 상승한 상태는 작동봉(31)의 록킹플레이트(36)가 회동관체(40)의 록킹편(42)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록킹상태가 해제된 상태이다.
즉, 신장된 코일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레버(3)와 작동봉(31)이 상승하여 작동봉(31)의 록킹플레이트(36)가 회동관체(40)의 록킹편(42)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록킹상태가 해제된 상태는 토글스위치(1)에 설치된 레버(3)가 코일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요지부동의 억류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외부에서 상당한 정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오동작이 발생할 염려는 전혀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코일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레버(3)와 작동봉(31)이 상승 되어 억류된 상태에서 긴급상황 등이 발생하여 토글스위치(1)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7a 및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시한다.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록킹편(42)이 록킹플레이트(36)를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레버(3)를 눌러주게 되면 눌러지는 힘에 의해 코일스프링(38)이 압축되면서 일체로 형성된 작동봉(31)과 함께 웜기어(32)가 함께 하향하게 되고, 웜기어(32)가 하향하게 되면 웜기어(32)에 치합된 웜휠(33)이 회전하게 된다.
웜휠(33)이 회전하게 되면 제1기동편(35-1)은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공전)하여 회동관체(40)의 연동편(41)에 접촉된 후에 연동편(41)을 밀어 주면서 계속 이동(공전)하게 되고, 웜기어(32)가 하향하여 웜휠(33)을 반 회전(공전)시키게 되면 연동편(41)과 함께 회동관체(40) 및 록킹편(42)이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동봉(31)에 장착된 록킹플레이트(36)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록킹편(42)이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동봉(31)에 장착된 록킹플레이트(36)의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레버(3)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38)이 신장되면서 작동봉(31)과 함께 레버(3)를 상측으로 밀어 이동시켜 주지만, 상측으로 이동하는 록킹플레이트(36)가 록킹편(42)에 의해 걸려 상승이 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록킹플레이트(36)가 록킹편(42)에 의해 걸려지게 되면 레버(3)의 억류상태는 해제되며, 따라서 레버(3)를 소정의 방향(전후 또는 좌우)으로 이동시켜 토글스위치(1)를 작동시킨다.
반면에 토글스위치(1)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레버(3)를 전술한 바와 같이 중 립상태에서 재차 억류상태로 유지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8a 내지 도 8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시한다.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록킹플레이트(36)가 록킹편(42)에 의해 걸려있는 상태에서, 레버(3)를 더 눌러 주게 되면 작동봉(31)과 함께 웜기어(32)가 더욱 하향하게 되고, 작동봉(31)과 함께 웜기어(32)가 더욱 하게 되면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웜기어(32)에 치합된 웜휠(33)이 더욱 회전하면서 제1기동편(35-1)이 연접되어 있는 연동편(35-2)을 밀어 회동관체(40)를 원래의 회전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게 되며, 회동관체(40)가 회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되면 록킹편(42)은 록킹플레이트(36)를 벗어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동관체(40)가 회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록킹편(42)이 록킹플레이트(36)를 벗어난 상태에서 레버(3)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38)이 신장되고, 신장되는 코일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봉(31)과 함께 웜기어(32) 및 레버(3)가 상승하게 된다.
코일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봉(31)과 함께 웜기어(32) 및 레버(3)가 상승하게 되면, 웜기어(32)에 치합된 웜휠(33)이 역회전하게 되고, 웜기어(32)에 치합된 웜휠(33)이 역회전할 때에 제2기동편(35-2)이 회동관체(40)의 연동편(41)과 접촉될 때까지 공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기동편(35-2)이 회동관체(40)의 공회전되어 연동편(41)과 접촉되기 직전까지 작동봉(31)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므로 록킹플레이트(36)는 도 8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록킹편(42)의 상측으로 이동(상승)하여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유 지하게 된다.
