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347B1 -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 Google Patents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347B1
KR101509347B1 KR20130130060A KR20130130060A KR101509347B1 KR 101509347 B1 KR101509347 B1 KR 101509347B1 KR 20130130060 A KR20130130060 A KR 20130130060A KR 20130130060 A KR20130130060 A KR 20130130060A KR 101509347 B1 KR101509347 B1 KR 10150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dust
main body
cas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구형선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중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중도원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중도원
Priority to KR20130130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onveyor belts, a sequence of travelling work-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는 상부면과 일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사각함체 구조의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상부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진 케이싱(12)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11) 내부 일측면에는 구동모터(11a)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1a)에 의해 구동되는 샌딩부(11b)는 상기 본체부(11)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12) 내측 상부 벽면에 목재 연마시 생기는 각종 분진을 털어낼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사구(13a)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에어공급부(13)와, 상기 케이싱(12) 상부면에 원형으로 관통되어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집진기(14b)와 연결하여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집진구(1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 일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입구(17) 전면에 작업자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15)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1) 측면에 목재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기(16)가 구비되는 장치부(10);와, 상기 장치부(1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투입구(17)에서 배출구(18)로 목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21)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1) 측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목재를 컨베이어 벨트(21) 방향으로 이송하는 롤링기(22)가 구비된 이송부(2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Sanding machine with safety device for handicapped}
본 발명은 샌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높이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산업에서 사용되는 목재로는 생목을 잘라서 켠 원목, 원목을 박판화하여 직교 접착한 합판, 원목의 잔가지까지 모두 분쇄하여 열압으로 접착한 파티클보드(PB), 원목의 심재만 끓여서 나오는 섬유질을 열압으로 접착한 중밀도 파이버보드(MDF)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질재료 중 PB나 MDF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반면 표면이 거칠다는 단점이 있는 바, 특히 PB가 MDF보다 표면이 거칠다. 가구의 제작에는 대부분 상기한 PB나 MDF와 같은 목질재료 상에 적절한 모양지를 접착한 것을 사용하는데, 목질재료의 표면 요철이 외관상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꺼운 재질의 모양지를 사용하거나 마찰샌딩으로 곱고 부드럽게 개질시켜야 한다.
현재 이러한 목재의 표면을 다듬질 하기 위해 샌딩기라는 가공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재용 샌딩기는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이중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1995-0003753호(건축용 목재의 표면샌딩장치, 이하 '선행기술 1' 이라 함)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03-0036351호(집진기를 구비한 샌딩머시, 이하 '선행기술 2' 이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샌딩기에 있어서는 목재를 컨베이어 벨트 전면 투입구에서 직접 들어올려 투입하는 작업에서 몸이 불편한 장애인들이 작업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며, 이송부의 거리가 짧다보니 목재를 들어올려 투입한다고 하여도 목재를 넣는 투입구에서도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목재가 투입될 때 방향 및 각도가 틀어져 불필요하게 절삭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목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며, 탄성조절이 가능한 안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높이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는, 상부면과 일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사각함체 구조의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상부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진 케이싱(12)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11) 내부 일측면에는 구동모터(11a)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1a)에 의해 구동되는 샌딩부(11b)는 상기 본체부(11)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12) 내측 상부 벽면에 목재 연마시 생기는 각종 분진을 털어낼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사구(13a)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에어공급부(13)와, 상기 케이싱(12) 상부면에 원형으로 관통되어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집진기(14b)와 연결하여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집진구(1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 일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입구(17) 전면에 작업자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15)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1) 측면에 목재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기(16)가 구비되는 장치부(10);와,
상기 장치부(1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투입구(17)에서 배출구(18)로 목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21)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1) 측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목재를 컨베이어 벨트(21) 방향으로 이송하는 롤링기(22)가 구비된 이송부(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롤링기(22)의 상측에는 높낮이조절과 탈부착이 가능하며, 목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가이드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3) 일측 단부는 롤링기(22)의 초입에 위치하되, 힌지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며 목재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판(23a)를 형성하고, 타측은 장치부(10)의 투입구(17)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가이드판(23a)의 이동경로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판(23b)을 '┏━┓'모양으로 세워 형성하고, 상기 이동판(23b)의 상부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홀(23c)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부(13)에 관통 형성된 분사구(13a)에 공기를 이용하여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케이싱(12)의 안쪽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수직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되는 에어노즐(13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흡입노즐(14a)은 내부 공간을 갖는 이등변삼각형 모양의 함체구조로, 일측면이 경사평면부로 형성되고, 또 다른 면은 경사곡면부로 형성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입구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노즐(14a)의 일측면에 곡면의 판형태의 집진판(14c)이 더 부착되어 형성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샌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샌딩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샌딩기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샌딩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목재의 표면을 샌드페이퍼로 연마하는 샌딩머신에 있어서, 상부면과 일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사각함체 구조의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상부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진 케이싱(12)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11) 내부 일측면에는 구동모터(11a)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1a)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드럼(11b)이 상기 본체부(11)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12) 내측 상부 벽면에 목재 연마시 생기는 각종 분진을 털어낼 수 있도록 에어공급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공급부(13)에는 다수개의 분사구(13a)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2) 상부면에 원형으로 관통되어,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집진기(14b)와 연결하여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집진구(1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 일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입구(17) 전면에 회동이 가능한 안전장치(15)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1) 측면에 목재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기(16)가 구비되는 장치부(10)와, 상기 장치부(1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투입구(17)에서 배출구(18)로 목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21)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1) 측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목재를 컨베이어 벨트(21) 방향으로 이송하는 롤링기(22)가 구비된 이송부(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롤링기(22)의 양측 끝단 상부면으로 목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가이드부(23)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1)는 상부면과 일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사각함체 구조이며, 내부 일측면에는 구동모터(11a)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1a)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드럼(11b)이 상기 본체부(11)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구비되며, 상기 구동드럼(11b)에 의해 구동되어 목재를 연마할 수 있는 샌드페이퍼(11c)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의 상부면에 소정 두께의 내부공간을 형성한 케이싱(12)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12) 내측 상부 벽면에 목재 연마시 생기는 각종 분진을 털어낼 수 있도록 에어공급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공급부(13)에는 다수개의 분사구(13a)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분사구(13a)에는 공기를 이용해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비스듬히 설치되는 에어노즐(13b)이 더 구비된다.
