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015B1 -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 - Google Patents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015B1
KR100884015B1 KR1020080053714A KR20080053714A KR100884015B1 KR 100884015 B1 KR100884015 B1 KR 100884015B1 KR 1020080053714 A KR1020080053714 A KR 1020080053714A KR 20080053714 A KR20080053714 A KR 20080053714A KR 100884015 B1 KR100884015 B1 KR 100884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urethane
embossed
ventilation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중근
Original Assignee
알제이케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제이케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제이케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 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구비하는 방수층 구조에 도포되는 방수재를 방수층 및 바닥재 역할을 하도록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게 조성된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방식으로 다단 도포하여 신속하게 시공되는 방수 및 바닥재 구조를 가진 복합방수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1)에 전면적으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제층(2)과, 상기 전면적으로 도포된 접착제층(2)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접촉되고 하부에 요철을 구비하고 상부에 부직포가 형성된 다수개의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가 연속 설치되어 제 1 방수층을 이루는 엠보싱 통기완층 시트층(3)과, 상기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이에 이웃하는 또 다른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사이의 이음부에 접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로 이루어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층(4)과, 상기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층을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철물(5)과, 일 지점이 절개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층(3) 상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1)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6)와, 상기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6)가 설치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층(3)의 상면에 스프레이 도포되어 제 2 방수층을 이루는 경도 65~75A인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7)과; 상기 경화된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 층(7)의 상면에 스프레이 도포되어 제 3 방수층과 바닥재를 이루는 경도 80A 이상인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8)과; 상기 경화된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8)의 상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탑코트층(8)으로 구성된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 구조와 이를 이용한 공법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 스프레이방수공법, 엠보싱 통기완충시트, 덮개일체형 에어벤트,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

Description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 구조 및 공법{Complex waterproof constructure of ventilation-shock-absorbing using extra rapid-hardening hybrid uretha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옥상에 설치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 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엠보싱 통기 완충 시트를 바닥 콘크리트와 밀착시키고 시트 상호간의 조인트는 망사 테입으로 보강하여 시트간의 조인트 역할과 함께 엠보싱 통기 완충시트와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직접 접촉하여 결합토록 하고, 엠보싱시트 상면에는 견고한 구조의 에어벤트와 2단구조의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로 신속 시공하여 방수재 및 바닥재 역할을 하도록 하여 내수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옥상은 외부적 요인과 가장 많이 접촉하는 곳으로, 단열 및 방수를 위하여, 단열재와 방수제가 각각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 토목 및 건축용 구축물의 방수공법으로는 아스팔트방수공법, 시트방수공법, 도막방수공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아스팔트 방수공법은 사용 역사가 가장 길고 사용실적이 많으며 공사경험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공법이지만 시공현장에서 가열용융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역한 취기에다 화기를 취급해야 하므로 화재위험이 있고 우리 나라와 같은 사계절 뚜렷한 기후에서는 온도차에 의한 방수재 도막의 자체 균열이 발생하여 방수성능을 상실할 가능성이 있는 공법이다.
도한 시트방수공법은 합성고무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1.0~3.0mm두께와 100~200cm 폭을 갖는 시트상으로 제조하여 시공현장에서 방수면에 접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기계적 강도가 크고, 상온시공이 가능하며, 기후 및 오존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방수층을 확보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법이나, 이와 같은 장점 외에 복잡한 부위의 방수시공이 어렵고, 시이트간 이음매에서의 완전 수밀성을 꾀할 수 없어 누수사고가 있을 수 있으며, 부분 보수가 어렵고, 접착제 중의 용제의 휘발이나 시멘트콘크리트 모체의 수분증발에 따른 수증기압에 의해 방수층이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방수층의 부풀음 현상(에어 포켓)이 발생하게 되면 낮과 밤,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에 의해 수축, 팽창이 반복되어 도막이 파손되므로 방수성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트와 콘크리트가 접착제 혹은 프라이머만으로 서로 접착하도록 되어 있어, 높은 수증기압이나 외력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하여 시트가 바닥면과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도막방수공법은 소재의 종류에 따라 아크릴방수, 클로로프렌방수, 우 레탄방수 등으로 구분되며 작업현장에서 액상상태로 도포 되며 화학반응 또는 용제의 휘발에 따라 방수도막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방수제를 액상상태로 도포하기 때문에 복잡한 부위의 시공이 간편하고, 이음매 없는 시공이 가능하며, 방수재 층간 그리고 방수면과의 접착력이 좋고, 기계적 강도가 크고, 내구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으나, 작업현장에서 액상상태로 도포하고 흐름성이 좋기 때문에 바닥면의 굴곡에 의해 도막두께가 불균일해지며, 바닥면에 전면 밀착하는 공법이므로 하지의 균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고, 콘크리트 수분증발에 의해 시이트방수와 같은 부풀음이 발생되어 방수성능을 상실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옥상 슬래브에 이루어지는 방수공사는 시트 및 액상 도포 후 경화되는 도막재로 주로 밀착형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바탕면 균열부에서 발생된 응력이 방수층에 직접 전달되어 방수층이 파단되고 따라서 방수성능을 상실하게 되고, 또한 방수 바탕이 되는 콘크리트는 내부에 강우, 강설에 의해 침투되거나 신축건물의 경우 콘크리트 시공시 내부에 혼입된 다량의 수분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이 건조되었다 하더라도 내부 수분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수증기압이 발생하여 방수층이 들떠 누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시트방수와 도막방수의 부풀음은 콘크리트 모체의 수분 외에 표면 콘크리트의 핀홀 또는 몰탈부의 박리 등에 의해 밀봉된 공기층의 팽창에 의해서도 발생하므로 밀착공법에 의한 방수공법에서 해결해야 할 커다란 문제점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의 기술로 본 출원인의 선등록건인 특허 제 10-0552452호(옥상 노출형 절연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사용한옥상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이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인의 선등록건인 특허 제 10-0552452호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한 복합구조 및 복합공법이지만 에어벤트의 구조상 덮개와 탈기관이 파손시 엠보싱 시트까지 물이 유입될 수 있어 인해 방수능력 및 통기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과, 또한 엠보싱 시트 상면에 도포되는 우레탄 도막재를 롤러등으로 시공함으로 인한 시공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과, 엠보싱 시트간의 접합시 사용되는 조인트 테이프가 엠보싱 시트와는 다른 이질재여서 접합면에서 박리현상 또는 들뜸현상 등이 일어날 수 있다는 구조적인 문제점과, 또한 조인트 테이프 시공 영역에서 엠보싱시트와 우레탄도막재가 서로간에 직접 접촉하지 않음으로 인해 부분적인 들뜸이나 박리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과, 또한 우레탄 도막제가 비록 방수능력 자체는 뛰어나지만 바닥재와 같은 경도의 내구력성을 가지지 못해 결국 쉽게 벗겨질 수 있다는 내구성관련 문제로 인한 방수능력저화와 같은 일부 문제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우레탄 시공에 있어서 로울러 방식이 아닌 스프레이 방식등에 의해 초속경 방수공법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먼저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우레탄의 초속경재료를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방수층 형성하는 방법이 있는데, 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이후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로 분사하는 단계와, 이 후 탑코트 층을 형성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방법으로는 하이브리드의 초속경 재료를 젯트스프레이로 분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는데, 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이후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건으로 분사하는 단계와, 이후 탑코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초속경 재료를 사용하는 공법은 엠보싱 시트 및 에어벤트를 사용하지 않아 에어포켓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에어포켓 발생시 방수층 하부에 팽창공기 및 수분발생시 이를 배출하기가 불가능함으로 인한 방수층 파손 문제와, 또한 방수층 바닥에 크랙발생시 방수층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는 구조적인 문제점과,
