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887B1 -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창재, 건구, 및 일사 차폐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창재, 건구, 및 일사 차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887B1
KR101512887B1 KR1020127020160A KR20127020160A KR101512887B1 KR 101512887 B1 KR101512887 B1 KR 101512887B1 KR 1020127020160 A KR1020127020160 A KR 1020127020160A KR 20127020160 A KR20127020160 A KR 20127020160A KR 101512887 B1 KR101512887 B1 KR 101512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cident
optical
light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690A (ko
Inventor
쯔또무 나가하마
마사끼 스즈끼
히로야 다께나까
마사시 에노모또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부심이나 투영을 억제하면서, 가시광을 포함한 일사의 차폐가 가능하게 되는 광학체를 제공한다. 광학체는, 요철면 상에 형성된 반투과층과, 반투과층이 형성된 요철면 상에 요철을 매립하도록 형성된 제2 광학층을 구비한다. 반투과층은, 입사각(θ, φ)으로 입사면에 입사한 광의 일부를 정반사(-θ, φ+180°) 이외의 방향으로 지향 반사한다.(단, θ: 입사면에 대한 수선(l1)과, 입사면에 입사하는 입사광 또는 입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반사광과의 이루는 각, φ: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과, 입사광 또는 반사광을 입사면에 사영한 성분과의 이루는 각,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 입사각(θ, φ)을 고정하고, 입사면에 대한 수선(l1)을 축으로 하여 반투과층을 회전했을 때, φ방향으로의 반사 강도가 최대가 되는 축)

Description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창재, 건구, 및 일사 차폐 장치{OPTICAL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INDOW MEMBER, SLIDING WINDOW, AND SUNLIGHT BLOCKING DEVICE}
본 발명은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창재, 건구, 및 일사 차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일사를 차폐할 수 있는 광학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조 부하 저감의 관점에서, 일사를 차폐하기 위한 창용 필름이나 창 유리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일사 에너지의 절반 이상은 가시광인 점에서, 적외광뿐만 아니라, 가시광도 동시에 차폐하는 필름이나 창 유리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저녁 햇볕에 의한 눈부심을 저감한다는 목적에 있어서도, 가시광을 일부 차폐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필름이나 창 유리로서, 금속의 반투과층을 성막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그러나, 이들 필름이나 창 유리에서는, 평판 상에 반투과층이 성막되어 있기 때문에, 가시광이 반사해서 거울 형상이 되어, 눈부심이나 투영의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57-597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57-5974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43113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눈부심이나 투영을 억제하면서, 가시광을 포함한 일사의 차폐가 가능하게 되는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창재, 건구, 및 일사 차폐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 발명은,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층과,
요철면 상에 형성된 반투과층과,
반투과층이 형성된 요철면 상에 상기 요철을 매립하도록 형성된 제2 광학층을 구비하고,
반투과층은, 입사각(θ, φ)으로 입사면에 입사한 광의 일부를 정반사(-θ, φ+180°) 이외의 방향으로 지향 반사하는 광학체.
(단, θ: 입사면에 대한 수선(l1)과, 입사면에 입사하는 입사광 또는 입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반사광과의 이루는 각, φ: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과, 입사광 또는 반사광을 입사면에 사영한 성분과의 이루는 각,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 입사각(θ, φ)을 고정하고, 입사면에 대한 수선(l1)을 축으로 하여 반투과층을 회전했을 때, φ방향으로의 반사 강도가 최대가 되는 축)
제2 발명은,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1 광학층의 요철면 상에 반투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반투과층이 형성된 요철면 상에 상기 요철을 매립하도록, 반투과층 상에 제2의 광학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반투과층은, 입사각(θ, φ)으로 입사면에 입사한 광의 일부를 정반사(-θ, φ+180°) 이외의 방향으로 지향 반사하는 광학체의 제조 방법.
(단, θ: 입사면에 대한 수선(l1)과, 입사면에 입사하는 입사광 또는 입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반사광과의 이루는 각, φ: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과, 입사광 또는 반사광을 입사면에 사영한 성분과의 이루는 각,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 입사각(θ, φ)을 고정하고, 입사면에 대한 수선(l1)을 축으로 하여 반투과층을 회전했을 때, φ방향으로의 반사 강도가 최대가 되는 축)
본 발명에서는, 제1 광학층의 요철면 상에 반투과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눈부심이나 투영을 억제하면서, 가시광을 포함한 일사의 차폐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광학층에 의해, 반투과층이 형성된 제1 광학층의 요철면을 포매함으로써, 투과상도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눈부심이나 투영을 억제하면서, 가시광을 포함한 일사의 차폐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을 피착체에 접합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2는, 광학 필름에 대하여 입사하는 입사광과, 광학 필름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C는, 제1 광학층에 형성된 구조체의 형상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4의 A는, 제1 광학층에 형성된 구조체의 형상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구조체가 형성된 제1 광학층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5의 A,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다.
도 6의 A,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도다.
도 9의 A 내지 도 9의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다.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다.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제1 광학층의 제1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3의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제1 광학층의 제2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3의 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제1 광학층의 제3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제1 광학층의 제4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다. 도 14의 B는, 도 14의 A에 도시한 제1 광학층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다. 도 14의 C는, 도 14의 A에 도시한 제1 광학층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제1 광학층의 제5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다. 도 15의 B는, 도 15의 A에 도시한 제1 광학층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다. 도 15의 C는, 도 15의 A에 도시한 제1 광학층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다.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제1 광학층의 제6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다. 도 16의 B는, 도 16의 A에 도시한 제1 광학층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7의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이 구비하는 제1 광학층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1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8의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2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8의 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3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1의 A는, 슬랫의 제1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21의 B는, 슬랫의 제2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22의 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롤스크린 장치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2의 B는, 도 22의 A에 도시한 B-B 선을 따른 단면도다.
도 23의 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건구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3의 B는, 광학체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24의 A는, 실시예 1의 금형 롤 표면의 요철 형상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4의 B는, 실시예 1의 금형 롤 표면의 요철 형상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25의 A는, 실시예 2의 금형 롤 표면의 요철 형상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5의 B는, 실시예 2의 금형 롤 표면의 요철 형상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26의 A는, 실시예 3의 금형 롤 표면의 요철 형상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6의 B, 도 26의 C는, 도 26의 A에 도시한 금형 롤 표면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다.
도 27의 A는, 실시예 1 내지 3의 광학 필름의 분광 투과율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다. 도 27의 B는, 실시예 5, 6의 광학 필름의 분광 투과율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다.
도 28의 A는, 실시예 4, 7의 광학 필름의 분광 투과율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다. 도 28의 B는, 비교예 1 내지 3의 광학 필름의 분광 투과율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다.
도 29는, 광학 필름의 지향 반사의 평가에 사용한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선도다.
도 30은, 도 2에 도시한 지향 반사의 방향(θ, φ)과, 도 29에 도시한 지향 반사 측정에 있어서의 방향(θm, φm)과의 대응 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다.
도 31은, 실시예 1의 광학 필름의 지향 반사의 평가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실시예 2의 광학 필름의 지향 반사의 평가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실시예 3의 광학 필름의 지향 반사의 평가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1. 제1 실시 형태(구조체를 1차원 배열한 예)
2. 제2 실시 형태(구조체를 2차원 배열한 예)
3. 제3 실시 형태(루버형 반투과층의 예)
4. 제4 실시 형태(광학 필름에 광산란체를 설치한 예)
5. 제5 실시 형태(자기 세정 효과층을 구비한 예)
6. 제6 실시 형태(블라인드 장치에 광학 필름을 적용한 예)
7. 제7 실시 형태(롤스크린 장치에 광학 필름을 적용한 예)
8. 제8 실시 형태(건구에 광학 필름을 적용한 예)
<1. 제1 실시 형태>
[광학 필름의 구성]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을 피착체에 접합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광학체로서의 광학 필름(1)은, 소위 지향 반사 성능을 갖는 광학 필름이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광학 필름(1)은, 요철 형상의 계면을 내부에 갖는 광학층(2)과, 이 광학층(2)의 계면에 설치된 반투과층(3)을 구비한다. 광학층(2)은, 요철 형상의 제1면을 갖는 제1 광학층(4)과, 요철 형상의 제2면을 갖는 제2 광학층(5)을 구비한다. 광학층 내부의 계면은, 대향 배치된 요철 형상의 제1면과 제2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1)은,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층(4)과, 제1 광학층의 요철면 상에 형성된 반사층(3)과, 반사층(3)이 형성된 요철면을 매립하도록, 반사층(3) 상에 형성된 제2 광학층(5)을 구비한다. 광학 필름(1)은, 태양광 등의 광이 입사하는 입사면(S1)과, 이 입사면(S1)으로부터 입사한 광 중, 광학 필름(1)을 투과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S2)을 갖는다. 광학 필름(1)은, 내벽 부재, 외벽 부재, 창재 등에 적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또한, 광학 필름(1)은, 블라인드 장치의 슬랫(일사 차폐 부재) 및 롤스크린 장치의 스크린(일사 차폐 부재)으로서 사용해도 적합한 것이다. 또한, 광학 필름(1)은, 미닫이 등의 건구(내장 부재 또는 외장 부재)의 채광부에 설치되는 광학체로서 사용해도 적합한 것이다.
광학 필름(1)이, 필요에 따라, 광학층(2)의 출사면(S2)에 제1 기재(4a)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광학 필름(1)이, 필요에 따라, 광학층(2)의 입사면(S1)에 제2 기재(5a)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렇게 제1 기재(4a), 및/또는 제2 기재(5a)를 광학 필름(1)에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기재(4a), 및/또는 제2 기재(5a)를 광학 필름(1)에 구비한 상태에 있어서, 이하에 나타내는 투명성 및 투과색 등의 광학 특성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이, 필요에 따라 접합층(6)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이 접합층(6)은, 광학 필름(1)의 입사면(S1) 및 출사면(S2) 중, 창재(10)에 접합되는 면에 형성된다. 이 접합층(6)을 개재하여, 광학 필름(1)은 피착체인 창재(10)의 옥내측 또는 옥외측에 접합된다. 접합층(6)으로서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층(예를 들어, UV 경화형 수지, 2액 혼합형 수지) 또는 점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층(예를 들어, 감압 점착재(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사용할 수 있다. 접합층(6)이 점착층인 경우, 접합층(6) 상에 형성된 박리층(7)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박리층(7)을 박리하는 것만으로, 접합층(6)을 개재해서 창재(10) 등의 피착체에 대하여 광학 필름(1)을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광학 필름(1)이, 제2 기재(5a)와, 접합층(6) 및/또는 제2 광학층(5)의 접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제2 기재(5a)와, 접합층(6) 및/또는 제2 광학층(5)과의 사이에,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마찬가지 개소의 접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프라이머층 대신에, 또는 상기 프라이머층과 함께, 공지된 물리적 전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된 물리적 전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1)이, 창재(10) 등의 피착체에 접합되는 입사면(S1) 또는 출사면(S2) 상 또는 그 면과 반투과층(3)과의 사이에, 배리어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배리어층을 구비함으로써, 입사면(S1) 또는 출사면(S2)으로부터 반투과층(3)에의 수분의 확산을 저감하고, 반투과층(3)에 포함되는 금속 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필름(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필름(1)은, 표면에 내찰상성 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하드 코트층(8)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이 하드 코트층(8)은, 광학 필름(1)의 입사면(S1) 및 출사면(S2) 중, 창재(10) 등의 피착체에 접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의 입사면(S1)에, 방오성 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발수성 또는 친수성을 갖는 층을 더 구비해도 좋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층은, 예를 들어 광학층(2) 상에 직접 구비하거나, 또는 하드 코트층(8) 등의 각종 기능층 상에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광학 필름(1)은, 광학 필름(1)을 창재(10) 등의 피착체에 용이하게 접합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름에는 시트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즉, 광학 필름(1)에는 광학 시트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광학 필름(1)은, 투명성을 갖고 있다. 투명성으로서는, 후술하는 투과상 선명도의 범위를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광학층(4)과 제2 광학층(5)과의 굴절률 차가, 바람직하게는 0.0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이하다. 굴절률 차가 0.010을 초과하면, 투과상이 흐리게 보이는 경향이 있다. 0.008을 초과하고, 0.010 이하의 범위이면, 외부의 밝기에도 의존하지만, 일상 생활에는 문제가 없다. 0.005를 초과하고, 0.008 이하의 범위이면, 광원과 같이 매우 밝은 물체만 회절 패턴이 신경이 쓰이지만, 외부의 경치를 선명하게 볼 수 있다. 0.005 이하이면 회절 패턴은 거의 신경쓰이지 않다. 제1 광학층(4) 및 제2 광학층(5) 중, 창재(10) 등과 접합하는 측이 되는 광학층은, 점착제를 주성분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점착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1 광학층(4) 또는 제2 광학층(5)에 의해 광학 필름(1)을 창재(10) 등에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할 경우, 점착제의 굴절률 차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광학층(4)과 제2 광학층(5)은, 굴절률 등의 광학 특성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광학층(4)과 제2 광학층(5)이, 가시 영역에 있어서 투명성을 갖는 동일 재료, 예를 들어 동일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광학층(4)과 제2 광학층(5)을 동일 재료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양자의 굴절률이 동등해지므로, 가시광의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동일 재료를 출발원으로 해도, 성막 공정에 있어서의 경화 조건 등에 의해 최종적으로 생성하는 층의 굴절률이 상이한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반해, 제1 광학층(4)과 제2 광학층(5)을 상이한 재료에 의해 구성하면, 양자의 굴절률이 상이하므로, 반투과층(3)을 경계로 하여 광이 굴절하고, 투과상이 희미해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멀리 있는 전등 등, 점 광원에 가까운 물건을 관찰하면 회절 패턴이 현저하게 관찰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1 광학층(4)과 제2 광학층(5)이, 가시 영역에서 투명성을 갖는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2 광학층(5)에는 인산 화합물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굴절률의 값을 조정하기 위해서, 제1 광학층(4) 및/또는 제2 광학층(5)에 첨가제를 혼입시켜도 좋다.
