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914B1 -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914B1
KR101507914B1 KR20130046749A KR20130046749A KR101507914B1 KR 101507914 B1 KR101507914 B1 KR 101507914B1 KR 20130046749 A KR20130046749 A KR 20130046749A KR 20130046749 A KR20130046749 A KR 20130046749A KR 101507914 B1 KR101507914 B1 KR 101507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patitis
biphenyl
bis
formula
di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066A (ko
Inventor
김병문
최진규
배일학
장승기
금선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4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914B1/ko
Priority to EP14787683.3A priority patent/EP2990406B1/en
Priority to PCT/KR2014/003660 priority patent/WO2014175699A1/ko
Publication of KR2014012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914B1/ko
Priority to US14/884,356 priority patent/US959836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2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cromakali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빠르게 흡수되어 높은 생체 이용률로 약효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 및 심장독성이 없으며 다른 약물과 병용투여가 가능하여 다양한 치료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되는 급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 간세포성 암과 같은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Novel biphenyldiamide derivativ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or optical isomer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Hepatitis C virus related liver disease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는 플라비바이러스과(Flaviviridae)의 헤파시바이러스 속(hepacivirus genus)으로 분류되는 RNA 바이러스로서, 1989년에 미국에서 발견되었다.
상기 C형 간염 바이러스(HCV)에 의한 감염은 수혈 및 지역 특이적 전염(community-acquired)에 의해 발생되고, 신장 투석에 의해 약 70% 정도가 감염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일단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약 20% 정도가 5년 내에 간경화를 수반한 급성 간염을 일으키게 되고 간암으로 전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 이러한 높은 만성 감염률은 RNA 바이러스에서 보기 드문 일로서 C형 간염 바이러스가 높은 비율의 간암을 일으키는 매개체임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최근에는 모든 혈액에 대해서 C형 간염 바이러스 검사가 잘 이루어지고 있어 수혈로 인한 감염은 현저히 줄어들었지만, 지역 특이적 감염은 이에 대한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그 감염률이 높으므로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역학적으로 볼 때 C형 간염 바이러스는 B형 간염 바이러스(HBV)와 달리 전 세계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전 세계 인구의 1.5% 내지 2%가 감염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인데 간경화 및 간암으로 전이되는 확률이 B형 간염보다 상당히 높다. C형 간염 바이러스는 분류학적으로도 B형 간염 바이러스와는 전혀 다른 바이러스과에 속하기 때문에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으로는 예방이 불가능하다. 또한, 현재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치료제로, 인터페론과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ribavirin) 병용요법이 사용되고 있으나(비특허문헌 3), 유전형에 따라 반응이 현저히 다르고 효과가 극히 미약하며, 병용요법에 사용되는 두 약제의 부작용이 클 뿐만 아니라 고가이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새로운 항C형 간염 바이러스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된 현재까지 항C형 간염 바이러스제는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생애주기의 특정 단계를 차단함으로써 항C형 간염 바이러스 약제의 약리활성이 발현되는 특징을 갖는다.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생애주기는 다음와 같다. 숙주 세포(Host cell)의 표면에 부착된 HCV는 엔도사이토시스(endocytosis)에 의해 숙주 세포 내에 침입한다. 이후, 숙주 세포 내에 침입한 C형 간염 바이러스 게놈 RNA로부터 약 3천 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전구체 단백질이 생성된다. C형 간염 바이러스 게놈 또는 숙주 세포의 시그널 펩티다아제(signal peptidase)로 인코딩된(encoded) NS3 및 NS4 프로테아제와 함께 반응하여 캡시드 단백질(capsid protein), 엔벨로프 단백질(envelope protein), NS3 및 NS4 프로테아제, NS 5B RNA 중합효소(Polymerase) 같은 약 10종의 바이러스 단백질이 생성된다. NS 2B 중합효소로 복제된 게놈 RNA는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로 중개된 캡시드 단백질 및 엔벨로프 단백질과 결합하여 바이러스 입자가 된다. C형 간염 바이러스 입자는 숙주 세포로부터 배출된다(비특허문헌 4).
상기의 C형 간염 바이러스 생애주기의 특정 단계를 차단함으로써 항C형 간염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약제는 HCV 생애주기에 근거하여 RNA 중합효소 억제제-유형, 프로테아제 억제제-유형,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유형 및 기타 유형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MK-7009(Merck)과 R7128(Pharmasset/Roche) 등의 RNA 중합효소 억제제 유형은 임상시험 1상에 있고, VCH-759(Virochem), R1626(Roche), 발로피시타빈(valopicitabine, Idenix)는 임상시험 2상에 있다. 또한, 프로테아제 억제제 유형 중 ITMN-191(R-7227, InterMune/Roche)는 임상시험 1상에 있고, TMC435350(Medivir/Tibotec)은 임상시험 2상이며, 보세프레비어(Boceprevir(SCH 503034), Schering)과 텔라프레비어(Telaprevir, Vertex)는 임상시험 3상에 있다. 아울러, 사이클로필린 억제제 유형인 DEBIO-025(DEBIO)와 글루코시다아제 I 억제제 유형인 셀고시비어(celgosivir, MIGEBIX)는 임상시험 2상에 있다(비특허문헌 5 및 비특허문헌 6).
그러나,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는 상기 항C형 간염 바이러스 약제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 바이러스의 출현이 이미 보고되고 있으므로, 종래에 알려진 항C형 간염 바이러스 약제와는 다른 기작으로 항C형 간염 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항C형 간염 바이러스 약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포 및 심장독성이 적고,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항C형 간염 바이러스제를 개발한 결과,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하고, 세포 및 심장독성이 없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Davis et al, New. Engl. J. Med., 321 (1989) 1501; Alter et al, Leonard et al., Current Pespective in Hepatology, (1989) p.83; Hayashi N., et al., J. Gastroenterol., 41,(2006), 17; Manns MP., et al., Nat. Rev. Drug. Discov., 6,(2007), 991; Kronenberger B., et al., Clin Liver Dis., 12,(2008), 529.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X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지딘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탈보호화제와 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5의 화합물과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3037129820-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 있어서, R1, R2, X 및 PG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37129820-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X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37129820-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X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빠르게 흡수되어 높은 생체 이용률로 약효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 및 심장독성이 없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되는 급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 간세포성 암과 같은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른 각 실시예 화합물별 루시페라아제 형광 발광을 통한 루시페라아제 활성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3에서 실시예 4의 화합물을 경구 투여 및 정맥 투여한 후, 측정된 약물 투여 시간에 따른 혈장 내 약물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3에서 측정된 약물 투여 시간에 따른 혈장 내 약물 농도 결과를 이용하여 비구획 약물동태학 매개변수(noncompartmental pharmacokinetic parameter)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제공한다:
Figure 112013037129820-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C1-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비치환 또는 할로겐, C1-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4의 알콕시로 치환된 C6-C12의 아릴; 또는 C1-C4의 알콕시카보닐로 치환된 아미노이고;
R2는 수소; C1-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또는 1 이상의 C1-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1-C4의 알콕시카보닐로 치환된 아미노이고;
상기 R1 및 R2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질소(N) 원자, 산소(O) 원자 및 황(S)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7 원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할 수 있고; 및
X는 산소(O) 원자, 황(S) 원자 또는 메틸렌(CH2)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페닐;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아이오도, 메틸, 에틸, 프로필, 메톡시 또는 에톡시로 치환된 페닐; 메톡시카보닐아미노; 에톡시카보닐아미노; 또는 프로폭시카보닐아미노이고;
R2는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tert-부틸, 메톡시, 에톡시, 메틸아미노, 다이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다이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메톡시카보닐아미노 에톡시카보닐아미노 또는 프로폭시카보닐아미노이고;
상기 R1 및 R2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는 경우, 피롤리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 피페리딘 또는 테트라하이드로-2H-파이란을 형성할 수 있고; 및
X는 황(S) 원자 또는 메틸렌(CH2)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수소, 페닐 또는 메톡시카보닐아미노이고;
R2는 메틸, 이소프로필, tert-부틸, 다이메틸아미노, 다이에틸아미노 또는 메톡시카보닐아미노이고;
상기 R1 및 R2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는 경우,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형성할 수 있고; 및
X는 황(S) 원자 또는 메틸렌(CH2)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다음과 같다:
(1) 다이메틸 (2R,2'R)-1,1'-((2S, 2'S)-2,2'-(바이페닐-4,4'-다이일비스(아잔다이일))비스(옥소메틸렌)비스(피롤리딘-2,1-다이일))비스(3-메틸-1-옥소부탄-2,1-다이일)다이카바메이트;
(2) (S,2S,2'S)-N,N'-(바이페닐-4,4'-다이일)비스(1-((S)-2-(다이메틸아미노)-2-페닐아세틸)피롤리딘-2-카복스아마이드);
(3) (S,2S,2'S)-N,N'-(바이페닐-4,4'-다이일)비스(1-((S)-2-(다이에틸아미노)-2-페닐아세틸)피롤리딘-2-카복스아마이드);
(4) 다이메틸 (1S,1'S)-2,2'-((2S, 2'S)-2,2'-(바이페닐-4,4'-다이일비스(아잔다이일))비스(옥소메틸렌)비스(피롤리딘-2,1-다이일))비스(2-옥소-1-페닐에탄-2,1-다이일)다이카바메이트
(5) (R,2S,2'S)-N,N'-(바이페닐-4,4'-다이일)비스(1-((R)-테트라하이드로퓨란-2-카보닐)피롤리딘-2-카복스아마이드;
(6) 다이메틸 (2S,2'S)-1,1'-((2S,2'R)-2,2'-(바이페닐-4,4'-다이일비스(아잔다이일))비스(옥소메틸렌)비스(피롤리딘-2,1-다이일))비스(1-옥소프로판-2,1-다이일)다이카바메이트;
(7) 다이메틸 (2S,2'S)-1,1'-((2S,2'R)-2,2'-(바이페닐-4,4'-다이일비스(아잔다이일))비스(옥소메틸렌)비스(피롤리딘-2,1-다이일))비스(3,3-다이메틸-1-옥소부탄-2,1-다이일)다이카바메이트;
(8) 다이메틸 (2S,2'S)-1,1'-((2S,2'R)-2,2'-(바이페닐-4,4'-다이일비스(아잔다이일))비스(옥소메틸렌)비스(피롤리딘-2,1-다이일))비스(3-메틸-1-옥소부탄-2,1-다이일)다이카바메이트; 또는
(9) 다이메틸 (1S,1'S)-2,2'-((4R,4'R)-4,4'-(바이페닐-4,4'-다이일비스(아잔다이일))비스(옥소메틸렌)비스(티아졸리딘-4,3-다이일))비스(2-옥소-1-페닐에탄-2,1-다이일)바이카바메이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다이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나이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다이나이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유도체를 유기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하여 제조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하거나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 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광학 이성질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지딘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탈보호화제와 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5의 화합물과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3037129820-pat00006
(상기 반응식 1에 있어서, R1, R2 및 X는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및 PG는 아민 보호기이다).
이하, 상기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지딘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마이드화제 존재하에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지딘의 아민기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카르복실산기의 아마이드화 반응을 수행하여 커플링 생성물인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아마이드화제(amide reagent)는 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트라이에틸아민(TEA) 또는 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DMAP)와 함께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다이메틸아미노)-포스포니움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O-벤조트리아졸-N,N,N,N-테트라메틸-유로니움-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 2-(7-아자-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유로니움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 다이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EDC) 또는 카르보닐다이이미다졸(CDI)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EDC)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유기용매로는 메탄올,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클로로메탄, 톨루엔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이클로로메탄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탈보호화제와 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아민 보호기(PG)를 탈보호화제를 이용하여 탈보호화 반응시킴으로써 아민 보호기가 탈보호화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화학식 4의 화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아민 보호기(PG)로는 t-부톡시카보닐(Boc), 9H-플로렌-9-일메톡시카보닐(Fmoc), 트라이틸(trityl), 벤질, 클로로아세틸, 벤질옥시카보닐, p-메톡시벤질옥시카보닐, 포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틸, p-톨루엔술포닐, 벤젠술포닐, 메탄술포닐, p-니트로벤질옥시카보닐, 2,2,2-트라이클로로에톡시카보닐, 알릴옥시카보닐(Alloc) 등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부톡시카보닐(Boc)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2의 탈보호화 조건은 보호화된 보호기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보호화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5의 화합물과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의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마이드화제 존재 하에서 상기 단계 2에서 탈보호화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아민기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기의 아마이드화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아마이드화제(amide reagent)는 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트라이에틸아민(TEA) 또는 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DMAP)와 함께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다이메틸아미노)-포스포니움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O-벤조트리아졸-N,N,N,N-테트라메틸-유로니움-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 2-(7-아자-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유로니움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 다이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EDC), 또는 카르보닐다이이미다졸(CDI)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EDC)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유기용매로는 메탄올,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클로로메탄, 톨루엔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이클로로메탄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37129820-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X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은 급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 간세포성 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항C형 바이러스 활성을 평가한 결과, 발광 효소 유전자를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를 접종한 간암 세포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1 μM 농도로 처리한 실험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는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의해서 억제되어 0.00%의 형광발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1 참조). 또한, 복제된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처리한 실험에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EC50은 450 nM 이하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화합물은 각각 0.55 nM 및 1.7 nM의 낮은 EC50 값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실험예 2 참조).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에 대한 약물동력학 실험 결과, 상기 화합물은 2시간 내에 혈중 최대 농도에 도달하였으며, 이의 생체 이용률은 20%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약리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3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혈장세포 및 hERG 효소를 이용한 세포 및 심장독성 평가에서 높은 혈장세포 생존률 및 낮은 hERG 억제활성을 나타내어 세포 및 심장독성이 없어 인체에 안전한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4 및 실험예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하고, 세포 및 심장에 대한 독성이 없어 인체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인체 내 약리활성이 우수하고 타약물과 병용투여가 가능하여 다양한 치료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하여 발병하는 급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 간세포성 암과 같은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투여 시에 다양한 하기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트로키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그의 마그네슘염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의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 ㎎/㎏/일의 양으로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을 1일 수회, 바람직하게는 1일 1회 내지 3회로 분할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적 경로를 통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37129820-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X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으로는 급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 간세포성 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하여 발병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상기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식품, 음료 등의 건강기능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는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다이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를 들면,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를 들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예를 들면,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S)-2-( 메톡시카보닐아미노 )-3- 메틸부타논산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09
L-발린(valine, 3.9 g, 33.29 mmol)이 용해된 1M의 소듐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33 ml, 33 mmol)에 소듐카보네이트(1.83 g, 17.2 mmol)를 첨가하고, 얼음물을 이용하여 냉각시켰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에 메틸 글로로포르메이트(2.8 ml, 36.1 mmol)를 천천히 적가한 다음, 적가가 완료되면 얼음물을 제거하여 상온으로 등온하여 3.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생성물을 에테르(17 ml)로 3 차례 세척하고, 물층을 얼음물을 이용하여 냉각시킨 후, 염산(conc. HCl)으로 pH 1 내지 2로 산성화하였다. 산성화된 수용액층을 다이클로로메탄(17 ml)으로 3 차례 추출하고, 추출된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농축하고 별도의 정제없이 백색 고체의 목적화합물(5 g, 86%)을 얻었다.