또한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 등으로 도포하여 도포시간 자체는 짧지만 내구성등을 지속할 만한 구조가 없어서 방수층의 역할은 가능하나 내마모성 및 강도등이 부족하여 바닥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는 단순 방수층 구조로 지속적인 방수능력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구비하는 방수층 구조에 도포되는 방수재를 방수층 및 바닥재 역할을 하도록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게 조성된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방식으로 다단 도포하여 신속하게 시공되는 방수 및 바닥재 구조를 가진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구비하는 방수층 구조에 도포되는 방수재를 방수층 및 바닥재 역할을 하도록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게 조성된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방식으로 다단 도포하여 신속하게 도포하고,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간을 조인트하는 조인트 접착제를 망사형 조인트를 사용하여 시트간의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간에 직접 접촉토록 하여 결합력을 높인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구비하는 방수층 구조에 도포되는 방수재를 방수층 및 바닥재 역할을 하도록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게 조성된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방식으로 다단 도포하여 신속하게 도포하고, 에어벤트를 이루는 덮개와 탈기관을 견고한 구조로 하여 지속적 인 탈기를 하면서도 방수층으로의 물 유입을 방지토록 한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구비하는 방수층 구조에 도포되는 방수재를 방수층 및 바닥재 역할을 하도록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게 조성된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방식으로 다단 도포하여 신속하게 시공되는 방수 및 바닥재 구조를 가진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구비하는 방수층 구조에 도포되는 방수재를 방수층 및 바닥재 역할을 하도록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게 조성된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방식으로 다단 도포하여 신속하게 도포하고,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간을 조인트하는 조인트 테이프를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시트간의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간에 직접접촉토록 하여 결합력을 높인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구비하는 방수층 구조에 도포되는 방수재를 방수층 및 바닥재 역할을 하도록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게 조성된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방식으로 다단 도포하여 신 속하게 도포하고, 에어벤트를 이루는 덮개와 탈기관을 견고한 구조로 하여 지속적인 탈기를 하면서도 방수층으로의 물 유입을 방지토록 한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옥상의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 상부에 시공되는 접착제층, 통기완층 시트층, 조인트 테이프, 고정철물, 에어벤트, 우레탄 방수재층, 탑코트층 등을 포함하여 적층 구성되는 통기완충 복합방수 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전면적으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제층과,
상기 전면적으로 도포된 접착제층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접촉되고 하부에 요철을 구비하고 상부에 부직포가 형성된 다수개의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가 연속 설치되어 제 1 방수층을 이루는 엠보싱 통기완층 시트층과;
상기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이에 이웃하는 또 다른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사이의 이음부에 접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로 이루어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층과;
상기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층을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철물과;
일 지점이 절개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층 상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와;
상기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가 설치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층의 상면에 스프레이 도포되어 제 2 방수층을 이루는 경도 65~75A인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과;
상기 경화된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의 상면에 스프레이 도포되어 제 3 방수층과 바닥재를 이루는 경도 80A 이상인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과;
상기 경화된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의 상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탑코트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층을 이루는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는, 상부의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직접 침투되는 폭 50 ~ 90mm의 망사와; 망사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부의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하부의 엠보싱 통기완층 시트간의 경계면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폭 15 ~ 30mm의 불침투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는 측면 하부가 에어벤트의 바닥판과 전둘레 용접되어 견고하게 접하도록 고정된 덮개와; 덮개 둘레 방향으로 하부에 형성된 통기를 위한 구멍과; 덮개 내부에서 덮개와 이격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탈기관과; 고정철물용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바닥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철물은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 상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700 ~ 1,000mm 간격으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이음부 양측으로 엇갈리게 타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은 프리폴리우레탄 주제와 경화제가 1 : 1의 비율로 조성되는데, 프리폴리우레탄 주제는 35~45wt% Poly(1,2 -propylene glycol:분자량 3000), 15~20wt% dipylene glycol, 4~6wt% 1,3-Butylene glycol, 25~33wt% 2,4-toluene diisocyanate, 8-12wt% 용제 (Toluene:Methyl ethyl ketone : Ethyl acetate = 7:1:2로 제조된 용제), 1~3wt% DOP(Dioctylphthalate)로 조성되고,
경화제는 15-20wt% Poly(propylene oxideglycol:분자량 2000), 5-10wt% Poly(propylene oxideglycol:분자량 300), 8-12wt% 용제(Toluene:MEK:EA = 7:1:2로 제조된 용제), 1~3wt%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MOCA, 2~3wt% DOP, 40-48wt% 325mesh-CaCO3, 3~7wt% Talc, 5~8wt% 크롬옥사이드그린(Cr2O3), 0.3~0.5wt% Dibutyltindiacetate, 6~8wt% Poly(ether diamine:분자량230), 2~4wt% Hexamethylene diamine, 1~3wt%의 H2O, 2~5wt% Isopropylalcohol으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은 프리폴리우레탄 주제와 경화제가 1 : 1의 비율로 조성되는데, 프리폴리우레탄 주제는 35~45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2000), 15~20wt% 1,4-butane diol, 3~6wt% 1,5-butylene glycol, 25~35wt% 2,4-toluene diisocyanate, 3~8wt%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8~12wt% 용매(Toluene:MEK:EA=70:10:20으로 이루어진 용제), 1~2wt% DOP(dioctylphthalate)로 조성되고,
경화제는 7~12wt% dipropylene glycol, 7~10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 2000), 6~10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3000), 5~7wt% glycerol, 5~10wt% 용매(toluene:MEK:EA=7:1:2로 구성), 2~7wt%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MOCA, 1~2wt% DOP, 30~40wt% aluminium silicate(Al2(SiO3)3), 8~15wt% Talc, 5~8wt% 안료(Cr2O3), 0.3~0.5wt% Dibutyltindiacetate, 6~10wt% Poly(ether diamine), 4~5wt% Hexamethylene diamine, 1~2wt% H2O, 2~5wt% Isoprorylalcohol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상의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 상부에 접착제층, 통기완층 시트층, 조인트 테이프, 고정철물, 에어벤트, 우레탄 방수재층, 탑코트층 등을 포함하여 시공하는 통기완충 복합방수 공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슬래브 바탕면의 이물질제거 및 보수ㅇ보강 작업을 하는 제 1 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접착제를 전면적으로 일정하게 도포하는 제 2 단계;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필요 면적에 맞게 재단하고 구김이 생기지 않도록 전바닥에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설치하는 제 3 단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를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간의 경계면에 걸쳐 설치하는 제 4 단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가 설치된 부분에 기계식 고정철물을 타정하여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 하단에 위치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고정시키는 제 5 단계;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를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재단하여 에어벤트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통기구가 연통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의 함수율에 따라 50~100㎡ 당 1 개소 설치하는 제 6 단계;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상면에 65~75A인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시공하는 제 7 단계;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경화되면 그 상면에 경도 80A 이상인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시공하는 제 8 단계;
상기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경화된 후 우레탄 재질의 탑코트를 스프레이나 로울러로 시공하는 제 9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1차 및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시의 각도는 30 ~ 90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및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시의 압력은 200 ~ 600PSI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및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시의 도포 두께는 0.5 ~ 2m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철물은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 상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700 ~ 1,000mm 간격으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이음부 양측으로 엇갈리게 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는, 상부의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직접 침투되는 폭 50 ~ 90mm의 망사와; 망사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부의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하부의 엠보싱 통기완층 시트간의 경계면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폭 15 ~ 30mm의 불침투층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는 측면 하부가 에어벤트의 바닥판과 전둘레 용접되어 견고하게 접하도록 고정된 덮개와; 덮개 둘레 방향으로 하부에 형성된 통기를 위한 통기구멍과; 덮개 내부에서 덮개와 이격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탈기관과; 고정철물용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바닥판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은 프리폴리우레탄 주제와 경화제가 1 : 1의 비율로 조성되는데, 프리폴리우레탄 주제는 35~45wt% Poly(1,2 -propylene glycol:분자량 3000), 15~20wt% dipylene glycol, 4~6wt% 1,3-Butylene glycol, 25~33wt% 2,4-toluene diisocyanate, 8-12wt% 용제 (Toluene:Methyl ethyl ketone : Ethyl acetate = 7:1:2로 제조된 용제), 1~3wt% DOP(Dioctylphthalate)로 조성되고,