제1 광학층(4)과 제2 광학층(5)은, 가시 영역에서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명성의 정의에는 2종류의 의미가 있는데, 광의 흡수가 없는 것과, 광의 산란이 없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명이라고 했을 경우에 전자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지만,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1)에서는 양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재귀반사체는, 도로 표식이나 야간 작업자의 의복 등, 그 표시 반사광을 시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산란성을 갖고 있어도, 하지 반사체와 밀착하고 있으면, 그 반사광을 시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의 전방면에, 방현성의 부여를 목적으로 해서 산란성을 갖는 안티글레어 처리를 해도, 화상은 시인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원리다. 그러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1)은, 지향 반사하는 특정한 파장 이외의 광을 투과하는 점에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 투과 파장을 주로 투과하는 투과체에 접착하여 그 투과광을 관찰하기 때문에, 광의 산란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그 용도에 따라서는, 제2 광학층(5)에 의도적으로 산란성을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학 필름(1)은, 바람직하게는 광학 필름(1)을 투과한 광에 대하여 주로 투과성을 갖는 강체, 예를 들어 창재(10)에 점착제 등을 통하여 접합해서 사용된다. 창재(10)로서는, 고층 빌딩이나 주택 등의 건축용 창재, 차량용 창재 등을 들 수 있다. 건축용 창재에 광학 필름(1)을 적용하는 경우, 특히 동쪽 내지 남쪽 내지 서쪽 방향 사이의 어느 한 방향(예를 들어 남동 내지 남서향)에 배치된 창재(10)에 광학 필름(1)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의 창재(10)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열선을 반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광학 필름(1)은, 단층의 창 유리뿐만 아니며, 복층 유리 등의 특수한 유리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창재(10)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성을 갖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해도 좋다. 광학층(2)이, 가시 영역에서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투명성을 가짐으로써, 광학 필름(1)을 창 유리 등의 창재(10)에 접합했을 경우, 가시광을 투과하고, 태양광에 의한 채광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접합하는 면으로서는 유리의 내면뿐만 아니며, 외면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1)은 다른 열선 컷 필름과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기와 광학 필름(1)과의 계면(즉, 광학 필름(1)의 최표면)에 광흡수 도막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광학 필름(1)은, 하드 코트층, 자외선 커트층, 표면 반사 방지층 등과도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기능층을 병용하는 경우, 이들의 기능층을 광학 필름(1)과 공기와의 사이의 계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자외선 커트층에 대해서는, 광학 필름(1)보다도 태양측에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특히 실내의 창 유리면에 내부 부착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창 유리면과 광학 필름(1)의 사이에 자외선 커트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창 유리면과 광학 필름(1)의 사이의 접합층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혼합해 두어도 좋다.
또한, 광학 필름(1)의 용도에 따라, 광학 필름(1)에 대하여 착색을 실시하고, 의장성을 부여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의장성을 부여할 경우,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제1 광학층(4) 및 제2 광학층(5) 중 적어도 한쪽이, 가시 영역에서의 특정한 파장대의 광을 주로 흡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광학 필름(1)에 대하여 입사하는 입사광과, 광학 필름(1)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광학 필름(1)은, 광(L)이 입사하는 입사면(S1)을 갖는다. 광학 필름(1)은, 입사각(θ, φ)으로 입사면(S1)에 입사한 광(L) 중 일부의 광(L1)을 정반사(-θ, φ+180°) 이외의 방향으로 지향 반사하는 데 반해, 나머지의 광(L2)을 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θ: 입사면(S1)에 대한 수선(l1)과, 입사광(L) 또는 반사광(L1)과의 이루는 각이다. φ: 입사면(S1) 내의 특정한 직선(l2)과, 입사광(L) 또는 반사광(L1)을 입사면(S1)에 사영한 성분과의 이루는 각이다. 여기서,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이란, 입사각(θ, φ)을 고정하여, 광학 필름(1)의 입사면(S1)에 대한 수선(l1)을 축으로 해서 광학 필름(1)을 회전했을 때, φ방향으로의 반사 강도가 최대가 되는 축이다(도 3 및 도 4 참조). 단, 반사 강도가 최대가 되는 축(방향)이 복수인 경우, 그 중 하나를 직선(l2)으로서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수선(l1)을 기준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θ)를 「+θ」라고 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θ)를 「-θ」라고 한다. 직선(l2)을 기준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φ)를 「+φ」라고 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φ)를 「-φ」라고 한다. 여기서 지향 반사란, 정반사 이외의 어느 특정한 방향으로의 반사를 갖고, 또한 지향성을 갖지 않는 확산 반사 강도보다도 충분히 강한 것을 의미한다.
지향 반사하는 광이, 주로 파장 대역 400㎚ 이상 2100㎚ 이하의 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광 에너지의 90% 이상은 이 영역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단, 파장 대역 2100㎚ 이상의 광을 반사해도 좋다. 파장 500㎚에 있어서의 투과율과 파장 100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비율은 1.8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이하다. 파장 선택성을 가지면, 가시광이 투과하기 때문에 실내의 바닥 등에 흡수되어 열이 되거나,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을 서쪽의 창 등에 적용한 경우에 저녁 햇볕이 눈부시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파장 선택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필름의 색조를 뉴트럴에 가깝게 할 수 있다. D65 광원에 대한 투과 색조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0.280≤x≤0.345이면서 0.285≤y≤0.370,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0.285≤x≤0.340이면서 0.290≤y≤0.365, 더욱 바람직하는 범위로서는, 0.290≤x≤0.320 이면서 0.310≤y≤0.340이다.
광학 필름(1)에 있어서, 지향 반사하는 방향(φo)이 -90° 이상,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을 창재(10)에 붙였을 경우, 상공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의 일부를 상공 방향으로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주변에 높은 건물이 없을 경우에는 이 범위의 광학 필름(1)이 유용하다. 또한, 지향 반사하는 방향이(θ, -φ) 근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근방이란, 바람직하게 (θ, -φ)로부터 5도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3도 이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도 이내의 범위 내의 어긋남을 말한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광학 필름(1)을 창재(10)에 붙였을 경우, 동일 정도의 높이로 늘어선 건물의 상공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의 일부를 다른 건물의 상공으로 효율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향 반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구면이나 쌍곡면의 일부나 삼각뿔, 사각뿔, 원뿔 등의 3차원 구조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θ, φ)방향(-90°<φ<90°)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그 형상에 기초하여 (θo, φo)방향(0°<θo<90°, -90°<φo<90°)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는, 일 방향으로 신장된 기둥 형상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θ, φ)방향(-90°<φ<90°)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기둥 형상체의 경사각에 기초하여 (θo, -φ)방향(0°<θo<90°)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광학 필름(1)에 있어서, 입사광의 지향 반사가, 재귀반사 근방 방향, 즉, 입사각(θ, φ)으로 입사면(S1)에 입사한 광에 대한 광의 반사 방향이 (θ, φ) 근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을 창재(10)에 붙였을 경우, 상공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의 일부를 상공에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근방이란 5도 이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도 이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도 이내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광학 필름(1)을 창재(10)에 붙였을 경우, 상공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의 일부를 상공으로 효율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적외선 센서나 적외선 촬상과 같이, 적외광 조사부와 수광부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재귀반사 방향은 입사 방향과 동등해야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특정한 방향으로부터 센싱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엄밀히 동일한 방향으로 할 필요는 없다.
D65 광원에 대한 투과상 선명도에 관하여, 0.5㎜의 광학 빗을 사용했을 때의 값이,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다. 투과상 선명도의 값이 30 미만이면 투과상이 흐리게 보이는 경향이 있다. 30 이상 50 미만이면 외부의 밝기에도 의존하지만, 일상 생활에는 문제가 없다. 50 이상 75 미만이면 광원과 같이 매우 밝은 물체만 회절 패턴이 신경이 쓰이지만, 외부의 경치를 선명하게 볼 수 있다. 75 이상이면, 회절 패턴은 거의 신경쓰이지 않다. 또한 0.125㎜, 0.5㎜, 1.0㎜, 2.0㎜의 광학 빗을 사용하여 측정한 투과상 선명도의 값의 합계값이,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이상이다. 투과상 선명도의 합계값이 170 미만이면 투과상이 흐리게 보이는 경향이 있다. 170 이상 230 미만이면 외부의 밝기에도 의존하지만, 일상 생활에는 문제가 없다. 230 이상 350 미만이면 광원과 같이 매우 밝은 물체만 회절 패턴이 신경이 쓰이는데, 외부의 경치를 선명하게 볼 수 있다. 350 이상이면, 회절 패턴은 거의 신경쓰이지 않다. 여기서, 투과상 선명도의 값은, 스가시켄키제의 ICM-1T를 사용하여, JIS K7105에 준하여 측정한 것이다.
광학 필름(1)의 입사면(S1), 바람직하게는 입사면(S1) 및 출사면(S2)은, 투과상 선명도를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의 평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입사면(S1) 및 출사면(S2)의 산술 평균 조도(Ra)는, 바람직하게는 0.0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다. 또한, 상기 산술 평균 조도(Ra)는, 입사면의 표면 조도를 측정하고, 2차원 단면 곡선으로부터 조도 곡선을 취득하여, 조도 파라미터로서 산출한 것이다. 또한, 측정 조건은 JIS B0601:2001에 준거하고 있다. 이하에 측정 장치 및 측정 조건을 나타낸다.
측정 장치: 전자동 미세 형상 측정기 서프코더 ET4000A(가부시끼가이샤 코사카켄큐쇼)
λc=0.8㎜, 평가 길이 4㎜, 컷오프×5배
데이터 샘플링 간격 0.5㎛
이하, 광학 필름(1)을 구성하는 제1 광학층(4), 제2 광학층(5) 및 반투과층(3)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제1 광학층, 제2 광학층)
제1 광학층(4)은, 예를 들어 반투과층(3)을 지지하고, 또한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광학층(4)은, 광학 필름(1)에 가요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으로 이루어진다. 제1 광학층(4)의 양쪽 주면 중, 예를 들어 한쪽 면은 평활면이며, 다른 쪽의 면은 요철면(제1면)이다. 반투과층(3)은 상기 요철면 상에 형성된다.
제2 광학층(5)은, 반투과층(3)이 형성된 제1 광학층(4)의 제1면(요철면)을 포매함으로써, 반투과층(3)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광학층(5)은, 광학 필름(1)에 가요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으로 이루어진다. 제2 광학층(5)의 양쪽 주면 중, 예를 들어 한쪽 면은 평활면이며, 다른 쪽의 면은 요철면(제2면)이다. 제1 광학층(4)의 요철면과 제2 광학층(5)의 요철면은, 서로 요철을 반전한 관계에 있다.
