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537A -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537A
KR20120114537A KR20110032107A KR20110032107A KR20120114537A KR 20120114537 A KR20120114537 A KR 20120114537A KR 20110032107 A KR20110032107 A KR 20110032107A KR 20110032107 A KR20110032107 A KR 20110032107A KR 20120114537 A KR20120114537 A KR 20120114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waste
waste wood
woo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3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그룹
Priority to KR2011003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4537A/ko
Publication of KR20120114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69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with means for feeding the work-pieces to the grinding tool, e.g. turntables,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onveyor belts, a sequence of travelling work-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7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a stationary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04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 B24D3/06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metallic or mixture of metals with ceramic materials, e.g. hard metals, "cermets", cements
    • B24D3/1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metallic or mixture of metals with ceramic materials, e.g. hard metals, "cermets", cements for porous or cellular structure, e.g. for use with diamonds as abras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제조공장에서 가구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쓸모없는 자투리 가구재나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배출되는 폐가구를 재활용하기 위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투리 가구재나 폐가구의 표면에 도장된 페인트 도막이나 접착된 필름형 쉬트지 혹은 각종 표면마감층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의 두 컨베이어밸트사이로 폐가구를 진행시켜 폐가구의 표면을 회전하는 다이야몬드 컷터가 부착된 숫돌로 제거한 뒤 분쇄기로 분쇄함으로써 이물질이나 불순물이 없는 품질이 우수한 양질의 재활용용 목분이나 나무입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하여 제조된 폐가구들도 다시 재활용할 수 있어 재활용 자재의 확보가 용이해지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GRINDING MACHINE FOR RECYCLING WASTE FUNITURE}
본 발명은 가구제조공장에서 가구 제조과정에서 배출되는 쓸모없는 자투리 가구재나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배출되는 폐가구를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가구의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쓸모없는 자투리 가구재나 폐가구의 표면에 도장된 페인트 도막이나 접착된 필름형 쉬트지 혹은 다양한 종류의 표면 마감재로 이루어진 표면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구제조사에서 가구 제조시 발생되는 자투리 가구재나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배출되는 각종 생활가구 쓰레기는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어 그 처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생활가구 쓰레기는 선별적으로 분쇄하여 이를 재활용하고 있으나 그 량은 많지 않고 대부분 매립되거나 소각과 같은 방법에 의해 폐기되고 있다.
가구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자투리 가구재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배출되는 폐가구를 분쇄하여 포장용 골판지로 제조하거나, 재생휴지 재생봉투, 사료, 퇴비배합재, 단열 및 보온용 농자재, 방음 및 흡음용 건축자재, MDF 합판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활용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재활용가능한 폐가구의 량은 많지 않다.
폐가구를 재활용할 수 있는 활용성이 낮은 이유는 폐가구나 쓸모없는 자투리 가구재는 원가절감을 위해 원목대용으로 폐가구를 재활용해서 제조한 자재로 제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재활용에 의해 제조된 폐가구는 가구를 제조할 때 표면에 도색된 페인트 도장재나 각종 마감재층을 제거해야 하지만 표면 마감재층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재활용에 의해 제조된 폐가구를 재활용하기 위해 분쇄할 경우 폐가구의 표면 마감물질까지 함께 분쇄되므로 분쇄된 폐가구 입자나 분말에는 이물질과 불순물을 포함되어 있어 이를 제거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폐가구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이를 자원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폐목재의 표면을 간편하게 제거하여 불순물이나 이물질이 거의 없는 순도가 우수한 재활용용 목재편이나 목분를 생산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층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각이나 매립되는 폐가구들도 재활용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폐가구 쓰레기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의 구현수단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밸트를 따라 이송되는 가구폐목재의 진입여부에 대응하여 작업대의 상하로 유동가능하도록 측벽위에 탑제된 상측판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측 