경화제는 15-20wt% Poly(propylene oxideglycol:분자량 2000), 5-10wt% Poly(propylene oxideglycol:분자량 300), 8-12wt% 용제(Toluene:MEK:EA = 7:1:2로 제조된 용제), 1-3wt%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MOCA, 2-3wt% DOP, 40-48wt% 325mesh-CaCO3, 3-7wt% Talc, 5-8wt% 크롬옥사이드그린(Cr2O3), 0.3-0.5wt% Dibutyltindiacetate, 6-8wt% Poly(ether diamine:분자량230), 2-4wt% Hexamethylene diamine, 1-3wt%의 H2O, 2-5wt% Isopropylalcohol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은 프리폴리우레탄 주제와 경화제가 1 : 1 의 비율로 조성되는데, 프리폴리우레탄 주제는 35~45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2000), 15~20wt% 1,4-butane diol, 3~6wt% 1,5-butylene glycol, 25~35wt% 2,4-toluene diisocyanate, 3~8wt%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8~12wt% 용매(Toluene:MEK:EA=70:10:20으로 이루어진 용제), 1~2wt% DOP(dioctylphthalate)로 조성되고,
경화제는 7~12wt% dipropylene glycol, 7~10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 2000), 6~10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3000), 3~5wt% glycerol, 5~10wt% 용매(toluene:MEK:EA=7:1:2로 구성), 2~7wt%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MOCA, 1~2wt% DOP, 30~40wt% aluminium silicate(Al2(SiO3)3), 8~15wt% Talc, 5~8wt% 안료(Cr2O3), 0.3~0.5wt% Dibutyltindiacetate, 6~10wt% Poly(ether diamine), 4~5wt% Hexamethylene diamine, 1~2wt% H2O, 2~5wt% Isoprorylalcohol로 조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구비하는 방수층 구조를 가진 복합방수 구조 및 공법에 있어서, 상부 방수층을 일반 물성면에서 폴리우레탄보다 우수하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폴리우레아보다 효율적인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고,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게 조성된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가열 에어스프 레이방식으로 다단 도포함으로써 방수재 역할과 바닥재 역할을 하는 방수재를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에어벤트를 구성하는 덮개를 에어벤트와 접촉하게 용접하고 일부만 개방시키고 탈기구의 상부형상을 하부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덮개 파손에 의한 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하부에서 방생하는 수증기압을 지속적으로 탈기하여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부풀음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는 장점과,
또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게 조성된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방수재 간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직접접촉케 함으로써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간의 수밀 및 접착력은 물론 상하 재질간의 결합력을 획기적으로 증진시켰다는 장점과,
또한, 국부접촉에 의해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유지보수시 경제적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를 포함한 복합방수구조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수구조의 일부분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의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를 이용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이음부에 시공된 것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철물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에 시공하여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고정하는 것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1)에 전면적 접착으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제층(2)과,
상기 전면적으로 도포된 접착제층(2)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접촉되고 하부에 요철을 구비하고 상부에 부직포가 형성된 다수개의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가 연속 설치되어 제 1 방수층을 이루는 엠보싱 통기완층 시트층(3)과,
상기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이에 이웃하는 또 다른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사이의 이음부에 접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로 이루어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층(4)과,
상기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층을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다수개의 고정하는 고정철물(5)과,
일 지점이 절개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층(3) 상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1)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6)와,
상기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6)가 설치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층(3)의 상면 에 스프레이 도포되어 제 2 방수층을 이루는 경도 65~75A인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7)과;
상기 경화된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7)의 상면에 스프레이 도포되어 제 3 방수층과 바닥재를 이루는 경도 80A 이상인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8)과;
상기 경화된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8)의 상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탑코트층(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경도는 쇼어A 경도로써 단위는 A를 사용한다.
상기 접착제층(2)은 콘크리트와 절연용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원활한 접착을 위해 것으로, 헤라나 로울러 작업성이 뛰어나고 엠보싱 절연용 통기완충 시트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에 해당되는 접착제를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자면 클로로프렌 합성고무계 접착제를 사용하면 되고,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전면적으로 도포한다. 이와 같이 접착제를 전면적으로 일정하게 도포하는 이유는 종래의 기존공법이 단속적으로 도포되어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웨이브 현상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즉, 이전 출원은 국부적 점 접착형으로 시공시 방수층의 웨이브현상이 발생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웨이브현상을 없애기 위하여 전면접착하여 도포한다.
상기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층(3)을 이루는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는 폴리에틸 렌계 발포 시트로서 상부에는 부직포가 형성되어 도포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과의 접착력을 극대화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통기성과 완충성이 뛰어나며 흡수성이 대단히 낮고 내알카리성이 강하여 콘크리트 바탕의 알카리성 수분에 열화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구조는 엠보싱된 요철 구조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재질 및 구조에 의해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는 절연 및 팽창된 공기의 이동 통로로 이용되고, 자체적으로 방수시트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에 대하여 하나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그 하부에 두께 0.8~1.5 ㎜의 요철을 구비하고 전체 두께가 2.0~3.5mm 에 해당되는 것을 사용한다. 하부에 형성된 요철은 서로 다른 크기를 구비하는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요철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점접착된다. 또한 요철은 직경 20㎜ 의 중앙 돌출부와, 직경 8㎜의 주변돌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돌출부 주위에 다수개의 주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돌출부와 이웃하는 또다른 중앙돌출부는 등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일측 주변돌출부와 이웃하는 또다른 주변돌출부도 등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돌출부와 주변돌출부는 2.5㎜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고, 1㎜ 정도의 두께를 구비하며, 하나의 중앙돌출부 주위에 4개의 주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엠보싱 통기완충시트는 중앙돌출부와 주변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측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이에 이웃하는 또다른 통기완충 시트는 시트의 수축 및 팽창을 고려하여 맞대는 면을 2~3 ㎜ 정도를 이격시켜 설치하고, 파라펫과는 20~30 ㎜ 이내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상기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층(4)는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이음 부위에 해당되는 곳에 씰링처리 및 콘크리트 하지와의 절연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폭 50 ~ 90mm 정도의 망사(41)와 망사 중앙부에 형성된 폭 15 ~ 30mm 불침투층(4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망사를 용이하게 침투하여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조인트 테이프간 동질의 재료로 접합하여 일체화하도록 한 테이프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조인트 테이프가 부틸고무계 조인트테이프를 사용함으로 이질재간의 조인트 갈라짐 현상 발생하고 상부의 방수 도막층이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에 직접 접합할 수 없어서 조이트 테이프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사이가 박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또한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는 중앙부에 폭 15 ~ 30mm 불침투층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간의 연결부 사이로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침입하는 것을 제한토록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망사형 조인트테이프는 자착식 테이프이며 중앙부 하부에 불침투성부위를 형성하여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였고 망사테이프부위는 하이브리드우레탄이 통과되어 하부의 통기완충시트와 접착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망사의 메쉬는 상부의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직접 침투될 정도이면 족하다.