제1 광학층(4)의 요철면은, 예를 들어 1차원 배열된 복수의 구조체(4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광학층(5)의 요철면은, 예를 들어 1차원 배열된 복수의 구조체(5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제1 광학층(4)의 구조체(4c)와 제2 광학층(5)의 구조체(5c)는, 요철이 반전된 점만이 상이하므로, 이하에는 제1 광학층(4)의 구조체(4c)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학 필름(1)에 있어서, 구조체(4c)의 피치(P)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25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200㎛ 이하다. 구조체(4c)의 피치가 5㎛ 미만이면 구조체(4c)의 형상을 원하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 어려워 목적으로 하는 지향 반사가 얻어지기 어렵다. 한편, 구조체(4c)의 피치가 5㎜를 초과하면, 지향 반사에 필요한 구조체(4c)의 형상을 고려한 경우, 필요한 막 두께가 두꺼워져 가요성이 상실되고, 창재(10) 등의 강체에 접합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구조체(11a)의 피치를 250㎛ 미만으로 함으로써, 더욱 가요성이 증가하고, 롤·투·롤에서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배치 생산이 불필요하게 된다. 창 등의 건재에 본 발명의 광학 소자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몇 m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고, 배치 생산보다도 롤·투·롤로의 제조가 적합하다. 또한, 피치를 20㎛ 이상 200㎛ 이하로 했을 경우에는, 보다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광학층(4)의 표면에 형성되는 구조체(4c)의 형상은 1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종류의 형상의 구조체(4c)를 제1 광학층(4)의 표면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복수 종류의 형상의 구조체(4c)를 표면에 설치하는 경우, 복수 종류의 형상의 구조체(4c)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패턴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원하는 특성에 따라서는, 복수 종류의 구조체(4c)가 랜덤(비주기적)으로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C는, 제1 광학층에 형성된 구조체의 형상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구조체(4c)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의 오목부이며, 이 기둥 형상의 구조체(4c)가 일 방향을 향해서 1차원 배열되어 있다. 반투과층(3)은 이 구조체(4c) 상에 성막시키기 때문에, 반투과층(3)의 형상은, 구조체(4c)의 표면 형상과 마찬가지인 형상을 갖게 된다.
구조체(4c)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도 3의 A에 도시하는 프리즘 형상, 도 3의 B에 도시하는 프리즘의 능선부를 둥글게 한 형상, 도 3의 C에 도시한 렌티큘러 형상의 반전 형상, 또는 이들의 반전 형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렌티큘러 형상이란, 볼록부의 능선에 수직인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 혹은 거의 원호 형상, 타원호 형상 혹은 거의 타원호 또는 포물선상 혹은 거의 포물선상의 일부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원통 형상도 렌티큘러 형상에 포함된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능선 부분에는 R이 있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곡률 반경 R과 구조체(4c)의 피치 P의 비 R/P가 7%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구조체(4c)의 형상은 3의 A 내지 도 3의 C에 도시한 형상, 또는 이들의 반전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토로이달 형상, 쌍곡 기둥 형상, 타원 기둥 형상, 다각 기둥 형상, 자유 곡면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프리즘 형상 및 렌티큘러 형상의 정상부를 다각 형상(예를 들어 오각 형상)으로 해도 좋다. 구조체(4c)를 프리즘 형상으로 하는 경우, 프리즘 형상의 구조체(4c)의 경사 각도(θ)는, 예를 들어 45˚이다. 구조체(4c)는, 창재(10)에 적용한 경우에, 상공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반사해서 상공으로 많이 복귀시키는 관점에서는, 경사각이 45˚ 이상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입사광은 거의 1회의 반사로 상공으로 복귀되기 때문에, 반투과층(3)의 반사율이 그렇게 높지 않더라도 효율적으로 상공 방향으로 입사광을 반사할 수 있음과 함께, 반투과층(3)에 있어서의 광의 흡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4c)의 형상을, 광학 필름(1)의 입사면(S1) 또는 출사면(S2)에 수직인 수선(l1)에 대하여 비대칭한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구조체(4c)의 주축(lm)이, 수선(l1)을 기준으로 해서 구조체(4c)의 배열 방향(a)으로 기울게 된다. 여기서, 구조체(4c)의 주축(lm)이란, 구조체 단면의 저변의 중점과 구조체의 정점을 통과하는 직선을 의미한다.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된 창재(10)에 광학 필름(1)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4c)의 주축(lm)이, 수선(l1)을 기준으로 해서 창재(10)의 하방(지면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창을 통한 열의 유입이 많은 것은 오후경의 시간대이며, 태양의 고도가 45°보다 높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이들 높은 각도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효율적으로 상방으로 반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의 A 및 도 4의 B에서는, 프리즘 형상의 구조체(4c)를 수선(l1)에 대하여 비대칭한 형상으로 한 예가 도시되고 있다. 또한, 프리즘 형상 이외의 구조체(4c)를 수선(l1)에 대하여 비대칭한 형상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코너 큐브체를 수선(l1)에 대하여 비대칭한 형상으로 해도 좋다.
제1 광학층(4)이, 100℃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저하가 적고, 25℃와 10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현저하게 상이하지 않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3×109㎩ 이하이고, 10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3×107㎩ 이상인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광학층(4)은, 1종류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2종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첨가제가 혼입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100℃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저하가 적고, 25℃와 10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현저하게 상이하지 않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면, 열 또는 열과 가압을 수반하는 프로세스가 제1 광학층(4)의 요철면(제1면)을 형성 후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설계한 계면 형상을 거의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해, 100℃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저하가 크고, 25℃와 10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현저하게 상이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면, 설계한 계면 형상으로부터의 변형이 커지고, 광학 필름(1)에 컬이 발생하기도 한다.
여기서, 열을 수반하는 프로세스에는, 어닐 처리 등과 같이 직접 광학 필름(1) 또는 그 구성 부재에 대하여 열을 가하는 것과 같은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박막의 성막 시, 및 수지 조성물의 경화 시 등에, 성막면이 국소적으로 온도 상승 해서 간접적으로 그것들에 대하여 열을 가하는 프로세스나,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금형의 온도가 상승하고, 간접적으로 광학 필름에 열을 가하는 프로세스도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저장 탄성률의 수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수지의 종류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형 수지 및 에너지선 조사형 수지 중 어느 것이라도 얻을 수 있다.
제1 광학층(4)의 저장 탄성률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해서 확인할 수 있다. 제1 광학층(4)의 표면이 노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노출면의 저장 탄성률을 미소 경도계를 사용해서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층(4)의 표면에 제1 기재(4a)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기재(4a) 등을 박리하여, 제1 광학층(4)의 표면을 노출시킨 후, 그 노출면의 저장 탄성률을 미소 경도계를 사용해서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고온 하에서의 탄성률의 저하를 억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에 있어서는, 측쇄의 길이 및 종류 등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열경화형 수지 및 에너지선 조사형 수지에 있어서는, 가교점의 양 및 가교재의 분자 구조 등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단, 이러한 구조 변경에 의해 수지 재료 그 자체에 요구되는 특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교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실온 부근에서의 탄성률이 높아져, 물러져버리거나, 수축이 커져 필름이 만곡하거나, 컬하기도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교제의 종류를 원하는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광학층(4)이 결정성 고분자 재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는, 유리 전이점이 제조 프로세스 중의 최고 온도보다 크고, 제조 프로세스 중의 최고 온도 하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저하가 적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해, 유리 전이점이 실온 25℃ 이상, 제조 프로세스 중의 최고 온도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제조 프로세스 중의 최고 온도 하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저하가 큰 수지를 사용하면, 제조 프로세스 중에 설계한 이상적인 계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제1 광학층(4)이, 비정질성 고분자 재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는, 융점이 제조 프로세스 중의 최고 온도보다 크고, 제조 프로세스 중의 최고 온도 하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저하가 적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해, 융점이 실온 25℃ 이상, 제조 프로세스 중의 최고 온도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제조 프로세스 중의 최고 온도 하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저하가 큰 수지를 사용하면, 제조 프로세스 중에, 설계한 이상적인 계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여기서, 제조 프로세스 중의 최고 온도란, 제조 프로세스 중에 있어서의 제1 광학층(4)의 요철면(제1면)의 최고 온도를 의미하고 있다. 상술한 저장 탄성률의 수치 범위 및 유리 전이점의 온도 범위는, 제2 광학층(5)도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광학층(4) 및 제2 광학층(5) 중 적어도 한쪽이,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3×109㎩ 이하인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온 25℃에서 광학 필름(1)에 가요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롤·투·롤에서의 광학 필름(1)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제1 기재(4a) 및 제2 기재(5a)는, 예를 들어 투명성을 갖고 있다. 기재의 형상으로서는, 광학 필름(1)에 가요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필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재(4a) 및 제2 기재(5a)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된 고분자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공지된 고분자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스테르(TPE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PA), 아라미드, 폴리에틸렌(PE),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프로필렌(PP),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아크릴 수지(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C), 에폭시 수지, 요소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재(4a) 및 제2 기재(5a)의 두께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38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재(4a) 및 제2 기재(5a)는, 에너지선 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기재(4a) 또는 제2 기재(5a)와 반투과층(3)의 사이에 개재시킨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에 대하여, 제1 기재(4a) 또는 제2 기재(5a) 측으로부터 에너지선을 조사하고,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광학층(4) 및 제2 광학층(5)은, 예를 들어 투명성을 갖는다. 제1 광학층(4) 및 제2 광학층(5)은,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수지 조성물로서는, 제조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광 또는 전자선 등에 의해 경화하는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에 의해 경화하는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광에 의해 경화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바람직하고,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은, 제1 광학층(4) 또는 제2 광학층(5)과 반투과층(3)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인산을 함유하는 화합물, 숙신산을 함유하는 화합물, 부티로락톤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을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을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인산을 관능기에 갖는 (메트) 아크릴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숙신산을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숙신산을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숙신산을 관능기에 갖는 (메트)아크릴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부티로락톤을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부티로락톤을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부티로락톤을 관능기에 갖는 (메트)아크릴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이 필요에 따라, 광안정제, 난연제, 레벨링제 및 산화 방지제 등을 더 함유하도록 해도 좋다.
아크릴레이트로서는,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올리고머란, 분자량 500 이상 60000 이하의 분자를 말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공지된 재료로부터 적절히 선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공지된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유도체, 아세토페논 유도체, 안트라퀴논 유도체 등을 단독으로 또는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고형분 중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질량% 미만이면 광경화성이 저하하고, 실질적으로 공업 생산에 적합하지 않다. 한편, 10질량%를 초과하면, 조사광량이 작은 경우에, 도막에 악취가 남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고형분이란, 경화 후의 하드 코트층(12)을 구성하는 모든 성분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및 광중합 개시제 등을 고형분이라고 한다.
수지는 에너지선 조사나 열 등에 의해 구조를 전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열가소성 수지 등 상술한 굴절률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면 어떤 종류의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경화 수축을 저감하기 위해서 올리고머를 첨가해도 좋다. 경화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제1 광학층(4) 및 제2 광학층(5)과의 밀착성을 고려해서 수산기나 카르복실기,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 다가 알코올류, 카르복실산, 실란,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커플링제나 각종 킬레이트제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수지 조성물이, 가교제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교제로서는, 환상의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실온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수지를 내열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온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크게 변화하면, 광학 필름(1)이 물러져, 롤·투·롤 공정 등에 의한 광학 필름(1)의 제작이 곤란해진다. 환상의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옥산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이소시아누르산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이소시아누르산 트리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제1 기재(4a) 또는 제2 기재(5a)는, 제1 광학층(4) 또는 제2 광학층(5)보다 수증기 투과율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광학층(4)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할 경우에는, 제1 기재(4a)를 제1 광학층(4)보다 수증기 투과율이 낮고, 또한 에너지선 투과성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입사면(S1) 또는 출사면(S2)으로부터 반투과층(3)으로의 수분의 확산을 저감하고, 반투과층(3)에 포함되는 금속 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필름(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두께 75㎛의 PET의 수증기 투과율은, 10g/㎡/day (40℃, 90%RH) 정도다.
