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569B1 - 스윙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스윙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569B1
KR101507569B1 KR20140177334A KR20140177334A KR101507569B1 KR 101507569 B1 KR101507569 B1 KR 101507569B1 KR 20140177334 A KR20140177334 A KR 20140177334A KR 20140177334 A KR20140177334 A KR 20140177334A KR 101507569 B1 KR101507569 B1 KR 101507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magnet
moving
moving body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7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원
Original Assignee
최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원 filed Critical 최승원
Priority to KR20140177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569B1/ko
Priority to JP2015154557A priority patent/JP5861975B1/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5Golf club selection aids informing player of his average or expected shot distance for each clu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스윙, 다운스우이, 임펙트존을 지나면서 팔로우 스윙으로 이어지는 골프 스윙에서 적당한 스윙템포를 유지하면서 임펙트 존을 지날 때 헤드 스피드를 빠르게 높일 수 있도록 연습할 수 있게, 원심력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부를 전후 이동하면서 일정 스피드로 스윙이 이루어지면 이동체의 단부가 제2 몸체의 내측에 부딪혀 소리가 나도록 하되, 스윙 강도 조절을 위한 어져스트-링과 어져스트-너트에 걸림유닛을 구비하여 스윙 시 조절된 어져스트 너트가 임의로 회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윙 연습장치{SWING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스윙, 다운스우이, 임펙트존을 지나면서 팔로우 스윙으로 이어지는 골프 스윙에서 적당한 스윙템포를 유지하면서 임펙트 존을 지날 때 헤드 스피드를 빠르게 높일 수 있도록 연습할 수 있게, 원심력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부를 전후 이동하면서 일정 스피드로 스윙이 이루어지면 이동체의 단부가 제2 몸체의 내측에 부딪혀 소리가 나도록 하되, 스윙 강도 조절을 위한 어져스트-링과 어져스트-너트에 걸림유닛을 구비하여 스윙 시 조절된 어져스트 너트가 임의로 회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은 적절한 리듬을 갖추고 있어야만 미스샷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적당한 리듬 또는 템포를 갖추면서 헤드 스피드를 빠르게 하는 것이 장타의 용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골프 스윙시에 헤드 스피드는 임팩트시 가장 빠른 스피드를 내야하고, 이러한 임팩트시에 가장 빠른 헤드 스피드는 적절한 리듬을 유지해야만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골프 스윙을 연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0-0111934호 『지팡이 및 골프 스윙 연습용 헤드 및 이를 사용한 지팡이 겸용 골프 스윙 연습기』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지팡이 또는 골프 스윙 연습기의 선단에 부착되는 지팡이 및 골프 스윙 연습용 헤드로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지팡이 또는 골프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골프채를 삽입하여 헤드 무게를 조절함으로서 다양한 골프 스윙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로서, 스윙 연습 시에 매번 골프채를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573577호 『원심력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골프 그립 및 원심력 스윙의 기본을 연습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막대형 몸체 일 측에 동일 직경이 일정 폭 유지되는 전방 중앙 상부에 평평하게 깎인 궤도판을 가지며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대향되는 몸체 일 측에는 왼손뒤 끝 부분에 맞춤이 되도록 소정 폭의 비대칭형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와 걸림턱 사이에는 사용자 양손이 파지되는 그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배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골프채를 잡는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윙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연습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골프채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무게를 따로 연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4-0101751호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손잡이, 몸체, 중량체로 이루어지는 전체적 구성에서 손잡이와 몸체는 골프채와 흡사한 듯 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중량체가 부가될 수 있으며, 특히 몸체는 탄성변형에 의한 휨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일단에서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며, 중량체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하부연결구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스윙을 하는 경우 적절한 스피드의 스윙을 하였는지 알 수가 없고, 다양한 무게의 중량체를 모두 소지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출원인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388527호 『스윙 연습용 골프클립』을 제시하고 있으며,