상기에서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의 폭 및 불침투층의 폭을 한정한 이유는 이와 같은 수치이면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조인트하는 목적을 이루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상기 고정철물(5)은 기계식 부분 고정식 공법의 적용으로 다양한 재질의 시트에 적용할 수 있으며 방수층인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에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스테인레스 고정 못과 와샤로 이루어진 것을 화약건으로 타정하여 고정 시공한다. 이와 같이 기계고정함으로써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장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철물은 압력이 너무 세면 콘크리트 하지를 파괴하여 완전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콘크리트 강도에 따라 압력을 조절하여 타정하는데, 설치 개수는 이웃하는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상면에 설치된 망사형 조인트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700 ~ 1,000mm 간격으로 이음부 양측으로 엇갈리게 타정하면 된다.
상기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6)는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하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기화에 의한 부피챙창 및 공극속의 공기 팽창에 의한 부풀음 현상, 즉 에어포멧을 방지하도록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관통하여 바닥면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는 종래의 에어벤트를 이루는 덮개와 탈기관이 약해서 부러짐현상이 매우심하며 파손부위로 우수침투 및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덮개(61)는 측면 하부가 에어벤트의 바닥판(62)과 전둘레 용접되어 견고하게 접하도록 고정되고, 덮개 둘레 방향으로 하부에는 통기를 위한 통기구멍(6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내부의 탈기관(64)은 덮개와 이격되어 접촉하지 않으면서 우수침투 및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은 고정철물용 구멍(65)이 형성되어 고장철물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과 견고하게 기계고정된다.
이러한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는 콘크리트의 함수율에 따라 50~100㎡ 당 1 개소가 설치되며, 설치전에 에어벤트의 중앙부위에 맞도록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재단하여 에어벤트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통기구(중앙돌출부와 주변 돌출부 사이의 공간)가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7)의 경도를 65~75A로 하는 이유는 이와 같은 경도일 때 방수층의 역할 및 완충재로서의 역할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1차 초속경하이브리드의 경도를 65~75A로 하는 이유는 방수층으로서의 가장 중요한 신장율을 높이려는 목적이고, 이와 같은 수치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가진다.
상기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8)의 경도를 80A로 하는 이유는 이와 같은 경도일 때 방수층의 역할 및 바닥재로서의 역할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2차 초 속경의 하이브리드의 경도를 80A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바닥재로서의 가장 중요한 내마모성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이와 같은 수치일때 가장 좋은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보다 자세하게 상기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7)을 이루는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과 2치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8)을 이루는 2차 초속경 우레탄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1차 및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란 폴리우레탄의 주성분인 아이소시아네이트의 아이소시아네이트기가 폴리올, 폴리아민과 결합하여 폴리우레탄과 폴리우레아를 복합적으로 하이브리드를 형성하여 방수 도막재를 구성하는 폴리우레탄과 폴리우레아의 혼합물질을 일컫는 말로 이 재료는 일반 물성면에서 폴리우레탄보다 우수하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폴리우레아보다 효율적인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경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시공하였기 때문에 방수재와 바닥재로써의 역할을 동시에 가질수 있으며 에어스프레이 시공에 의한 공기 및 공사비가 절감된다.
상기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은 프리폴리우레탄 주제와 경화제가 1 : 1의 비율로 조성된다. 이와 같은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의 한정 이유는 당량비를 1:1로 맞추어서 배합비를 조절하였기 때문에 1:1 배합비가 아니라면 과량으로 들어간 성분이 반응을 하지 않고 남게 된다.
구체적으로 35~45wt% Poly(1,2 -propylene glycol:분자량 3000), 15~20wt% dipylene glycol, 4~6wt% 1,3-Butylene glycol, 25~33wt% 2,4-toluene diisocyanate, 8-12wt% 용제 (Toluene:Methyl ethyl ketone : Ethyl acetate = 7:1:2로 제조된 용제), 1~3wt% DOP(Dioctylphthalate)를 주성분으로 합성된 프리폴리우레탄 주제와;
15-20wt% Poly(propylene oxideglycol:분자량 2000), 5-10wt% Poly(propylene oxideglycol:분자량 300), 8-12wt% 용제(Toluene:MEK:EA = 7:1:2로 제조된 용제), 1-3wt%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MOCA, 2-3wt% DOP, 40-48wt% 325mesh-CaCO3, 3-7wt% Talc, 5-8wt% 크롬옥사이드그린(Cr2O3), 0.3-0.5wt% Dibutyltindiacetate, 6-8wt% Poly(ether diamine:분자량230), 2-4wt% Hexamethylene diamine, 1-3wt%의 H2O, 2-5wt% Isopropylalcohol을 주성분으로 합성된 경화제를 주제와 혼합(주제 : 경화제 = 1 : 1)하여 고압(200 ~ 600PSI)으로 분사할 수 있는 스프레이로 뿌려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 각각의 성분의 수치를 위에서 열거한 바와 같이 제한한 이유는 우선 주제 성분의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 3000)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 3000)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 일정한 분자량 이상의 프리폴리머사슬을 얻기 위하여 한정하였으며, 기재된 수치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 분자량이 작아져 기본적으로 물성이 좋지 않고, 이보다 많이 사용했을 경우 고분자 사슬이 길어지고, 분자량이 높아져, 점도가 높아 지고, 작업성능이 좋지 않게 된다.
Diprop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는 폴리우레탄의 chanin extender로 사용하였으며 역시 위와 같은 이유에서 수치를 한정하였으며, 위의 폴리올과는 다르게 분자사슬이 짧아 soft segment의 효과가 적어져서 폴리올만 사용했을때 보다 경도를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많이 사용하게 되면 당량비에 맞지 않아 미반응 -NCO 기가 적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2,4-toluene diisocyanate의 양을 위와 같이 한정한 이유는 이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 폴리올, 폴리아민 성분과의 당량비가 맞지 않아 여분의 -OH, -NH2 그룹이 존재하게 되어 도막자체가 끈적끈적한 상태가 되게 된다. 이보다 많을 시에는 여분의 -NCO 그룹이 생겨 도막의 경도가 높아지고, 원가의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Toluene의 혼합용제는 용매로써 사용되었으며, DOP(DiOctylPhthalate)는 가소제로써 사용되었으며, 이보다 적게 사용하면 도막의 신장성능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보다 많이 사용 하였을 때에는 인장강도, 인열강도등의 물성을 떨어뜨리게 되며, 원가상승의 요인이된다.