숫돌과 상측 숫돌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하측 숫돌과 상측 숫돌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마련하면 폐가구의 상하 양면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숫돌에 의해 표면층이 제거된 폐가구를 폐가구 분쇄기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밸트를 더 마련하여 폐가구의 표면 제거와 폐가구 분쇄작용을 통합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가구나 폐가구목재의 표면층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제거된 가구폐목재를 분쇄하게 되므로 순도가 우수한 유용한 자원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소각이나 매립하는 폐가구들도 재활용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폐가구의 활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폐가구 쓰레기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를 좌측에서 바라 본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중 상부프레임을 분리한 상태를 예시한 일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일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부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를 측면에서 바라 본 일측면도로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100)는 폐가구(1)를 이송시키는 작업대(10)와, 작업대(10)에서 이송되는 가구폐목재(1)를 가압하면서 이송시키는 제1 이송기(20)와, 상기 제1 이송기(20)에 의해 이송되는 가구폐목재의 표면층을 제거하는 표면층 제거기(30)와, 표면층 제거기에서 제거된 가구폐목재를 가압하면서 배출시키는 제2 이송기(40) 및 제2 이송기(40)에 의해 이송되는 가구폐목재를 분쇄하는 분쇄기(50)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60은 작업대(10), 제1 이송기(20) 표면층 제거기(30), 제2 이송기(40), 분쇄기(50)를 지지하는 지지대이다.
작업대(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폐목재(1)를 적층시키고 적층된 가구폐목재(1)를 분쇄기(50)쪽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피가공물을 적층형태로 수용하고 적층된 피가공물을 순차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측에 구멍(참조번호 미표기)이 마련된 가구폐목재 수납통(11, 도 2 및 도 3 참조)과, 수납통(11)과 연결된 프레임(12)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2)은 일정거리를 두고 대칭적으로 작업대(10)위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한 제1 이송기(20), 표면층 제거기(30), 제2 이송기(40) 및 분쇄기(50)들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2)은 상하로 분리되어 있으며, 분리된 상하부 프레임(12a)(12b)에는 제1 및 제2 이송부(20)(4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밸트(20a)(20b)(40a)(40b)중 일측 컨베이어밸트(20a 도 4참조)와, 그 컨베이어밸트(20a)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5a), 그리고 표면 제거용 숫돌(31a)과 상기 숫돌(31a)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5a)가 장착되고 있고, 하부프레임(12b)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컨베이어밸트(20a)와 대칭되게 설치된 컨베이어밸트(20b)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0b)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5b)가 장착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2b)에 장착된 컨베이어밸트(20b)는 수납통(11)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위에 폐가구판재들이 적층되어 폐가구(1) 판재들이 순차적으로 표면층 제거기(30)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참고로 수납통(11)의 전방(표면층 제거기 방향)에는 하측에 하나의 가구폐목재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도면에는 미도시)이 마련된 격벽(참조번호 미표기)이 설치되어 적층된 가구폐목재 중 하측의 가구목재만이 표면층 제거기(30)쪽으로 이송된다.
상기한 제1 및 제2 이송기(20)(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컨베이어밸트로 구성되어 가구폐목재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양 이송기(20)(40)의 그 구성과 구동방식은 서로 유사하다.
상하 프레임에 설치된 제1 및 제2 이송기(20)(40)의 컨베이어밸트는 가구폐목재의 상면과 저면을 밀착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가구폐목재를 이송시키게 된다.
도 3과 도 4에서 참조번호 13a, 14a는 제1 이송기의 상부 컨베이어밸트(20a)(20b)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이고, 22a, 22b는 구동롤러(20a)(20b)와 연결된 피동롤러이며, 도 3과 도 4에서 참조번호 25a, 25b는 제1 및 제2 이송기의 구동롤러(13a)(14a)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이고, 26a, 26b는 동력을 공급하는 체인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상하부 프레임(12a)(12b)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프레임(12a)(12b)이 해체되지 않도록 하부 프레임(12b)에는 장공(14a)을 지닌 가이드 판(15)이 부착되어 있고, 상부프레임(12a)에는 장공(15a)속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핀(15b)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핀(15b)이 장공(15a)에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가구폐목재가 제1 이송기(20)의 상하 컨베이어밸트 사이로 진입하면 상부프레임(12a)은 상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하부프레임(12a)과 하부프레임(12b)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7)의 양끝단이 상하부 프레임(12a)(12b)에 결합되어 상부프레임(12a)은 하부프레임(12b)쪽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잠재되어 있다.
