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248A - 골프 스윙 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248A
KR20220164248A KR1020210072778A KR20210072778A KR20220164248A KR 20220164248 A KR20220164248 A KR 20220164248A KR 1020210072778 A KR1020210072778 A KR 1020210072778A KR 20210072778 A KR20210072778 A KR 20210072778A KR 20220164248 A KR20220164248 A KR 20220164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b
unit
light receiving
sensor
sli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867B1 (ko
Inventor
박용길
Original Assignee
(주)디엠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비에이치 filed Critical (주)디엠비에이치
Priority to KR102021007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867B1/ko
Priority to PCT/KR2022/003564 priority patent/WO2022255605A1/ko
Publication of KR2022016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5Golf club selection aids informing player of his average or expected shot distance for each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1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using electro-magnetic, magnetic or ultrasonic radiation emitted, reflected or interrupted by the golf clu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63B2220/44Angular accel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윙을 할 수 있는 클럽부(100);와, 상기 클럽부의 스윙을 통해 타격하는 골프공이 놓여있는 바닥부(200);와, 상기 바닥부(200)에 놓여있는 골프공을 타격할 때 클럽부의 상태를 평가하거나 연습클럽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300)이 구비되어, 상기 클럽부(100)의 스윙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기{Training device for golf swing}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외에서 골프공을 타격하지 않으면서 골프 스윙 연습을 통해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골퍼가 골프공을 타격해서 원하는 장소의 홀에 넣는 운동으로 공의 타격(임팩트) 시 올바른 자세를 갖는 것이 필요한 운동이다.
골프 스윙은 골프클럽의 헤드를 어떤 특정한 궤도로 움직이면서 골프공을 원하는 거리와 방향으로 정확하게 날려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올바른 골프스윙을 하기 위해서는 골퍼의 스윙을 위한 일련의 자세(어드레스-백스윙-백스윙탑-다운스윙-임팩트-팔로우 스로우-피니쉬)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골프는 대중적인 스포츠로 널리 퍼져 있으며, 신체 및 정신건강에 많은 도움이 되는 스포츠로 인식되어 있다.
스윙연습을 위하여 실내연습장, 스크린골프장 등을 찾기도 하지만 이것은 찾아가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골프는 실외에서 실시되는 스포츠로 날씨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비가 오거나 바람이 많이 부는 날씨에는 즐기기 힘든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골프 연습장치가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골프 연습 장치는 전면에 그물망으로 형성된 주머니를 설치하여 실제 사용되는 골프클럽으로 볼을 타격하여 스윙자세와 타격연습을 하였다.
최근 집이나 사무실 등 좁은 공간에서도 연습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나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종래의 골프 스윙 연습기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756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20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8211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215호에서는 연습클럽에 타격음을 발생하기 위한 이동추를 구성하고 스윙의 속도에 따라 이동체의 구속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연습방법은 스윙의 결과와 연계되는 스윙속도(클럽의 속도), 클럽경로, 클럽 페이스 각도, 어택각도 등 다양한 요소 중 매우 제한된 요소만을 연습할 수 있으며, 실제로 임팩트 순간이 중요한데 이동체가 이탈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순간은 다운스윙 궤적 중 넓은 범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등록특허공보 제10-1848999호에서는 실내에서 직접 볼을 타격하지 않지만 연습봉에 레이저빔을 설치하여 매트에 다수 개 인쇄되거나 놓여있는 복수의 골프공을 클럽에 따라 위치를 선택하여 연습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였으나 스윙 시 임팩트 순간을 감지하지 않음으로써 어드레스 시 자세연습에 단순히 활용하고 있다.
한편, 최근 MEMS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센서 등의 장치를 전용의 샤프트에 내장하거나 또는 골퍼가 사용하는 샤프트에 부착하여 스윙 궤적 또는 이와 관련된 여러 요소들을 분석하여 항목을 제공하는 스윙분석 장치 및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 등록특허공보 제10-1728144호 에서는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스윙궤적을 찾고 스윙궤적이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값에 따라 미리 저장된 소리를 발생시켜 주는 단순히 스윙궤적만을 연습에 활용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특허 등록특허공보 제10-2053564호는 클럽 샤프트에 MEMS센서인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왜곡센서 등을 샤프트에 부착하여 실제 볼을 타격할 때 헤드스피드, 라이각, 페이스각 등을 분석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 방법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해야한다.