또한 상기 경화제의 각각의 성분의 수치한정이유를 설명하자면,
Poly(propyleneoxideglycol:분자량 2000)와 Poly(propyleneoxideglycol:분자량 300)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이 같은 성분은 폴리올 성분으로써 isocyanate와 결합하여 우레탄 결합을 이루는데, 일정한 분자량이상의 고분자 사슬을 얻기 위하 여 한정하였으며, 이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 -OH 그룹이 적어져 주제와 반응후에 잔존하는 -NCO 그룹이 남게 되고, 분자량이 작아져 기본적으로 물성이 좋지 않고, 이보다 많이 사용했을 경우 -OH 그룹이 남아서 주제와 반응후에 잔존하는 -OH 그룹이 남게 되며 고분자 사슬이 길어지고, 분자량이 높아져, 점도가 높아지고, 작업성능이 좋지 않게 된다.
Toluene 혼합용제는 용매로 사용되었으며,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 : MOCA는 경화성분으로써 2,4-toluene diisocyanate와 반응하여 경화를 일으키는데, 이보다 많이 사용할 경우 도막의 경도는 높아지고, 도막의 경화속도가 빨라져, 작업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이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 도막의 경도가 낮아져 원하는 경도를 얻을 수 없으며, 도막의 경화속도가 늦어져, 작업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CaCO3와 Talc는 충전제로써 적게 사용시에는 제품의 단가 상승의 요인이 되며, 많이 사용할 시에는 도막의 일반적인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성능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안료로써는 Cr2O3를 사용하였는데 안료의 사용량에 따라 도막의 색상이 선명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DOP는 가소제로써 한정수치보다 많이 사용할시에는 도막의 가소성이 높아져 강도가 떨어지고,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적게 사용하게 되면 도막재의 가소성이 너무 낮아 작성성능이 떨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Dibutyltindiacetate는 촉매로써 isocyanate와 폴리올의 반응시 활성화에너지를 낮추어주어서 반응이 쉽고 빠르게 일어나는 역할을 하는데, 적게 사용하면 그 효과가 미비하여 효과가 없을수 있으며, 많이 사용시에는 사용하는 만큼의 큰 효과의 상승은 없고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Poly(ether diamine:분자량 230)와 Hexamethylene diamine은 폴리아민으로써 isocyanate기와 반응하여 우레아결합을 하여 폴리우레아를 생성하게 되는데, 상기보다 많이 사용하게 되면 -NH2 반응기가 여분으로 남아 미반응 하게 되고, amine 제품은 그 단가가 다른 재료에 비해 고가의 재료로써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적게 사용하게 되면 -NCO 반응기가 여분으로 남아 우레아 결합이 그만큼 일어나지 않아 제품의 기본물성이 좋아지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isopropyl alcohol은 중간체로 사용되었으며, 물의 극성을 낮추어주어, 용제에 서로 분산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작게 사용시에는 극성의 재료와 비극성의 재료가 분리되는 효과를 가져오고, 많게 사용할 시에는 그 효과가 크게 상승하지 않는다. H2O는 2,4-toluene 야isocyante기와 반응하여 2,4-toluene diamine과 CO2 기체를 만들고 이에 생성된 2,4-toluene diamine은 다시 2,4-toluene diisocyante기와 반응하여 우레아 결합을 한다.
상기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은 프리폴리우레탄 주제와 경화제가 1 : 1의 비율로 조성된다. 이와 같은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의 한정 이유는 당량비 를 1:1로 맞추어서 배합비를 조절하였기 때문에 1:1 배합비가 아니라면 과량으로 들어간 성분이 반응을 하지 않고 남게 된다.
구체적으로 35~45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2000), 15~20wt% 1,4-butane diol, 3~6wt% 1,5-butylene glycol, 25~35wt% 2,4-toluene diisocyanate, 3~8wt%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8~12wt% 용매(Toluene:MEK:EA=70:10:20으로 이루어진 용제), 1~2wt% DOP(dioctylphthalate)를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프리폴리우레탄 주제와;
7~12wt% dipropylene glycol, 7~10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 2000), 6~10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3000), 3~5wt% glycerol, 5~10wt% 용매(toluene:MEK:EA=7:1:2로 구성), 2~7wt%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MOCA, 1~2wt% DOP, 30~40wt% aluminium silicate(Al2(SiO3)3), 8~15wt% Talc, 5~8wt% 안료(Cr2O3), 0.3~0.5wt% Dibutyltindiacetate, 6~10wt% Poly(ether diamine), 4~5wt% Hexamethylene diamine, 1~2wt% H2O, 2~5wt% Isoprorylalcohol로 구성된 경화제를 주제와 혼합(주제 : 경화제 = 1: 1)하여 고압 (200 ~ 600PSI)으로 분사할 수 있는 스프레이로 뿌려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 각각의 성분의 수치를 위에서 열거한바와 같이 제한한 이유는 우선 주제 성분의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 2000) 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 2000)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 일정한 분자량 이상의 프리폴리머사슬을 얻기 위하여 한정하였으며, 이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 분자량이 작아져 기본적으로 물성이 좋지 않고, 이보다 많이 사용했을 경우 고분자 사슬이 길어지고, 분자량이 높아져, 점도가 높아지고, 작업성능이 좋지 않게 된다.
1,4-butane diol, 1,3-butylene glycol 역시 위와 같은 이유에서 수치를 한정하였으며, 위의 폴리올과는 다르게 분자사슬이 짧아 soft segment의 효과가 적어져서 폴리올만 사용했을때보다 경도를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많이 사용하게 되면 당량비에 맞지 않아 미반응 -NCO 기가 적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Bisophenol A glycidyl ether는 에폭시 결합을 가진 재료로서 에폭시 결합은 경화제 성분의 amine 과 결합하여 분자와 분자 사이에 가교결합을 시켜줌으로 인해 도막의 강도가 세지는 역할을 하고, 이보다 많이 사용할 시에는 amine과 많은 양이 반응하여 우레아 결합을 방해하는 역할을 할수 있고, 이보다 적게 사용할 시에는 그 가교율이 낮아 경도증가의 효과를 볼수 없다.
2,4-toluene diisocyanate의 양을 위와 같이 한정한 이유는 이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 폴리올, 폴리아민과의 당량비가 맞지 않아 여분의 -OH, -NH2 그룹이 존재하게 되어 도막자체가 끈적끈적한 상태가 되게 된다. 이보다 많을 시에는 여분의 -NCO 그룹이 생겨 도막의 경도가 높아지고, 원가의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Toluene의 혼합용제는 용매로써 사용되었으며, DOP(DiOctylPhthalate)는 가 소제로써 사용되었으며, 이보다 적게 사용하면 도막의 신장성능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보다 많이 사용 하였을 때에는 인장강도, 인열강도등의 물성을 떨어뜨리게 되며, 원가상승의 요인이된다.