1H NMR(400 MHz, DMSO-d6, δ=2.5 ppm): 12.51 (br s, 1H), 7.32 (d, 1H), 3.84 (t, 1H), 3.54 (s, 3H), 2.03 (m, 1H), 0.88 (d, J=12, 6H).
< 제조예 2> (R)-2-( 메톡시카보닐아미노 )-3- 메틸부타논산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10
상기 제조예 1에서 L-발린(valine, 3.9 g, 33.29 mmol)을 사용하는 대신에 D-발린(valine, 586 mg, 5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백색 고체의 목적화합물(760 mg, 87%)을 얻었다.
1H NMR(400 MHz, DMSO-d6, δ=2.5 ppm): 12.54 (s, 1H), 7.32 (d, 1H), 3.84 (t, 1H), 3.54 (s, 3H), 2.03 (m, 1H), 0.87 (d, 6H).
< 제조예 3> (R)-2-( 다이메틸아미노 )-2-페닐아세트산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11
메탄올(4.5 ml)에 D-페닐글라이신(1.51 g, 10 mmol), 포름알데하이드(5 ml, 37 중량% 수용액) 및 1N의 염산(4.5 ml)가 용해된 혼합물을 10% Pd/C(310 mg, 0.3 mmol)가 현탁된 메탄올(1.5 ml)에 첨가하고, 수소 가스(H2 풍선)를 주입하여 밤샘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Celite) 여과하고 여과된 혼합물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혼합물을 이소프로판올로 재결정하여 백색 침상 염산염 형태의 목적화합물(1.84 g, 89%)을 얻었다.
1H NMR(600 MHz, DMSO-d6, δ=2.5 ppm): 7.43-7.39 (m, 5H), 4.47 (s, 1H), 2.43 (s, 6H).
< 제조예 4> (R)-2-( 다이에틸아미노 )-2-페닐아세트산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12
메탄올(13 ml)에 D-페닐글라이신(756 mg, 5 mmol)을 용해시킨 혼합물을 얼음물로 냉각시키고, 소듐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786 mg, 12.5 mmol)를 수 분동안 나눠서 첨가한 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아세트알데하이드(1.3 ml, 22.5 m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저온으로 유지하면서 4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상온으로 등온하여 6.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을 유지하면서 얼음물을 이용하여 냉각시키고, 염산(conc. HCl)을 적가하여 반응물의 pH를 1.5 내지 2.0으로 산성화하였다. 산성화된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상온으로 등온시키면서 밤샘 교반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생성된 반응생성물을 여과하여 부유물을 제거하였다. 여과된 여액을 감압증류하여 농축시키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백색 염산염 형태의 목적화합물(625 mg, 60%)을 얻었다.
1H NMR(600 MHz, DMSO-d6, δ=2.5 ppm): 10.77 (br s, 1H), 7.72 (m, 2H), 7.51 (m, 3H), 5.33 (s, 1H), 3.17 (app br s, 2H), 3.01 (app br s, 2H), 1.20 (app br s, 6H).
< 제조예 5> (R)-2-( 메톡시카보닐아미노 )-2-페닐아세트산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13
상기 제조예 1에서 L-발린(valine, 3.9 g, 33.29 mmol)을 사용하는 대신에 D-페닐글라이신(1.5 g, 1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백색 고체의 목적화합물(760 mg, 87%)을 얻었다.
1H NMR(600 MHz, DMSO-d6, δ=2.5 ppm): 12.79 (br s, 1H), 7.96 (d, J=12, 1H), 7.40-7.29 (m, 5H), 5.13 (d, J=12, 1H), 3.55 (s, 3H).
< 제조예 6> (S)-2-( 메톡시카보닐아미노 ) 프로파논산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14
상기 제조예 1에서 L-발린(valine, 3.9 g, 33.29 mmol)을 사용하는 대신에 L-알라닌(0.89 g, 1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무색 오일의 목적화합물(0.83 g, 56%)을 얻었다.
1H NMR(600MHz, δ=7.26 ppm, CDCl3): 10.00 (br s, 1H), 5.49 (d, J=12, 1H), 4.38 (m, 1H), 3.69 (s, 3H), 1.45 (d, J=12, 3H).
< 제조예 7> (S)-2-(2- 메톡시 -2- 옥소에틸 )-3,3- 다이메틸부타논산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15
상기 제조예 1에서 L-발린(valine, 3.9 g, 33.29 mmol)을 사용하는 대신에 L-tert-류신(0.656 g, 5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백색 고체의 목적화합물(0.67 g, 71%)을 얻었다.
1H NMR(600MHz, δ=7.26 ppm, CDCl3): 9.57 (br s, 1H), 5.31 (d, 1H), 4.20 (d, 1H), 3.70 (s, 3H), 1.03 (s, 9H).
< 제조예 8> (S)-3-( tert - 부톡시카보닐 ) 티아졸리딘 -4- 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16
아세토나이트릴(50 ml), 트라이에틸아민(26 ml) 및 증류수(50 ml)의 혼합용액에 L-티오프롤린(10 g, 75 mmol)을 용해시킨 혼합용액을 0℃으로 냉각시킨 다음, 다이-tert-부틸다이카보네이트(21.3 g, 98 mmol)를 첨가하고, 상온으로 천천히 등온하면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생성물을 증류하여 아세토나이트릴을 제거하고, 1N 염산을 이용하여 pH 2로 산성화하였다. 산성화된 반응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된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건조시켰다. 건조된 유기층을 여과하고,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증류하여 용매가 제거된 목적화합물(17 g, 97%)을 얻었다.
1H NMR(600 MHz, DMSO-d6, δ=2.5 ppm): 12.87 (s, 1H), 4.62-4.52 (m, 1H), 4.87 (d, 1H), 4.29 (m, 1H), 3.36 (m, 1H), 3.10 (m, 1H), 1.38-1.34 (app br s, 9H);
13C NMR(600 MHz, DMSO-d6, δ=39.52 ppm): 171.85, 152.59, 79.94, 61.01, 48.56, 33.95, 27.85.
< 실시예 1> 다이메틸 (2R,2'R)-1,1'-((2S, 2'S)-2,2'-( 바이페닐 -4,4'-다이일비스( 아잔다이일 )) 비스 ( 옥소메틸렌 ) 비스 ( 피롤리딘 -2,1- 다이일 )) 비스 (3- 메틸 -1-옥소부탄-2,1- 다이일 ) 다이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17
단계 1: (2S,2'S)- 다이 - tert -부틸 2,2'-( 바이페닐 -4,4'-다이일비스( 아잔다이일 )) 비스 ( 옥소메틸렌 ) 다이피롤리딘 -1-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메틸렌클로라이드(38 ml)에 N-Boc-L-프롤린(8 g, 86.3 mmol),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EDC, 19 g, 99 mmol) 및 벤지딘(benzidine, 7 g, 38 mmol)을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생성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물을 이용하여 층분리하고, 분리된 유기층을 1N의 염산과 소금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건조시켰다. 건조된 상기 유기층을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별도의 정제없이 갈색 고체의 목적화합물(20.7 g, 94%)을 얻었다.
