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808B1 -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808B1
KR101513808B1 KR1020130129816A KR20130129816A KR101513808B1 KR 101513808 B1 KR101513808 B1 KR 101513808B1 KR 1020130129816 A KR1020130129816 A KR 1020130129816A KR 20130129816 A KR20130129816 A KR 20130129816A KR 101513808 B1 KR101513808 B1 KR 101513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heat insulating
hole
shee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태
김영락
Original Assignee
김기태
김영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태, 김영락 filed Critical 김기태
Priority to KR1020130129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시트, 섬유시트, 단열재를 순차로 부착한 단열방수보드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와 이를 이용한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는 합성수지시트, 섬유시트, 단열재를 순차로 부착한 다수개의 단열방수보드; 상기 단열방수보드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연결부를 포함하며,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은 시공면을 평탄하고 깨끗하게 정리하는 시공면 정리 공정; 상기 시공면에 다수개의 고정연결부를 설치하여, 단열방수보드 사이를 고정시키면서 상기 시공면에 단열방수보드를 설치하는 단열방수보드 설치 공정;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에 발포우레탄을 도포하여 상기 단열방수보드를 부착하는 도포 공정;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 위에 겹치도록 섬유시트에 압력을 주면서 부착하는 압착 공정; 상기 섬유시트의 겹쳐진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 공정; 상기 접착제 위에 메쉬 섬유를 함침하는 함침 공정; 상기 메쉬 섬유 위에 방수 우레탄을 첨가하는 첨가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Waterproof structure of adiabatic roof and waterproof construct method of adiabatic roof}
본 발명은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재에 복합시트를 부착한 단열방수보드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와 이를 이용한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에는 누수, 빗물 침투 방지 및 그로 인한 문제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수 시공을 하고, 건물의 단열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 단열 시공을 하며, 필요에 따라 옥상의 방수 시공과 단열 시공을 같이한다.
구조물의 방수를 하는 방법 중에서, 우레탄 방수 공법은 시공할 옥상 바닥을 정리하고, 이에 프라이머를 도포함침시켜 건조한 뒤, 바닥면에 우레탄 방수제를 발라 건조하여 일정 두께의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방수를 하는 방법으로, 이는 우레탄 도막의 우수한 신축성과 방수 기능으로, 콘크리트의 미세한 균열까지 커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은, 방수시트로 주로 피브이시 시트(PVC sheet)를 사용하여 구조물에 깔아서 방수를 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서는, 피브이시 시트의 가장자리, 즉 두 피브이시 시트가 이어지는 부분의 접합이 중요한데, 이렇게 방수시트를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방수시트의 접합 부위, 즉 PVC 시트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용제(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는 접합 용제 방법과, 방수시트의 접합 부위를 따라 실링제(sealing)를 도포하는 실링 접합 방법이 있으며, 또한, 열풍기 접합 방법은, 접합 부위를 따라 열을 가해 융착을 가하는 방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03-0011997호(2003. 02. 12 공개)는 구조물의 표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다음에 그 위에 경질 폴리우레탄폼(밀도: 45kg/m 3 이상)을 분사 발포시킨 후, 이 발포층 위에 아크릴계 우레탄(신율: 300% 이상) 소재로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아크릴계 수성 또는 유성 페인트 소재로 탑 코팅층을 형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286931호(2013. 07. 10 등록)는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표면에 직접 도포 결합되는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의 상부에 펼쳐지고, 상기 접착제층에 하부면이 밀착되는 1차 섬유보강재, 상기 1차 섬유보강재를 완전히 덮는 두께로서 1차 섬유보강재를 침투하여 상기 접착제층에 결합되는 1차 우레탄층, 상기 1차 우레탄층의 상부에 펼쳐지는 격자형 메쉬 구조로 이루어진 2차 섬유보강재, 상기 2차 섬유보강재를 완전히 덮는 두께로서 2차 섬유보강재를 침투하여 상기 1차 우레탄층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2차 우레탄층 및 상기 2차 우레탄층의 상부에서 자외선을 차단하여 우레탄층의 노화 현상 및 변색을 방지하는 탑코팅층을 포함하여 우레탄 방수 시공중에 발생하는 수증기 증발에 의한 에어포켓, 핀홀 그리고 기포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붕방수보드는 접착제층에 의해 지붕방수보드 사이를 고정하기 때문에 접착제층의 접착력이 감소될 때 지붕방수보드의 틈이 벌어지면서 고정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03-0011997호 한국등록특허 제 10-128693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재에 복합시트를 부착한 단열방수보드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여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단열재, 