또한 상기 경화제의 각각의 성분의 수치한정이유를 설명하자면,
Poly(propyleneglycol:분자량 2000)와 Poly(propyleneglycol:분자량 3000), glycerol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이 같은 성분은 폴리올 성분으로써 isocyanate와 결합하여 우레탄 결합을 이루는데, 일정한 분자량이상의 고분자 사슬을 얻기 위하여 한정하였으며, 이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 -OH 그룹이 적어져 주제와 반응후에 잔존하는 -NCO 그룹이 남게 되고, 분자량이 작아져 기본적으로 물성이 좋지 않고, 이보다 많이 사용했을 경우 -OH 그룹이 남아서 주제와 반응후에 잔존하는 -OH 그룹이 남게 되며 고분자 사슬이 길어지고, 분자량이 높아져, 점도가 높아지고, 작업성능이 좋지 않게 된다.
glycerol은 self-skinning제로 사용되었으며, semi-rigid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도막의 경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Toluene 혼합용제는 용매로 사용되었으며,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 : MOCA는 경화성분으로써 2,4-toluene diisocyanate와 반응하여 경화를 일으키는데, 이보다 많이 사용할 경우 도막의 경도는 높아지고, 도막의 경화속도가 빨라져, 작업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이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 도막의 경도가 낮아져 원하는 경도를 얻을 수 없으며, 도막의 경화속도가 늦어져, 작업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CaCO3와 Talc는 충전제 및 증량제로써 적게 사용시에는 제품의 단가 상승의 요인이 되며, 많이 사용할 시에는 도막의 일반적인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성능등을 떨어뜨릴 수 있다.
Al2(SiO3)3 는 충전제로 사용되었으나, 내마모성을 높여주는 충전제로써 많이 사용하면 내마모성은 좋아지지만 단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적게 사용하면 높은 내마모성의 효과를 볼 수 없다.
안료로써는 Cr2O3를 사용하였는데 안료의 사용량에 따라 도막의 색상이 선명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DOP는 가소제로써 한정수치보다 많이 사용할시에는 도막의 가소성이 높아져 강도가 떨어지고,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적게 사용하게 되면 도막재의 가소성이 너무 낮아 작성성능이 떨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Dibutyltindiacetate는 촉매로써 isocyanate와 폴리올의 반응시 활성화에너지를 낮추어주어서 반응이 쉽고 빠르게 일어나는 역할을 하는데, 적게 사용하면 그 효과가 미비하여 효과가 없을수 있으며, 많이 사용시에는 사용하는 만큼의 큰 효과의 상승은 없고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Poly(ether diamine:분자량 230)와 Hexamethylene diamine은 폴리아민으로써 isocyanate기와 반응하여 우레아결합을 하여 폴리우레아를 생성하게 되는데, 상기보다 많이 사용하게 되면 -NH2 반응기가 여분으로 남아 미반응 하게 되고, amine 제 품은 그 단가가 다른 재료에 비해 고가의 재료로써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적게 사용하게 되면 -NCO 반응기가 여분으로 남아 우레아 결합이 그만큼 일어나지 않아 제품의 기본물성이 좋아지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isopropyl alcohol은 용매이며 중간체로 사용되었으며, 물의 극성을 낮추어주어, 용제에 쉽게 분산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작게 사용시에는 극성의 재료와 비극성의 재료가 분리되는 효과를 가져오고, 많게 사용할 시에는 그 효과가 크게 상승하지 않는다. H2O는 2,4-toluene diisocyante기와 반응하여 2,4-toluene diamine과 CO2 기체를 만들고 이에 생성된 2,4-toluene diamine은 다시 2,4-toluene diisocyante기와 반응하여 우레아 결합을 한다.
이와 같은 옥상 노출형 방수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접착제를 전면적으로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하부에 요철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간의 연결부위를 망사형 조인트 테입으로 연결하여 상하부간에 동질의 재질로 접착되도록 보강하고 고정철물로 단단히 고정 하여 다수개의 엠보싱 통기완충시트를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고정하고, 상기 엠보싱 통기완충시트의 통기구(중앙돌출부와 주변돌출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도록 견고한 구조의 에어벤트를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통기토록 하고,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상부면에 1차 및 2 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하여 신속하게 도포하고, 이후 자 외선 등 자연환경으로부터 하부의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및 1차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보호하는 탑코트를 도포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
바탕정리 및 보수 보강 작업을 한다. 바탕면을 평탄하게 하고 들뜸, 레이턴스등의 결함이 없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바탕면의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실크랙이 난 곳은 크랙씰을 적용하고 0.3mm 이상 크랙에서는 크랙씰 또는 보강재를 이용하며 함몰부위는 레미탈 보수를 하여 바탕면을 평활하게 한다.
이와 같이 바탕면을 충분히 양생, 건조시켜야하며 바탕면의 함수율을 10%이내가 되도록 건조하여 프라이머 침투가 잘되도록 한다.
또한 바탕면의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시 불순물과 유기류 등이 묻었을 때에는 가시렌이나 톨루엔등으로 깨끗이 닦아낸다.
-제 2 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접착제를 전면적으로 일정하게 도포한다. 이와 같이 도포해야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웨이브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 3 단계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필요 면적에 맞게 재단하고 구김이 생기지 않도록 전바닥에 엠보싱 통기 완충 시트를 깐다.
-제 4 단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를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간의 경계면에 걸쳐 설치하는데,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는 자착식 조인트테이프로서 불침투층은 접착력이 없는 구조이다.(도 4참조)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는 50 ~ 90mm 정도의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를 사용하고, 중앙부에 형성된 폭 15 ~ 30mm 불침투층이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간의 경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1차적인 수밀처리가 된다.
-제 5 단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가 설치된 부분에 기계식 고정철물을 타정하여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 하단에 위치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고정시키는데, 설치 갯수는 망사형 조인트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700 ~ 1,000mm 간격으로 이음부 양측으로 엇갈리게 타정하면 된다.
-제 6 단계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를 설치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를 구성하는 덮개는 측면 하부가 에어벤트의 바닥판과 전둘레 용접되어 견고하게 접하 도록 고정되고, 덮개 둘레 방향으로 하부에는 통기를 위한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내부의 탈기관은 덮개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우수침투 및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에는 구멍이 가공되어 고정철물이 타정되어 고정하게 된다.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는 콘크리트의 함수율에 따라 50~100㎡ 당 1 개소가 설치되며, 설치전에 에어벤트의 중앙부위에 맞도록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재단하여 에어벤트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통기구(중앙돌출부와 주변 돌출부 사이의 공간)가 연통되도록 한다
-제 7 단계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상면에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시공한다.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의 경도는 65~75A인 것을 사용하고, 분사 각도는 30 ~ 90°로 한다. 이와 같은 분사 각도를 가질때 방수재의 비산을 방지하게 된다.
분사시의 압력 200 ~ 600PSI로 하는데, 이와 같은 압력일때 비산을 방지하고 접착력을 강화하게 된다.
도포 두께는 0.5 ~ 2mm로 하는데, 두께의 한정이유는 0.5mm 이하는 방수층의 역할이 부족하고 2mm이상 시 성능대비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제 8 단계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경화되면 그 상면에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시공한다.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의 경도는 80A 이상인 것을 사용하고, 분사 각도는 30 ~ 90°로 한다. 이와 같은 분사 각도를 가질때 방수재의 비산을 방지하게 된다.
분사시의 압력 200 ~ 600PSI로 하는데, 이와 같은 압력일때 비산을 방지하고 접착력을 강화하게 된다.
도포 두께는 0.5 ~ 2mm로 하는데, 두께의 한정이유는 0.5mm 이하는 방수층의 역할이 부족하고 2mm이상 시 성능대비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제 9 단계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경화된 후 우레탄 재질의 탑코트를 스프레이나 로울러로 시공하여 마무리한다. 우레탄 재질의 탑코트(통상적인 탑코트 사용)는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통상적인 상용의 탑코트를 사용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사용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시험 항목 및 결과치는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08040983129-pat00001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수재 성능은 [표 2] 와 같다.