[α]d = -93.1˚(c=10 mg/mL in MeOH);
1H NMR(300 MHz, DMSO-d6, δ=2.5 ppm): 10.06 (s, 2H), 7.69-7.59 (dd, 8H), 4.24 (m, 2H), 3.39 (m, 4H), 2.21 (m, 2H), 1.85 (m, 6H), 1.41-1.28 (app br s, 18H)l;
13C NMR(300 MHz, DMSO-d6, δ=39.52 ppm): 171.53, 153.17, 138.23, 134.45, 126.39, 119.58, 78.45, 60.39, 46.58, 31.04, 28.13, 27.95, 23.43;
LC/MS: Anal. Calcd. For [M+H]+ C32H42N4O6:579.3177; found 579.3152.
단계 2: 다이메틸 (2R,2'R)-1,1'-((2S, 2'S)-2,2'-( 바이페닐 -4,4'-다이일비스( 아잔다이일 )) 비스 ( 옥소메틸렌 ) 비스 ( 피롤리딘 -2,1- 다이일 )) 비스 (3- 메틸 -1- 옥소부탄 -2,1-다이일) 다이카바메이트의 제조
메틸렌클로라이드(1 m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의 혼합용매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합물(138 mg, 0.238 mmol)을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증류하여 휘발물질들을 모두 제거하고,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EDC, 119 mg, 0.62 mmol),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100 mg, 0.572 mmol), 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208 μl, 1.192 mmol) 및 메틸렌클로라이드(1 ml)를 상기 반응 혼합물이 담겨 있는 반응용기에 4분 동안 첨가하고, 상온에서 75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완료되면, 반응생성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물을 이용하여 층분리하고, 분리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건조하였다. 건조된 반응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목적화합물(60 mg, 36%)을 얻었다.
[α]d=-167.2o (c=10 mg/mL in MeOH);
1H NMR(400 MHz, DMSO-d6, δ=2.5 ppm): 10.07 (s, 2H), 7.63-7.54 (dd, 8H), 7.31 (d, 2H), 4.43 (m, 2H), 4.01 (t, 2H), 3.80 (m, 2H), 3.61 (m, 2H), 3.5 (s, 6H), 2.13 (m, 2H), 1.89 (m, 8H), 0.92 (d, 6H), 0.86 (d, 6H);
13C NMR(400 MHz, DMSO-d6, δ=39.52 ppm): 170.39, 170.37, 156.79, 138.25, 134.32, 126.39, 119.34, 60.21, 57.95, 51.43, 47.23, 29.87, 29.47, 24.67, 18.91, 18.63;
LC/MS: Anal. Calcd. For [M+H]+ C36H48N6O8:699.3306; found 693.3572.
< 실시예 2> (S,2S,2'S)-N, N' -( 바이페닐 -4,4'- 다이일 ) 비스 (1-((S)-2-( 다이메틸아미노 )-2- 페닐아세틸 ) 피롤리딘 -2- 카복스아마이드 )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18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138 mg, 0.238 mmol)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화합물(100 mg, 0.5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40 mg, 25%)을 얻었다.
[α]d = -201.3˚(c=19 mg/mL in MeOH);
1H NMR(400 MHz, DMSO-d6, δ=2.5 ppm): 10.09 (s, 2H), 7.68-7.60 (dd, 8H), 7.46-7.29 (m, 10H), 4.37 (m, 2H), 4.21 (s, 2H), 3.87 (m, 2H), 3.45 (m, 2H), 2.16 (s, 12H), 2.16-1.97 (m, 2H), 1.90-1.80 (m, 2H);
13C NMR(400MHz, DMSO-d6, δ=39.52 ppm): 170.51, 169.14, 138.32, 134.32, 129.07, 129.01, 128.23, 127.86, 126.40, 119.39, 71.44, 60.57, 47.19, 42.93, 29.23, 24.51;
LC/MS: Anal. Calcd. For [M+H]+ C42H48N6O4:701.3810; found 701.3774.
< 실시예 3> (S,2S,2'S)-N, N' -( 바이페닐 -4,4'- 다이일 ) 비스 (1-((S)-2-( 다이에틸아미노 )-2- 페닐아세틸 ) 피롤리딘 -2- 카복스아마이드 )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19
단계 1: (2S,2'S)-다이- tert -부틸 2,2'-( 바이페닐 -4,4'-다이일비스( 아잔다이일 ))비스( 옥소메틸렌 ) 다이피롤리딘 -1-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메틸렌클로라이드(38 ml)에 N-Boc-L-프롤린(8 g, 86.3 mmol),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EDC, 19 g, 99 mmol) 및 벤지딘(benzidine, 7 g, 38 mmol)을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생성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물을 이용하여 층분리하고, 분리된 유기층을 1N의 염산과 소금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건조시켰다. 건조된 상기 유기층을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별도의 정제없이 갈색 고체의 목적화합물(20.7 g, 94%)을 얻었다.
[α]d = -93.1˚(c=10 mg/mL in MeOH);
1H NMR(300 MHz, DMSO-d6, δ=2.5 ppm): 10.06 (s, 2H), 7.69-7.59 (dd, 8H), 4.24 (m, 2H), 3.39 (m, 4H), 2.21 (m, 2H), 1.85 (m, 6H), 1.41-1.28 (app br s, 18H)l;
13C NMR(300 MHz, DMSO-d6, δ=39.52 ppm): 171.53, 153.17, 138.23, 134.45, 126.39, 119.58, 78.45, 60.39, 46.58, 31.04, 28.13, 27.95, 23.43;
LC/MS: Anal. Calcd. For [M+H]+ C32H42N4O6:578.31044; found 579.3152.
단계 2: 다이메틸 (2R,2'S)-1,1'-((2R,2'R)-2,2'-( 바이페닐 -4,4'-다이일비스( 아잔다이일 )) 비스 ( 옥소메틸렌 ) 비스 ( 피롤리딘 -2,1- 다이일 )) 비스 (3- 메틸 -1-옥소 부탄 -2,1- 다이일 ) 다이카바메이트의 제조
메틸렌클로라이드(1 m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의 혼합용매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합물(138 mg, 0.238 mmol)을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증류하여 휘발물질들을 모두 제거하고,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EDC, 119 mg, 0.62 mmol),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화합물(100 mg, 0.485 mmol), 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208 μl, 1.192 mmol) 및 메틸렌클로라이드(1 ml)를 상기 반응 혼합물이 담겨 있는 반응용기에 4분 동안 첨가하고, 상온에서 75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완료되면, 반응생성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물을 이용하여 층분리하고, 분리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건조하였다. 건조된 반응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목적화합물(34 mg, 22%)을 얻었다.
[α]d = 181.3˚(c=23 mg/mL in MeOH);
1H NMR(400MHz, DMSO-d6, δ=2.5 ppm): 10.08 (s, 2H), 7.68-7.60 (dd, 8H), 7.43-7.26 (m, 10H), 4.70 (s, 2H), 4.43 (m, 2H), 3.81 (m, 2H), 3.39 (q, 2H), 2.67-2.59 (m, 4H), 2.54-2.45 (m, 4H), 2.11-1.97 (m, 4H), 1.89-1.78 (m, 4H), 0.91 (t, 12H);
13C NMR(400MHz, DMSO-d6, δ=39.52 ppm): 170.51, 169.84, 138.29, 137.54, 134.31, 129.09, 128.07, 127.47, 126.38, 119.38, 66.20, 60.45, 47.07, 43.17, 29.22, 24.58, 12.60;
LC/MS: Anal. Calcd. For [M+H]+ C46H56N6O4:757.4436; found 757.4392.