상기 종래기술은 골프 스윙 시 내부에 구비되는 이동체가 제2 몸체의 바닥면을 타격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킴으로서 적절한 스윙 스피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동체와 자석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어져스트-링 및 어져스트-너트를 구비하여 자석부재와 이동체의 간격조절로 스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어져스트-링과 어져스트-너트를 이용하는 경우, 반복된 스윙에 의해 임의로 어져스트-너트가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본원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출원된 등록특허 제10-1388527호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을 개선한 스윙 연습장치에 있어서,
샤프트 선단에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구비하고, 제2 몸체에는 이동체를 구비하여 스윙에 따라 이동체가 제2 몸체의 하단을 타격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키게 하고, 제1 몸체에는 마그넷이 구비되는 어져스트-링 및 어져스트-너트를 구비하여 마그넷과 이동체의 간격을 조절하여 스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져스트-링과 어져스트-너트에는 걸림유닛을 더 구비하여, 단계별 스윙강도 조절이 가능하고, 반복되는 스윙을 하는 경우에도 임의로 어져스트-너트가 회전하여 스윙강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이동체가 마그넷에 직접 타격되지 않도록 제1 몸체 내부에 걸림단턱을 구비함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제2 몸체에 발광유닛을 더 구비하여, 이동체가 제2 몸체의 내측 단부를 타격하는 경우, 스위치가 작동되어 발광유닛에 빛이 발산되어 시각적으로도 적정 스피드가 확보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 선단에 구비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외면에 구비되는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을 포함하는 제1 몸체와,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어 제1 몸체 선단에 구비되고, 내측에 이동체가 내삽되는 이동부를 구비한 제2 몸체를 포함하는 헤드유닛;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어 마그넷이 고정결합되는 마그넷결합부와 상기 마그넷결합부 양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드홈에 결합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어져스트-링; 및
상기 제1 몸체의 외곽을 감싸면서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져스트-링이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어져스트-링이 전/후진되어 상기 마그넷과 이동체의 간극을 조절하는 어져스트-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어져스트-너트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요철부와, 상기 어져스트-링의 날개부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에 구비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걸림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는 샤프트 선단에 구비되는 제1 몸체 및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내부에 이동체가 구비됨에 따라 스윙에 따라 이동체가 원심력에 의해 제2 몸체의 내부 선단을 타격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킴으로서 적절한 스윙이 이루어졌는지 사용자가 손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스윙 강도 조절을 위해 마그넷이 구비되는 어져스트-링을 어져스트-너트를 회전시킴에 따라 어져스트-링이 전/후 이동하여 이동체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강도의 스윙연습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걸림유닛을 더 구비하여, 반복되는 스윙 동작에 의해 어져스트-너트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한 스윙 연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몸체에는 걸림단턱이 구비되어, 이동체가 후단으로 이동하는 경우 마그넷에 직접 타격하지 않고, 상기 걸림단턱에 타격될 수 있도록 하여 마그넷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몸체의 단부에는 상기 이동체가 제2 몸체의 선단 내측을 타격함에 따라 스위치가 작동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유닛을 구비하여 앞서말한 타격음과 함께 빛에 의한 시각적 표시도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스윙연습을 진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의 걸림유닛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을 기준으로 샤프트(10)의 방향을 후단, 헤드유닛(20)의 방향을 선단으로 정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A)는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 선단에 구비되는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3)를 포함하는 헤드유닛(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샤프트(10)의 후단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그립(11)이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10)의 선단부에는 스윙 시 무게감을 주기 위한 제1 및 제2 몸체(21)(23)를 포함하는 헤드유닛(20)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A)의 헤드유닛(20)은 스윙 시 헤드 스피드가 일정 이상으로 나올 때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제1 몸체(21), 제2 몸체(23), 마그넷(311), 이동체(237)와, 상기 마그넷(311)과 이동체(237)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어져스트-링(30) 및 어져스트-너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상술하도록 한다.