[표 2]
Figure 112008040983129-pat00002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를 포함한 복합방수구조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수구조의 일부분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의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를 이용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이음부에 시공된 것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철물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에 시공하여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고정하는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 (2) : 접착제층
(3) :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층 (4) :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층
(5) : 고정철물 (6) :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
(7) :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
(8) :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
(9) : 우레탄 탑코트층 (41) : 망사
(42) : 불침투층 (61) : 덮개
(62) : 바닥판 (63) : 통기구멍
(64) : 탈기관 (65) : 구멍

Claims (15)

  1. 옥상의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 상부에 시공되는 접착제층, 통기완층 시트층, 조인트 테이프, 고정철물, 에어벤트, 우레탄 방수재층, 탑코트층 등을 포함하여 적층 구성되는 통기완충 복합방수 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1)에 전면적으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제층(2)과,
    상기 전면적으로 도포된 접착제층(2)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접촉되고 하부에 요철을 구비하고 상부에 부직포가 형성된 다수개의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가 연속 설치되어 제 1 방수층을 이루는 엠보싱 통기완층 시트층(3)과;
    상기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와 이에 이웃하는 또 다른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사이의 이음부에 접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로 이루어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층(4)과;
    상기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층을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철물(5)과;
    일 지점이 절개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층(3) 상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1)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6)와;
    상기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6)가 설치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층(3)의 상면에 스프레이 도포되어 제 2 방수층을 이루는 경도 65~75A인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7)과;
    상기 경화된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7)의 상면에 스프레이 도포되어 제 3 방수층과 바닥재를 이루는 경도 80A 이상인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8)과;
    상기 경화된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층(8)의 상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탑코트층(8)으로 구성하되,
    상기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층은 프리폴리우레탄 주제와 경화제가 1 : 1의 비율로 조성되는데,
    프리폴리우레탄 주제는 35~45wt% Poly(1,2 -propylene glycol:분자량 3000), 15~20wt% dipylene glycol, 4~6wt% 1,3-Butylene glycol, 25~33wt% 2,4-toluene diisocyanate, 8-12wt% 용제 (Toluene:Methyl ethyl ketone : Ethyl acetate = 7:1:2로 제조된 용제), 1~3wt% DOP(Dioctylphthalate)로 조성되고,
    경화제는 15-20wt% Poly(propylene oxideglycol:분자량 2000), 5-10wt% Poly(propylene oxideglycol:분자량 300), 8-12wt% 용제(Toluene:MEK:EA = 7:1:2로 제조된 용제), 1-3wt%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MOCA, 2-3wt% DOP, 40-48wt% 325mesh-CaCO3, 3-7wt% Talc, 5-8wt% 크롬옥사이드그린(Cr2O3), 0.3-0.5wt% Dibutyltindiacetate, 6-8wt% Poly(ether diamine:분자량230), 2-4wt% Hexamethylene diamine, 1-3wt%의 H2O, 2-5wt% Isopropylalcohol으로 조성되고,
    상기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층은 프리폴리우레탄 주제와 경화제가 1 : 1의 비율로 조성되는데,
    프리폴리우레탄 주제는 35~45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2000), 15~20wt% 1,4-butane diol, 3~6wt% 1,5-butylene glycol, 25~35wt% 2,4-toluene diisocyanate, 3~8wt%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8~12wt% 용매(Toluene:MEK:EA=70:10:20으로 이루어진 용제), 1~2wt% DOP(dioctylphthalate)로 조성되고,
    경화제는 7~12wt% dipropylene glycol, 7~10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 2000), 6~10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3000), 3~5wt% glycerol, 5~10wt% 용매(toluene:MEK:EA=7:1:2로 구성), 2~7wt%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MOCA, 1~2wt% DOP, 30~40wt% aluminium silicate(Al2(SiO3)3), 8~15wt% Talc, 5~8wt% 안료(Cr2O3), 0.3~0.5wt% Dibutyltindiacetate, 6~10wt% Poly(ether diamine), 4~5wt% Hexamethylene diamine, 1~2wt% H2O, 2~5wt% Isoprorylalcohol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층을 이루는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는,
    상부의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직접 침투되는 폭 50 ~ 90mm의 망사와;
    망사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부의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하부의 엠보싱 통기완층 시트간의 경계면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폭 15 ~ 30mm의 불침투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6)는
    측면 하부가 에어벤트의 바닥판과 전둘레 용접되어 견고하게 접하도록 고정 된 덮개와,
    덮개 둘레 방향으로 하부에 형성된 통기를 위한 통기구멍과,
    덮개 내부에서 덮개와 이격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탈기관과,
    고정철물용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바닥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철물(5)은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 상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700 ~ 1,000mm 간격으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이음부 양측으로 엇갈리게 타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 구조.
  5. 삭제
  6. 삭제
  7. 옥상의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 상부에 접착제층, 통기완층 시트층, 조인트 테이프, 고정철물, 에어벤트, 우레탄 방수재층, 탑코트층 등을 포함하여 시공하는 통기완충 복합방수 공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슬래브 바탕면의 이물질제거 및 보수ㅇ보강 작업을 하는 제 1 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접착제를 전면적으로 일정하게 도포하는 제 2 단계;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필요 면적에 맞게 재단하고 구김이 생기지 않도록 전바닥에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설치하는 제 3 단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를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간의 경계면에 걸쳐 설치하는 제 4 단계;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가 설치된 부분에 기계식 고정철물을 타정하여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 하단에 위치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고정시키는 제 5 단계;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를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를 재단하여 에어벤트와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의 통기구가 연통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의 함수율에 따라 50~100㎡ 당 1 개소 설치하는 제 6 단계;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상면에 65~75A인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시공하는 제 7 단계;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경화되면 그 상면에 경도 80A 이상인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시공하는 제 8 단계;
    상기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경화된 후 우레탄 재질의 탑코트를 스프레이나 로울러로 시공하는 제 9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은 프리폴리우레탄 주제와 경화제가 1 : 1의 비율로 조성되는데,
    프리폴리우레탄 주제는 35~45wt% Poly(1,2 -propylene glycol:분자량 3000), 15~20wt% dipylene glycol, 4~6wt% 1,3-Butylene glycol, 25~33wt% 2,4-toluene diisocyanate, 8-12wt% 용제 (Toluene:Methyl ethyl ketone : Ethyl acetate = 7:1:2로 제조된 용제), 1~3wt% DOP(Dioctylphthalate)로 조성되고,
    경화제는 15-20wt% Poly(propylene oxideglycol:분자량 2000), 5-10wt% Poly(propylene oxideglycol:분자량 300), 8-12wt% 용제(Toluene:MEK:EA = 7:1:2로 제조된 용제), 1-3wt%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MOCA, 2-3wt% DOP, 40-48wt% 325mesh-CaCO3, 3-7wt% Talc, 5-8wt% 크롬옥사이드그린(Cr2O3), 0.3-0.5wt% Dibutyltindiacetate, 6-8wt% Poly(ether diamine:분자량230), 2-4wt% Hexamethylene diamine, 1-3wt%의 H2O, 2-5wt% Isopropylalcohol으로 조성되고,
    상기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은 프리폴리우레탄 주제와 경화제가 1 : 1 의 비율로 조성되는데,
    프리폴리우레탄 주제는 35~45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2000), 15~20wt% 1,4-butane diol, 3~6wt% 1,5-butylene glycol, 25~35wt% 2,4-toluene diisocyanate, 3~8wt%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8~12wt% 용매(Toluene:MEK:EA=70:10:20으로 이루어진 용제), 1~2wt% DOP(dioctylphthalate)로 조성되고,