록킹플레이트(36)가 록킹편(42)의 상측으로 이동(상승)하여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작동봉(31)과 웜기어(32) 및 레버(3)가 코일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더욱 상승하면 웜기어(32)에 치합되어 있는 웜휠(33)이 더욱 역회전하게 되고, 웜휠(33)이 더욱 역회전하게 되면 회동관체(40)의 연동편(41)과 접촉되어 있는 제2기동편(35-2)이 역회전하면서 연동편(41)을 역방향으로 밀어 주게 된다.
제2기동편(35-2)에 의해 역방향으로 밀어지는 연동편(41)과 함께 회동관체(40) 및 록킹편(42)도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8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록킹편(42)이 록킹플레이트(36)를 완전히 벗어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원상태(도 7a)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글스위치안전장치(10)는, 토글(Toggle) 스위치에 직접 설치되어 탄발수단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는 레버(3)를 누를 때마다 레버의 수직 상하운동을 운동변형수단에 의해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시키고, 정역 회전운동에 의해 회동관체(40)에 장착된 록킹편(42)을 작동봉(31)에 형성된 록킹플레이트(36)를 록킹시키거나 록킹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글스위치안전장치(10)를 자동차의 스위치패널 등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레버(3)가 상승하여 록킹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레버(3)가 억류되어 있으므로 레버(3)가 임의로 작동되거나 오동작이 발생할 염려를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토글 스위치를 보인 사시도 및 작동원리를 간단하게 도시한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토글 스위치에 종래의 안전장치를 설치한 상태 사시도 및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를 보인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5와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에서 웜휠과 회동관체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7a 및 도 7b와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의 작동관계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토글 스위치 3: 레버캡
4: 가동접편 10: 토글스위치안전장치
20: 숫체결편 21: 암체결편
30: 운동변형수단 31: 작동봉
32: 웜기어 33: 웜휠
38: 코일스프링 40: 회동관체

Claims (9)

  1. 밑면으로 단자들이 노출된 몸체와, 그 몸체의 상측에 장착되어 정역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스위치를 ON/OFF시키는 레버로 형성된 토글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토글스위치에 안전장치가 직접 설치되어, 탄발수단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는 레버(Toggle)를 누를 때마다 레버의 수직 상하운동이 운동변형수단에 의해 회동관체의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되고, 정역 회전운동에 의해 레버와 회동관체에 장착된 록킹수단이 록킹되거나 록킹 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토글스위치에 직접 설치되는 안전장치는;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체결수단에 의해 굴대 설치되는 작동봉과;
    작동봉의 하단과 가동접편과의 사이에서 장착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작동봉과 함께 레버를 상측으로 탄발시키는 탄발수단과;
    작동봉의 측면에서 가동접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관체와;
    작동봉과 회동관체에 설치되어 레버의 상하운동을 회동관체의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시키는 운동변형수단과;
    작동봉과 회동관체에 설치되어 레버의 상하운동에 의해 회동관체가 정역 회전운동할 때에 록킹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레버의 하단과 작동봉을 회동가능하게 굴대 설치하는 체결수단은;
    레버의 하단과 작동봉의 상단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숫체결편 및 암체결편과;
    결합된 숫체결편과 암체결편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체결시켜 주는 체결핀;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동봉의 하단과 가동접편과의 사이에서 장착수단에 의해 장착되는 탄발수단은;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동봉의 하단과 가동접편과의 사이에 장착되는 탄발수단을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은;
    작동봉의 하단과 작동봉의 직하방 가동접편에는 각각 일체로 형성된 장착단봉과; 각 장착단봉에 탄발수단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결합시킨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동봉의 측면에서 회동관체를 가동접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은;