먼저 제1 몸체(21)는 샤프트(10)의 선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나사산(211A)이 가공된 원통형의 가이드벽(211)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내측에 안착부(213)를 형성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가이드벽(211)의 나사산(211A)은 원통형 가이드벽(211)의 선단부에 국부적으로 가공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 가이드벽(211)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결된 한 쌍의 슬라이드홈(211B)이 대향되게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어져스트-너트(40)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어져스트-링(30)이 전후 방향으로만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몸체(23)는 후단부가 개방되고 원통형 벽면(231)과 바닥면(233)을 구비하여 내부가 비어 후술하는 이동체(237)가 이동하는 이동부(235)를 형성하는 중공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 몸체(23)의 후단부 내벽면(231)에는 상기 나사산(211A)에 결합되도록 대응나사산(231A)이 가공되어 제1 몸체(21)의 원통형 가이드벽(211)과 연통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몸체(23)는 제1 몸체(21)의 선단부에 한 몸체를 이루면서 연장되게 결합된다.
또한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몸체(23)에 구비되는 이동체(237)는 상기 이동부(235)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마그넷(311)의 자력에 의해 마그넷(311)에 달라붙을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 몸체(23)의 내부의 이동부(235)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단부에는 직경이 축소된 단차턱(237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체(237)는 평상시에는 후단부가 자력을 통하여 이동부(235) 후단부 측에 위치 고정되며, 연습자가 일정 이상의 스피드로 스윙을 하는 경우에 원심력이 자력을 이기면서 이동체(237)의 선단면이 제2 몸체(23)의 바닥면(233)을 타격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이동부(235)에는 복귀탄성체(235A)가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복귀탄성체(235A)의 일단은 이동체(237)의 선단부 외곽을 감싸면서 단차턱(237A)에 지지되며, 타단은 제2 몸체(23) 바닥면(233)에 지지되어 이동체(237)를 마그넷(311) 쪽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몸체(23)의 바닥면(233)을 타격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킨 이동체(237)는 복귀탄성체(235A)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후진하여 다시 이동부(235)의 후단으로 이동하여 후술하는 마그넷(311)과의 자력에 의해 고정되어 위치된다.
이하 상기 이동체(237)를 위치고정 시키는 마그넷(311)과 그 주변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어져스트-링(30)은 중앙에 일방향으로(선단쪽) 마그넷(311)이 고정 결합되는 마그넷결합부(31)와, 상기 마그넷결합부(31)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홈(211B)에 결합되는 한 쌍의 날개부(3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각 날개부(33)의 단부에는 외측나사산(331)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어져스트-너트(40) 내부에 결합되게 된다.
나아가 어져스트-너트(40)는 휠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몸체(21)의 원통형 가이드벽(211) 후단부 외곽을 감싸면서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어져스트-너트(40)는 상기 제1 몸체(21)를 감싸며 상기 제2 몸체(23)의 후단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어져스트-너트(40)의 내벽에는 어져스트-링(30) 날개부(33)의 외측나사산(331)과 이물림되도록 내측나사산(41)이 구비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어져스트-너트(4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어져스트-링(30)은 전진 또는 후진되어, 상기 어져스트-링(30)의 마그넷결합부(31)에 구비되는 마그넷(311)과 이동체(237)와의 간극이 조정되게 된다. 즉, 어져스트-너트(4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어져스트-링(30)을 전진시키면, 마그넷(311)이 전진하여 이동체(237)와의 간격이 좁아져 자력이 강해지고, 반면에, 어져스트-너트(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어져스트-링(30)을 후진시키면, 마그넷(311)과 이동체(237)의 간격이 넓어져 자력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어져스트-너트(40)의 표면에는 회전 정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눈금표(43)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어져스트-너트(40)는 반복적인 스윙에 따라 의도치 않게 회전되어 스윙 시 강도가 변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A)에는 걸림유닛(50)이 더 구비되게 된다.
