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255B1 -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255B1
KR101514255B1 KR1020130154876A KR20130154876A KR101514255B1 KR 101514255 B1 KR101514255 B1 KR 101514255B1 KR 1020130154876 A KR1020130154876 A KR 1020130154876A KR 20130154876 A KR20130154876 A KR 20130154876A KR 101514255 B1 KR101514255 B1 KR 10151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wearer
distance
pos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미혜
지성원
이봉현
배철용
유성민
이석호
강여진
이다연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를 착용자용 장치에 전송하는 차량용 장치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며 상기 차량용 장치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는 시각 정보로 출력하는 착용자용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TRACING VEHICLE POSI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목시계와 같은 휴대형 착용 장치를 이용해 차량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차량의 위치를 쉽게 추적하거나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와치(또는 스마트 손목시계)가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는 손목에 착용하는 시계에 1인치나 2인치 정도의 소형 디스플레이와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소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다른 장치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다. 상기 스마트 와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장치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최근 상기 스마트 와치를 이용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기능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와치에 통합하여 제공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능 중 하나로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이 있으나, 아직은 기존의 리모콘키 기능(예 : 차량 도어의 오픈/클로즈 및 차량 시동 등)을 대체하고 있는 수준이다. 즉 스마트 와치의 높은 기술사양에 비해서 통합 제공되고 있는 기능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종래의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운전자)의 편의성, 휴대성 및 착용의 필요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운전자가 차량 운전 중 느끼는 불편함 중 하나는 평소에 주차하지 않던 장소에 차량을 주차했을 때 주차 위치를 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예컨대 쇼핑몰이나 빌딩의 내부 주차장에 주차한 후 운전자는 용무나 업무를 보는 동안 주차 위치를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간혹 주차위치를 잊는 경우에는 주차위치를 찾기 위해서 상당한 시간을 소비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주차장이 아닌 낯선 지역에 주차를 할 경우 더욱 주차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항상 휴대하거나 착용하고 다니는 물품을 이용하여 언제든지 차량의 위치를 쉽게 추적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208157호(2000.10.12.등록, 손목시계형 리모콘 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손목시계와 같은 휴대형 착용 장치를 이용해 차량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차량의 위치를 쉽게 추적하거나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시계와 같은 휴대형 착용 장치를 이용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출력할 때 착용자와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지도나 레이더 정보와 같은 화면을 선택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차량의 위치를 보다 쉽게 추적하거나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를 착용자용 장치에 전송하는 차량용 장치; 및 상기 차량용 장치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는 시각 정보로 출력하는 착용자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는, 손목시계 또는 팔찌 타입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포함한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고 휴대할 수 있도록 구현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장치는,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 위치 검출부; 상기 검출된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착용자용 장치에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 상기 착용자용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 혹은 근접신호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착용자용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 혹은 근접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 및 상기 차량 위치 검출부, 정보 송신부, 정보 수신부 및 알람 출력부를 제어하여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착용자용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과,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의 거리에 따라 알람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경고등, 방향등, 헤드라이트, 미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시각 정보; 또는 경적 소리 또는 음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청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청각 정보를 이용한 알람은,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의 거리에 따라 거리가 멀수록 음량을 크게 출력하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음량을 작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는, 경도/위도 좌표정보, 또는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는, 착용자용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차량용 장치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신호 혹은 근접신호를 상기 차량용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착용자용 장치의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화면표시 방식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차량의 위치를 각기 다른 화면표시 방식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의 제어부는,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 떨어져 있을 경우 지도 화면을 표시하고,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미만 떨어져 있을 경우 레이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레이더정보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이 떨어진 거리와 방향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지도 화면의 축적을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 착용자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 차량의 원거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지도 화면정보, 차량의 근거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레이더 화면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의 제어부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부가정보를 추가로 표시하게 하며, 상기 부가정보는 차량거리, 차량이 있는 위치의 주소, 차량이 있는 위치의 주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차량용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이거나, 상기 착용자용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차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터넷 검색을 통해 검출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위치 추적 방법은, 차량 자신의 위치 정보를 착용자용 장치에 전송하는 차량용 장치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착용자용 장치를 포함하여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장치의 차량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가 상기 차량용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용자용 장치가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착용자용 장치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착용자용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차량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착용자용 장치가 상기 산출된 차량거리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거리와 기준거리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착용자용 장치의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화면표시 방식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착용자용 장치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거리가 기준거리보다 길면 원거리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지도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차량거리가 기준거리보다 짧으면 근거리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레이더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거리와 기준거리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거리가 기준거리보다 짧으면 상기 착용자용 장치가 상기 차량용 장치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여 알람을 출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장치는, 상기 착용자용 장치에서 차량의 위치 정보 전송을 요청하거나, 상기 착용자용 장치에서 별도의 요청이 없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는, 손목시계 또는 팔찌 타입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포함한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고 휴대할 수 있도록 구현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내지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착용자용 장치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지정된 사용자가 상기 착용자용 장치를 착용할 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목시계와 같은 휴대형 착용 장치를 이용해 차량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차량의 위치를 쉽게 추적하거나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휴대형 착용 장치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출력할 때 착용자와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지도나 레이더 정보와 같은 화면을 선택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차량의 위치를 보다 쉽게 추적하거나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과 사용자 간의 거리에 따라 차량 위치 정보가 착용자용 장치에 표시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기준거리 보다 가까울 때 알람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 자신의 위치를 착용자용 장치(200)에 전송하는 차량용 장치(100)와 상기 차량용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착용자)가 알 수 있는 시각 정보로 출력하는 착용자용 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장치(100)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텔레매틱스 장치는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과 인포매틱스(informatics)의 합성어로, 자동차 안에서 이메일을 주고받고, 인터넷을 통해 각종 정보도 검색할 수 있는 차량용 컴퓨터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오토모티브 텔레매틱스라고도 부른다.