또한, 미국특허 등록번호 08109816호(등록일자 2012.02.07) 에서는 두 개의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스윙분석을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는 임팩트 순간을 인지하기 위하여 공을 직접 타격해야하는데 비교적 좁은 실내공간에서는 공을 타격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가속도와 각속도를 센싱하여 수학적인 적분을 사용하므로 누적오차나 센서 고유의 노이즈나 바이어스 노이즈 등을 보상하는데 한계성을 가진다.
또한, 직접 타격을 하지 않을 경우 임팩트 지점을 정확히 알기 어렵고 스윙궤적상의 가장 낮은 지점을 타격점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클립의 종류에 따라 타격의 위치가 다르게 되는데 이를 고려한 연습을 할 수 없는 한계성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0756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320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48211호 미국특허 등록번호 US08109816호(등록일자 2012.02.0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을 직접 타격하지 않고도 임팩트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임팩트 시의 클럽의 속도와 페이스 각도 등 다양한 스윙 요소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골프공과 연계하여 어드레스 시 클럽별로 다른 공의 위치와 발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연습 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광센서와 IMU센서를 융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광센서를 사용하여 백스윙의 시작점, 임팩트 순간, 클럽 속도, 클럽 페이스 각도, 템포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IMU센서는3축 가속도 센서와 3축 각속도 센서로 구성된 것으로, 클럽의 경로, 어택 각도, 스윙플레인, 다이내믹 로프트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광센서와 IMU센서 신호를 융합하여 임팩트 순간의 순간 회전 중심, 템포 또는 템포비, 클럽 길이의 변화에 따른 클럽속도 등을 산출하며, 이를 기반으로 연습클럽의 길이에 관계없이 실제 클럽의 길이에 상응하는 클럽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클럽에 따라 클럽의 길이와 라이가 다른 경우 가속도센서를 활용하여 어드레스 시 실제 클럽의 라이와 유사하게 자세를 취하는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프스윙 연습기는 골퍼가 기존의 클럽과 같이 손에 잡고 스윙을 할 수 있는 클럽부(100)와 바닥에 별도로 구성되는 바닥부(200)와, 상기 바닥부(200)에 놓여있는 골프공을 타격할 때 클럽부의 상태를 평가하거나 연습클럽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300)이 구비되어 상기 클럽부(100)의 스윙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클럽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그립부(120)와, 클럽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광 수광부 또는 광 발광부를 구비한 헤드유닛(130)과, 상기 그립부(120)와 헤드유닛(130)을 연결하는 샤프트(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럽부(100)의 소정의 위치에는 가속도센서와 각속도센서(IMU센서)가 배치되어 상기 클럽부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200)에는 가상의 골프공(210);이 배치되고, 상기 클럽부(100)의 백스윙을 감지하기 위한 백스윙감지수단과 백스윙 후에 다운스윙을 시작하여 상기 클럽부(100)가 상기 가상의 골프공(210)을 임팩트하는 순간을 감지하기 위한 임팩트감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는 제어부(310)와 연산모듈(320)과 입력부(330)와 표시부(340)와 저장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백스윙감지수단은, 상기 바닥부(200)에 배치된 제1광발신부(222)에서 바닥부에 수직으로 조사되는 제1슬릿빔(232)과, 상기 제1슬릿빔(232)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헤드유닛(130)의 바닥면(135)에 배치된 광수신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클럽부(100)가 백스윙을 시작할 때 상기 광수신센서에서 상기 제1슬릿빔(232)이 감지되는 순간 상기 제어부(310)로 제1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감지신호가 절단되는 시점을 백스윙 하는 시점으로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350)에 저장하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임팩트감지수단은, 상기 바닥부(200)에 배치된 제2광발신부(221)에서 바닥부에 수직으로 조사되는 제2슬릿빔(231)과, 상기 