< 실시예 4> 다이메틸 (1S,1'S)-2,2'-((2S, 2'S)-2,2'-( 바이페닐 -4,4'-다이일비스( 아잔다이일 )) 비스 ( 옥소메틸렌 ) 비스 ( 피롤리딘 -2,1- 다이일 )) 비스 (2-옥소-1- 페닐에탄 -2,1- 다이일 ) 다이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20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138 mg, 0.238 mmol)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조예 5에서 제조된 화합물(100 mg, 0.485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53 mg, 46%)을 얻었다.
[α]d = -226.3˚ (c=30 mg/mL in MeOH);
1H NMR(400MHz, DMSO-d6, δ=2.5 ppm): 9.95 (s, 2H), 7.74-7.58 (m, 9H), 7.51-7.30 (m, 10H), 7.14 (app br s, 1H), 5.51 (d, 2H), 4.42 (app br d, 2H), 3.83 (app br s, 2H), 3.55 (s, 6H), 3.20 (app br d, 2H), 2.04-1.79 (m, 8H);
13C NMR(400MHz, DMSO-d6, δ=39.52 ppm): 170.22, 168.35, 156.07, 138.09, 137.17, 134.43, 128.58, 128.03, 127.84, 126.36, 119.57, 60.69, 56.68, 51.63, 46.94, 29.33, 24.25;
LC/MS: Anal. Calcd. For [M+H]+ C42H44N6O8:761.3293; found 761.3263.
< 실시예 5> (R,2S,2'S)-N, N' -( 바이페닐 -4,4'- 다이일 ) 비스 (1-((R)- 라하이드로퓨란 -2- 카보닐 ) 피롤리딘 -2- 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21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138 mg, 0.238 mmol)을 사용하는 대신에 (R)-(+)-테트라하이드로퓨란-2-카르복실산(83 μl, 0.863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01 mg, 49%)을 얻었다.
[α]d = -152.9˚ (c=26 mg/mL in MeOH);
1H NMR(400MHz, DMSO-d6, δ=2.5 ppm): 10.21 (s, 2Htrans 또는 2Hcis), 10.05 (s, 2Htrans 또는 2Hcis), 7.67-7.59 (dd, 8H), 4.79 (d, 2Htrans 또는 2Hcis), 4.58 (t, 2Htrans 또는 2Hcis), 4.42 (d, 2Htrans 또는 2Hcis), 4.30 (t, 2Htrans 또는 2Hcis), 3.83-3.68 (m, 5Htrans/5Hcis), 3.58-3.37 (m, 3Htrans /3Hcis), 2.13-1.75 (m, 16Htrans /16Hcis);
13C NMR(400MHz, DMSO-d6, δ=39.52 ppm): 170.78, 170.52, 170.29, 170.13, 138.21, 134.31, 126.50, 126.43, 126.38, 126.31, 119.77, 119.44, 76.22, 76.08, 68.38, 68.18, 60.37, 59.77, 46.99, 46.62, 32.09, 29.16, 28.22, 25.32, 25.05, 24.62, 21.80;
LC/MS: Anal. Calcd. For [M+H]+ C36H38N4O6:575.2864; found 575.2839.
< 실시예 6> 다이메틸 (2S,2'S)-1,1'-((2S,2'R)-2,2'-( 바이페닐 -4,4'-다이일비스( 아잔다이일 )) 비스 ( 옥소메틸렌 ) 비스 ( 피롤리딘 -2,1- 다이일 )) 비스 (1- 옥소프로 판-2,1-다이일) 다이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2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138 mg, 0.238 mmol)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조예 6에서 제조된 화합물(100 mg, 0.51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69 mg, 47%)을 얻었다.
[α]d = +19.7˚ (c=23 mg/mL in CHCl3);
1H NMR(400MHz, DMSO-d6, δ=2.5ppm): 10.00 (s, 2H), 7.63-7.55 (dd, 8H), 7.32 (d, 2H), 4.43 (m, 2H), 4.30 (t, 2H), 3.65 (m, 2H), 3.58 (m, 2H), 3.49 (s, 6H), 2.14 (m, 2H), 1.96 (m, 6H), 1.18 (d, 6H);
13C NMR(400MHz, DMSO-d6, δ=39.52 ppm): 171.30, 170.80, 156.65, 138.59, 134.73, 126.73, 119.81, 60.62, 51.74, 48.36, 47.11, 29.70, 25.08, 17.19;
LC/MS: Anal. Calcd. For [M+H]+ C32H40N6O8:637.2980; found 637.2949.
< 실시예 7> 다이메틸 (2S,2'S)-1,1'-((2S,2'R)-2,2'-( 바이페닐 -4,4'-다이일비스( 아잔다이일 )) 비스 ( 옥소메틸렌 ) 비스 ( 피롤리딘 -2,1- 다이일 )) 비스 (3,3- 다이메틸 -1- 옥소부탄 -2,1- 다이일 ) 다이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2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138 mg, 0.238 mmol)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조예 7에서 제조된 화합물(100 mg, 0.53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38 mg, 24%)을 얻었다.
[α]d = -116.3˚ (c=33 mg/mL in MeOH);
1H NMR(400MHz, DMSO-d6, δ=2.5 ppm): 10.11 (s, 2H), 7.66-7.57 (dd, 8H), 7.09 (d, 2H), 4.48 (m, 2H), 4.23 (d, 2H), 3.79 (m, 2H), 3.63 (m, 2H), 3.54 (s, 6H), 2.18 (m, 2H), 2.00 (m, 2H), 1.89 (m, 4H), 0.98 (s, 18H);
13C NMR(400MHz, DMSO-d6, δ=39.52 ppm): 170.38, 169.58, 156.87, 138.27, 134.34, 126.41, 119.34, 60.24, 59.12, 51.48, 47.94, 34.46, 29.50, 26.37, 24.81;
LC/MS: Anal. Calcd. For [M+H]+ C38H52N6O8:721.3919; found 721.3882.
< 실시예 8> 다이메틸 (2S,2'S)-1,1'-((2S,2'R)-2,2'-( 바이페닐 -4,4'-다이일비스( 아잔다이일 )) 비스 ( 옥소메틸렌 ) 비스 ( 피롤리딘 -2,1- 다이일 )) 비스 (3- 메틸 -1-옥소부탄-2,1- 다이일 ) 다이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24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138 mg, 0.238 mmol)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화합물(100 mg, 0.57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69 mg, 42%)을 얻었다.
[α]d = -164.4˚(c=47 mg/mL in MeOH);
1H NMR(400MHz, DMSO-d6, δ=2.5ppm): 10.11 (s, 2H), 7.67-7.58 (dd, 8H), 7.32 (d, 2H), 4.48 (m, 2H), 4.05 (t, 2H), 3.83 (m, 2H), 3.64 (m, 2H), 3.54 (s, 6H), 2.18 (m, 2H), 1.94 (m, 8H), 0.96 (d, 6H), 0.90 (d, 6H);
13C NMR(400MHz, DMSO-d6, δ=39.52 ppm): 170.39, 170.37, 156.79, 138.26, 134.33, 126.38, 119.36, 60.22, 57.95, 51.42 47.24, 29.88, 29.46, 24.67, 18.92, 18.61;
LC/MS: Anal. Calcd. For [M+H]+ C36H48N6O8:693.3606; found 693.3577.
< 실시예 9> 다이메틸 (1S,1 S' )-2,2'-((4R,4'R)-4,4'-( 바이페닐 -4,4'-다이일비스( 아잔다이일 )) 비스 ( 옥소메틸렌 ) 비스 ( 티아졸리딘 -4,3- 다이일 )) 비스 (2-옥소-1-페 닐에 탄-2,1- 다이일 ) 바이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13037129820-pat00025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N-Boc-L-프롤린(8 g, 86.3 mmol)을 사용하는 대신에 L-티오프롤린(5 g, 37.5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5 mg, 14%)을 얻었다.