복합시트를 부착한 다수개의 단열방수보드; 상기 단열방수보드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연결부를 포함하는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시트는, 합성수지시트와, 상기 합성수지시트의 상하단에 각각 부착된 섬유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연결부는,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양쪽 끝단부에서 수직 형성되어, 상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대에 의해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방수보드는,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도록 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는, 상기 관통홀을 덮어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도록 하는 탈기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기공은, 상기 관통홀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측에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는, 상기 탈기공을 덮기 위한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측면에 외부로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되,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다수개의 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시공면을 평탄하고 깨끗하게 정리하는 시공면 정리 공정; 상기 시공면에 다수개의 고정연결부를 설치하여, 단열방수보드 사이를 고정시키면서 상기 시공면에 단열방수보드를 설치하는 단열방수보드 설치 공정;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에 발포우레탄을 도포하여 상기 단열방수보드를 부착하는 도포 공정;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 위에 섬유시트가 겹치도록 압력을 주면서 섬유시트를 부착하는 압착 공정; 상기 섬유시트의 겹쳐진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 공정; 상기 접착제 위에 메쉬 섬유를 함침하는 함침 공정; 상기 메쉬 섬유 위에 방수 우레탄을 첨가하는 첨가 공정을 포함하는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은, 상기 단열방수보드에 높이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은, 상기 관통홀을 덮기 위한 탈기공을 설치하는 설치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은, 상기 단열방수보드 표면을 탑코트로 마감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코트로 마감하는 공정은, 자외선 차단 재질을 포함하는 탑코드로 상기 단영 방수보드 표면을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열재에 복합시트를 부착한 단열방수보드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와 이를 이용한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방수기능을 보유함과 동시에 우수한 단열성능을 보유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통기성을 확보하여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고정연결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고정연결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탈기공이 구비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캡이 구비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7 내지 도 10에 따른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의 추가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의 비노출형 공법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1의 노출형 공법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는 다수개의 단열방수보드(100) 및 다수개의 고정연결부(200)를 포함한다.
단열방수보드(100)는 단열재(106)에 복합시트(101)를 부착하며, 이 때 단위 크기의 보드 또는 패널 형태를 가지는 복수 개의 단열방수보드(100)를 이룬다.
단열재(106)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어 시공현장으로 운반하여 곧바로 바닥면이나 건물 벽면에 부착함으로써, 곧바로 시공이 가능하며 이는 자재들의 운반비를 절약할 뿐만 아니라 단열재(106)를 일체로 설치하는데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작업 시간 및 작업 인원을 배제시켜 주어서 공정을 단축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단열재(106)는 통상의 발포 폴리스티렌 보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발포 폴리스티렌의 단위 입자에 내화 피복제가 코팅되어 난연성을 가지는 난연 발포 폴리스티렌 보드(일명, 난연 EPS 보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우레탄 폼 보드 등과 같이 단열성이 있는 보드를 사용한다. 단열재(106)는 단열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
단열재(106)를 바닥면이나 건물 벽면에 부착한 뒤 미리 제작된 복합시트(101)를 단열재(106)의 상단부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며, 이 때 사용하는 접착제는 발포 우레탄과 같은 충전형 접착제, 에폭시와 같은 유기 접착제 등 다양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단열방수보드(100)를 제작할 때, 단열재(106)를 제작하는 공정과 복합시트(101)를 제조하는 공정이 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중 복합시트(101)를 제조하는 공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시트(102)와 합성수지시트(102)의 상하단에 각각 섬유시트(102)를 부착한다. 합성수지시트(102)와 상하단의 섬유시트(104) 사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복합시트(101)가 제조된다.