제1 광학층(4) 및 제2 광학층(5) 중 적어도 한쪽이, 극성이 높은 관능기를 포함하고, 그 함유량이 제1 광학층(4)과 제2 광학층(5)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광학층(4)과 제2 광학층(5)의 양쪽이, 인산 화합물(예를 들어, 인산에스테르)을 포함하고, 제1 광학층(4)과 제2 광학층(5)에 있어서의 상기 인산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 화합물의 함유량은, 제1 광학층(4)과 제2 광학층(5)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광학층(4) 및 제2 광학층(5) 중 적어도 한쪽이, 광학 필름(1)이나 창재(10) 등에 의장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보면, 가시 영역에서의 특정한 파장대의 광을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중에 분산시키는 안료는, 유기계 안료 및 무기계 안료 중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특히 안료 자체의 내후성이 높은 무기계 안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지르콘 그레이(Co, Ni도프 ZrSiO4), 프라세오디뮴 옐로우(Pr도프 ZrSiO4), 크롬티타늄 옐로우(Cr, Sb도프 TiO2 또는 Cr, W도프 TiO2), 크롬 그린(Cr2O3 등), 피콕 블루((CoZn)O (AlCr)2O3), 빅토리아 그린((Al, Cr)2O3), 감청(CoO·Al2O3·SiO2), 바나듐 지르코늄 청(V도프 ZrSiO4), 크롬 주석 핑크(Cr도프 CaO·SnO2·SiO2), 망가니즈 핑크(Mn도프 Al2O3), 새먼 핑크(Fe도프 ZrSiO4) 등의 무기 안료, 아조계 안료나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등의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반투과층)
반투과층은, 반투과성의 반사층이다. 반투과성의 반사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반도체성 물질을 포함하는 얇은 금속층, 금속 질화층 등을 들 수 있고, 반사 방지, 색조 조정, 화학적 습윤성 향상 또는 환경 열화에 대한 신뢰성 향상 등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반사층을 산화층, 질화층 또는 산질화층 등과 적층한 적층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 영역 및 적외 영역에서 반사율이 높은 금속층으로서, 예를 들어 Au, Ag, Cu, Al, Ni, Cr, Ti, Pd, Co, Si, Ta, W, Mo, Ge 등의 단체 또는 이들 단체를 2종 이상 포함하는 합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실용성의 면을 고려하면, 이들 중의 Ag계, Cu계, Al계, Si계 또는 Ge계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층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해서, 금속층에 대하여 Ti, Nd 등의 재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질화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TiN, CrN, WN 등을 들 수 있다.
반투과층의 막 두께는, 예를 들어 2㎚ 이상 4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가능한데, 가시 영역 및 근적외 영역에서 반투과성을 갖는 막 두께이면 좋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반투과성이란, 파장 500㎚ 이상 1000㎚ 이하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5% 이상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55%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반투과층이란, 파장 500㎚ 이상 1000㎚ 이하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5% 이상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55% 이하인 반사층을 나타낸다.
(광학 필름의 기능)
도 5의 A, 도 5의 B는, 광학 필름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다. 여기에서는, 예로서, 구조체의 형상이 경사각 45° 프리즘 형상일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광학 필름(1)에 입사한 태양광 중 일부의 광(L1)은, 입사한 방향과 동일 정도의 상공 방향으로 지향 반사하는 것에 반해서, 나머지의 광(L2)은 광학 필름(1)을 투과한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에 입사하여, 반투과층(3)의 반사층면에서 반사된 광은, 입사 각도에 따른 비율로, 상공 반사하는 성분(LA)과, 상공 반사하지 않는 성분(LB)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상공 반사하지 않는 성분(LB)은, 제2 광학층(4)과 공기와의 계면에서 전반사한 후, 최종적으로 입사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반사한다.
광의 입사 각도를 α, 제1 광학층(4)의 굴절률을 n, 반투과층(3)의 반사율을 R이라고 하면, 전 입사 성분에 대한 상공 반사 성분(LA)의 비율 x는 이하의 수학식 1로 나타내진다.
Figure 112012061144384-pct00001
단, α'=sin-1(sinα/n)
상공 반사하지 않는 성분(LB)의 비율이 많아지면, 입사광이 상공 반사하는 비율이 감소한다. 상공 반사의 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투과층(3)의 형상, 즉, 제1 광학층(4)의 구조체(4c)의 형상을 고안하는 것이 유효하다. 예를 들어, 상공 반사의 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조체(4c)의 형상은, 도 3의 C에 도시하는 렌티큘러 형상 또는 도 4에 도시하는 비대칭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입사광과 완전히 동일한 방향으로 광을 반사할 수는 없어도, 건축용 창재 등의 상측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상향으로 반사시키는 비율을 많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의 C 및 도 4에 도시하는 두가지 형상은,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투과층(3)에 의한 입사광의 반사 횟수가 1회로 끝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2회(혹은 3회 이상) 반사시키는 형상보다도, 최종적인 반사 성분을 많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2회 반사를 이용하는 경우, 반투과층(3)의 어느 파장에 대한 반사율을 80%라고 하면, 상공 반사율은 이론적으로는 64%가 되지만, 1회 반사로 끝나면 상공 반사율은 80%가 된다.
도 7은, 기둥 형상의 구조체(4c)의 능선(l3)과, 입사광(L) 및 반사광(L1)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이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반투과층(3)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체가 1차원 배열된 형상을 갖고 있다. 광학 필름(1)은, 입사각(θ, φ)으로 입사면(S1)에 입사한 광(L)의 그 중 일부의 광(L1)을 (θo, -φ)의 방향(0o<θo<90°)으로 지향 반사하는 것에 대해, 나머지의 광(L2)을 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입사광(L)을 상공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θ: 입사면(S1)에 대한 수선(l1)과, 입사광(L) 또는 반사광(L1)과의 이루는 각이다. φ: 입사면(S1) 내에서 기둥 형상의 구조체(4c)의 능선(l3)과 직교하는 직선(l2)과, 입사광(L) 또는 반사광(L1)을 입사면(S1)에 사영한 성분과의 이루는 각이다. 또한, 수선(l1)을 기준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 θ를 「+θ」라고 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 θ를 「-θ」라고 한다. 직선(l2)을 기준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 φ를 「+φ」라고 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 φ를 「-φ」라고 한다.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조 장치는 라미네이트 롤(41, 42), 가이드 롤(43), 도포 장치(45) 및 조사 장치(46)를 구비한다.
라미네이트 롤(41, 42)은, 반투과층 첨부 광학층(9)과, 제2 기재(5a)를 닙 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반투과층 첨부 광학층(9)은, 제1 광학층(4)의 일주면 상에 반투과층(3)을 성막한 것이다. 또한, 반투과층 첨부 광학층(9)으로서, 제1 광학층(4)의 반투과층(3)이 성막된 면과 반대측의 타 주면 상에 제1 기재(4a)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예에서는, 제1 광학층(4)의 일 주면 상에 반투과층(3)이 성막되고, 타 주면 상에 제1 기재(4a)가 형성된 경우가 나타나 있다. 가이드 롤(43)은, 띠 형상의 광학 필름(1)을 반송할 수 있도록, 이 제조 장치 내의 반송로에 배치되어 있다. 라미네이트 롤(41, 42) 및 가이드 롤(43)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하는 롤 특성에 따라서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고무, 실리콘 등을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포 장치(45)는, 예를 들어 코터 등의 도포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코터로서는, 예를 들어 도포하는 수지 조성물의 물성 등을 고려하여 그라비아, 와이어 바 및 다이 등의 코터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조사 장치(46)는, 예를 들어 전자선, 자외선, 가시광선 또는 감마선 등의 전리선을 조사하는 조사 장치다. 이 예에서는, 조사 장치(46)로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램프를 사용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생산성을 고려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롤·투·롤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금형의 제작 공정은 제외하기로 한다.
우선,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바이트 가공 또는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구조체(4c)와 동일한 요철 형상의 금형 또는 그 금형의 반전 형상을 갖는 금형(레플리카)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용융 압출법 또는 전사법 등을 사용하여, 상기 금형의 요철 형상을 필름 형상의 수지 재료에 전사한다. 전사법으로서는, 금형에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유입하여 에너지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키는 방법, 수지에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형상을 전사하는 방법 또는 수지 필름을 롤로부터 공급하여, 열을 첨가하면서 금형의 형상을 전사하는 방법(라미네이트 전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주면에 구조체(4c)를 갖는 제1 광학층(4)이 형성된다.
또한,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재(4a) 상에 제1 광학층(4)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필름 형상의 제1 기재(4a)를 롤로부터 공급하고, 상기 기재 상에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한 후에 금형에 눌러 금형의 형상을 전사하며, 에너지선을 조사해서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또한, 수지는 가교제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온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수지를 내열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제1 광학층(4)의 일 주면 상에 반투과층(3)을 성막한다. 반투과층(3)의 성막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퍼터링법, 증착법,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딥 코팅법, 다이 코팅법, 웨트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성막 방법으로부터, 구조체(4c)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반투과층(3)에 대하여 어닐 처리(31)를 실시한다. 어닐 처리의 온도는, 예를 들어 100℃ 이상 250℃ 이하의 범위 내다.
이어서,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경화 상태의 수지(22)를 반투과층(3) 상에 도포한다. 수지(22)로서는, 예를 들어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경화형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자외선 경화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11의 A와 같이, 수지(21) 상에 제2의 기재(5a)를 씌움으로써 적층체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에너지선(32) 또는 가열(32)에 의해 수지(22)를 경화시킴과 함께, 적층체에 대하여 압력(33)을 가한다.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선, 자외선, 가시광선, 감마선, 전자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생산 설비의 관점에서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적산 조사량은, 수지의 경화 특성, 수지나 기재(11)의 황변 억제 등을 고려해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에 가하는 압력은 0.01㎫ 이상 1㎫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 미만이면 필름의 주행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1㎫를 초과하면, 닙 롤로서 금속 롤을 사용할 필요가 있고, 압력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에 의해,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투과층(3) 상에 제2의 광학층(5)이 형성되어, 광학 필름(1)이 얻어진다.
여기서, 도 8에 도시하는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광학 필름(1)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기재 공급 롤로부터 제2 기재(5a)를 송출하고, 송출된 제2 기재(5a)는, 도포 장치(45) 아래를 통과한다. 이어서, 도포 장치(45) 아래를 통과하는 제2 기재(5a) 형상에, 도포 장치(45)에 의해 전리선 경화 수지(44)를 도포한다. 이어서, 전리선 경화 수지(44)가 도포된 제2 기재(5a)를 라미네이트 롤을 향해서 반송한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광학층 공급 롤로부터 반투과층 첨부 광학층(9)을 송출하고, 라미네이트 롤(41, 42)을 향해서 반송한다.
이어서, 제2 기재(5a)와 반투과층 첨부 광학층(9)과의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반입된 제2 기재(5a)와 반투과층 첨부 광학층(9)을 라미네이트 롤(41, 42)에 의해 서로 끼워, 제2 기재(5a)에 대하여 반투과층 첨부 광학층(9)을 라미네이트한다. 이어서, 반투과층 첨부 광학층(9)에 의해 라미네이트된 제2 기재(5a)를, 라미네이트 롤(41)의 외주면을 따르게 하면서 반송함과 함께, 조사 장치(46)에 의해 제2 기재(5a) 측으로부터 전리선 경화 수지(44)에 전리선을 조사하고, 전리선 경화 수지(44)를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제2 기재(5a)와 반투과층 첨부 광학층(9)이 전리선 경화 수지(44)를 개재해서 접합되어, 목적으로 하는 긴 광학 필름(1)이 제작된다. 이어서, 제작된 띠 형상의 광학 필름(1)을 도시하지 않은 권취 롤에 의해 권취한다. 이에 의해, 띠 형상의 광학 필름(1)이 권회된 원재료가 얻어진다.
