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068B1 -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 - Google Patents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068B1
KR101509068B1 KR20130111626A KR20130111626A KR101509068B1 KR 101509068 B1 KR101509068 B1 KR 101509068B1 KR 20130111626 A KR20130111626 A KR 20130111626A KR 20130111626 A KR20130111626 A KR 20130111626A KR 101509068 B1 KR101509068 B1 KR 10150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heat insulating
rail
guid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1869A (ko
Inventor
김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수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수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수건설
Priority to KR20130111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0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의 상부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레일부에, 하부와 상부에 형성된 레일홈부가 형성된 창틀을 진퇴구조로 설치하여 창문틀이 창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퇴하여 창틀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부와 하부에 레일부가 형성된 창틀과; 상부와 하부에 레일홈부가 형성된 창문틀을 포함하여 구성된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에 형성된 레일홈부의 측부에는 단열 패킹편이 승강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창틀에 형성된 레일부의 외측에는 단열 패킹편의 외벽과 마주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편의 내벽에는 상승구간과 하강구간이 형성된 승강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과 마주하는 단열 패킹편의 외벽에는 상기 승강레일에 가이드 구조로 설치되는 가이드핀이 형성되어서,
창문틀을 타편으로 이송시켜 개방하면 가이드핀은 승강레일의 상승구간에 위치되어 단열 패킹편은 상승하고, 창문틀을 일편으로 이송시켜 폐쇄하면 가이드핀은 승강레일의 하강구간에 위치되어 단열 패킹편이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Sliding door having emproved heat insul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의 상부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레일부에, 하부와 상부에 형성된 레일홈부가 형성된 창틀을 진퇴구조로 설치하여 창문틀이 창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퇴하여 창틀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의 단열성을 향상시킨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미닫이 창호는 창틀의 상부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레일부에 상부와 하부에 레일홈부가 형성된 창문틀이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창문틀이 창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퇴하여 창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당 분야에서는 상기 레일부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레일홈부에 이송롤러를 마련하여, 창문틀의 안정된 이송이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진퇴구조를 형성한 창틀의 레일부와 창문틀의 레일홈부 사이에는 틈이 발생되며, 이러한 틈을 통해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서, 건축물의 단열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당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창틀의 레일부와 창문틀의 레일홈부 사이에 모헤어 등을 배치하여, 창틀과 창문틀 사이에 형성된 틈 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모헤어를 통한 단열은 창틀과 창문틀 사이의 안정적인 단열을 기대하기 어렵고, 특히 창문틀의 이동을 통한 창틀에 형성된 개구부의 반복적인 개폐과정에 모헤어가 마모되거나 노후화가 발생되면, 단열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특허문헌 1) KR10-1016203 B1
(특허문헌 2) KR10-2008-007 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과정에서는 단열 패킹편이 창틀에서 이격된 상태를 확보하여 창문틀의 안정된 이동성을 확보하고, 창문틀이 창틀의 개구부를 폐쇄하면 단열 패킹편이 창틀에 밀착되어 창문틀과 창틀 사이의 안정된 단열성을 확보하는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는,