또한, 복합시트(101)를 단열재(106)의 상부면에 부착하였을 때, 강한 압력을 주면서 부착하여, 부착 과정에서 접착제의 일부가 섬유시트(104)에 함침되고, 부착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섬유시트(104)도 접착제의 경화와 함께 다소 딱딱해지며 접착제에 의해 함침된 섬유시트(104)를 통해서 복합시트(101)와 단열재(106)가 긴밀하게 부착되고, 외력에도 안전하게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방수성과 단열성을 동시에 가지는 복합단열보드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정된 두께의 단열재(106)를 바닥에 깔고 그 상단부에 복합시트(101)를 부착함으로써, 건축물의 옥상 단열 및 방수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효율성이 높다.
합성수지시트(102)는 방수성이 있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만든 시트로 피브이시 시트(PVC sheet, 폴리염화 비닐 시트, polyvinyl chloride sheet), 피이 시트(PE sheet, 폴리에틸렌 시트, polyethylene sheet), 티피오 시트(TPO sheet,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시트, 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sheet, Thermoplastic Olefin sheet), 이브이에이 수지 시트(EVA 수지 시트,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 시트, ethylene vinyl acetate sheet) 중에서 선택된 것이나, 또는 상기 피브이시 시트, 피이 시트, 티피오 시트, 이브이에이수지 시트 내부에 보강재(유리섬유 메쉬, 탄소 섬유 메쉬와 같은 보강 메쉬) 등이 매립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시트(102)는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방수성, 방식성, 내수성, 내화학성, 내염성, 내알칼리성, 내인장성, 내식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다.
섬유시트(104)는 일반 합성 섬유를 이용하여 직물이나 부직포를 만든 것으로, 내구성, 내화학성, 강도, 내가열성, 내후성이 우수한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합성수지시트(102) 및 섬유시트(104)는 열융착(또는,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 구조일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단열방수보드(100)는 단열방수보드(100)끼리의 이격 현상을 없애고 서로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고정연결부(200)를 단열방수보드(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단열방수보드(100) 사이를 고정한다.
고정연결부(200)는 한쪽의 끝단 또는 양쪽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뾰족한 단부가 단열방수보드(100) 하부면에 박혀 단열방수보드(1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즉, 한쪽 끝단만 뾰족한 고정연결부(200)는 연결할 단열방수보드(100)가 없는 부분에만 박혀 고정시켜 주며, 양쪽 끝단이 뾰족한 고정연결부(200)는 서로 연결되는 두 단열방수보드(100)에 각각 박혀 고정시켜 준다.
더욱 자세히는 고정연결부(200)는 단열재(106)와 다른 단열재(106) 사이에 위치하여 박혀 고정시켜줌으로서, 단열방수보드(100)와의 시공성 및 접착성을 향상시켜준다.
도 3은 고정연결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연결부(200)는 연결대(210) 및 고정대(220)를 포함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대(210)는 단열방수보드(100) 사이를 연결하며, 더욱 자세히는 하나의 단열방수보드(100)와 다른 하나의 단열방수보드(100)를 하단면에서 연결할 수 있으며, 이 때 연결대(210)의 상면은 단열방수보드(100)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다.
고정대(220)는 연결대(210)의 양쪽 끝단부에서 수직 형성되며, 상단부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뽀족한 부분이 연결대(210)의 세로 방향 중앙에 오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단열방수보드(100)에 쉽게 박힐 수 있고 박힌 후에도 임의로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단열방수보드(100)는 평탄한 상태로 고정연결부(200)에 의해 고정 및 유지되므로, 단열방수보드(100)와 다른 단열방수보드(100)를 더욱 밀착시켜주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고정연결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연결부(200)는 연결대(210) 및 고정대(220)를 포함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대(210)는 단열방수보드(100) 사이를 연결하며, 더욱 자세히는 하나의 단열방수보드(100)와 다른 하나의 단열방수보드(100)를 하단면에서 연결할 수 있으며, 이 때 연결대(210)의 상면은 단열방수보드(100)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다.