경화한 제1 광학층(4)은, 상술한 제2 광학층 형성 시의 프로세스 온도를 t℃로 했을 때에, (t-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3×10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프로세스 온도 t란,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롤(41)의 가열 온도다. 제1 광학층(4)은, 예를 들어 제1 기재(4a) 상에 설치되고, 제1 기재(4a)를 개재해서 라미네이트 롤(41)에 따르도록 반송되기 때문에, 실제로 제1 광학층(4)에 걸리는 온도는, 경험적으로 (t-20)℃ 정도인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제1 광학층(4)의 (t-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3×107㎩ 이상으로 함으로써, 열 또는 열과 가압에 의해 광학층 내부의 계면의 요철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층(4)은,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3×10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실온에서 가요성을 광학 필름에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롤·투·롤 등의 제조 공정에 의해 광학 필름(1)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로세스 온도 t는, 광학층 또는 기재의 사용 수지의 내열성을 고려하면,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내열성이 높은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프로세스 온도 t를 20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1)에 의하면, 제1 광학층(4)의 요철면 상에 반투과층(3)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눈부심이나 투영을 억제하면서, 가시광을 포함한 일사의 차폐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광학층(5)에 의해, 반투과층(3)이 형성된 제1 광학층(4)의 요철면을 포매하고, 바람직하게는 표면을 평활하게 함으로써, 투과상도 선명하게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이하,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변형예]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1 변형예에 관한 광학 필름(1)은, 요철 형상의 입사면(S1)을 갖고 있다. 이 입사면(S1)의 요철 형상과, 제1 광학층(4)의 요철 형상은, 예를 들어 양자의 요철 형상이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의 정상부와 오목부의 최하부와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입사면(S1)의 요철 형상은, 제1 광학층(4)의 요철 형상보다도 완만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변형예]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2 변형예에 관한 광학 필름(1)에서는, 반투과층(3)이 형성된 제1 광학층(4)의 요철면 중 볼록 형상 정상부의 위치가, 제1 광학층(4)의 입사면(S1)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2. 제2 실시 형태>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구조체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제1 광학층(4)의 일 주면에, 구조체(4c)가 2차원 배열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2차원 배열은, 최조밀 충전 상태에서의 2차원 배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향 반사율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의 A 내지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광학층(4)의 일 주면에는, 예를 들어 기둥 형상의 구조체(기둥 형상체)(4c)를 직교 배열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방향을 향해서 배열된 제1 구조체(4c)와, 상기 제1 방향과는 직교하는 제2 방향을 향해서 배열된 제2 구조체(4c)가, 서로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기둥 형상의 구조체(4c)는, 예를 들어 프리즘 형상(도 13의 A), 렌티큘러 형상(도 13의 B) 등의 기둥 형상, 또는 이들의 기둥 형상의 정상부를 다각 형상(예를 들어, 오각 형상)으로 한 형상(도 13의 C)을 갖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다.
또한, 제1 광학층(4)의 일 주면에, 예를 들어 구면 형상이나 코너 큐브 형상 등의 형상을 갖는 구조체(4c)를 최조밀 충전 상태로 2차원 배열함으로써, 정사각 조밀 어레이, 델타 조밀 어레이, 육방 조밀 어레이 등의 조밀 어레이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정사각 조밀 어레이는, 예를 들어 도 14의 A 내지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예를 들어 정사각 형상)의 저면을 갖는 구조체(4c)를 정사각 조밀 형상, 즉 매트릭스 형상(격자 형상)으로 배열시킨 것이다. 육방 조밀 어레이는, 예를 들어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방 형상의 저면을 갖는 구조체(4c)를 육방 조밀 형상으로 배열시킨 것이다. 델타 조밀 어레이는, 예를 들어 도 16의 A 내지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 형상의 저면을 갖는 구조체(4c)(예를 들어 코너 큐브 또는 삼각뿔)를 최조밀 충전 상태로 배열시킨 것이다.
구조체(4c)는, 예를 들어 코너 큐브 형상, 반구 형상, 반타원구 형상, 프리즘 형상, 원통 형상, 자유 곡면 형상, 다각 형상, 원뿔 형상, 다각뿔 형상, 원뿔대 형상, 포물면 형상 등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다. 구조체(4c)의 저면은, 예를 들어 원 형상, 타원 형상 또는 삼각 형상, 사각 형상, 육각 형상 혹은 팔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구조체(4c)의 피치(P1, P2)는, 원하는 광학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필름(1)의 입사면에 대하여 수직인 수선에 대하여, 구조체(4c)의 주축을 기울일 경우, 구조체(4c)의 2차원 배열 중 적어도 한쪽의 배열 방향에 구조체(4c)의 주축을 기울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된 창재에 광학 필름(1)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구조체(4c)의 주축이, 수선을 기준으로 해서 창재의 하방(지면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체(4c)가 코너 큐브 형상인 경우, 능선 R이 큰 경우에는 상공을 향해서 기울어진 편이 좋고, 하방 반사를 억제한다는 목적으로는, 지면측을 향해서 기울어진 편이 바람직하다. 태양광선은, 필름에 대하여 비스듬히 입사하기 때문에, 구조의 깊숙한 곳까지 광이 입사하기 어려워, 입사측의 형상이 중요해진다. 즉, 능선 부분의 R이 큰 경우에는, 재귀반사 광이 감소해버리기 때문에, 상공을 향해서 기울임으로써 이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너 큐브체에서는, 반사면에서 3회 반사함으로써 재귀반사를 실현하는데, 일부의 광이 2회 반사에 의해 재귀반사 이외의 방향으로 누설된다. 코너 큐브를 지면측을 향해서 기울임으로써, 이 누설 광을 상공 방향으로 많이 복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상이나 목적에 따라서 어느 쪽의 방향으로 기울어도 좋다.
<3. 제3 실시 형태>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는, 광의 입사면에 대하여 경사진 복수의 반투과층(3)을 광학층(2) 내에 구비하고, 이들의 반투과층(3)을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17의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 구조체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구조체(4c)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삼각 기둥 형상의 볼록부이며, 이 기둥 형상의 구조체(4c)가 일 방향을 향해서 1차원 배열되어 있다. 구조체(4c)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예를 들어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구조체(4c)의 예각측의 경사면 상에, 예를 들어 증착법, 스퍼터링법 등의 지향성을 갖는 박막 형성법에 의해, 반투과층(3)이 형성된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반투과층(3)을 광학층(5) 내에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반투과층(3)에 의한 반사 횟수를, 코너 큐브 형상이나 프리즘 형상의 구조체(4c)를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율을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반투과층(3)에 의한 광의 흡수를 저감할 수 있다.
<4.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는, 입사광의 일부를 지향 반사하고, 그 나머지의 광의 일부를 산란시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광학 필름(1)은, 입사광을 산란하는 광산란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산란체는, 예를 들어 광학층(2)의 표면, 광학층(2)의 내부 및 반투과층(3)과 광학층(2)과의 사이 중 적어도 1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광산란체는, 바람직하게는 반투과층(3)과 제1 광학층(4)과의 사이, 제1 광학층(4)의 내부 및 제1 광학층(4)의 표면 중 적어도 1군데 설치되어 있다. 광학 필름(1)을 창재 등의 지지체에 접합하는 경우, 실내측 및 실외측의 어느 쪽에도 적용 가능하다. 광학 필름(1)을 실외측에 대하여 접합하는 경우, 반투과층(3)과 창재 등의 지지체와의 사이에만, 광을 산란시키는 광산란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투과층(3)과 입사면과의 사이에 광산란체가 존재하면, 지향 반사 특성이 상실되어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실내측에 광학 필름(1)을 접합하는 경우에는, 그 접합면과는 반대측의 출사면과, 반투과층(3)과의 사이에 광산란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1)의 제1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광학층(4)은, 수지와 미립자(11)를 포함하고 있다. 미립자(11)는, 제1 광학층(4)의 주 구성 재료인 수지와는 상이한 굴절률을 갖고 있다. 미립자(11)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 중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11)로서는, 중공 미립자를 사용해도 좋다. 미립자(11)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 미립자 또는 스티렌, 아크릴이나 그것들의 공중합체 등의 유기 미립자를 들 수 있지만, 실리카 미립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도 18의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1)의 제2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은, 제1 광학층(4)의 표면에 광 확산층(12)을 더 구비하고 있다. 광 확산층(12)은, 예를 들어 수지와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다. 미립자로서는, 제1의 예와 마찬가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8의 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1)의 제3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은, 반투과층(3)과 제1 광학층(4)과의 사이에 광 확산층(12)을 더 구비하고 있다. 광 확산층(12)은, 예를 들어 수지와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다. 미립자로서는, 제1 예와 마찬가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입사광의 일부를 지향 반사하고, 그 나머지의 광의 일부를 산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학 필름(1)을 흐리게 하고, 광학 필름(1)에 대하여 의장성을 부여할 수 있다.
<5. 제5 실시 형태>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제5 실시 형태는, 광학 필름(1)의 입사면(S1) 및 출사면(S2) 중, 피착체에 접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노출면 상에 세정 효과를 발현하는 자기 세정 효과층(51)을 더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자기 세정 효과층(51)은, 예를 들어 광촉매를 포함하고 있다. 광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TiO2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은 입사광을 반투과하는 점에 특징을 갖고 있다. 광학 필름(1)을 옥외나 오염이 많은 방 등에서 사용할 때에는, 표면에 부착된 오염에 의해 광이 산란되어 투과성 및 반사성이 상실되어 버리기 때문에, 표면이 항상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표면이 발수성이나 친수성 등이 우수하고, 표면이 자동으로 세정 효과를 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학 필름(1)이 자기 세정 효과층(51)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발수성이나 친수성 등을 입사면에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입사면에 대한 오염 등의 부착을 억제하고, 지향 반사 특성의 저감을 억제할 수 있다.
<6. 제6 실시 형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창재 등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창재 이외의 내장 부재나 외장 부재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벽이나 지붕 등과 같이 고정된 부동의 내장 부재 및 외장 부재뿐만 아니며, 계절이나 시간 변동 등에 기인하는 태양광의 광량 변화에 따라, 태양광의 투과량 및/또는 반사량을 내장 부재 또는 외장 부재를 움직여서 조정하고, 옥내 등의 공간에 도입 가능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장치의 일례로서, 복수의 일사 차폐 부재로 이루어지는 일사 차폐 부재군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일사 차폐 부재군에 의한 입사 광선의 차폐량을 조정 가능한 일사 차폐 장치(블라인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사 차폐 장치인 블라인드 장치는, 헤드박스(203)와, 복수의 슬랫(날개)(202a)으로 이루어지는 슬랫 군(일사 차폐 부재군)(202)과, 보텀 레일(204)을 구비한다. 헤드박스(203)는, 복수의 슬랫(202a)으로 이루어지는 슬랫 군(202)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헤드박스(203)로부터 래더 코드(206) 및 승강 코드(205)가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이들 코드의 하단부에 보텀 레일(204)이 매달려 있다. 일사 차폐 부재인 슬랫(202a)은, 예를 들어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을 갖고, 헤드박스(20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래더 코드(206)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또한, 헤드박스(203)에는, 복수의 슬랫(202a)으로 이루어지는 슬랫 군(202)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로드 등의 조작 수단(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헤드박스(203)는, 로드 등의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슬랫(202a)으로 이루어지는 슬랫 군(202)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실내 등의 공간에 도입되는 광량을 조정하는 구동 수단이다. 또한, 헤드박스(203)는, 승강 조작 코드(207) 등의 조작 수단의 적시 조작에 따라, 슬랫 군(202)을 승강하는 구동 수단(승강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도 21의 A는, 슬랫의 제1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랫(202)은, 기재(211)와, 광학 필름(1)을 구비한다. 광학 필름(1)은, 기재(211)의 양쪽 주면 중, 슬랫 군(202)을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외광이 입사하는 입사면측(예를 들어 창재에 대향하는 면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과 기재(211)는, 예를 들어 접착층 또는 점착층 등의 접합층에 의해 접합된다.
기재(211)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시트 형상, 필름 형상 및 판상 등을 들 수 있다. 기재(211)의 재료로서는, 유리, 수지 재료, 종이재 및 천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가시광을 실내 등의 소정의 공간에 도입하는 것을 고려하면, 투명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수지 재료, 종이재 및 천재로서는, 종래 롤스크린으로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광학 필름(1)으로서는, 상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1)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1의 B는, 슬랫의 제2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성예는, 광학 필름(1)을 슬랫(202a)으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광학 필름(1)은, 래더 코드(205)에 의해 지지 가능함과 함께, 지지한 상태에 있어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제7 실시 형태>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일사 차폐 부재를 권취 또는 권출함으로써 일사 차폐 부재에 의한 입사 광선의 차폐량을 조정 가능한 일사 차폐 장치의 일례인 롤스크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의 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롤스크린 장치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사 차폐 장치인 롤스크린 장치(301)는, 스크린(302)과, 헤드박스(303)와, 코어재(304)를 구비한다. 헤드박스(303)는, 체인(205) 등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스크린(302)을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헤드박스(303)는, 그 내부에 스크린을 권취 및 권출하기 위한 권취축을 갖고, 이 권취축에 대하여 스크린(302)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302)의 타단부에는 코어재(304)가 결합되어 있다. 스크린(302)은 가요성을 갖고,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롤스크린 장치(301)를 적용하는 창재 등의 형상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직사각 형상으로 선택된다.