상부와 하부에 레일부가 형성된 창틀과; 상부와 하부에 레일홈부가 형성된 창문틀을 포함하여 구성된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에 형성된 레일홈부의 측부에는 단열 패킹편이 승강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창틀에 형성된 레일부의 외측에는 단열 패킹편의 외벽과 마주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편의 내벽에는 상승구간과 하강구간이 형성된 승강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과 마주하는 단열 패킹편의 외벽에는 상기 승강레일에 가이드 구조로 설치되는 가이드핀이 형성되어서,
창문틀을 타편으로 이송시켜 개방하면 가이드핀은 승강레일의 상승구간에 위치되어 단열 패킹편은 상승하고, 창문틀을 일편으로 이송시켜 폐쇄하면 가이드핀은 승강레일의 하강구간에 위치되어 단열 패킹편이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 패킹편은 창문틀에 형성된 레일홈부의 측부에 승강 구조로 설치되는 승강 브라켓의 하부에, 패킹홈이 형성된 패킹부재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틀의 레일부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창틀의 폐쇄에 의해 하강된 단열 패킹편는 패킹홈에 리브를 진입시켜서, 창틀과 창문틀 사이를 단차구조로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핀에는 롤러가 설치되어, 롤러를 통한 구름작용에 의해 승강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창문틀과 창틀 사이에, 창문틀의 개폐 상태에 따라 승강하는 단열 패킹편을 포함하는 단열구조를 형성하여, 창문틀의 개폐과정에서는 단열 패킹편이 창틀에서 이격된 상태를 확보하고, 창문틀이 창틀을 폐쇄하면 단열 패킹편이 창틀에 밀착되도록 한 미닫이 창호를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는 단열 패킹편에 의해 창문틀과 창틀 사이의 안정된 단열성이 확보되어 열 손실 발생이 억제되므로, 냉·난방비의 절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 패킹편을 포함하는 단열구조는 창문틀의 개폐과정에서는 단열 패킹편에 의한 창틀과의 물리적인 마찰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기존과 같이 창문틀을 부드럽게 이동시켜서 창문틀을 개폐할 수 있고, 폐쇄시에는 창문틀과 창틀 사이가 단열 패킹편에 의해 안정되게 폐쇄되고, 또 단열 패킹편은 승강 가이드 구조에 의해 정형화된 궤적으로 승강하므로, 우수한 작동 안정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의 개폐에 의해 연동하여 승강하는 단열 패킹부의 승강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의 개폐에 의해 연동하여 승강하는 단열 패킹부의 승강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레일부(21)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창틀(20)과;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레일홈부(11)를 창틀(20)의 레일부(21)에 각각 진입시켜, 창틀(2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퇴하여 창틀(20)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창문틀(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창문틀(10)에 형성된 레일홈부(11)에는 이송롤러(11a)가 설치되어, 창문틀(10)은 이송롤러(11a)를 통해 창틀(20)에 형성된 레일부(21)를 따라 이동하여 창틀(20)에 형성된 개구부의 개폐를 도모하게 된다.
즉, 도 2a와 같이 창문틀(10)이 창틀(20)에 형성된 레일부(21)를 따라 타편으로 이동하면 창틀(20)의 개구부(20a)는 개방된 상태를 형성하고, 또 도 3a와 같이 창문틀(10)이 창틀(20)에 형성된 레일부(21)를 따라 일편으로 이동하면 창틀(20)의 개구부(20a)는 폐쇄된다.
이때, 상기 창틀(20)의 개구부(20a)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외부 환기를 도모하기 때문에 외기의 차폐가 요구되지 아니하지만, 창문틀(10)에 의해 창틀(20)의 개구부(20a)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외기를 차폐하여야 안정된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미닫이 창호(1)를 구현함에 있어, 창틀(20)과 창문틀(10) 사이에 창문틀의 이동에 의해 연동하는 개량된 단열구조를 부가하여 창문틀(10)의 이동을 통한 창틀(20)에 형성된 개구부(20a)의 개폐과정에서는 창문틀(10)의 안정된 이동성을 확보하고, 또 창문틀(10)을 통해 창틀(20)의 개구부(20a)가 폐쇄되면 창문틀(10)과 창틀(20) 사이에 형성되는 틈 발생을 억제시켜 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1)의 향상된 단열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창문틀(10)에 형성된 레일홈부(11)의 측부에 단열 패킹편(12)을 승강구조로 설치하고, 상기 창틀(20)에 형성된 레일부(21)의 외측에는 단열 패킹편(12)의 외벽과 마주하는 가이드편(2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편(23)의 내벽에는 상승구간(23a-a)과 하강구간(23a-b)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승강레일(23a)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편(23)과 마주하는 단열 패킹편(12)의 외벽에는 상기 승강레일(23a)에 가이드 구조로 설치되는 가이드핀(12a-a)을 형성한다.