상기 케이싱(12) 상부면에 원형으로 관통되어,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집진기(14b)와 연결하여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집진구(14)가 형성되고, 상기 집진구(14) 하부면에 흡입노즐(14a)이 형성되어 분산되는 분진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흡입노즐(14a)은 내부 공간을 갖는 이등변삼각형 모양의 함체구조로, 일측면이 경사평면부로 형성되고, 또 다른 면은 경사곡면부로 형성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입구가 좁아지는 형태이고, 경사평면부에 집진판(14c)이 더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도2, 도3 참조)
이는, 작업시 비산하는 분진을 용이하게 채집하여 작업자들의 호흡기로 침투되어 호흡기 계통의 질병을 방지하고, 작업장이 더렵혀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샌드페이퍼(11c)의 교환주기를 늘려 가격절감의 효과도 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 일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입구(17) 전면에 회동이 가능한 판형상의 안전장치(15)가 구비된다. 상기 안전장치(15)는 목재에 못 이나 이물질이 껴있을경우 투입구(17) 부분에서 안전장치(15)를 통해 기계의 작동을 멈춰 기계결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의 손이 끼일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1)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목재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기(16)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1)의 관통되어 형성된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투입구(17)에서 배출구(18)로 목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21)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1) 각각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목재를 컨베이어 벨트(21) 투입구(17)방향에서 배출구(18)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롤링기(22)가 구비된다.
상기 롤링기(22)의 수평방향으로 양측 끝단 상부면에 높낮이조절과 탈부착이 가능하며, 목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가이드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3)는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것이며, 또한 종래에서 작업자가 컨베이어 벨트(21)에 목재를 바로 올려 투입구(17)의 중앙으로 목재를 투입하는 수고를 덜어주므로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투입구(17)부분에서 작업자의 손이 끼일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부(23)는 목재가 투입될 때 목재의 방향 및 각도를 바르게 하여 불필요하게 절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부(23)의 일측 단부는 롤링기(22)의 초입에 위치하되, 힌지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며, 타측은 장치부(10)의 투입구(17)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또한, 목재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판(23a)을 형성하고, 컨베이어 벨트(21) 상단부 투입구(17) 부근에 상기 가이드판(23a)의 이동경로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목재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판(23b)을 '┏━┓' 모양으로 세워 형성하고, 상기 이동판(23b)의 상부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홀(23c)이 관통되어 형성하여 가이드판(23a)과 볼트체결한다. 이는 작업자가 목재를 롤링기(22)에 올린 뒤 밀면 목재의 크기에 따라 가이드판(23a)이 좌우로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면서 목재의 이동방향을 중앙으로 이동시켜 주게 되어, 목재가 투입될 때 방향 및 각도가 틀어져 불필요하게 절삭되는 것을 방지시켜주고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의 선택사항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도 6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1) 일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입구(17) 전면에 투입구(17)의 수평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판형상의 안전장치(15)가 구비되며, 상기 안전장치(15)는 기계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미트스위치(limit switch)로, 목재가 재생목일 경우 못과 같은 이물질이 껴있을경우 투입구(17) 부분에서 판형상의 안전장치(15)가 회동되지 않고, 기계의 작동을 멈춰 기계결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의 손이 끼일 수 있는 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장치부 : 10 본체부 : 11
구동모터 : 11a 구동드럼 : 11b 샌드페이퍼 : 11c
케이싱 : 12
에어공급부 : 13 분사구 : 13a 에어노즐 : 13b
집진구 : 14 흡입노즐 : 14a 집진기 : 14b
집진판 : 14c
안전장치 : 15 높낮이조절기 : 16
투입구 : 17 배출구 : 18
이송부 : 20 컨베이어 벨트 : 21 롤링기 : 22
가이드부 : 23 가이드판 : 23a 이동판 : 23b
홀 : 23c

Claims (6)

  1. 이송부(20)를 따라 이송되는 목재의 표면을 샌딩부(11b)에 의해 구동되는 샌드페이퍼(11c)로 연마하는 샌딩머신에 있어서,
    상부면과 일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사각함체 구조의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상부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진 케이싱(12)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11) 내부 일측면에는 구동모터(11a)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1a)에 의해 구동되는 샌딩부(11b)는 상기 본체부(11)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12) 내측 상부 벽면에 목재 연마시 생기는 각종 분진을 털어낼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사구(13a)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에어공급부(13)와, 상기 케이싱(12) 상부면에 원형으로 관통되어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집진기(14b)와 연결하여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집진구(1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 일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입구(17) 전면에 작업자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15)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1) 측면에 목재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기(16)가 구비되는 장치부(10);와,