    경화제는 7~12wt% dipropylene glycol, 7~10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 2000), 6~10wt% Poly(propylene glycol:분자량3000), 3~5wt% glycerol, 5~10wt% 용매(toluene:MEK:EA=7:1:2로 구성), 2~7wt%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MOCA, 1~2wt% DOP, 30~40wt% aluminium silicate(Al2(SiO3)3), 8~15wt% Talc, 5~8wt% 안료(Cr2O3), 0.3~0.5wt% Dibutyltindiacetate, 6~10wt% Poly(ether diamine), 4~5wt% Hexamethylene diamine, 1~2wt% H2O, 2~5wt% Isoprorylalcohol로 조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 공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시의 각도는 30 ~ 90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공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시의 압력은 200 ~ 600PSI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공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시의 도포 두께는 0.5 ~ 2m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공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철물은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 상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700 ~ 1,000mm 간격으로 엠보싱 통기완충 시트 이음부 양측으로 엇갈리게 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공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형 조인트 테이프는,
    상부의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직접 침투되는 폭 50 ~ 90mm의 망사와;
    망사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부의 1차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이 하부의 엠보싱 통기완층 시트간의 경계면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폭 15 ~ 30mm의 불침투층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 공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일체형 에어벤트는 측면 하부가 에어벤트의 바닥판과 전둘레 용접되어 견고하게 접하도록 고정된 덮개와,
    덮개 둘레 방향으로 하부에 형성된 통기를 위한 통기구멍과,
    덮개 내부에서 덮개와 이격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탈기관과,
    고정철물용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바닥판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 공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080053714A 2008-06-09 2008-06-09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 KR10088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714A KR100884015B1 (ko) 2008-06-09 2008-06-09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714A KR100884015B1 (ko) 2008-06-09 2008-06-09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015B1 true KR100884015B1 (ko) 2009-02-17

Family

ID=4068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714A KR100884015B1 (ko) 2008-06-09 2008-06-09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01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09B1 (ko) 2009-08-25 2010-01-20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도장성이 우수한 콘크리트바닥재용 폴리우레탄도료의 제조방법
KR101054616B1 (ko) 2011-02-23 2011-08-04 임일형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KR101128047B1 (ko) 2011-12-20 2012-03-29 (주) 인택산업 옥상 주차장에서의 탈기관 시공방법
KR101136294B1 (ko) * 2011-05-17 2012-04-19 엔에스건설 주식회사 샌드위치패널의 방수층 시공방법
KR101212773B1 (ko) * 2010-07-09 2012-12-18 남응식 우레탄 방수층용 탈기구
KR101513808B1 (ko) * 2013-10-30 2015-04-20 김기태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
KR102072401B1 (ko) * 2019-07-04 2020-02-03 극동크리트 주식회사 금속사시트테이프를 이용한 방근방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근방수공법
KR102190713B1 (ko) 2020-04-14 2020-12-14 서준건설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섬유가 함유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JP2021028437A (ja) * 2019-08-09 2021-02-25 株式会社Robusto 防水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脱気筒
KR102341549B1 (ko) 2021-04-07 2021-12-20 서인순 연질 폴리우레탄 제조방법 및 연질과 경질 폴리우레탄이 결합된 바닥재 및 도막 방수공법
KR102562993B1 (ko) 2023-04-13 2023-08-04 주식회사 엔씨에스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 표면처리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452B1 (ko) * 2003-12-10 2006-02-16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옥상 노출형 절연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사용한옥상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KR100640073B1 (ko) * 2005-08-10 2006-11-02 송병창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
KR20070085022A (ko) * 2006-12-07 2007-08-27 송재환 옥상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452B1 (ko) * 2003-12-10 2006-02-16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옥상 노출형 절연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사용한옥상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KR100640073B1 (ko) * 2005-08-10 2006-11-02 송병창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
KR20070085022A (ko) * 2006-12-07 2007-08-27 송재환 옥상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09B1 (ko) 2009-08-25 2010-01-20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도장성이 우수한 콘크리트바닥재용 폴리우레탄도료의 제조방법
KR101212773B1 (ko) * 2010-07-09 2012-12-18 남응식 우레탄 방수층용 탈기구
KR101054616B1 (ko) 2011-02-23 2011-08-04 임일형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KR101136294B1 (ko) * 2011-05-17 2012-04-19 엔에스건설 주식회사 샌드위치패널의 방수층 시공방법
KR101128047B1 (ko) 2011-12-20 2012-03-29 (주) 인택산업 옥상 주차장에서의 탈기관 시공방법
KR101513808B1 (ko) * 2013-10-30 2015-04-20 김기태 단열 지붕의 방수 구조 및 단열 지붕의 방수 시공 방법
KR102072401B1 (ko) * 2019-07-04 2020-02-03 극동크리트 주식회사 금속사시트테이프를 이용한 방근방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근방수공법
JP2021028437A (ja) * 2019-08-09 2021-02-25 株式会社Robusto 防水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脱気筒
JP7001280B2 (ja) 2019-08-09 2022-01-19 株式会社Robusto 防水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脱気筒
KR102190713B1 (ko) 2020-04-14 2020-12-14 서준건설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섬유가 함유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2341549B1 (ko) 2021-04-07 2021-12-20 서인순 연질 폴리우레탄 제조방법 및 연질과 경질 폴리우레탄이 결합된 바닥재 및 도막 방수공법
KR102562993B1 (ko) 2023-04-13 2023-08-04 주식회사 엔씨에스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 표면처리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015B1 (ko) 초속경 하이브리드 우레탄을 이용한 통기완충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
KR100804677B1 (ko)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 방수층 및 방수방법
KR100924114B1 (ko)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 및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와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CN101586381A (zh) 防水结构及其制造方法
KR100971254B1 (ko)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1886041B1 (ko) 우레탄복합시트와 폴리우레아가 일체화된 복합방수공법
KR101267014B1 (ko) 섬유보강메쉬층을 포함하는 우레탄 도막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40073B1 (ko)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
AU9758598A (en) Sealing sheet assembly for construction surfa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applying same
TWI267576B (en)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KR102261398B1 (ko)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KR101240691B1 (ko) 다용도 방수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0935712B1 (ko) Tpu 필름을 활용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U2001289585A1 (en) Plate-shaped cover material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0389256Y1 (ko) 복합 방수층 구조
KR101569973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30419A (ko) 방수 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방수방법
KR100939695B1 (ko) 내구성 및 상용성이 향상된 tpu 필름층을 구비한 복합 방수 방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52452B1 (ko) 옥상 노출형 절연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사용한옥상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KR102295908B1 (ko) 수팽창성 아크릴레이트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100519522B1 (ko) 옥상방수의 하자보수용 폴리에틸렌 경량 방수시트 및 이의시공방법
KR101054616B1 (ko)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KR200345931Y1 (ko) 옥상 노출형 절연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사용한옥상 방수구조
CN209851746U (zh) 一种复合型耐根穿刺自粘聚合物改性沥青防水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