상기 텔레매틱스 장치는 운전자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을 원격 진단하고, 무선모뎀을 장착한 차량용 컴퓨터를 이용해 교통 및 생활정보, 긴급구난 등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이용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보통신 서비스의 수행을 위하여 자동차 회사와 이동통신업체 간의 협력(기술제휴)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는 사용자의 신체(특히 손목)에 착용하고 휴대할 수 있는 손목시계(또는 팔찌) 타입으로 구현된다.
이하 상기 차량용 장치(100)와 착용자용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차량용 장치(100)는 차량 위치 검출부(110), 정보 송신부(120), 차량 제어부(130), 정보 수신부(140) 및 알람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위치 검출부(110)는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는 GPS위성(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된 GPS신호, 이동통신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차량 내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송신부(120)는 상기 검출된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예 : 경도/위도 좌표정보, 주소정보 등)를 미리 지정된 장치(예 : 모바일폰, 메일 서버, 클라우드 서버, 차량 위치 정보를 요청한 장치 등), 착용자용 장치(200)에 전송한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에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40)는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 혹은 근접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알람 출력부(150)는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 혹은 근접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람을 출력한다(도 3 참조).
상기 알람은 시각 정보(예 : 경고등, 방향등, 헤드라이트, 미등 등) 또는 청각 정보(예 : 경적 소리, 음성 등)를 이용하여 출력된다. 상기 청각 정보를 이용한 알람은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200)의 거리에 따라 거리가 멀수록 음량을 크게 출력하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음량을 작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200) 간의 거리 정보는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하여 상기 차량용 장치(100)에 전송하거나, 상기 차량용 장치(100)에서 상기 근접신호를 이용하여 직접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제어부(130)는 상기 차량용 장치(100)의 구성 수단(110 ~ 150)들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예 :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를 착용자용 장치에 전송,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의 거리에 따른 알람 출력 등)을 제어한다.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는 위치 검출부(210), 통신부(220), 제어부(230), 저장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검출부(210)는 착용자용 장치(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의 현재 위치는 GPS위성(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된 GPS신호, 이동통신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착용자가 직접 입력한 위치 정보를 처리하여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20)는 상기 차량용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예 : 경도/위도 좌표정보, 주소정보 등)를 수신한다. 상기 통신부(220)는 원거리 무선 통신(예 : 3G, 4G, WiFi 등)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 :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방식으로 제어신호(예 :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요청, 알람 신호 출력 요청, 차량과 착용장용 장치 간의 거리정보 등) 혹은 근접신호를 상기 차량용 장치(100)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된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240)에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예 : 차량의 경도/위도 좌표정보, 주소정보 등), 착용자용 장치(200)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예 : 착용자용 장치의 경도/위도 좌표정보, 주소정보 등),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지도 화면정보,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레이더 화면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저장된다.
예컨대 상기 지도 화면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거리(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기준거리) 이상 떨어져 있을 때(즉, 멀리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고(도 2의 (a) 참조), 상기 레이더 화면정보는 차량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기준거리) 미만 떨어져 있을 때(즉, 가까이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다(도 2의 (b) 참조).