따라서 가구폐목재가 상하부 컨베이어밸트(11a)(11b)사이로 진입하면, 상부 프레임(12a)은 스프링(17)의 인장력을 극복하면서 가이드 핀(15b)이 장공(15a)내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스프링(17)의 인장력에 의해 상부 컨베이어밸트(11a)는 가구폐목재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벨트(12a,12b)는 구동모터(25a,25b)의 회전력을 받아 가구폐목재를 표면층 제거기(30)쪽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표면층 제거기(30)는 도 4와 도 5의 A,B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기(20)와 제2 이송기(4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이송기(20)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가구폐목재의 표면을 절삭하는 장치로, 표면층 제거기(30)는 상부 프레임(12a)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샤프트(31b)와, 상기 샤프트(31b)의 원주면에 결합된 숫돌(31a) 및 상기 샤프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5a)로 구성되어 있다.
숫돌(31a)과 구동모터(35a)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프레임(12a)(12b)에 각각 설치하거나 상부 프레임(12a)에만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5에서 참조번호 32a는 하부프레임(12b)에 설치된 숫돌이고, 32b는 상기 숫돌(32a)이 결합된 샤프트이며, 35b는 상기 숫돌(32a)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이다. 상기한 두 구동모터(35a, 35b)와 각각의 샤프트(31a,32a)사이에는 V밸트(참조번호 미도시)로 연결되어 있다.
상하의 양 숫돌(31a)(32a)은 각각의 구동모터(35a,35b)에 의해 선택적으로 운전할 수 있으며, 회전시 숫돌(31a,32a) 표면에 부착된 다이야몬드 컷터에 의해 폐가구(1)의 표면을 일정깊이로 절삭하여 제거한다.
양 숫돌(31b)(32a)에 의해 제거된 폐가구 목분이나 입자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숫돌(31b, 32a)의 둘레에 설치된 집진덕트(70a)(70b)를 통해 집진기(도면에는 미도시)로 수거된다.
참고로, 폐가구(30)의 상하표면에 서로 다른 도장물질이나 피복물질로 마감되어 있는 경우 표면층 제거기에 의해 제거된 폐가구 표면층 입자나 분말은 재활용 측면에서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별도로 구분하여 집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 제거기(30)를 통과한 폐가구는 제2 이송기(40)의 컨베이어밸트(40a,40b)에 의해 분쇄기(50)쪽으로 배출된다.
제2 이송기(40)는 제1 이송기(40)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폐가구의 진입시 상부프레임(12a)의 상하유동시 상부프레임과 함께 거동되면서 구동모터(25a)(25b)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받아 가구폐목재(1)를 분쇄기(50)쪽으로 이송시킨다.
분쇄기(50)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5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주면에 원형 톱날(52)들이 결합된 샤프트(51)와 상기 샤프트(51)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4)로 구성되어 있다.
원형 톱날(52)은 샤프트(51)의 양단부가 케이싱(53)에 베어링에 의해 축받이되어 있고, 샤프트(51)의 일측단에 마련된 풀리(참조번호 미표기)와, 구동모터(54)사이에 연결된 V밸트에 의해 동력이 샤프트(51)로 전달된다.
회전하는 톱날(52)에 의해 제2 이송기(30)에서 배출되는 가구폐목재는 일정한 크기로 분쇄되면서 목분과 나무입자로 분쇄된다.