제2슬릿빔(231)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헤드유닛(130)의 바닥면(135)에 배치된 광수신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클럽부(100)가 다운스윙을 할 때 상기 광수신센서에서 상기 제2슬릿빔(231)을 감지하는 순간 상기 제어부(310)로 제2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순간을 임팩트 순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골프스윙 연습기는 임팩트순간의 헤드유닛(130) 속도를 측정하되, 상기 광수신센서가 상기 제1슬릿빔(232)과 상기 제2슬릿빔(231)을 감지하는 제1감지신호와 제2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1감지신호와 상기 제2감지신호의 시간차를 Δt 라 하고, 상기 제1슬릿빔(232)과 상기 제2슬릿빔(231)의 최단거리를 K라 할 때 임팩트순간의 헤드유닛(130)의 속도 Vh= K/Δ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헤드유닛(130)의 바닥면(135)에 배치된 광수신센서는 2개가 설치되되, 상기 헤드유닛(130)의 바닥면으로부터 동일거리 떨어져 설치되며, 이때 사용자가 상기 클럽부(100)의 그립부(120)를 잡았을 때 사용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된 센서가 제1광수신센서(131)이고, 사용자와 가까이 배치된 센서를 제2광수신센서(1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는 임팩트시점의 페이스각도를 측정하는 기능이 구비되되, 상기 제1광수신센서(131)가 상기 제2슬릿빔(231)을 인지하는 시점을 ta라 하고, 상기 제2광수신센서(132)가 상기 제2슬릿빔(231)을 인지하는 시점을 tb라 할 때, 상기 ta와 tb의 시간차이를 Δab 라 하고, 상기 제1광수신센서(131)와 제2광수신센서(132)의 직선거리를 d라 할 때 임팩트시점의 페이스각도는
Figure pat00001
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Δd = Vh * Δab 임)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의 표시부(340)는, 상기 제1광수신센서(131)가 상기 제2슬릿빔(231)을 인지하는 시점 ta가 상기 제2광수신센서(132)가 상기 제2슬릿빔(231)을 인지하는 시점 tb시점보다 빠르면 페이스각도가 크로스(close) 되었다고 표시하고, 상기 시점 ta가 상기 tb시점보다 늦으면 페이스각도가 오픈(open) 되었다고 표시하며, 상기 시점 ta와 상기 tb가 동일할 때는 페이스각도가 스퀘어(square) 되었다고 표시하면서 각도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는 클럽종류를 선택하여 연습하는 기능이 구비되되, 사용자가 클럽 종류를 결정하면 결정된 클럽에 따라 라이각이 결정되며, 상기 사용자가 어드레스 동작을 하면서 상기 그립부(120)를 잡고 손목의 각도를 조절하여 그립의 각도를 바꾸면 상기 가속도센서와 각속도센서의 출력값을 전달받은 연산모듈(320)은 라이각을 계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의 표시부(340)에 표시하며, 상기 계산된 라이각이 상기 결정된 클럽의 라이각과 동일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부(340)에는 결정된 클럽으로 세팅되었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은 클럽부(100)의 스윙평면과 클럽각도와 공격각도를 계산하여 표시부(340)에 표시하되, 상기 클럽부(100)의 샤프트 축방향을 Z축, 헤드유닛이 골프공을 향해 움직이는 방향을 Y축, 사용자와 멀어지는 방향을 X축이라 할 때, 상기 그립부(120에 장착되는 센서의 공간좌표를 {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라 하고, 상기 클럽부(100)의 헤드 바닥면 중심점의 공간좌표를 {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라 하며, 상기 헤드유닛(130)이 골프공을 임팩트한 것으로 가정하여 헤드유닛(130)이 골프공에 근접하여 위치한다고 가정한 가상헤드 바닥면 중심점의 공간좌표를 {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라 할 때, 상기 클럽부(100)의 헤드바닥면의 중심점과 가상헤드 바닥면의 중심점까지는 z축 방향으로 거리(b)만큼 떨어져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클럽부(100)를 가지고 스윙을 함에 따라 상기 IMU센서의 출력값을 소정시간간격으로 전달받은 상기 연산모듈(320)은 그립부(120)의 공간궤적과 헤드의 공간궤적과 가상헤드의 공간궤적을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은 상기 헤드유닛(130)의 공간궤적을 연산한 다음 상기 연산된 헤드유닛(130)의 경로에서 임팩트시점(
Figure pat00011