고정대(220)는 연결대(210)의 양쪽 끝단부에서 연결대(210)와 둔각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대(200)는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양쪽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고정대(220)는 단열방수보드(100) 즉 단열재(106)에 꽂혀 고정되어 단열방수보드(100) 사이를 더욱 밀착시켜 준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탈기공이 구비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 관통홀(11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관통홀(110)은 단열방수보드(100)에서 발생하는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관통홀(110)은 단열방수보드(10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뚫려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단열방수보드(100) 하부에서 발생하는 공기 및 수분이 관통홀(110)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 관통홀(110)을 덮어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도록 하는 탈기공(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방수보드(100)는 열에 의해 볼륨팽창되어 하부에 공기 및 수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탈기공(300)에 의해 함유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단열방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탈기공(300)은 덮개(310)와 배출관(320)을 포함한다.
덮개(310)는 단열재(106)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단열재(106)의 상부면에 위치한 관통홀(110)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덮개(310)의 중앙에는 관통홀(110)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은 중심홀(312)이 형성되며, 중심홀(312)과 관통홀(110)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홀(110)을 통과한 공기 및 수분이 배출관(320)으로 빠져 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배출관(320)의 내부 직경은 중심홀(312)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거나, 배출관(320) 상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 또는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320)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연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휘어짐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탈기공(300) 및 관통홀(110)은 설치자의 선택에 의해 단열방수보드(100) 즉 단열재(106)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탈기공(300)으로 인하여 방수층 하자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캡이 구비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 캡(4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캡(400)은 탈기공(300)을 덮기 위하여 구성되며, 탈기공(300)을 덮었을 때 탈기공(300)의 배출관(320)이 캡(400)에 의해 휘어져 배출관(320)의 말단부가 단열방수보드(100)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 캡(400)의 높이는 탈기공(300)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된다.
캡(400)은 탈기공(300)을 덮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에 다수개의 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홀(410)은 탈기공(30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및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되, 이물질(예를 들어, 빗물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탈기공(300)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홀(410)은 캡(400)의 내부면에서부터 외부면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외부에서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캡(400)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단열방수보드(100)와 수평되게 돌기(420)를 형성하며, 돌기(420)는 단열방수보드(100)의 상면에 접하게 설치되며, 이후에 설명될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접착물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캡(400)을 씌웠을 때, 탈기공(300)은 플렉시블한 연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휘어져 캡(400) 내부에 휘어진 상태로 수용되어, 탈기공(300)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단열을 기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열방수보드(100)를 이용하여 방수가 필요한 곳에 단열 겸용 방수 시공을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외부 옥상 단열 방수, 지하 물탱크 내부 방수, 기타 구조물의 외단열 겸용 방수 및 내단열 겸용 방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단열방수보드(100)를 이용한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을 순차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단열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은 시공면 정리 공정(S10), 단열방수보드 설치 공정(S20), 도포 공정(S30), 압착 공정(S40), 접착 공정(S50), 함침 공정(S60), 첨가 공정(S70) 순으로 진행된다.
먼저, 시공면 정리 공정(S10)은 단열 방수 시공을 하기 위한 시공면(120)인 옥상면이나 지하 물탱크 내부면을 깨끗이 정리하는 공정으로, 움푹 패인 부분은 롤러 등과 같은 평탄화 기계를 이용하여 메우고, 돌출된 부분은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그라인더 작업을 하며, 진공 청소 기계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이나 지저분한 것을 제거하고, 고압 세척기 등을 이용하여 깨끗이 세척한 후에 드라이 등과 같은 건조기기를 이용하여 물기가 없는 마른 상태로 정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열방수보드 설치 공정(S20)은 시공면(120)에 다수개의 고정연결부(200)를 설치하여, 단열방수보드(100) 사이를 고정시키면서 시공면(120)에 단열방수보드(100)를 설치한다.