분쇄된 가구폐목재 목분과 나무입자들은 톱날의(52) 하측에 설치된 집진덕트(70)를 통해 집진기(도면에는 미도시)로 수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구폐목재의 표면을 일정깊이로 절삭하여 표면층을 제거한 뒤, 이를 재활용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표면층이 가구폐목재를 분쇄하여 재활용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분쇄한 가구폐목재 분말이나 입자는 이물질이나 불순물이 없는 우수한 재활용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1: 가구폐목재 10: 작업대
11: 가구폐목재 수납통 12: 프레임
12a,12b: 상하부 프레임
13a, 14a: 상부 컨베이어밸트의 구동롤러
15b: 가이드핀 15: 가이드 판
15a: 장공 20: 제1 이송기
20a, 40a: 제1 이송기 및 제2 이송기의 상부 컨베이어밸트
22a, 22b: 상부 컨베이어밸트의 피동롤러
25a,25b: 컨베이어밸트 구동모터 26a, 26b: 체인
30: 표면층 제거기 31a, 32a: 숫돌
31b,32b:샤프트
35a, 35b:숫돌 구동모터 40: 제2 이송기
20b, 40b: 제1 이송기 및 제2 이송기의 하부 컨베이어밸트
50: 분쇄기 60: 지지대
70, 70a,70b: 집진덕트 100: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Claims (4)

  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밸트를 따라 이송되는 가구폐목재의 진입여부에 따라 작업대의 프레임을 분리하여 승하강되도록 결합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12a)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숫돌을 포함하는 샤프트(31b)와, 상기 샤프트(31b)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5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의 하부프레임(12b)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숫돌(32a)을 포함하는 샤프트(32b)와, 상기 샤프트(32b)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5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숫돌속으로 폐가구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하 프레임에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상하 컨베이어밸트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2a)과 하부프레임(12b)을 스프링(17)으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2a)이 하부 프레임쪽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상부 컨베이어밸트를 가구폐목재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KR20110032107A 2011-04-07 2011-04-07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KR20120114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32107A KR20120114537A (ko) 2011-04-07 2011-04-07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32107A KR20120114537A (ko) 2011-04-07 2011-04-07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537A true KR20120114537A (ko) 2012-10-17

Family

ID=4728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32107A KR20120114537A (ko) 2011-04-07 2011-04-07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4537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2312A (zh) * 2013-02-07 2013-07-10 周莹莹 一种自动金属板材切割机
KR101509347B1 (ko) * 2013-10-30 2015-04-07 사회복지법인 중도원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CN106425795A (zh) * 2016-10-18 2017-02-22 苏州杰卡斯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电机锭子剥漆机
CN106695515A (zh) * 2017-03-15 2017-05-24 广东省陶瓷研究所 延长陶瓷承烧板使用寿命的翻新设备
CN108068235A (zh) * 2017-12-21 2018-05-25 广东德新科技孵化器有限公司 一种用于废旧塑料瓶的粉碎加工装置
CN110625505A (zh) * 2019-10-17 2019-12-31 徐州烁鼎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除锈回收设备
CN110860985A (zh) * 2019-12-02 2020-03-06 赵涛 一种建筑钢板除锈装置