1H NMR(400MHz, DMSO-d6, δ=2.5 ppm): 9.89 (s, 2H), 7.93 (d, 2H), 7.73-7.16 (m, 18H), 5.64 (d, 2H), 4.87 (m, 4H), 4.53 (d, 2H), 3.58 (s, 6H), 3.31 (s, 2H), 3.20-3.16 (m, 2H);
13C NMR(400MHz, DMSO-d6, δ=39.52 ppm): 168.32, 167.90, 156.36, 137.76, 136.26, 134.68, 128.66, 128.25, 128.11, 126.42, 119.78, 63.18, 56.81, 51.76, 48.98, 33.08.
<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대한 항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효과의 평가 1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들의 항C형 간염 바이러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12개의 세포배양 웰을 가진 세포 배양판에 간암 세포주인 huh7.5.1 세포를 각 웰 당 약 5만 개씩 분주하였다. 분주된 세포는 10% (v/v)의 FBS(Fetal Bovine Serum SH30406.02, Hyclone Co.) 및 1% (v/v)의 항생제(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 SV30010, Hyclone Co.)를 첨가한 DMEM 배양액(둘코스 개량 이글 배양액 12800-017, GIBCO Co.)을 이용하여 37℃의 6.0% 이산화탄소 세포 배양기(CO2 Incubator 311, Forma Scientific Co, Lnc. USA) 안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플레이트 바닥에 부착시켰다. 그 후, 리포터(reporter)로써 레닐라 루시페라아제 유전자(Remilla luciferase gene)를 가진 C형 간염 바이러스(JFH-5aFlucm4, PLoS One. 2011;6(8):e228808.)를 3시간 동안 분주된 세포에 접종하였다. 3시간의 바이러스 접종이 끝나면,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각각 1 μM의 농도로 배양액에 첨가하여 만든 새로운 세포 배양액을 각 웰에 주입하고, 37℃의 6.0% 이산화탄소 세포 배양기(CO2 Incubator 311, Forma Scientific Co, Lnc. USA) 안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감염 3일 후에, 세포 배양액은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따로 모아두고, 세포는 인산 완충 용액(PBS,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세척하고 100 μL의 1X 간접 분해 버퍼(passive lysis buffer, E1941)를 처리하여 용해시켰다. 용해된 세포액(10 μL)을 레닐라 루시페라아제 분석 시스템(Renilla Luciferase assay system, Promega, E2820)의 레닐라 루시페라아제 분석 시약(50 μL)에 주입하고 혼합하여 루미노미터(Luminometer, GLOMAX 20/20 Luminometer, Promega)에서 루시페라아제 측정(Luciferase measur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0초 동안 발광량(luminescence)을 측정하였다. 이때, 각각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의 화합물을 처리한 처리군 및 무처리군의 발광량을 3회씩 측정하여 그 평균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독성 분석 키트(cytotoxicity assay kit, Lonza, LT07-117)의 사용법에 따라 각 웰 당 배양한 배지 20 μL를 취하고 AK 검출 시약(AK detection reagent, ToxiLight® Non-destructive Cytotoxicity Bio Assay Kit LT07-117, Lonza Co., 100 μL)을 첨가하여 5분 동안 방치한 다음 빅터3(VICTOR3 TM wallaac 1420-051 Multiabel plate Counter, PerkinElmer Inc. Boston, MA, USA)로 월락 1420 워크스테이션(Wallac 1420 workst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565 nm 파장에서, 1초 동안 발광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의 화합물 처리군 및 무처리군의 발광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간암 세포주에 존재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1 μM로 처리한 경우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억제활성이 약 50% 이상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2, 3, 4, 7, 8 및 9에서 제조된 화합물들의 형광발광 활성은 0.00%로 나타나 항바이러스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의 세포독성 실험 결과, 1 μM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25 μM의 농도로 처리할 경우에는 세포독성를 확인하는 키트의 형광이 565 nm에서 발광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세포독성이 낮아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로 인한 부작용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들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C형 간염 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므로,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되는 급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 또는 간세포성 암과 같은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대한 항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효과의 평가 2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들의 항C형 간염 바이러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12개의 세포배양 웰을 가진 세포 배양판에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 및 번역과정을 측정할 수 있는 리플리콘(replicon)인 NK/R2AN을 가진 huh7.5.1 세포를 각 웰 당 약 5만 개 정도를 분주하였다. 분주된 세포는 최종농도가 10%(v/v)의 FBS(Fetal Bovine Serum SH30406.02, Hyclone Co.), 1%(v/v)의 항생제(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 SV30010, Hyclone Co.) 및 G418(600 μg/mL, Calbiochem)을 첨가한 DMEM 배양액(둘코스 개량 이글 배양액 12800-017, GIBCO Co.)을 이용하여 37℃, 6.0% 이산화탄소 세포 배양기(CO2 Incubator 311, Forma Scientific Co, Lnc. USA) 안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플레이트 바닥에 부착시켰다. 그 후, 세포를 키우고 있던 세포 배양액은 제거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각각 40 pM 내지 1μM의 농도로 배양액에 첨가하여 만든 새로운 세포 배양액을 각 웰에 주입하고, 37℃의 6.0% 이산화탄소 세포 배양기(CO2 Incubator 311, Forma Scientific Co, Lnc. USA) 안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감염 3일 후에, 세포 배양액은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따로 모아두고, 세포는 인산 완충 용액(PBS,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세척하고 100 μL의 1X 간접 분해 버퍼(passive lysis buffer, E1941)를 처리하여 용해시켰다. 용해된 세포액(10 μL)을 레닐라 루시페라아제 분석 시스템(Renilla Luciferase assay system, Promega, E2820)의 레닐라 루시페라아제 분석 시약(50 μL)에 주입하고 혼합하여 루미노미터(Luminometer, GLOMAX 20/20 Luminometer, Promega)에서 루시페라아제 측정(Luciferase measur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0초 동안 발광량(luminescence)을 측정하였다. 이때, 각각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화합물을 처리한 처리군 및 무처리군의 발광량을 3회씩 측정하여 그 평균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발광량을 시그마 플롯 프로그램(sigma plot program)을 이용하여 최대 50% 유효농도(hal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 EC50)을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계산된 EC50이 100pm 미만인 경우에는 A; 100 pm - 1 nM인 경우에는 B; 1 nM - 100 nM인 경우에는 C; 및 100 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D로 나누어 등급 표시하였다.
또한, 각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독성 분석 키트(cytotoxicity assay kit, Lonza, LT07-117)의 사용법에 따라 각 웰 당 배양한 배지 20 μL를 취하고 AK 검출 시약(AK detection reagent, ToxiLight® Non-destructive Cytotoxicity Bio Assay Kit LT07-117, Lonza Co., 100 μL를 첨가하여 5분 동안 방치한 다음 빅터3(VICTOR3 TM wallaac 1420-051 Multiabel plate Counter, PerkinElmer Inc. Boston, MA, USA)로 월락 1420 스테이션(Wallac 1420 workst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565 nm 파장에서, 1초 동안 발광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화합물 처리군 및 무처리군의 발광량을 비교분석하였다.