)을 전후하여 X축방향의 값이 좌표변화가 없으면 스트레이트(straight)이고, 양의 값에서 음의 값으로 변화면 아웃투인(out-to-in)이고,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화면 인투아웃(in-to-out)으로 판단하여 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부(34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은 헤드유닛(130)의 공간궤적과 각 공간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백스윙을 시작하여 톱위치까지 걸리는 시간(T_b)과 톱위치에서 다운스윙을 시작하여 임팩트시점까지 걸리는 시간(T_t)과 상기 T_b 와 T_t의 비율을 계산하여 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부(34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헤드유닛(130)의 바닥면(135)에 배치된 상기 제1광수신센서(131)와 상기 제2광수신센서(132) 사이에는 동기광발생부(141)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200)의 제1광발신부(222)와 제2광발신부(221) 사이에는 동기광수신부(24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동기광발생부(141)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동기광수신부(241)에서 수신되어 상기 클럽부(100)의 이동시작을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연습을 하는 골퍼의 스윙자세를 실내 공간 및 천장 높이에 제한받지 않고 용이하게 스윙교정과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을 직접 타격하지 않고도 정확한 임팩트 순간을 인지할 수 있고 이 순간 클럽속도, 클럽경로, 어택각도, 페이스 각도 등을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를 사용하여 볼의 궤적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IMU센서의 사용 시 백스윙의 시작점을 찾기 위한 복잡한 신호처리를 할 필요 없이 직접 광을 통해 측정함으로써 보다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럽의 종류에 따라 어드레스 시 공의 위치와 발의 위치 관계를 연계하여 조정하면서 용이하게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럽의 종류에 따라 클럽의 길이와 라이가 다른 경우 가속도센서를 활용하여 어드레스 시 실제 클럽의 라이각에 유사하게 자세를 취하는 연습을 할 수 있어 용이하게 스윙교정과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임팩트 순간 회전 순간 중심을 연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실제 클럽 샤프트의 길이에 상응하는 클럽의 속도 기반의 비거리 등을 예측하여 제공함으로써 실제 클럽과 더욱 유사한 연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a)헤드유닛의 바닥면 및 (b)바닥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각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좌표계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라이각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순간 각속도 및 클럽별 헤드속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 및 도 11은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 헤드유닛 바닥면의 위치를 통해 가상헤드가 골프공의 타격포인트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a)헤드유닛의 바닥면 및 (b)바닥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각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좌표계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라이각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순간 각속도 및 클럽별 헤드속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외에서 공을 타격하지 않고도 정확한 볼의 타격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임팩트 순간 어택앵글(attack angle), 클럽경로, 페이스 각도, 클럽속도, 템포 및 템포비, 스윙플레인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스윙연습의 효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임팩트 순간 측정된 스윙연습기의 클럽속도와 각속도를 사용하여 순간적인 회전 중심을 인지하고 다양한 클럽의 길이에 따른 클럽의 속도를 제공하여 클럽에 따른 비거리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윙 연습 시 클럽에 따라 다양한 라이에 맞게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기는 사용자가 스윙을 할 수 있는 클럽부(100);와, 상기 클럽부의 스윙을 통해 타격하는 골프공이 놓여있는 바닥부(200);와, 상기 바닥부(200)에 놓여있는 골프공을 타격할 때 클럽부의 상태를 평가하거나 연습클럽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300)이 구비되어, 상기 클럽부(100)의 스윙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클럽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그립부(120)와, 클럽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광 수광부 또는 광 발광부를 구비한 헤드유닛(130)과, 상기 그립부(120)와 헤드유닛(130)을 연결하는 샤프트(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럽부(100)의 