CN111168546A (zh) * 2020-01-06 2020-05-19 胡兴祥 一种具有打磨除锈功能的五金喷漆机
CN111842431A (zh) * 2020-07-27 2020-10-30 郑州标富科技有限公司 一种废弃电焊条的粉碎分类回收装置
CN112476099A (zh) * 2020-11-27 2021-03-12 浙江绩丰机械有限公司 一种建筑装饰用机械打磨装置
CN112518457A (zh) * 2020-11-20 2021-03-19 刘庭爽 一种铣床用工作台平面打磨设备
CN113231940A (zh) * 2021-06-11 2021-08-10 江苏铭瀚智能科技有限公司 钣金件表面除锈装置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2312A (zh) * 2013-02-07 2013-07-10 周莹莹 一种自动金属板材切割机
KR101509347B1 (ko) * 2013-10-30 2015-04-07 사회복지법인 중도원 안전장치가 구비된 장애인용 샌딩기
CN106425795A (zh) * 2016-10-18 2017-02-22 苏州杰卡斯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电机锭子剥漆机
CN106425795B (zh) * 2016-10-18 2019-01-11 苏州杰卡斯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电机锭子剥漆机
CN106695515A (zh) * 2017-03-15 2017-05-24 广东省陶瓷研究所 延长陶瓷承烧板使用寿命的翻新设备
CN106695515B (zh) * 2017-03-15 2018-07-24 广东省陶瓷研究所 延长陶瓷承烧板使用寿命的翻新设备
CN108068235A (zh) * 2017-12-21 2018-05-25 广东德新科技孵化器有限公司 一种用于废旧塑料瓶的粉碎加工装置
CN110625505A (zh) * 2019-10-17 2019-12-31 徐州烁鼎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除锈回收设备
CN110860985A (zh) * 2019-12-02 2020-03-06 赵涛 一种建筑钢板除锈装置
CN111168546A (zh) * 2020-01-06 2020-05-19 胡兴祥 一种具有打磨除锈功能的五金喷漆机
CN111168546B (zh) * 2020-01-06 2021-08-03 江门市新会建塔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打磨除锈功能的五金喷漆机
CN111842431A (zh) * 2020-07-27 2020-10-30 郑州标富科技有限公司 一种废弃电焊条的粉碎分类回收装置
CN111842431B (zh) * 2020-07-27 2021-04-20 泰州科聚新材料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废弃电焊条的粉碎分类回收装置
CN112518457A (zh) * 2020-11-20 2021-03-19 刘庭爽 一种铣床用工作台平面打磨设备
CN112518457B (zh) * 2020-11-20 2022-06-17 昆山松田工业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铣床用工作台平面打磨设备
CN112476099A (zh) * 2020-11-27 2021-03-12 浙江绩丰机械有限公司 一种建筑装饰用机械打磨装置
CN112476099B (zh) * 2020-11-27 2022-02-01 浙江绩丰机械有限公司 一种建筑装饰用机械打磨装置
CN113231940A (zh) * 2021-06-11 2021-08-10 江苏铭瀚智能科技有限公司 钣金件表面除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4537A (ko)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CN108032609B (zh) 一种瓦楞纸板印刷、切角、废角清理机组
CN112828742B (zh) 一种板材切割加工用的智能隔音抛光打磨机器人
CN113117797A (zh) 一种土木工程建筑施工用废料处理装置
CN202824078U (zh) 废旧机油滤清器回收处理设备
EP3275551B1 (en) Machine for recycling laminated plasterboard, separation method performed by said machine and use of same
CN210335464U (zh) 一种用于净醛地板生产线的双面砂光机
CN210335459U (zh) 一种木板材自动翻转加工系统
CN111891732A (zh) 一种方形板材筛选处理的输送装置
CN206967676U (zh) 一种木料三级分选装置
CN203680460U (zh) 一种门套加工装置
CN214076896U (zh) 一种市政施工用建筑垃圾处理装置
CN204382541U (zh) 一种纤维板裁边料自动回收再生机
JP3167803U (ja) 移動式破砕システム
CN214766129U (zh) 一种装饰装修用废料清理回收装置
JP2016067981A (ja) 古タイヤの破砕装置
CN212549931U (zh) 一种建筑垃圾回收环保用运转装置
CN215611875U (zh) 一种建筑工程用建筑垃圾回收处理收集装置
CN215783920U (zh) 一种便于分类的废弃处理装置
CN218486170U (zh) 托盘粉碎机
CN210303233U (zh) 一种无尘投料控制系统
CN217410938U (zh) 一种磨料制品加工用的高效破碎设备
KR0130099Y1 (ko) 쓰레기를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시스템의 선별장치
CN212703101U (zh) 一种废旧金属分拣装置
JP3194380U (ja) 段ボール箱類解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