고정연결부(200)는, 단열방수보드(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210)와, 연결대(210)의 양쪽 끝단부에서 수직 형성되어 상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대(220)를 포함하며, 뾰족한 형상에 의해 단열방수보드(100)에 박히도록 설치하여 단열방수보드(100)의 저면과 연결대(210)의 상면이 접하게 위치한다. 이때, 하나의 고정대(220)를 하나의 단열방수보드(100)에 박히도록 설치한 후에, 다른 하나의 고정대(220)가 다른 하나의 단열방수보드(100)에 박히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단열방수보드(100)가 서로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고정연결부(2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바닥면이 고르지 않더라고 고정연결부(200)에 의해 단열방수보드(100)가 시공되는 시공면(120)에 대해 수평으로 단열방수보드(1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포 공정(S30)은 도포 장치나 발포기기 등을 이용하여 단열방수보드(100) 사이에 발포우레탄(130)을 도포하여 단열방수보드(100)를 부착할 수 있으며, 이때 발포우레탄(130)은 다수의 단열방수보드(100)가 서로 접하는 면에 빈틈이 없도록 하기 위해 틈 사이에 도포하여 단열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발포우레탄(130) 외에도 폴리머 모르타르, 기타 유무기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압착 공정(S40)은 압착 기기 등을 이용하여 단열방수보드(100) 사이 위에 복합섬유시트(140)가 겹치도록 압력을 주면서 복합섬유시트(140)를 부착한다. 이 때의 복합섬유시트(140)는 일정 두께의 섬유시트로 구성되며, 단열방수보드(100) 사이 위에 복합섬유시트(140)를 부착할 때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복합섬유시트(140)는 두 종류의 성분이 다른 고분자 재료를 동일 방사구(紡絲口)로부터 압출하여 만들고, 섬유의 단면은 두 성분이 2층으로 나뉘어 접합된 구조를 보인다.
접착 공정(S50)은 접착제 도포 장치 등을 이용하여 복합섬유시트(140)의 겹쳐진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으로서, 복합섬유시트(140)가 겹쳐진 부분에도 빈틈이 없도록 접착하면서 단열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복합섬유시트(140)의 겹쳐진 부분을 따라 방수 이음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이때의 접착제는 접착성과 방수성을 가지는 우레탄 소재의 접착제(15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우레탄 접착제(150) 외에 실란트 또는 코킹제를 도포할 수 있다.
함침 공정(S60)은 우레탄 접착제(150) 위에 메쉬 섬유(160)를 함침하는 공정으로, 메쉬 섬유(160)는 띠 구조를 가지는 보강 유리 섬유로, 메쉬 섬유(160) 외에 일반 합성 섬유 재질을 가지는 띠 구조의 직포 또는 일반 합성 섬유 재질을 가지는 띠 구조의 부직포일 수 있다.
다음의 첨가 공정(S70)은 도포 장치 등을 이용하여 메쉬 섬유(160) 위에 방수 우레탄(170)을 첨가하는 공정으로, 메쉬 섬유(160)를 따라 덮어 메쉬 섬유(160)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마감재의 종류에 따라 노출 공법과 비노출 공법으로 구분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은 비노출 공법이며, 마감재를 사용하여 단열방수보드(100)의 표면을 코팅막에 의해 보호하여 시공하는 노출형 공법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은 도 7 내지 도 8의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과 같은 공정으로 시행되며, 방수 우레탄(170)을 첨가하는 첨가 공정(S70) 후에 붓, 도포 장치 등을 이용하여 단열방수보드 표면을 탑코트(180)로 마감하는 공정(S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의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은 노출형 공법이며, 노출형 공법에 사용되는 탑코트(180)는 페인트 또는 세라믹 코팅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단열방수보드 표면은 탑코트(180)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며, 탑코트(180)는 부식 방지 또는 자외선 차단 재질이 포함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탑코트(180) 중에서 세라믹 코팅재는 무기계 세라믹 페인트로, 같은 무기 성분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접착성 및 유지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으며, 세라믹 코팅재의 도포 및 양생으로 기존 타일 색상은 드러나지 않고 세라믹 코팅재가 가진 색상으로 선명하게 코팅되어 심미성도 높이는 특징이 있다.
도 11은 도 7 내지 도 10에 따른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의 추가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은 관통홀(110)(도 6 참조)을 형성하는 공정(S62)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0)을 형성하는 공정(S62)은, 단열방수보드(100)에 높이방향으로 관통홀(110)을 형성하는 공정(S62)으로,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의 공정에서 추가로 시행하는 것이며, 함침 공정(S60) 이후가 적절하다.