50% 저해 농도 등급
실시예 1 D
실시예 2 B
실시예 3 C
실시예 4 A
실시예 5 D
실시예 6 -
실시예 7 C
실시예 8 C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들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하여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 3, 4, 7 및 8에서 제조된 화합물은 EC50 값이 1 nM 이하로 나타나 항바이러스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화합물의 경우 EC50값이 100 pm 미만으로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현저히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의 세포독성 실험 결과, 25 μM의 농도로 처리할 경우에는 세포독성를 확인하는 키트의 형광이 565 nm에서 발광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현저히 낮은 농도에서도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세포독성이 낮아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로 인한 부작용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들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하여 상당히 낮은 농도에서도 항C형 간염 바이러스 효과가 현저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므로,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되는 급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 또는 간세포성 암과 같은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3> 약물의 약리활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의 약물동태(pharmacokinetic) 변화를 통한 약물의 약리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컷 마우스에 대하여 경구 및 정맥투여를 수행하여 약물동태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2.5 mg/ml의 농도로 용해시킨 후, 경구 투여의 경우, 구강으로 용해된 약물을 5 mg/kg로 투여하고 경정맥으로부터 정해진 시간에 채혈하였으며, 정맥투여의 경우, 수컷 마우스의 경정맥 및 대퇴정맥에 관을 삽입하여 대퇴정맥으로 용해된 약물을 5 mg/kg로 투여하고, 정해진 시간에 채혈을 하였다. 채혈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적정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혈장 및 뇨 시료를 전처리한 후, LC-MS/MS로 농도를 분석하였다. 이때, LC-MS/MS는 질량분석기(Mass spectrometry, Agilent 6460 QQQ, Agilent), LC 램프(Agilent 1260, Agilent), 오토샘플러(Agilent 1260, Agilent) 및 자료 분석 시스템(Peak Sample Data System, Analyst 1.4.2, Applied Biosystems)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시료 주입량: 10μl, 유속: 0.3 ml/min, 컬럼: 3 μm의 C18 컬럼(50 mm × 2.0 mm, 12 nm, YMC), 용출용매: 아세토니트릴:10 mM 암모니움포메이트 완충용액=90:10 (v/v) 및 MS/MS 조건: MRM 모드: HCV(m/z 761.81→70.1), IS(이미프라민, m/z 281.2→86.2). 경구 및 정맥 투여 후 분석된 약물의 혈중 농도-시간 결과값으로부터, WinNonlin(Pharsight, USA)을 이용하여 비구획 약물동태학 매개변수(noncompartmental pharmacokinetic parameter)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매개변수 정맥주사 경구투여
Tmax (시간) - 2 ± 1.73
Cmax (μg/ml) - 0.188 ± 0.0518
T1 /2 (시간) 4.09 ± 3.06 15 ± 9.5
AUC0 -t (μg·hr/ml) 9.16 ± 1.03 1.83 ± 0.565
AUC0 -∞ (μg·hr/ml) 9.37 ± 1.06 2.5 ± 0.498
CL (L/kg/hr) 0.538 ± 0.0595 -
Vss (L/kg) 1.31 ± 0.144 -
Ft (%) 20 -
상기 표 2,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생체 내에서 우수한 약물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약물 투여 후 24시간까지의 AUC0 - 24값은 정맥 투여한 경우 9.16 μg/ml, 경구 투여한 경우 1.83 μg/ml로 나타났으며, 무한시간까지의 AUC0 -∞값은 정맥 투여한 경우 9.37μg/ml, 경구 투여한 경우 2.5 μ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구 투여한 경우의 혈장 내 약물의 최대농도(Cmax)는 0.188 μg/ml로 확인되었으며, 약물의 농도가 최대에 이르는데 걸리는 시간(Tmax)은 2시간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상기 측정값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의 생체 이용률은 20%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생체 내에 투여되고 2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그 농도가 최대가 되며, 생체 이용률이 20%에 달하는 우수한 약물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들은 생체 내에 빠른 속도로 흡수되고, 생체 내에서 높은 생체 이용률로 약물 효과를 발휘하여 약리활성이 우수하므로,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되는 급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 또는 간세포성 암과 같은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4> hERG 리간드 결합 분석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들의 심장독성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돌연사는 체내에 흡수된 약물들의 hERG 포타슘 채널 저해를 통한 심전도 QT 간격(electrodardiogram(ECG) QT interval)의 증가로 인하여 유발되는 심장독성(TdPa, 심실부정맥) 때문에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화합물의 Herg 저해활성을 hERG와 높은 친화력을 갖는 적색형광 hERG 채널 리간드 검출제를 이용한 형광 분극화도를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써 hERG 억제제인 아스테미졸(astemizole)을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hERG 저해 활성을 비교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억제률 (μM)
실시예 9.8
대조군 0.0019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hERG에 대한 저해효과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hERG에 처리하였을 경우, 실시예 4의 화합물과 hERG의 세포막의 결합이 잘 형성되지 않으므로 실시예 4의 화합물과 대비하여 hERG와 친화력이 높은 적색형광 hERG 채널 리간드 검출제가 hERG 세포막에 결합하여 높은 분극화도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4의 화합물의 분극화도를 통하여 측정된 hERG의 억제 유효농도는 9.8 μM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hERG의 저해제로서 알려져 있는 아스테미졸을 사용한 대조군의 경우 hERG의 억제 유효농도는 0.0019 μM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의 화합물에 비하여 약 5160배의 높은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hERG에 대한 억제 활성이 현저히 낮으므로 돌연사를 유발하는 심장독성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들은 hERG을 저해하는 효과가 현저히 낮으므로 hERG의 저해로 인하여 유발되는 심장독성 등의 부작용이 없으므로,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되는 급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 또는 간세포성 암과 같은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5> 혈장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의 생체 내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다이메틸설폭사이드에 5 μM이 되도록 용해시켜 시료용액을 제조하였다. pH 7.4의 인산완충용액과 혈장을 1:1로 혼합시킨 혈장 용액(495 μl)을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주입하고, 상기에서 제조된 시료용액(5 μl)을 주입하였다. 그 후 상기 플레이트의 리드(lid)를 덮고 오비탈 쉐이커(orbital shaker)를 이용하여 37℃에서 100 rpm으로 0.5시간, 1시간, 4시간 동안 진탕배양하고, 0℃-5℃의 아세토나이트릴을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때, 시료용액을 처리하고 경과시간이 0시간인 경우는 혈장용액이 있는 플레이트에 시료용액을 주입함과 동시에 아세토나이트릴를 주입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상기 플레이트를 냉동보관한 다음, 10분 동안 3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상등액(100 μl)을 96-웰 분석 플레이트에 주입하여 LC-MS/MS 분석을 수행하였다. 0시간 경과한 경우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각 시료처리 경과시간에 따른 측정값을 대비하여 처리시간에 따른 혈장 생존률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0.5시간 경과 후의
생존률(%)
1시간 경과 후의
생존률(%)
4시간 경과 후의
생존율(%)
실시예 4 >99 >99 >99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생체 내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혈장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의 화합물을 처리하고 4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마우스 혈장의 생존률은 99%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생체 내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생체 내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에 안전하므로,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되는 급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 또는 간세포성 암과 같은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는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를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
만니톨 180 ㎎
Na2HPO4ㆍ2H2O 26 ㎎
증류수 2974 ㎎
통상적인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5> 건강식품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 제제예 7> 기타 건강식품의 제조
7-1. 음료의 제조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화학식 1의 화합물 0.48-1.28 ㎎
물 200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7-2.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20 %
설탕 76.36-76.76 %
화학식 1의 화합물 0.24-0.64 %
후르츠향 1 %
물 2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7-3. 캔디의 제조
설탕 50-60 %
물엿 39.26-49.66 %
화학식 1의 화합물 0.24-0.64 %
오렌지향 0.1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캔디를 제조하였다.