도면을 보면 상기 창문틀(10)에 형성된 레일홈부(11)의 측부에는 외벽에 승강공(13a)이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승강슬롯(13)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슬롯(13)에 단열 패킹편(12)이 승강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승강공(13a)에는 단열 패킹편(12)의 가이드핀(12a-a)이 각각 관통되어, 상기 단열 패킹편(12)은 승강공(13a)을 관통한 가이드핀(12a-a)을 통해 승강슬롯(13)에 승강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공(13a)을 관통한 가이드핀(12a-a)은 창문틀(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창문틀(10)에 형성된 단열 패킹편(12)의 외벽에는 한 쌍의 가이드핀(12a-a)을 좌우 양편에 이격되게 형성하고, 창틀(20)에 형성된 가이드편(23)에는 상승구간(23a-a)과 하강구간(23a-b)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승강레일(23a)을 배치하여, 가이드편(23)에 형성된 각 승강레일(23a)에 단열 패킹편(12)에 배치된 가이드핀(12a-a)이 각각 대응되게 진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창문틀(10)에 설치된 단열 패킹편(12)은 각각 승강레일(23)에 의해 양편이 각각 견착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창문틀(10)에 승강구조로 설치된 단열 패킹편(12)의 쳐짐 발생이 예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12a-a)에는 롤러(12a-aa)가 각각 설치되어, 창문틀(10)의 개폐과정에 가이드핀(12a-a)은 롤러(12a-aa)를 통해 구름하여 승강레일(23a)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강레일(23a)과 가이드핀(12a-a)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나 마모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창문틀(10)을 타편으로 이송시켜 창틀(20)의 개구부(20a)를 개방하면 가이드핀(23)은 승강레일(23a)의 상승구간(23a-a)에 위치되어 단열 패킹편(12)은 상승하고, 이 상태에서는 단열 패킹편(12)과 창틀(20) 사이의 마찰이나 구속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창문틀(10)의 원활한 이동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창문틀(10)을 일편으로 이송시켜 폐쇄하면 가이드핀(23)은 승강레일(23a)의 하강구간에 위치되어 단열 패킹편(12)이 하강하게 되며, 이때 단열 패킹편(12)은 창틀에 밀착되어서 창틀(20)과 창문틀(10) 사이에 형성된 틈 발생을 방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열구조를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1)는 창문틀(10)의 개폐과정에서는 단열 패킹편(12)과 창틀(20) 사이가 이격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창문틀의 안정된 이동성이 확보된다.
한편, 상기 창문틀(20)에 형성된 레일홈부(11)의 측부에 설치되는 단열 패킹편(12)은 창문틀(10)에 형성된 레일홈부(11)의 측부에 승강 구조로 설치되는 승강 브라켓(12a)의 하부에,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부재(12b)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킹부재(12b)와 창틀(20)에 형성된 레일부(21) 사이에 단차구조를 형성하여, 창틀(20) 개구부(20a)의 폐쇄에 의해 창틀(20)의 레일부(21)에 밀착된 패킹부재(12b)가 단차로 밀착되도록 하여, 창틀(20)과 창문틀(10) 사이의 보다 안정된 밀폐상태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열 패킹편(12)을 구성하는 패킹부재(12b)에 패킹홈(12b-a)을 요입되게 형성하고, 이와 마주하는 상기 창틀(20)에 형성된 레일부(21)의 측부에는 리브(22)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 3c와 같이 상기 창틀(20)의 폐쇄에 의해 하강된 단열 패킹편(12)의 패킹부재(12b)는 패킹홈(12b-a)에 리브(22)를 진입시켜서, 창틀(20)과 창문틀(10) 사이를 단차구조로 폐쇄하여 창틀(20)과 창문틀(10) 사이의 안정된 밀폐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창문틀(10)과 창틀(20) 사이에 형성된 틈이 발생되어 열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되어서 냉난방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1. 미닫이 창호
10. 창문틀 11. 레일홈부
11a. 이송롤러 12. 단열 패킹편
12a. 승강 브라켓 12a-a. 가이드핀
12a-aa. 롤러 12b. 패킹부재
12b-a. 패킹홈 13. 승강슬롯
13a. 승강공
20. 창틀 20a. 개구부
21. 레일부 22. 리브
23. 가이드편 23a. 승강레일
23a-a. 상승구간 23a-b. 하강구간

Claims (3)

  1. 상부와 하부에 레일부가 형성된 창틀과, 상부와 하부에 레일홈부가 형성된 창문틀을 포함하여 구성된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에 형성된 레일홈부의 측부에는, 외벽에 승강공이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승강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슬롯에는 단열 패킹편이 승강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창틀에 형성된 레일부의 외측에는 단열 패킹편의 외벽과 마주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편의 내벽에는 상승구간과 하강구간이 형성된 승강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과 마주하는 단열 패킹편의 외벽에는 상기 승강레일에 가이드 구조로 설치되는 가이드핀이 형성되어서,