이때 상기 지도 화면이나 레이더 화면에는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모두 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차량거리(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지도 화면의 축적을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차량의 위치를 각기 다른 화면표시 방식(예 : 지도 화면 표시, 레이더 화면 표시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화면표시 방식(예 : 지도 화면 표시, 레이더 화면 표시 등)은 쉬운 이해를 위하여 일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얼마든지 다른 화면표시 방식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의 기본 정보(예 : 시계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를 통해 차량 위치를 추적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차량용 장치(100)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화면표시 방식(예 : 지도 화면 표시, 레이더 화면 표시 등)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위치에 관련된 부가정보(예 : 차량거리, 차량이 있는 위치의 주소, 차량이 있는 위치의 주변 정보 등)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차량용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이거나, 상기 제어부(230)가 상기 차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터넷 검색을 통해 검출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의 구성 수단(210 ~ 250)들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예 : 차량의 현재 위치 요청, 차량거리 전송, 차량거리 표시,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부가정보 등)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용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차량용 장치(100)에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를 착용했을 때 자동으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착용자용 장치(200)를 지정된 사용자가 착용할 시에만 특정 기능(예 : 차량 제어에 관련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절약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에는 비밀번호 입력이나 생체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수단(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에서 별도의 요청이 없더라도, 상기 차량용 장치(100)가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에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일정시간 간격으로(주기적으로)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차량용 장치(100)에서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할 경우,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는 상기 차량용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101).
아울러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는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S102).
이때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는 손목시계(또는 팔찌) 타입의 휴대형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예 : 착용자 또는 운전자)가 신체(특히 손목)에 착용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의 현재 위치는 사용자(또는 착용자) 자신의 현재 위치가 된다.
상기 착용자용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전송받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검출된 사용자(또는 착용자용 장치)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거리(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S103).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산출된 차량거리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한다(S104).
여기서 상기 기준거리는 화면표시 방식(예 : 지도 화면 표시, 레이더 화면 표시 등)을 변경하기 위하여 설정된 거리이다.
상기 차량거리와 기준거리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거리가 기준거리보다 길면(즉, 차량이 사용자로부터 기준보다 멀리 떨어져 있으면)(S104의 예), 원거리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지도정보 화면을 표시한다(S105).
그러나 상기 차량거리가 기준거리보다 짧으면(즉, 차량이 사용자로부터 기준보다 가깝게 있으면)(S104의 아니오), 근거리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레이더정보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장치(100)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여 알람을 출력하게 한다(S106).
여기서 상기 레이더정보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이 떨어진 거리와 방향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그리고 상기 알람은 시각 정보(예 : 경고등, 헤드라이트, 미등 등) 또는 청각 정보(예 : 경적 소리, 음성 등)를 이용하여 출력하되, 차량과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 거리가 멀수록 음량을 크게 출력하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음량을 작게 출력하여 사용자가 차량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장치 110 : 차량 위치 검출부
120 : 정보 송신부 130 : 차량 제어부
140 : 정보 수신부 150 : 알람 출력부
200 : 착용자용 장치 210 : 위치 검출부
220 : 통신부 230 : 제어부
240 : 저장부 2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7)

  1.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를 착용자용 장치에 전송하는 차량용 장치; 및
    상기 차량용 장치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는 시각 정보로 출력하는 착용자용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착용자용 장치의 제어부는,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 떨어져 있을 경우 지도 화면을 표시하고,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미만 떨어져 있을 경우 레이더정보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레이더정보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이 떨어진 거리와 방향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는,
    손목시계 또는 팔찌 타입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포함한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고 휴대할 수 있도록 구현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장치는,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 위치 검출부;
    상기 검출된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착용자용 장치에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
    상기 착용자용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 혹은 근접신호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착용자용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 혹은 근접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 및
    상기 차량 위치 검출부, 정보 송신부, 정보 수신부 및 알람 출력부를 제어하여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착용자용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과,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의 거리에 따라 알람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경고등, 방향등, 헤드라이트, 미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시각 정보; 또는 경적 소리 또는 음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청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정보를 이용한 알람은,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의 거리에 따라 거리가 멀수록 음량을 크게 출력하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음량을 작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는,
    경도/위도 좌표정보, 또는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는,
    착용자용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차량용 장치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신호 혹은 근접신호를 상기 차량용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착용자용 장치의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화면표시 방식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차량의 위치를 각기 다른 화면표시 방식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지도 화면의 축적을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 착용자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 차량의 원거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지도 화면정보, 차량의 근거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레이더 화면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의 제어부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부가정보를 추가로 표시하게 하며,
    상기 부가정보는 차량거리, 차량이 있는 위치의 주소, 차량이 있는 위치의 주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차량용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이거나, 상기 착용자용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차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터넷 검색을 통해 검출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12. 차량 자신의 위치 정보를 착용자용 장치에 전송하는 차량용 장치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착용자용 장치를 포함하여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장치의 차량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가 상기 차량용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용자용 장치가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착용자용 장치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착용자용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과 착용자용 장치 간의 차량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착용자용 장치가 상기 산출된 차량거리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거리와 기준거리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착용자용 장치의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화면표시 방식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착용자용 장치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거리가 기준거리보다 길면 원거리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지도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차량거리가 기준거리보다 짧으면 근거리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레이더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방법.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거리와 기준거리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거리가 기준거리보다 짧으면 상기 착용자용 장치가 상기 차량용 장치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여 알람을 출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장치는,
    상기 착용자용 장치에서 차량의 위치 정보 전송을 요청하거나,
    상기 착용자용 장치에서 별도의 요청이 없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차량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용 장치는,
    손목시계 또는 팔찌 타입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포함한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고 휴대할 수 있도록 구현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내지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착용자용 장치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지정된 사용자가 상기 착용자용 장치를 착용할 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위치 추적 방법.