    상기 장치부(1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투입구(17)에서 배출구(18)로 목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21)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1) 측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목재를 컨베이어 벨트(21) 방향으로 이송하는 롤링기(22)가 구비된 이송부(20);로 구성되고,
    상기 롤링기(22)의 상측에는 높낮이조절과 탈부착이 가능하며, 목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가이드부(23)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3) 일측 단부는 롤링기(22)의 초입에 위치하되, 힌지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며 목재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판(23a)를 형성하고, 타측은 장치부(10)의 투입구(17)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가이드판(23a)의 이동경로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판(23b)을 '┏━┓'모양으로 세워 형성하고, 상기 이동판(23b)의 상부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홀(23c)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13)에 관통 형성된 분사구(13a)에 공기를 이용하여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케이싱(12)의 안쪽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수직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되는 에어노즐(13b)이 구비되고, 상기 집진구(14) 하부면에 흡입노즐(14a)이 형성되어 분산되는 분진을 용이하게 흡입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구(14)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함체구조로, 일측면이 경사평면부로 형성되고, 또 다른 면은 경사곡면부로 형성되는 흡입노즐(14a)을 구비하여 분진을 흡입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입구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14a)의 일측면에 곡면의 판형태의 집진판(14c)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KR20130130060A 2013-10-30 2013-10-30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KR10150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0060A KR101509347B1 (ko) 2013-10-30 2013-10-30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0060A KR101509347B1 (ko) 2013-10-30 2013-10-30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347B1 true KR101509347B1 (ko) 2015-04-07

Family

ID=5303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0060A KR101509347B1 (ko) 2013-10-30 2013-10-30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3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5559A (zh) * 2016-12-28 2017-05-24 广东鼎科技有限公司 抛砖机
CN107953177A (zh) * 2017-12-14 2018-04-24 湖北金成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木板抛光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4388B2 (ja) * 1990-05-22 2001-10-29 エイチエイチ パテント エイ/エス トラバーシングを行うサンディング機械などの木工用機械
KR20120114537A (ko) * 2011-04-07 2012-10-17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그룹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4388B2 (ja) * 1990-05-22 2001-10-29 エイチエイチ パテント エイ/エス トラバーシングを行うサンディング機械などの木工用機械
KR20120114537A (ko) * 2011-04-07 2012-10-17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그룹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5559A (zh) * 2016-12-28 2017-05-24 广东鼎科技有限公司 抛砖机
CN107953177A (zh) * 2017-12-14 2018-04-24 湖北金成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木板抛光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8633B2 (en) Apparatus for grinding a surface comprising two movably arranged hoods
US11548187B2 (en) Automatic tile cutter
KR101164027B1 (ko) 비산물 포집 기능을 갖는 탁상용 그라인더
KR102228065B1 (ko) 건축물의 인 코너 거푸집 부착물 제거장치
KR101509347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CN210818967U (zh) 一种新型地板砂光设备
CN210968155U (zh) 一种自动除尘木材砂光机
KR101069365B1 (ko) 목재가공용 원형톱 작업대 및 그에 사용되는 흡입부
CN204054273U (zh) 一种破板砂光生产线
CN108748413A (zh) 立式刨削的双面刨床
KR101026564B1 (ko) 에지밴딩기
JP3224388B2 (ja) トラバーシングを行うサンディング機械などの木工用機械
KR102173888B1 (ko) 회전 톱날 및 연마 블레이드의 순차 가공 작업이 가능한 목재 가공 장치
JP4925998B2 (ja) 集塵機能を備えた作業台
CN206029611U (zh) 除尘打磨机
CN211134712U (zh) 一种石材打磨机的清理装置
JP5163977B2 (ja) 表面処理装置
KR101455361B1 (ko) 싱크대용 인조대리석 표면 가공장치
CN206405878U (zh) 一种环保型切板机
KR20190083636A (ko) 고압수를 이용한 석재 가공 장치
CN212601111U (zh) 一种板材加工用表面刨光装置
KR101939973B1 (ko) 잔여부위 회수부와 자동 적재부가 구비된 에지밴드 부착 장치
KR102190666B1 (ko) 워터젯 비산 집진 시스템
CN110948315A (zh) 一种木制品打磨装置
CN110497323A (zh) 一种木制品砂光打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