    가동접편에 지지봉을 세워 일체로 고정시킨 것과; 상기 지지봉에 회동관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킨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동봉과 회동관체에 설치되어 레버의 상하운동을 회동관체의 정역 회전운동으로 변형시키는 운동변형수단은;
    작동봉에 웜기어를 일체로 형성하고 회동관체에는 웜휠을 자유롭게 정역 회전하도록 장착하여 웜기어와 웜휠을 치합시킨 것과;
    회동관체와 웜휠에 형성되어 정역으로 회전하는 회동관체의 동력을 웜휠에 전달하여 웜휠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동봉과 회동관체에 설치되어 록킹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수단은;
    작동봉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플레이트와;
    회동관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편과;
    레버가 상승하였을 때에는 록킹플레이트이 록킹편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향하였을 때에는 록킹플레이트가 록킹편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회동관체의 정역 동력을 웜휠에 전달하여 웜휠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동수단은;
    웜휠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요홈의 대향편에 각각 형성되어 가이드요홈을 양측의 반원유격홈으로 분할하고, 회동관체의 연동편을 선택적으로 밀어 정역 회전 이동시키는 제1기동편 및 제2기동편과;
    회동관체의 외주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웜휠의 제1기동편 또는 제2기동편에 의해 밀어지고, 중앙부에 형성된 반원유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회동관체를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연동편;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KR1020070126616A 2007-12-07 2007-12-07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KR20090059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16A KR20090059647A (ko) 2007-12-07 2007-12-07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16A KR20090059647A (ko) 2007-12-07 2007-12-07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47A true KR20090059647A (ko) 2009-06-11

Family

ID=4098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616A KR20090059647A (ko) 2007-12-07 2007-12-07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96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3382A (zh) * 2019-11-12 2020-04-10 国网浙江台州市黄岩区供电有限公司 一种配电自动化罩式ftu免登杆多功能操作杆
KR102329759B1 (ko) 2021-07-02 2021-11-22 주식회사 베코 토글 스위치 장치
KR20220089778A (ko) * 2020-12-21 2022-06-29 김영조 IoT 기반이 가능한 차량배터리 방전방지용 스마트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3382A (zh) * 2019-11-12 2020-04-10 国网浙江台州市黄岩区供电有限公司 一种配电自动化罩式ftu免登杆多功能操作杆
CN110993382B (zh) * 2019-11-12 2023-11-24 国网浙江台州市黄岩区供电有限公司 一种配电自动化罩式ftu免登杆多功能操作杆
KR20220089778A (ko) * 2020-12-21 2022-06-29 김영조 IoT 기반이 가능한 차량배터리 방전방지용 스마트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29759B1 (ko) 2021-07-02 2021-11-22 주식회사 베코 토글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58830B (zh) 电吸锁
AU2019202691B2 (en) Clutch engagement assembly of door lock and driving device thereof
KR20090059647A (ko) 토글 스위치의 안전장치
CN110616968A (zh) 全自动锁
CN105781260B (zh) 一种智能电子门栓
CN105840003B (zh) 一种插销机构的驱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756432B (zh) 一种手动解锁的插销机构
CN103015810A (zh) 门锁和安装有相同门锁的设备
JP3486843B2 (ja) ロック解除と離脱が簡易なコネクタ構造
CN212271848U (zh) 一种全自动安全锁体
JPH0512892Y2 (ko)
CN114150945A (zh) 用于重卡轻卡商用车上一体式车门锁
CN211573015U (zh) 汽车侧门锁
TWI665117B (zh) 車輛用免鑰匙鎖具
JP3778604B2 (ja) 鍵スイッチ
KR100336468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이중 잠금 장치
CN217735169U (zh) 一种汽车自吸尾门锁
CN211874168U (zh) 常闭式门锁及具有该常闭式门锁的共享车辆
CN220451615U (zh) 一种把手上可插钥匙开锁的门锁
KR19990038232U (ko) 레버형 도어록
CN213206533U (zh) 一种应用于换挡解锁装置的手动解锁组件
CN216665299U (zh) 用于重卡轻卡商用车上一体式车门锁
CN112606680B (zh) 一种油箱盖电动执行器
CN217812924U (zh) 用于车辆的机罩锁组件及具有其的车辆
CN212177840U (zh) 凸轮回转式驻车机构、变速器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