KR1020130154876A 2013-12-12 2013-12-12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514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876A KR101514255B1 (ko) 2013-12-12 2013-12-12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876A KR101514255B1 (ko) 2013-12-12 2013-12-12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255B1 true KR101514255B1 (ko) 2015-04-22

Family

ID=5305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876A KR101514255B1 (ko) 2013-12-12 2013-12-12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2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74B1 (ko) * 2016-06-03 2017-02-09 이재운 차량용 단말 장치
US9618935B2 (en) 2015-06-11 2017-04-11 Sun Jong YANG Remote controlling and lifesaving apparatus using a wearable device system within a car
KR20170074693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팔찌형 보조배터리
KR102480011B1 (ko) 2022-03-11 2022-12-20 김익균 차량 블랙박스와 gps를 이용한 스마트 불법 감시 방지 시스템
KR102505353B1 (ko) 2022-03-11 2023-02-28 김익균 스마트폰 연동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불법 감시 방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844A (ko) * 2005-01-10 200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위치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표시방법
JP2007334825A (ja) * 2006-06-19 2007-12-27 Denso Corp 車両位置情報報知システム。
KR20120025729A (ko) * 2010-09-08 2012-03-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및 그의 화면표시 제어방법
KR101335344B1 (ko) * 2012-08-09 2013-12-02 이보석 스마트 카워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844A (ko) * 2005-01-10 200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위치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표시방법
JP2007334825A (ja) * 2006-06-19 2007-12-27 Denso Corp 車両位置情報報知システム。
KR20120025729A (ko) * 2010-09-08 2012-03-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및 그의 화면표시 제어방법
KR101335344B1 (ko) * 2012-08-09 2013-12-02 이보석 스마트 카워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8935B2 (en) 2015-06-11 2017-04-11 Sun Jong YANG Remote controlling and lifesaving apparatus using a wearable device system within a car
KR20170074693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팔찌형 보조배터리
KR102477199B1 (ko) * 2015-12-22 2022-12-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팔찌형 보조배터리
KR101705274B1 (ko) * 2016-06-03 2017-02-09 이재운 차량용 단말 장치
KR102480011B1 (ko) 2022-03-11 2022-12-20 김익균 차량 블랙박스와 gps를 이용한 스마트 불법 감시 방지 시스템
KR102505353B1 (ko) 2022-03-11 2023-02-28 김익균 스마트폰 연동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불법 감시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7033B2 (en) Vehicle locat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US20160343249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cessing traffic data
US8521419B2 (en) Method for locating a vehicle
US9451407B2 (en) Seek and find loc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KR101514255B1 (ko)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US8159368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n emergency vehicle alert
EP310846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traffic congestion warning
AU20182036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ert notifications to a vehicle occupant
US200801678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l maps using wireless handheld devices
US20030109263A1 (en) Vehicle telematics radio operable for providing and disabling driving directions to pre-selected destinations
JP2015083938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20150045987A1 (en) Configurable traffic zone control system
WO2011040356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2901504A (zh) 一种基于情景模式识别的车载智能控制电子装置及方法
JP2017021584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WO2012176239A1 (ja) 移動体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移動体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60225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78127A (ja) 注意喚起システム及び注意喚起装置
KR101698521B1 (ko) 운전불가시간(curfew) 위반 알림 장치 및 방법
CN204020430U (zh) 一种车用电子装置
JP6685963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TW201813852A (zh) 車輛安全系統及其方法
KR20040034258A (ko) Gps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을 보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JP2015067088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US20090284396A1 (en) System for locating vehicles in parking lot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