    창문틀을 타편으로 이송시켜 개방하면 가이드핀은 승강레일의 상승구간에 위치되어 단열 패킹편은 상승하고, 창문틀을 일편으로 이송시켜 폐쇄하면 가이드핀은 승강레일의 하강구간에 위치되어 단열 패킹편이 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슬롯의 승강공에는 단열 패킹편의 가이드핀이 관통되어, 단열 패킹편은 승강공을 관통한 가이드핀을 통해 승강슬롯에 승강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승강공을 관통한 가이드핀은 창문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편의 승강레일에 가이드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단열 패킹편은 창문틀에 형성된 레일홈부의 측부에 승강 구조로 설치되는 승강 브라켓의 하부에 패킹홈이 형성된 패킹부재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창틀의 레일부의 측부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창틀의 폐쇄에 의해 하강된 단열 패킹편은 패킹홈에 리브를 진입시켜서, 창틀과 창문틀 사이를 단차구조로 폐쇄하게 되며,
    상기 패킹부재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핀에는 롤러가 설치되어, 롤러를 통한 구름작용에 의해 승강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
  2. 삭제
  3. 삭제
KR20130111626A 2013-09-17 2013-09-17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 KR101509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626A KR101509068B1 (ko) 2013-09-17 2013-09-17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626A KR101509068B1 (ko) 2013-09-17 2013-09-17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869A KR20150031869A (ko) 2015-03-25
KR101509068B1 true KR101509068B1 (ko) 2015-04-07

Family

ID=5302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626A KR101509068B1 (ko) 2013-09-17 2013-09-17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247B1 (ko) * 2019-06-11 2020-04-16 주식회사 선우시스 무레일 창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868A (ja) * 1994-11-28 1996-06-11 Showa Koki Kk 引戸の封止装置
JPH10220126A (ja) * 1997-02-12 1998-08-18 Sankyo Alum Ind Co Ltd サッシ
JP2003138859A (ja) 2001-11-07 2003-05-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扉用シャッター機構
KR200425620Y1 (ko) * 2006-06-28 2006-09-07 박종문 도어용 자동 방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868A (ja) * 1994-11-28 1996-06-11 Showa Koki Kk 引戸の封止装置
JPH10220126A (ja) * 1997-02-12 1998-08-18 Sankyo Alum Ind Co Ltd サッシ
JP2003138859A (ja) 2001-11-07 2003-05-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扉用シャッター機構
KR200425620Y1 (ko) * 2006-06-28 2006-09-07 박종문 도어용 자동 방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869A (ko)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107B1 (ko) 스크린 도어 밀림 방지장치, 밀림 방지장치와 결합되는가이드 레일 및 밀림 방지장치가 설치된 스크린 도어
KR101041968B1 (ko) 바닥 틈새를 차단시킨 미닫이 도어
JP6292853B2 (ja) 密閉式開閉装置
JP6512403B2 (ja) 引戸用緩衝閉鎖装置
KR102259031B1 (ko) 기밀 방화 자동문의 밀폐구조
KR101509068B1 (ko) 개량된 단열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
KR200452965Y1 (ko) 디펜스 도어의 가이드 장치
EP1622823B1 (en) Sea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MX2017014453A (es) Cojin para perfil de una persiana para puertas o ventanas.
JP200924203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出入口装置
KR101774542B1 (ko)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KR101133264B1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JP201415197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2820516A (en) Door construction
CN104514462B (zh) 推拉门或推拉窗
CN106470933A (zh) 电梯的出入口装置
KR20180117395A (ko) 슬라이딩 창호의 필링피스 설치구조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CN107043064B (zh) 一种电梯开关门装置
KR101197455B1 (ko) 창문시스템
JP2013001482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敷居溝閉塞装置
JPH10175787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ー装置
KR101893401B1 (ko) 단열 및 방풍용 미서기창호
KR20170029125A (ko) 창호용 롤러 인서팅 장치
JP201618811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