7-4. 밀가루 식품의 제조
화학식 1의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를 0.5 내지 5 중량부를 밀가루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7-5.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화학식 1의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를 5 내지 10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7-6. 선식의 제조
현미 30 %
율무 15 %
보리 20 %
들깨 7 %
검정콩 7 %
검은깨 7 %
화학식 1의 화합물 3 %
영지 0.5 %
지황 0.5 %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 시켜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분말로 분쇄된 곡물류 및 종실류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를 상기와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화학식 1]
    Figure 112014096786465-pat0003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페닐 또는 메톡시카보닐아미노이고;
    R2는 메틸, 이소프로필, tert-부틸, 다이메틸아미노, 다이에틸아미노 또는 메톡시카보닐아미노이고;
    상기 R1 및 R2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는 경우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형성할 수 있고; 및
    X는 황(S) 원자 또는 메틸렌(CH2)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1) 다이메틸 (2R,2'R)-1,1'-((2S, 2'S)-2,2'-(바이페닐-4,4'-다이일비스(아잔다이일))비스(옥소메틸렌)비스(피롤리딘-2,1-다이일))비스(3-메틸-1-옥소부탄-2,1-다이일)다이카바메이트;
    (2) (S,2S,2'S)-N,N'-(바이페닐-4,4'-다이일)비스(1-((S)-2-(다이메틸아미노)-2-페닐아세틸)피롤리딘-2-카복스아마이드);
    (3) (S,2S,2'S)-N,N'-(바이페닐-4,4'-다이일)비스(1-((S)-2-(다이에틸아미노)-2-페닐아세틸)피롤리딘-2-카복스아마이드);
    (4) 다이메틸 (1S,1'S)-2,2'-((2S, 2S')-2,2'-(바이페닐-4,4'-다이일비스(아잔다이일))비스(옥소메틸렌)비스(피롤리딘-2,1-다이일))비스(2-옥소-1-페닐에탄-2,1-다이일)다이카바메이트
    (5) (R,2S,2'S)-N,N'-(바이페닐-4,4'-다이일)비스(1-((R)-테트라하이드로퓨란-2-카보닐)피롤리딘-2-카복스아마이드;
    (6) 다이메틸 (2S, 2'S)-1,1'-((2S,2R')-2,2'-(바이페닐-4,4'-다이일비스(아잔다이일))비스(옥소메틸렌)비스(피롤리딘-2,1-다이일))비스(1-옥소프로판-2,1-다이일)다이카바메이트;
    (7) 다이메틸 (2S,2S')-1,1'-((2S,2R')-2,2'-(바이페닐-4,4'-다이일비스(아잔다이일))비스(옥소메틸렌)비스(피롤리딘-2,1-다이일))비스(3,3-다이메틸-1-옥소부탄-2,1-다이일)다이카바메이트;
    (8) 다이메틸 (2S,2'S)-1,1'-((2S, 2'R)-2,2'-(바이페닐-4,4'-다이일비스(아잔다이일))비스(옥소메틸렌)비스(피롤리딘-2,1-다이일))비스(3-메틸-1-옥소부탄-2,1-다이일)다이카바메이트; 및
    (9) 다이메틸 (1S,1S')-2,2'-((4R,4'R)-4,4'-(바이페닐-4,4'-다이일비스(아잔다이일))비스(옥소메틸렌)비스(티아졸리딘-4,3-다이일))비스(2-옥소-1-페닐에탄-2,1-다이일)바이카바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5.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지딘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탈보호화제와 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5의 화합물과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3037129820-pat00027

    (상기 반응식 1에 있어서, R1, R2 및 X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및
    PG는 아민 보호기이다).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96786465-pat00034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X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은 급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 및 간세포성 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간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4096786465-pat00035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X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은 급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 및 간세포성 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간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130046749A 2013-04-26 2013-04-26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07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749A KR101507914B1 (ko) 2013-04-26 2013-04-26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14787683.3A EP2990406B1 (en) 2013-04-26 2014-04-25 Benzidine derivativ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enzidine derivative for treating liver disease caused by hepatitis c virus
PCT/KR2014/003660 WO2014175699A1 (ko) 2013-04-26 2014-04-25 벤지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4/884,356 US9598362B2 (en) 2013-04-26 2015-10-15 Benzidine derivativ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enzidine derivative for treating liver disease caused by hepatitis C vir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749A KR101507914B1 (ko) 2013-04-26 2013-04-26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066A KR20140128066A (ko) 2014-11-05
KR101507914B1 true KR101507914B1 (ko) 2015-04-07

Family

ID=5245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6749A KR101507914B1 (ko) 2013-04-26 2013-04-26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9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331A (ko) 2018-11-05 2020-05-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티아졸리딘디온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44608A (ko) 2021-04-20 2022-10-2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마이크로입자 기반 핵산 검출용 키트 및 핵산 증폭산물 검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969B1 (ko) * 2016-08-30 2018-08-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카르바졸 화합물
KR102204912B1 (ko) 2019-03-08 2021-01-1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3326A1 (en) * 2005-06-06 2006-12-1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cv replication
WO2008144380A1 (en) * 2007-05-17 2008-11-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3326A1 (en) * 2005-06-06 2006-12-1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cv replication
WO2008144380A1 (en) * 2007-05-17 2008-11-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331A (ko) 2018-11-05 2020-05-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티아졸리딘디온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44608A (ko) 2021-04-20 2022-10-2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마이크로입자 기반 핵산 검출용 키트 및 핵산 증폭산물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066A (ko)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9013C2 (ru) Способы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ингибирования полимеразы
TWI504597B (zh) 結合於細胞凋亡抑制蛋白(iap)之桿狀病毒iap重複序列(bir)區域之化合物
US9598362B2 (en) Benzidine derivativ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enzidine derivative for treating liver disease caused by hepatitis C virus
CN114057702B (zh) 一种新型冠状病毒主蛋白酶的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MX2013013670A (es) Alifanos, ciclofanos, heterafanos, heterofanos, hetero-heterafanos y metalocenos sustituidos utiles para tratar infecciones por el vhc.
JP2013040209A (ja) Tlrアゴニスト
CN115960088A (zh) 一种新型冠状病毒主蛋白酶的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507914B1 (ko) 신규한 바이페닐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1893573A1 (en) Inhibitors of hcv replication
RO119413B1 (ro) Derivaţi izosteri ai substratului aspartat proteazei, sărurile lor, compoziţii farmaceutice şi utilizare
WO2019047161A1 (en) IMIDAZOLIDINE COMPOUNDS
KR20080048489A (ko) 신규 항암 병용제
KR102044904B1 (ko) 헤테로사이클에 의해 구조화된 트라이펩타이드 에폭시케톤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CN114539265A (zh) 靶向a2a的苯并咪唑并吡嗪-3-甲酰胺及其肿瘤免疫功能
KR101628933B1 (ko) 벤지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8022056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KR101766822B1 (ko) 디페닐설페이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3603743A (zh) 一类具有联合治疗作用的cddo/川芎嗪醇杂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3686185B1 (en) Fluoren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hcv-related disease
WO2017051761A1 (ja) 新規なプロドラッグ
WO2023232048A1 (zh) 喜树碱前药及其药物组合物
WO2017023684A2 (en) Covalent irreversible inhibitors of usp7 as anti-cancer agents
TW202106677A (zh) 用於治療c型肝炎病毒感染之ns5a的二胺甲酸酯抑制劑
CN114805141A (zh) 4-胍基苯甲酸芳基酯类化合物及其在抗SARS-CoV-2病毒中的用途
JP2004511489A (ja) ポリヒドロキシアルキル基およびポリヒドロキシシクロアルキル基を有するセリンプロでアーゼの低分子インヒビ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