도 4를 통하여 상기 걸림유닛(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걸림유닛(50)은 어져스트-너트(40)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요철부(51)와, 상기 어져스트-링(30)의 날개부(33)에 구비되는 걸림부재(53) 및 상기 걸림부재(53)에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체(5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어져스트-너트(40) 내측 후단(상기 내측나사산(41)의 후단)에는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철부(51)가 어져스트-링(30)의 회전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어져스트-링(30)의 날개부(33) 단부에는 걸림부재(53)가 내삽될 수 있는 내삽홈(333)이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내삽홈(333)에는 상기 걸림부재(53)가 내삽되며, 걸림부재(53)의 일단은 완곡된 형상을 이루어 상기 날개부(33) 단부로 돌출되어 요철부(51)에 밀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삽홈(333)에는 탄성체(55)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53)를 내삽홈(333)의 밖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체(55)에 의하여 상기 어져스트-링(30)이 어져스트-너트(40) 내에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53)의 단부가 복수개로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요철부(51)를 따라 요부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스윙에 의해서도 철부에 의하여 상기 어져스트-너트(40)가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이 때 도면에는 상기 내삽홈(333), 걸림부재(53) 및 탄성체(55)가 상기 하나의 날개부(33)에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각 날개부(33)에 각각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나아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A)는 어져스트-너트(40), 어져스트-링(30)에 의하여 이동체(237)와 마그넷(311)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마그넷(311)과 이동체(237)의 간격이 최소점이 되는 지점에서 마그넷(311)과 이동체(237)가 부딪히는 경우에는 그 충격에 의해 마그넷(311)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그넷(311)과 이동체(237)가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몸체(21)의 안착부(213)에는 걸림단턱(213A)이 더 구비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단턱(213A)의 후단으로 상기 마그넷(311)이 위치하게 되고, 걸림단턱(213A)의 선단에 이동체(237)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걸림단턱(213A)으로 형성하는 직경은 상기 이동체(237)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이동체(237)가 걸림단턱(213A)을 지나 후단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체(237)가 복귀탄성체(235A)에 의하여 마그넷(31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체(237)의 단부 외곽이 걸림단턱(213A)에 걸려 마그넷(311)과의 직접접촉을 피할 수 있어 충격에 의한 마그넷(311)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유의할 점은 상기 마그넷(311)이 최후단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자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는 마그넷(311)의 자성의 세기와 거리를 사용자가 알맞게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2 몸체(23)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스윙에 의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제2 몸체(23)가 주변 물체를 타격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몸체(23)의 외면에는 스폰지, 고무, 실리콘 등의 완충효과가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2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25)는 상기 제2 몸체(23)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A)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유닛(2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광유닛(27)은 어두운 곳에서도 스윙이 일정 스피드를 넘겨 상기 이동체(237)가 제2 몸체(23)의 내측 바닥면(233)을 타격하는 경우 빛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몸체(23)의 내측 바닥면(233)에 구비되는 스위치(271)와, 상기 스위치(2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몸체(23)의 단부 또는 외측면 등에 구비되는 발광체(27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체(237)가 제2 몸체(23)의 바닥면(233)을 타격하는 경우 타격음과 함께 스위치(271)를 가압하여 발광체(273)로부터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스위치(271)는 가압식 스위치(271)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전기 또는 터치식 스위치(271)를 이용하여 타격과 동시에 스위치(271)에 전원이 인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장치(A)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연습자가 그립(11)을 파지한 상태에서 어드레스 자세를 취하고, 계속해서 백스윙과 다운스윙 그리고 임팩트 존을 지나면서 팔로우 스윙으로 이어지는 골프 스윙을 하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311)측에 자성에 의해 위치하던 이동체(237)는 원심력이 작용하여 바깥측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원심력이 자성보다 큰 경우 이동체(237)는 복귀탄성체(235A)를 압축시키면서 제2 몸체(23)의 바닥면(233)으로 빠르게 이동하여 바닥면(233)을 타격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스윙 피니쉬 동작이 이루어지면 원심력이 제거되며 복귀탄성체(235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체(237)는 다시 올라와 자성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걸림단턱에 의애 자성에 밀착되지는 않도록 한다.