다음으로 탈기공(300)(도 6 참조)을 설치하는 설치 공정(S64)은, 관통홀(110)을 덮어, 단열방수보드(100) 하부에서 발생하는 공기 및 수분이 관통홀(110)을 통과하여 탈기공(300)를 거쳐 외부로 빠져 나가게 할 수 있다.
단열방수보드(100)는 열에 의해 볼륨팽창되어 하부에 공기 및 수분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탈기공(300)에 의해 함유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단열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의 캡 설치 공정(S66)은 탈기공(300)을 덮기 위함이며, 측면에 외부로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되, 캡(400)(도 4 참조)은 이물질(빗물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홀(4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탈기공(300)을 덮어씌워 보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씌워진 캡(400) 위에 방수 우레탄(170)을 첨가하는 첨가 공정(S70)을 시행할 수 있는데, 캡(400)을 일정 두께만큼 방수 우레탄(170)을 도포하여 마무리토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비노출형 공법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은 도 11에서 설명한 추가 공정의 첨가 공정(S70) 후 보호층(190)을 일정 두께로 타설하고, 이를 양생으로 경화하여 마감하여 비노출형의 방수 공법을 완료할 수 있다. 이 때 보호층 형성 공정에서 사용하는 보호층(190)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모르타르일 수 있으며, 모르타르 외에도 다양한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첨가 공정(S70) 후 모르타르와 같은 보호층(190)을 단열방수보드(100)의 상측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방수기능에 효과적이며, 특히 광촉매 시멘트 모르타르는 인체 내 호흡기관의 질병을 일으키고 스모그와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공기 중의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데 큰 효과가 있어 오염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친환경 단열 지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보호층 형성 공정은 도 7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1의 노출형 공법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은 탈기공(300)이 설치된 도면이며, 도 14는 탈기공을 씌운 캡(400)이 포함된 도면을 나타내며, 이에 대한 설명은 이미 도 11에 나타난 내용과 일치한다.
탈기공(300) 또는 탈기공을 씌운 캡(400)은 위에 방수 우레탄(170)을 일정 두께만큼 도포하여 마무리토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수 우레탄(170)을 첨가하는 첨가 공정(S70) 후에 단열방수보드 표면을 탑코트(180)로 마감하는 공정(S80)을 더 포함하여, 단열방수보드 표면을 탑코트(180)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단열방수보드 101 : 복합시트
102 : 합성수지시트 104 : 섬유시트
106 : 단열재 110 : 관통홀
120 : 시공면 130 : 발포우레탄
140 : 복합섬유시트 150 : 우레탄 접착제
160 : 메쉬 섬유 170 : 방수 우레탄
180 : 탑코트 200 : 고정연결부
210 : 연결대 220 : 고정대
300 : 탈기공 310 : 덮개
320 : 배출관 400 : 캡
410 : 홀
S10 : 시공면 정리 공정 S20 : 단열방수보드 설치 공정
S30 : 도포 공정 S40 : 압착 공정
S50 : 접착 공정 S60 : 함침 공정
S62 : 관통홀을 형성하는 공정
S64 : 탈기공을 설치하는 설치 공정
S66 : 캡 설치 공정
S70 : 첨가 공정
S80 : 마감하는 공정

Claims (12)

  1. 합성수지시트와 상기 합성수지시트의 상하단에 각각 부착된 섬유시트를 포함한 복합시트를 단열재의 상단부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켜, 상기 접착제가 상기 섬유시트에 함침되고 함침된 섬유시트에 의해 상기 복합시트와 상기 단열재가 긴밀하게 부착되기 위한 다수개의 단열방수보드; 및
    상기 단열방수보드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양쪽 끝단부에서 수직 형성되어, 상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대에 의해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방수보드는,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도록 상기 단열방수보드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뚫려있는 구조로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덮어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도록 하는 탈기공과, 측면에 다수 개의 홀을 가져 외부로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고,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탈기공을 덮기 위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공은,
    중앙에 중심홀이 형성되어, 상기 중심홀과 상기 관통홀이 연통되되 상기 관통홀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측에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6. 삭제
  7. 삭제
  8. 시공면을 평탄하고 깨끗하게 정리하는 시공면 정리 공정;
    상기 시공면에 단열방수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양쪽 끝단부에서 수직 형성되어, 상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대를 포함한 고정연결부를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에 고정시키면서 시공면에 상기 단열방수보드를 설치하는 단열방수보드 설치 공정;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에 발포우레탄을 도포하여 상기 단열방수보드를 부착하는 도포 공정;