도 22의 B는, 도 22의 A에 도시한 B-B 선을 따른 단면도다.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302)은, 기재(311)와, 광학 필름(1)을 구비하고, 가요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은, 기재(211)의 양쪽 주면 중, 외광을 입사시키는 입사면측(창재에 대향하는 면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과 기재(311)는, 예를 들어 접착층 또는 점착층 등의 접합층에 의해 접합된다. 또한, 스크린(302)의 구성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학 필름(1)을 스크린(302)으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기재(311)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시트 형상, 필름 형상 및 판상 등을 들 수 있다. 기재(311)로서는, 유리, 수지 재료, 종이재 및 천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가시광을 실내 등의 소정의 공간에 도입하는 것을 고려하면, 투명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수지 재료, 종이재 및 천재로서는, 종래 롤스크린으로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광학 필름(1)으로서는, 상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1)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8. 제8 실시 형태>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지향 반사 성능을 갖는 광학체에 채광부를 구비하는 건구(내장 부재 또는 외장 부재)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의 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건구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구(401)는, 그 채광부(404)에 광학체(402)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구(401)는, 광학체(402)와, 광학체(402)의 주연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재(403)를 구비한다. 광학체(402)는 프레임재(403)에 의해 고정되고, 필요에 따라 프레임재(403)를 분해해서 광학체(402)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구(401)로서는, 예를 들어 미닫이를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채광부를 갖는 다양한 건구에 적용 가능하다.
도 23의 B는, 광학체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체(402)는, 기재(411)와, 광학 필름(1)을 구비한다. 광학 필름(1)은, 기재(411)의 양쪽 주면 중, 외광을 입사시키는 입사면측(창재에 대향하는 면측)에 설치된다. 광학 필름(1)과 기재(311)는, 접착층 또는 점착층 등의 접합층 등에 의해 접합된다. 또한, 미닫이(402)의 구성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학 필름(1)을 광학체(402)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기재(411)는, 예를 들어 가요성을 갖는 시트, 필름 또는 기판이다. 기재(411)로서는, 유리, 수지 재료, 종이재 및 천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가시광을 실내 등의 소정의 공란에 도입하는 것을 고려하면, 투명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수지 재료, 종이재 및 천재로서는, 종래 건구의 광학체로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광학 필름(1)으로서는, 상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1)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1 광학층의 요철면 상에 형성된 반투과층의 막 두께는,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한 것이다.
우선, FIB(Focused Ion Beam) 가공기에 의해 광학 필름을 잘라, 단면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 광학 필름의 단면을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에 의해 관찰하고, 구조체의 경사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경사면에 수직인 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을 동일 샘플 내에서 무작위로 골라낸 10군데에서 반복하여 행하고, 측정값을 단순하게 평균(산술 평균)해서 평균 막 두께를 구하여, 이 평균 막 두께를 반투과층의 막 두께로 하였다.
(실시예 1)
우선, 도 24의 A, 도 24의 B에 도시하는 미세 V홈 형상을 갖는 Ni-P 금형 롤을 바이트에 의한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하였다. 이어서, 두께 75㎛의 PET 필름(도요보제, A4300) 상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도아고세이제, 아로닉스, 경화 후 굴절률 1.533)를 도포하고, 금형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PET 필름측으로부터 UV 광을 조사해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경화시켰다. 이어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가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수지층과 PET 필름과의 적층체를 Ni-P제 금형으로부터 박리하였다. 이에 의해, 프리즘 형상이 부여된 수지층(이하, 형상 수지층이라고 함)이 PET 필름 상에 형성되었다. 이어서, 금형에 의해 프리즘 형상이 성형된 성형면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내는 반투과층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성막하였다. 또한, 반투과층인 AlTi층의 성막에는, Al/Ti=98.5at%/1.5at%의 조성을 갖는 합금 타깃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이 반투과층 상에 하기 배합의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두께 75㎛의 PET 필름(도요보제, A4300)을 적재해서 기포를 압출한 후에, UV 광조사 함으로써 수지를 경화시켰다. 이에 의해, 평활한 PET 필름과 반투과층과의 사이의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수지층(이하, 포매 수지층이라고 함)이 형성되었다. 이상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실시예 1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수지 조성물의 배합>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9질량부
(도아고세이제, 아로닉스, 경화 후 굴절률 1.533)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 포스페이트 1질량부
(쿄에이샤카가쿠제, 라이트 아크릴레이트P-1A)
(실시예 2)
도 25의 A, 도 25의 B에 도시하는 형상(미세 V 홈 직교 형상)을 반전한 형상을 갖는 원반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2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도 26의 A 내지 도 26의 C에 도시하는 미세 삼각뿔 형상 원반을 사용한 것 및 표 1에 나타내는 반투과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3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표 1에 나타내는 반투과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4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또한, GAZO층은, Ga2O3/Al2O3/ZnO=0.57at%/0.31at%/99.12at%의 조성을 갖는 산화물 타깃을 사용하고, 스퍼터 가스를 아르곤 가스 100%로 하여, 직류 펄스 스퍼터링법으로 성막하였다.
(실시예 5)
표 1에 나타내는 반투과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5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
표 1에 나타내는 반투과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6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표 1에 나타내는 반투과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7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또한, 은 합금층인 AgNdCu층의 성막에는, Ag/Nd/Cu=99.0at%/0.4at%/0.6at%의 조성을 갖는 합금 타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8)
상층(포매 수지층)에 경화 후 굴절률이 1.542인 수지(도아고세이제, 아로닉스)를 사용하고, 상층 수지와 하층 수지의 굴절률 차를 0.009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8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9)
상층(포매 수지층)의 재료로서 경화 후 굴절률이 1.540인 수지(도아고세이제, 아로닉스)를 사용하고, 상층(포매 수지층)과 하층(형상 수지층)과의 굴절률 차를 0.007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9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평활한 표면을 갖는 PET 필름 상에, 표 1에 나타내는 막 두께 구성으로 반투과층을 성막하고, 비교예 1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평활한 표면을 갖는 PET 필름 상에, 표 1에 나타내는 막 두께 구성으로 반투과층을 성막하고, 비교예 2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표 1에 나타내는 반투과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3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반투과층의 형성 공정까지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반투과층 첨부 형상 수지층을 갖는 PET 필름을 얻은 후, 그 반투과층 상을 수지로 매립하지 않고 반투과층이 노출된 상태로 하여, 비교예 4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반투과층의 형성 공정까지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반투과층 첨부 형상 수지층을 갖는 PET 필름을 얻은 후, 반투과층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면 상에 실시예 1에 기재된 포매 수지와 동일한 수지를 도포하였다. 이어서, 도포한 수지 상에 PET 필름을 씌우지 않는 상태에서,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를 피하기 위해서, N2퍼지 하에서 UV 광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켰다. 이에 의해, 비교예 5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6)
상층(포매 수지층)에 경화 후 굴절률이 1.546인 수지(도아고세이제, 아로닉스)를 사용하고, 상층(포매 수지층)과 하층(형상 수지층)의 굴절률 차를 0.013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6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눈부심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6의 광학 필름의 눈부심을 이하와 같이 해서 평가하였다.
제작한 광학 필름을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에 의해 3㎜ 두께의 유리에 접합하여,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이 샘플에 실내의 형광등을 시료의 수직축으로부터 약 30˚ 각도로 반사시키고, 그 정반사 광을 샘플로부터 30㎝정도 이격된 거리에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형광등이 3㎜ 두께의 유리 단체와 동일 정도의 눈부심으로 보임
×: 투영한 형광등이 눈부셔서 장시간 보고 있을 수 없음
(투영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6의 광학 필름의 투영을 이하와 같이 해서 평가하였다.
제작한 광학 필름을 광학 투명한 점착제에 의해 3㎜ 두께의 유리에 접합하였다. 이어서, 이 유리를 조도 약 1000lx의 환경 하에 설치하고, 2m 정도 이격된 거리로부터 자신의 투영상을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투영한 상이 아무것도 접합하지 않은 3㎜ 두께의 유리 단체와 동일한 정도
×: 투영한 상이 신경쓰여, 유리의 반대측을 시인하기 어려움
(시인성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6의 광학 필름의 시인성을 이하와 같이 해서 평가하였다.
우선, 제작한 광학 필름을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에 의해 3㎜ 두께의 유리에 접합하였다. 이어서, 이 유리를 눈으로부터 50㎝정도 이격해서 유지하고, 유리 너머에 약 10m의 거리에 있는 인접한 건물 내부를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회절에 의한 다중상 등은 보이지 않고, 통상의 창과 마찬가지로 보임
○: 통상의 사용에는 문제없지만, 경면 반사체 등이 있으면 회절에 의한 다중상이 약간 보임
△: 물체의 대략의 형상은 분별할 수 있지만, 회절에 의한 다중상이 신경이 쓰임
×: 회절의 영향 등으로 흐려서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없음
(분광 투과율·반사율·색도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6의 광학 필름의 분광 투과율 및 반사율을 이하와 같이 해서 평가하였다.
가시 영역 및 근적외 영역의 분광 투과율 및 반사율을 시마즈세이사꾸쇼제DUV3700에 의해 측정하였다. 투과율의 측정에 있어서는, 시료로의 광선 입사각을 0°(수직 입사)로 하여, 직선 투과광을 측정하였다. 그 분광 투과율 파형을 도 27의 A 내지 도 27의 B 및 도 28의 A 내지 도 28의 B에 도시하였다. 또한, 반사율의 측정에 있어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름의 형상 전사측을 광선 입사면으로 하고, 시료로의 광선 입사각을 8°로 하여 적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투과색조는, 분광 측정 데이터로부터 JIS Z8701(1999년)에 준하여, 광원은 D65 광원, 2° 시야에서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가시광선 투과율, 일사 투과율 및 일사 반사율에 대해서는, 분광 측정 데이터로부터,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는 JIS A5759(2008)에 준해서 산출했다(일사 반사율 산출에 있어서는, JIS A5759에서는 10° 입사, 정반사 광의 측정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본 필름과 같이 지향 반사성을 갖는 시료에서는, 반사광이 정반사 이외의 방향으로 반사하기 때문에, 적분구를 사용한 측정으로 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투과 파장 비선택성의 평가)
가시광 및 적외광의 양자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 분광 투과율의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파장 500㎚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파장 1000㎚에 있어서의 투과율로 나누어 투과 파장 비선택성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지향 반사의 평가)
도 29는,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6의 광학 필름의 지향 반사의 평가에 사용한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지향 반사의 방향을 이하와 같이 해서 평가하였다.
평행도 0.5° 이하로 콜리메이트된 할로겐 광원(101)을 사용하여, 하프 미러(102)로 반사한 광을 입사광으로 하여 광학 필름인 샘플(103)에 조사하고, 분광기(104)에 의해 검출을 행하였다. 샘플(103)은, 입사광에 대하여 5° 기울여서 배치하고, 샘플면 내에서 360° 회전(φm)하면서, 검출기(104)를 0 내지 90°(θm)의 범위로 주사하고, 파장 900 내지 1550㎚의 반사 강도의 평균값을 극좌표 플롯하였다. 그 결과를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지향 반사 방향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지향 반사의 방향 (θ, φ)과, 도 29에 도시한 지향 반사 측정의 방향(θm, φm)과의 대응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지향 반사의 방향 (θ, φ)은,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
θ: 입사면(S1)에 대한 수선(l1)과, 입사광(L) 또는 반사광(L1)과의 이루는 각
φ: 입사면(S1) 내의 특정한 직선(l2)과, 입사광(L) 또는 반사광(L1)을 입사면(S1)에 사영한 성분과의 이루는 각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 입사각 (θ, φ)을 고정하고, 광학 필름인 샘플(103)의 입사면(S1)에 대한 수선(l1)을 축으로 하여 지향 반사체(1)를 회전했을 때에, φ방향으로의 반사 강도가 최대가 되는 축
한편, 본 실시예의 지향 반사 측정에 있어서는, 입사 광선의 축에 대하여 샘플(103)을 기울여서 측정을 행하고 있고, 입사 광선의 축을 기준으로, 지향 반사의 방향 θm를 플롯하고 있다. 또한, 측정 시의 샘플(103)의 회전각을 φm로 하고 있어, 측정 시의 샘플(103)의 설치 방향에 따라 φm=0°가 l2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만큼의 보정이 필요하다. 또한, 상술한 방향 (θ, φ)의 정의에 기초하여, 광선의 반사 방향(θ)이 마이너스인 경우에는, θ가 플러스가 되도록 (θ, φ)의 방위를 변환한다.