반면에 스윙 연습과정에서 원심력이 이동체(237)를 끌어당기는 자력보다 약할 경우에는 이동체(237)는 이동하지 않아 타격음이 발생되지 않고, 연습자로 하여금 보다 빠른 스윙을 통해 적정한 헤드 스피드를 발생시키는 훈련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골프 클럽에 따라 또는 여성과 남성에 따라 상기 어져스트-너트(40)를 회전하여 마그넷(311)과 이동체(237)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서 자력을 강하게 또는 약하게 하여 편의성 및 범용성을 갖추고, 상기 걸림유닛(50)에 의해 어져스트-너트(4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사용의 안정성 또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스윙 연습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스윙 연습장치 10 : 샤프트
11 : 그립 20 : 헤드유닛
21 : 제1 몸체 211 : 가이드벽
211A : 나사산 211B : 슬라이드홈
213 : 안착부 23 : 제2 몸체
231 : 벽면 231A : 대응나사산
233 : 바닥면 235 : 이동부
235A : 복귀탄성체 237 : 이동체
237A : 단차턱 25 : 커버
27 : 발광유닛 271 : 스위치
273 : 발광체 30 : 어져스트-링
31 : 마그넷결합부 311 : 마그넷
33 : 날개부 331 : 외측나사산
333 : 내삽홈 40 : 어져스트-너트
41 : 내측나사산 43 : 눈금표
50 : 걸림유닛 51 : 요철부
53 : 걸림부재 55 : 탄성체

Claims (4)

  1. 샤프트;
    상기 샤프트 선단에 구비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외면에 구비되는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을 포함하는 제1 몸체와,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어 제1 몸체 선단에 구비되고, 내측에 이동체가 내삽되는 이동부를 구비한 제2 몸체를 포함하는 헤드유닛;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어 마그넷이 고정결합되는 마그넷결합부와 상기 마그넷결합부 양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드홈에 결합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어져스트-링; 및
    상기 제1 몸체의 외곽을 감싸면서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져스트-링이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어져스트-링이 전/후진되어 상기 마그넷과 이동체의 간극을 조절하는 어져스트-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어져스트-너트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요철부와, 상기 어져스트-링의 날개부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에 구비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걸림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에는 걸림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마그넷이 상기 걸림단턱 후단에 위치하여 이동체가 마그넷과 이격되어 걸림단턱에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일단이 상기 이동부 선단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어 이동체를 마그넷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복귀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마그넷과의 자성보다 원심력이 크면 제2 몸체 선단으로 이동하여 제2 몸체와 타격하여 타격음을 발생하고, 상기 복귀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제2 몸체 후단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장치.
KR20140177334A 2014-12-10 2014-12-10 스윙 연습장치 KR10150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7334A KR101507569B1 (ko) 2014-12-10 2014-12-10 스윙 연습장치
JP2015154557A JP5861975B1 (ja) 2014-12-10 2015-08-04 スイング演習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7334A KR101507569B1 (ko) 2014-12-10 2014-12-10 스윙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569B1 true KR101507569B1 (ko) 2015-04-08

Family

ID=5303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77334A KR101507569B1 (ko) 2014-12-10 2014-12-10 스윙 연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61975B1 (ko)
KR (1) KR10150756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814B1 (ko) 2019-11-22 2020-04-03 조성민 골프 스윙 연습기
CN112512645A (zh) * 2018-07-30 2021-03-16 金永得 击球时自行发电来发光的挥杆练习器
KR102296958B1 (ko) * 2021-07-07 2021-09-01 최승진 무게중심 가변형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358208B1 (ko) 2021-09-07 2022-02-08 (주)와이티 스윙 연습기
WO2022102944A1 (ko) * 2020-11-13 2022-05-19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418717B1 (ko) 2022-04-19 2022-07-08 (주)와이티 스윙 스피드 연습기
KR20220164248A (ko) 2021-06-04 2022-12-13 (주)디엠비에이치 골프 스윙 연습기
JP7324394B1 (ja) * 2023-04-10 2023-08-10 杉江精機株式会社 ゴルフ器具