    상기 단열방수보드 사이 위에 섬유시트가 겹치도록 압력을 주면서 부착하는 압착 공정;
    상기 섬유시트의 겹쳐진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 공정;
    상기 접착제 위에 메쉬 섬유를 함침하는 함침 공정;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도록 상기 단열방수보드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뚫려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관통홀을 형성하는 관통홀 형성 공정;
    상기 관통홀을 덮어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탈기공을 설치하는 탈기공 설치 공정;
    상기 탈기공을 덮기 위한 캡을 설치하는 캡 설치 공정; 및
    상기 메쉬 섬유 위에 방수 우레탄을 첨가하는 첨가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방수보드 표면을 탑코트로 마감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
  12. 삭제
KR1020130129816A 2013-10-30 2013-10-30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 KR101513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816A KR101513808B1 (ko) 2013-10-30 2013-10-30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816A KR101513808B1 (ko) 2013-10-30 2013-10-30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808B1 true KR101513808B1 (ko) 2015-04-20

Family

ID=5305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816A KR101513808B1 (ko) 2013-10-30 2013-10-30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8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833U (ko) * 1990-01-09 1991-09-19
JPH1162125A (ja) * 1997-08-21 1999-03-05 Nisshin Kogyo Kk 屋根下葺防水シート
JP3091833B2 (ja) * 1996-05-31 2000-09-25 北陸電力株式会社 部分放電検知方法及び部分放電検知装置
KR100884015B1 (ko) * 2008-06-09 2009-02-17 알제이케이건설 주식회사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
KR100960913B1 (ko) * 2009-06-12 2010-06-04 주식회사 한보엔지니어링 단열방수복합보드 및 그 단열방수복합보드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833U (ko) * 1990-01-09 1991-09-19
JP3091833B2 (ja) * 1996-05-31 2000-09-25 北陸電力株式会社 部分放電検知方法及び部分放電検知装置
JPH1162125A (ja) * 1997-08-21 1999-03-05 Nisshin Kogyo Kk 屋根下葺防水シート
KR100884015B1 (ko) * 2008-06-09 2009-02-17 알제이케이건설 주식회사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
KR100960913B1 (ko) * 2009-06-12 2010-06-04 주식회사 한보엔지니어링 단열방수복합보드 및 그 단열방수복합보드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913B1 (ko) 단열방수복합보드 및 그 단열방수복합보드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 방법
KR101267014B1 (ko) 섬유보강메쉬층을 포함하는 우레탄 도막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A2516135A1 (en) Fiberglass reinforced spray foam roof construction
KR20090010907U (ko)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20120028434A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KR100875893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142857B1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2238477B1 (ko) Tpo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조립구조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KR100710432B1 (ko) 구조 개선된 옥상방수구조 및 그 시공법
KR101513808B1 (ko)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
KR101465453B1 (ko) 건물의 방수구조
KR101455961B1 (ko) 탈기관을 구비한 지붕방수구조 및 그를 이용한 지붕방수 시공방법
KR200455222Y1 (ko)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0913408B1 (ko) 탈기기능을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공법
KR100765125B1 (ko) 코너보강용 완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코너 수직부방수구조
KR102424341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0942375B1 (ko)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KR101072343B1 (ko) 고분자 복합 방수 시트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적층한 건식 시트 방수 공법
KR101043839B1 (ko) 복합 방수 시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방수, 방식 방법
KR20070084809A (ko)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및 방수용 시트와 이들을 사용한옥상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