도 30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한 지향 반사의 방향 (θ, φ)과, 도 29에 도시한 지향 반사 측정에 있어서의 방향 (θm, φm)과의 대응 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방향 θ, θm에 대해서만 생각하기로 한다.
샘플(103)을 입사광에 대하여 α°기울여서 배치한 경우, 입사광(L), 지향 반사광(L1) 및 지향 반사광(L2)에 있어서의 방향 (θm, φm)과 방향 (θ, φ)과의 대응 관계는 이하와 같이 표현된다.
입사광(L)의 방향: (θm, φm)=(0, φm)
(θ, φ)=(α, φ)
지향 반사광(L1)의 방향: (θm, φm)=(θm1, φm)
(θ, φ)=(α+θm1, φm)
지향 반사광(L2)의 방향: (θm, φm)=(θm2, φm)
(θ, φ)=(α-θm2, φm)→(θm2-α, φm+180°)
여기서,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실시예 1의 지향 반사 방향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의 지향 반사에 있어서는, (θm, φm)=(7°, 0°)와 (7°, 180°)의 2방향으로 반사하고 있지만, 입사 광선의 각도 θ=5°이고, l2 방향이 φm=0°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향 반사의 방향은, (5+7°, 0°)=(12°, 0°), 및 (5-7°, 0°)=(-2°, 0°)=(2°, 180°)이 된다.
(투과상 선명도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6의 광학 필름의 투과상 선명도를 이하와 같이 해서 평가하였다. JIS-K7105에 따라, 빗 폭 2.0㎜, 1.0㎜, 0.5㎜, 0.125㎜의 광학 빗을 사용해서 투과상 선명도를 평가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측정 장치는 스가시켄키(주)제의 사상성 측정기(ICM-1T형)이다. 이어서, 빗 폭 2.0㎜, 1.0㎜, 0.5㎜, 0.125㎜의 광학 빗을 사용하여 측정한 투과상 선명도의 총합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광원은 D65 광원을 사용하였다.
(헤이즈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6의 광학 필름의 헤이즈를 이하와 같이 해서 평가하였다.
JIS K7136에 준거한 측정 조건에 기초하여, 헤이즈 미터 HM-150(무라카미시키사이기쥬츠켄큐쇼제)을 사용해서 헤이즈의 측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광원은 D65 광원을 사용하였다.
(표면 조도의 측정)
비교예 5의 광학 필름의 표면 조도를 이하와 같이 해서 평가하였다.
촉침식 표면 형상 측정기 ET-4000(코사카켄큐쇼제)을 사용하여, 2차원 단면 곡선으로부터 조도 곡선을 취득하고, 산술 평균 조도(Ra)를 산출하였다. 또한, 측정 조건은 JIS B0601:2001에 준거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하에, 그 측정 조건을 나타낸다.
λc=0.8㎜, 평가 길이 4㎜, 컷오프×5배
데이터 샘플링 간격 0.5㎛
표 1은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6의 광학 필름의 구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12061144384-pct00002
표 2는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6의 광학 필름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61144384-pct00003
표 3은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6의 광학 필름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61144384-pct00004
상기 평가 결과로부터 이하를 알 수 있다.
실시예 1, 2에서는, 프리즘 형상 및 직교 프리즘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입사광이 두 방향으로 지향 반사된다. 이에 반해, 실시예 3 내지 9에서는, 코너 큐브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입사광이 일 방향으로 재귀반사된다.
비교예 1, 2의 광학 필름에서는, 반사층이 평면이기 때문에, 눈부심 및 투영이 있다.
비교예 3의 광학 필름에서는, 반투과층이 100㎚로 너무 두껍기 때문에, 투과 시인성이 저하하고 있다.
비교예 4의 광학 필름에서는, 반투과층을 포매층에 의해 포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시인성이 저하하고 있다.
비교예 4의 광학 필름에서는, 파장 1200㎚정도의 근적외선에 대하여 지향 반사성이 얻어져, 가시광선을 투과하기는 하지만, 반투과층 상에 포매 수지층에 의한 투명화 처리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광학 필름을 개재해서 반대측의 물체를 시인할 수는 없다.
비교예 5의 광학 필름에서는, 투명화 처리 시에 표면을 완전히 평평하게 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비교예 5의 광학 필름에서는, 비교예 4와 마찬가지로 광학 필름을 개재해서 반대측의 물체를 시인할 수 없다. 삼각뿔의 저변의 피치 약 100㎛에 대하여, 최대 높이 Rz가 1.6㎛정도, 산술 평균 조도 Ra가 0.15㎛ 정도인 점에서, 투과상을 선명하게 하기 위해서는, 보다 평활한 표면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의 광학 필름에서는, 형상 수지층의 굴절률이 1.533인 것에 반해, 포매 수지층의 굴절률이 1.546이고, 양자의 굴절률 차가 너무 크기 때문에, 회절 패턴이 발생하여 시인성이 저하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눈부심 및 투영을 억제하면서, 가시광을 포함한 일사의 차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형상 수지층 상에 반투과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과상을 선명하게 시인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반투과층 상을 포매 수지층에 의해 포매하고, 형상 수지층과 포매 수지층과의 굴절률을 거의 동일하게 하여, 포매 수지층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는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열거한 구성, 방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은 어디까지나 예에 지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이것과 상이한 구성, 방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은,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서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블라인드 장치 및 롤스크린 장치의 구동 방식이 수동식일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블라인드 장치 및 롤스크린 장치의 구동 방식을 전동식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필름을 창재 등의 피착체에 접합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창재 등의 피착체를 광학 필름의 제1 광학층 또는 제2 광학층 자체로 하는 구성을 채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창재 등의 광학체에 미리 지향 반사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체가 광학 필름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광학체의 형상은 필름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레이트 형상, 블록 형상 등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창재, 건구, 블라인드 장치의 슬랫 및 롤스크린 장치의 스크린 등의 내장 부재 또는 외장 부재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외의 내장 부재 및 외장 부재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체가 적용되는 내장 부재 또는 외장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광학체 자체에 의해 구성된 내장 부재 또는 외장 부재, 지향 반사체가 접합된 투명 기재 등에 의해 구성된 내장 부재 또는 외장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내장 부재 또는 외장 부재를 실내의 창 부근에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적외선만을 옥외로 지향 반사하고, 가시광선을 실내에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내장 부재 또는 외장 부재를 설치한 경우에도, 실내 조명의 필요성이 저감된다. 또한, 내장 부재 또는 외장 부재에 의한 실내측으로의 산란 반사도 거의 없기 때문에, 주위의 온도 상승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시인성 제어나 강도 향상 등 필요한 목적에 따라, 투명 기재 이외의 접합 부재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블라인드 장치 및 롤스크린 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내 또는 옥내에 설치되는 다양한 일사 차폐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일사 차폐 부재를 권취 또는 권출함으로써 일사 차폐 부재에 의한 입사 광선의 차폐량을 조정 가능한 일사 차폐 장치(예를 들어 롤스크린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사 차폐 부재를 접음으로써, 일사 차폐 부재에 의한 입사 광선의 차폐량을 조정할 수 있는 일사 차폐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일사 차폐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일사 차폐 부재인 스크린을 주름 형상으로 접음으로써 입사 광선의 차폐량을 조정하는 플리츠 스크린 장치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횡형 블라인드 장치(베네시안 블라인드 장치)에 대하여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종형 블라인드 장치(버티컬 블라인드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1 광학 필름
2 광학층
3 반투과층
4 제1 광학층
4a 제1 기재
5 제2 광학층
5a 제2 기재
6 접합층
7 박리층
8 하드 코트층
9 반투과층 첨부 광학층
S1 입사면
S2 출사면

Claims (25)

  1.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층과,
    상기 요철면 상에 형성된 반투과층과,
    상기 반투과층이 형성된 요철면 상에 요철을 매립하도록 형성된 제2 광학층을 구비하고,
    상기 요철면은, 경사각이 45°이상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을 갖고,
    상기 반투과층은, 입사각(θ, φ)으로 입사면에 입사한 광의 일부를 정반사(-θ, φ+180°) 이외의 방향으로 지향 반사하며,
    상기 제1 광학층과 상기 제2 광학층과의 굴절률 차가 0.010 이하인, 광학체.
    (단, θ: 상기 입사면에 대한 수선(l1)과, 상기 입사면에 입사하는 입사광 또는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반사광과의 이루는 각, φ: 상기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과, 상기 입사광 또는 상기 반사광을 상기 입사면에 사영한 성분과의 이루는 각,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 입사각(θ, φ)을 고정하고, 상기 입사면에 대한 수선(l1)을 축으로 하여 상기 반투과층을 회전했을 때, φ방향으로의 반사 강도가 최대가 되는 축)
  2. 제 1 항에 있어서,
    투과하는 파장의 광에 대한, JIS K-7105에 준거해서 측정한 0.5㎜의 광학 빗의 투과상 선명도가 30 이상인, 광학체.
  3. 제 1 항에 있어서,
    투과하는 파장의 광에 대한, JIS K-7105에 준거해서 측정한 0.125, 0.5, 1.0, 2.0㎜의 광학 빗의 투과상 선명도의 합계값이 170 이상인, 광학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 반사의 방향 φ가 -90° 이상, 90° 이하인, 광학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 반사의 방향이 (θ, -φ) 근방인, 광학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 반사의 방향이 (θ, φ) 근방인, 광학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층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체가 1차원 배열된 형상을 갖고,
    입사각(θ, φ)(단, θ: 상기 입사면에 대한 수선과, 상기 입사면에 입사하는 입사광 또는 상기 입사면에서 출사되는 반사광과의 이루는 각, φ: 상기 입사면 내에서 상기 기둥 형상체의 능선과 직교하는 직선과, 상기 입사광 또는 상기 반사광을 상기 입사면에 사영한 성분과 이루는 각)으로 상기 입사면에 입사한 광의 일부를(θo, -φ)의 방향(0°<θo<90°)으로 지향 반사하는, 광학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층이, 상기 입사면에 대하여 경사진 복수의 반투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반투과층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광학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 반사하는 광이 파장 대역 400㎚ 이상 2100㎚ 이하의 광인, 광학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층과 상기 제2 광학층이, 가시광 영역에서 투명성을 갖는 동일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광학층에는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광학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층의 요철면은, 다수의 구조체를 1차원 배열 또는 2차원 배열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구조체가, 프리즘 형상, 렌티큘러 형상, 반구 형상 또는 코너 큐브 형상인, 광학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주축이, 상기 입사면의 수선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구조체의 배열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광학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피치가 5㎛ 이상 5㎜ 이하인, 광학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학층 중 적어도 한쪽이, 가시 영역에서의 특정한 파장대의 광을 흡수하는, 광학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학층이 광학층을 형성하고,
    상기 광학층의 표면, 상기 광학층의 내부 및 상기 반투과층과 상기 광학층과의 사이 중 적어도 1군데에 광산란체를 더 구비하는, 광학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D65 광원에 대한 투과색조의 색도 좌표 x, y의 범위가, 0.280≤x≤0.345이면서 0.285≤y≤0.370인, 광학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파장 500㎚에 있어서의 투과율과 파장 100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비율은 1.8 이하인, 광학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체의 상기 입사면 상에 발수성 또는 친수성을 갖는 층을 더 구비하는, 광학체.
  2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체를 구비하는, 창재.
  2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체를 채광부에 구비하는, 건구.
  22. 일사를 차폐하는 1개 또는 복수의 일사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일사 차폐 부재가,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체를 구비하는, 일사 차폐 장치.
  23.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광학층의 요철면 상에 반투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투과층이 형성된 요철면 상에 요철을 매립하도록, 상기 반투과층 상에 제2의 광학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요철면은, 경사각이 45°이상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을 갖고,
    상기 반투과층은, 입사각(θ, φ)으로 입사면에 입사한 광의 일부를 정반사(-θ, φ+180°) 이외의 방향으로 지향 반사하며,
    상기 제1 광학층과 상기 제2 광학층과의 굴절률 차가 0.010 이하인, 광학체의 제조 방법.