KR20240017154A (ko) 2022-07-30 2024-02-06 이엔콤 주식회사 스윙연습용 골프채
KR102671146B1 (ko) 2022-07-30 2024-05-30 이엔콤 주식회사 스윙연습용 골프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633B1 (ko) 2017-08-23 2019-03-15 아이디어링크 주식회사 스윙 스피드 가변형 스마트 스윙 연습기 및 스마트 스윙 연습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7079098B2 (ja) * 2018-01-12 2022-06-01 久雄 三浦 速度報知器。
JP7296240B2 (ja) * 2019-04-15 2023-06-22 株式会社アルペン ゴルフスイング練習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15Y1 (ko) 2005-12-15 2006-03-07 조용연 스윙연습용 골프채
KR20100093998A (ko) * 2009-02-18 2010-08-26 김영득 헤드 스피드 조절이 가능한 연습용 골프채
KR20130097130A (ko) * 2013-07-31 2013-09-02 최승원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384B1 (ko) * 2008-05-16 2010-01-18 김현수 야구 스윙 연습기
JP2010094478A (ja) * 2008-10-17 2010-04-30 Uchida Hanbai System:Kk トレーニング器具
KR100982482B1 (ko) *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JP6248248B2 (ja) * 2012-03-05 2017-12-20 有限会社内田販売システム スイングの捻じり戻しを強化する素振り練習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15Y1 (ko) 2005-12-15 2006-03-07 조용연 스윙연습용 골프채
KR20100093998A (ko) * 2009-02-18 2010-08-26 김영득 헤드 스피드 조절이 가능한 연습용 골프채
US8414412B2 (en) * 2009-02-18 2013-04-09 Yung Deuk Kim Practice golf club capable of adjusting head speed
KR20130097130A (ko) * 2013-07-31 2013-09-02 최승원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2645A (zh) * 2018-07-30 2021-03-16 金永得 击球时自行发电来发光的挥杆练习器
CN112512645B (zh) * 2018-07-30 2022-03-29 金永得 击球时自行发电来发光的挥杆练习器
KR102096814B1 (ko) 2019-11-22 2020-04-03 조성민 골프 스윙 연습기
KR20220065612A (ko) *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442116B1 (ko) * 2020-11-13 2022-09-08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골프 스윙 연습장치
WO2022102944A1 (ko) * 2020-11-13 2022-05-19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20220164248A (ko) 2021-06-04 2022-12-13 (주)디엠비에이치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296958B1 (ko) * 2021-07-07 2021-09-01 최승진 무게중심 가변형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358208B1 (ko) 2021-09-07 2022-02-08 (주)와이티 스윙 연습기
KR102418717B1 (ko) 2022-04-19 2022-07-08 (주)와이티 스윙 스피드 연습기
KR20240017154A (ko) 2022-07-30 2024-02-06 이엔콤 주식회사 스윙연습용 골프채
KR102671146B1 (ko) 2022-07-30 2024-05-30 이엔콤 주식회사 스윙연습용 골프채
JP7324394B1 (ja) * 2023-04-10 2023-08-10 杉江精機株式会社 ゴルフ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12395A (ja) 2016-06-23
JP5861975B1 (ja)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569B1 (ko) 스윙 연습장치
US8348779B2 (en) Training device for golf swing
US20020055402A1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KR101779838B1 (ko) 휴대용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US20170291090A1 (en) Golf swing trainer
KR101388527B1 (ko)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JP6313462B2 (ja) スイングトレーニング機器
US8282500B1 (en) Golf performance aid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for helping a golfer achieve a desirable golf swing
CN116348183A (zh) 高尔夫挥杆练习装置
KR101578821B1 (ko) 골프용 퍼터
US20160346658A1 (en) Athletic swing training weight and method
KR101426932B1 (ko) 골프 퍼터
KR101056304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0874141B1 (ko) 코킹연습용 골프스윙연습기.
KR101444601B1 (ko) 연습용 골프 스윙구
JPH0824386A (ja) 素振り用練習器
KR20180111225A (ko) 휴대용 골프 연습기
JP3236221U (ja) ゴルフ練習器具
JP2005080912A (ja) 素振り用練習器
JP2002065922A (ja) ゴルフ練習具
KR20110010201U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2358208B1 (ko) 스윙 연습기
KR101848999B1 (ko) 실내골프 스윙연습기
JP2008264493A (ja) 素振りトレーニング器
KR20150001269U (ko) 골프스윙 연습용 배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