    (단, θ: 상기 입사면에 대한 수선(l1)과, 상기 입사면에 입사하는 입사광 또는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반사광과의 이루는 각, φ: 상기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과, 상기 입사광 또는 상기 반사광을 상기 입사면에 사영한 성분과의 이루는 각,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 입사각(θ, φ)을 고정하고, 상기 입사면에 대한 수선(l1)을 축으로 하여 상기 반투과층을 회전했을 때, φ방향으로의 반사 강도가 최대가 되는 축)
  24.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층과,
    상기 요철면 상에 형성된 반투과층과,
    상기 반투과층이 형성된 요철면 상에 요철을 매립하도록 형성된 제2 광학층을 구비하고,
    상기 요철면은, 경사각이 45° 이상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을 갖고,
    상기 반투과층은, Au, Ag, Cu, Al, Ni, Cr, Ti, Pd, Co, Si, Ta, W, Mo, G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의 단체 또는 이들 단체를 2종 이상 포함하는 합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투과층은, 입사각(θ, φ)으로 입사면에 입사한 광의 일부를 정반사(-θ, φ+180°) 이외의 방향으로 지향 반사하며,
    상기 제1 광학층과 상기 제2 광학층과의 굴절률 차가 0.010 이하인, 광학체.
    (단, θ: 상기 입사면에 대한 수선(l1)과, 상기 입사면에 입사하는 입사광 또는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반사광과의 이루는 각, φ: 상기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과, 상기 입사광 또는 상기 반사광을 상기 입사면에 사영한 성분과의 이루는 각,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 입사각(θ, φ)을 고정하고, 상기 입사면에 대한 수선(l1)을 축으로 하여 상기 반투과층을 회전했을 때, φ방향으로의 반사 강도가 최대가 되는 축)
  25.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광학층의 요철면 상에 반투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투과층이 형성된 요철면 상에 요철을 매립하도록, 상기 반투과층 상에 제2의 광학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요철면은, 경사각이 45° 이상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을 갖고,
    상기 반투과층은, Au, Ag, Cu, Al, Ni, Cr, Ti, Pd, Co, Si, Ta, W, Mo, G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의 단체 또는 이들 단체를 2종 이상 포함하는 합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투과층은, 입사각(θ, φ)으로 입사면에 입사한 광의 일부를 정반사(-θ, φ+180°) 이외의 방향으로 지향 반사하며,
    상기 제1 광학층과 상기 제2 광학층과의 굴절률 차가 0.010 이하인, 광학체의 제조 방법.
    (단, θ: 상기 입사면에 대한 수선(l1)과, 상기 입사면에 입사하는 입사광 또는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반사광과의 이루는 각, φ: 상기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과, 상기 입사광 또는 상기 반사광을 상기 입사면에 사영한 성분과의 이루는 각, 입사면 내의 특정한 직선(l2): 입사각(θ, φ)을 고정하고, 상기 입사면에 대한 수선(l1)을 축으로 하여 상기 반투과층을 회전했을 때, φ방향으로의 반사 강도가 최대가 되는 축)
KR1020127020160A 2010-02-08 2011-02-08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창재, 건구, 및 일사 차폐 장치 KR101512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25995 2010-02-08
JP2010025995A JP5608385B2 (ja) 2010-02-08 2010-02-08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窓材、建具、ならびに日射遮蔽装置
PCT/JP2011/053064 WO2011096595A1 (ja) 2010-02-08 2011-02-08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窓材、建具、ならびに日射遮蔽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690A KR20120112690A (ko) 2012-10-11
KR101512887B1 true KR101512887B1 (ko) 2015-04-22

Family

ID=4435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160A KR101512887B1 (ko) 2010-02-08 2011-02-08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창재, 건구, 및 일사 차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300306A1 (ko)
JP (1) JP5608385B2 (ko)
KR (1) KR101512887B1 (ko)
CN (2) CN106199774B (ko)
SG (1) SG182708A1 (ko)
WO (1) WO2011096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3921B2 (ja) * 2008-12-09 2010-07-28 ソニー株式会社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窓材、ブラインド、ロールカーテン、ならびに障子
JP5508946B2 (ja) * 2010-06-16 2014-06-04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体、窓材、建具、日射遮蔽装置、および建築物
JP5609406B2 (ja) * 2010-08-09 2014-10-2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照明装置、窓材および建具
KR101723472B1 (ko) * 2012-02-25 2017-04-05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도포 필름
TWI619874B (zh) * 2012-07-10 2018-04-01 聚森股份有限公司 百葉窗及其建築用光學組件
WO2014080910A1 (ja) * 2012-11-20 2014-05-30 住友化学株式会社 調光部材
US9482795B2 (en) 2013-05-22 2016-11-01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troreflective cooling
US9423538B2 (en) * 2013-05-22 2016-08-23 The Boeing Company Retroreflective heater
KR102056314B1 (ko) * 2013-09-27 2019-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JP6225657B2 (ja) * 2013-11-15 2017-11-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6298617B2 (ja) * 2013-11-21 2018-03-20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7083480A (ja) * 2014-03-14 2017-05-18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再帰反射シート
WO2015193999A1 (ja) * 2014-06-18 2015-12-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採光シート、採光装置、及び建物
WO2016047427A1 (ja) * 2014-09-24 2016-03-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プリズム、プリズムの製造方法、金型およびセンサーチップ
JP2018003239A (ja) * 2014-09-30 2018-0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制御シート及びそれを備えるカーテン
JP6704853B2 (ja) * 2014-09-30 2020-06-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制御シート、それを備えるカーテン、及び光制御シートの製造方法
JP6707462B2 (ja) * 2014-12-02 2020-06-10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透視可能な積層体、それを備えた反射型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JP6535924B2 (ja) * 2014-12-17 2019-07-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フィルム
US10754442B2 (en) * 2015-07-09 2020-08-25 YewSavin, Inc. Films or surfaces including positional tracking marks
USD791981S1 (en) * 2015-07-17 2017-07-11 Arktura Llc Architectural panel
TW201722704A (zh) 2015-10-15 2017-07-01 聖高拜塑膠製品公司 季節性太陽能控制複合物
EP3396454B1 (en) * 2015-12-25 2021-09-01 AGC Inc. Reflective transparent screen
USD819233S1 (en) * 2016-02-19 2018-05-29 KIKO S.p.A. Wall covering
JP6730871B2 (ja) * 2016-04-07 2020-07-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体、窓材及びロールカーテン
US10544619B2 (en) * 2017-02-13 2020-01-28 Hall Labs Llc Self-cleaning window blinds with photocatalytic material
EP3594016A4 (en) * 2017-03-06 2020-03-18 LG Chem, Ltd. DECORATIVE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ELEMENT
WO2019046403A1 (en) 2017-08-29 2019-03-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TROREFLECTIVE SHEET FOR A PROJECTOR-BASED DISPLAY SYSTEM
KR102474580B1 (ko) * 2017-09-27 2022-12-0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광원 유닛
JP6393384B1 (ja) * 2017-10-06 2018-09-19 日本ペイント・オートモーティブコーティングス株式会社 防眩ハードコート層の形成方法
KR102594844B1 (ko) 2018-04-10 2023-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EP3808209B1 (en) * 2018-06-15 2023-11-29 Lg Chem, Ltd. Decoration member
JP7256939B2 (ja) * 2018-09-03 2023-04-1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JPWO2020067134A1 (ja) * 2018-09-25 2021-09-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透明物品
US11148388B1 (en) * 2019-06-18 2021-10-19 Tilahun Anshu Thermopaque glass
JP2022547457A (ja) * 2019-09-03 2022-11-1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ような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5692A (ja) * 2003-05-05 2007-09-0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液晶ディスプレイ用構造化半透過体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0592A (en) * 1976-03-24 1978-10-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plex optical analyzer apparatus
US4137098A (en) * 1977-10-20 1979-01-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olar energy window
JPS616802U (ja) * 1984-06-18 1986-01-16 鹿島建設株式会社 窓ガラス
CN87208073U (zh) * 1987-05-13 1988-04-06 南京工学院 窗用遮阳塑料薄膜
JPH08286007A (ja) * 1995-04-17 1996-11-01 Fuji Photo Optical Co Ltd プラスチック基板ミラー
US5686979A (en) * 1995-06-26 1997-11-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ptical panel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reflective and transmissive states
JP2000329916A (ja) * 1998-09-16 2000-11-30 Sumitomo Chem Co Ltd 半透過反射板
US6280822B1 (en) * 1999-01-11 2001-08-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be corner cavity based retroeflectors with transparent fill material
US6172810B1 (en) * 1999-02-26 2001-0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polymer multilayer reflective coatings
GB9911306D0 (en) * 1999-05-14 1999-07-14 Microgrin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isual displays and the like
US6264336B1 (en) * 1999-10-22 2001-07-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lay apparatus with corrosion-resistant light directing film
US20030035231A1 (en) * 2001-08-03 2003-02-20 Epstein Kenneth A. Optical film having microreplicated structures; and methods
AU2002340300A1 (en) * 2001-11-09 2003-05-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devices having reflective and transmissive modes for display
WO2003096080A2 (en) * 2002-05-08 2003-11-20 Target Technology Company, Llc. Silver alloy thin film reflector and transparent electrical conductor
JP2004037831A (ja) * 2002-07-03 2004-02-05 Nitto Denko Corp 再帰性反射板、再帰性反射板付き偏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7088405B2 (en) * 2003-05-05 2006-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uctured transflectors for enhanced ambient and backlight operation of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s
JP2005189409A (ja) * 2003-12-25 2005-07-14 Nissan Motor Co Ltd コーナーキューブ型再帰反射表皮材
JP2005250469A (ja) * 2004-03-05 2005-09-15 Arisawa Mfg Co Ltd レンズ、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レンズの製造方法
US7632568B2 (en) * 2005-01-07 2009-12-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ar control multilayer film
TWI409313B (zh) * 2005-01-26 2013-09-21 Nitto Denko Corp 黏著劑組成物、黏著型光學薄膜及影像顯示裝置
JP4828290B2 (ja) * 2005-04-20 2011-11-30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太陽光反射構造、及び、その構造を用いる設備
JP4890800B2 (ja) * 2005-06-29 2012-03-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透明波長選択性再帰反射体
DE102006050119B3 (de) * 2006-10-25 2008-05-29 G + B Pronova Gmbh Verschattungselement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3383472B (zh) * 2006-12-14 2015-07-22 圣戈班性能塑料谢纳有限公司 日光控制膜
JP2008282001A (ja) * 2007-04-10 2008-11-20 Fujifilm Corp 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2009048092A (ja) * 2007-08-22 2009-03-05 Tomoegawa Paper Co Ltd 光学積層体
JP5188251B2 (ja) * 2008-04-22 2013-04-24 旭化成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
JP4513921B2 (ja) * 2008-12-09 2010-07-28 ソニー株式会社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窓材、ブラインド、ロールカーテン、ならびに障子
US8477081B2 (en) * 2009-01-21 2013-07-02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Louve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5692A (ja) * 2003-05-05 2007-09-0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液晶ディスプレイ用構造化半透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99774A (zh) 2016-12-07
JP2011164311A (ja) 2011-08-25
CN102741714A (zh) 2012-10-17
US20120300306A1 (en) 2012-11-29
CN106199774B (zh) 2019-07-12
SG182708A1 (en) 2012-08-30
JP5608385B2 (ja) 2014-10-15
WO2011096595A1 (ja) 2011-08-11
KR20120112690A (ko)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887B1 (ko)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창재, 건구, 및 일사 차폐 장치
JP5973044B2 (ja) 光学体、窓材、建具および日射遮蔽装置
KR101939869B1 (ko) 광학체, 창재, 창호, 일사 차폐 장치 및 건축물
JP6074128B2 (ja)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日射遮蔽部材、窓材、内装部材ならびに建具
JP5690600B2 (ja)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08946B2 (ja) 光学体、窓材、建具、日射遮蔽装置、および建築物
KR101939431B1 (ko) 광학체, 창재, 창호 및 일사 차폐 장치
KR20180054544A (ko) 광학 소자, 일사 차폐 장치, 창호, 창재 및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70117941A (ko)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창재, 및 광학체의 접합 방법
WO2010067640A1 (ja) 光学体およびその光学体を備える窓材
JP6730871B2 (ja) 光学体、窓材及びロールカーテン
JP2012003026A (ja) 光学体、窓材、建具および日射遮蔽装置
JP5662049B2 (ja)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窓材、建具、ならびに日射遮蔽装置
JP2011164433A (ja) 光学体、窓材、建具、および日射遮蔽部材
JP2014222359A (ja)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窓材、建具、ならびに日射遮蔽装置
JP6949460B2 (ja) 光学体、窓材及びロールカーテン
WO2017175588A1 (ja) 光学体、窓材及びロールカーテ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