소정의 위치에는 가속도센서와 각속도센서(IMU센서)가 배치되어 상기 클럽부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것은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200)에는 가상의 골프공(210);이 배치되고, 상기 클럽부(100)의 백스윙을 감지하기 위한 백스윙감지수단과 백스윙 후에 다운스윙을 시작하여 상기 클럽부(100)가 상기 가상의 골프공(210)을 임팩트하는 순간을 감지하기 위한 임팩트감지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는 제어부(310)와 연산모듈(320)과 입력부(330)와 표시부(340)와 저장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백스윙감지수단은, 상기 바닥부(200)에 배치된 제1광발신부(222)에서 바닥부에 수직으로 조사되는 제1슬릿빔(232)과, 상기 제1슬릿빔(232)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헤드유닛(130)의 바닥면(135)에 배치된 광수신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럽부(100)가 백스윙을 시작할 때 상기 광수신센서에서 상기 제1슬릿빔(232)이 감지되는 순간 상기 제어부(310)로 제1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감지신호가 절단되는 시점을 백스윙 하는 시점으로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350)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임팩트감지수단은, 상기 바닥부(200)에 배치된 제2광발신부(221)에서 바닥부에 수직으로 조사되는 제2슬릿빔(231)과, 상기 제2슬릿빔(231)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헤드유닛(130)의 바닥면(135)에 배치된 광수신센서로 이루어진다.3
또한, 상기 클럽부(100)가 다운스윙을 할 때 상기 광수신센서에서 상기 제2슬릿빔(231)을 감지하는 순간 상기 제어부(310)로 제2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순간을 임팩트 순간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골프스윙 연습기는 임팩트순간의 헤드유닛(130) 속도를 측정하되, 상기 광수신센서가 상기 제1슬릿빔(232)과 상기 제2슬릿빔(231)을 감지하는 제1감지신호와 제2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1감지신호와 상기 제2감지신호의 시간차를 Δt라 하고, 상기 제1슬릿빔(232)과 상기 제2슬릿빔(231)의 최단거리를 K라 할 때 임팩트순간의 헤드유닛(130)의 속도는 Vh= K/Δt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골프스윙 연습기에는 상기 제어부(310)가 임팩트 순간을 감지하는 순간 임팩트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임팩트알림수단이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임팩트알림수단은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클럽부(100) 소정의 위치에 진동자를 구비하여 상기 진동자가 일순간동안 동작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헤드유닛(130)의 바닥면(135)에 배치된 광수신센서는 2개가 설치되되, 상기 헤드유닛(130) 중심으로부터 동일거리 떨어져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광수신세선서는 사용자가 상기 클럽부(100)의 그립부(120)를 잡았을 때 사용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된 센서가 제1광수신센서(131)이고, 사용자와 가까이 배치된 센서를 제2광수신센서(132)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는 임팩트시점의 페이스각도를 측정하는 기능이 구비되되, 상기 제1광수신센서(131)가 상기 제2슬릿빔(231)을 인지하는 시점을 ta라 하고, 상기 제2광수신센서(132)가 상기 제2슬릿빔(231)을 인지하는 시점을 tb라 할 때, 상기 ta와 tb의 시간차이를 Δab 라 하고, 상기 제1광수신센서(131)와 제2광수신센서(132)의 직선거리를 d라 할 때 임팩트시점의 페이스각도는
Figure pat00012
로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Δd = Vh * Δab 임)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의 표시부(340)는, 상기 제1광수신센서(131)가 상기 제2슬릿빔(231)을 인지하는 시점 ta가 상기 제2광수신센서(132)가 상기 제2슬릿빔(231)을 인지하는 시점 tb보다 빠르면 페이스각도가 크로스(close) 되었다고 표시하고, 상기 시점 ta가 상기 tb보다 늦으면 페이스각도가 오픈(open) 되었다고 표시하며, 상기 시점 ta와 상기 tb가 동일할 때는 페이스각도가 스퀘어(square) 되었다고 표시하면서 각도도 함께 표시한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는 클럽종류를 선택하여 연습하는 기능이 구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클럽 종류를 결정하면 결정된 클럽에 따라 라이각이 결정되며, 상기 사용자가 어드레스 동작을 하면서 상기 그립부(120)를 잡고 손목의 각도를 조절하여 그립의 각도를 바꾸면 상기 가속도센서와 각속도센서의 출력값을 전달받은 연산모듈(320)은 라이각을 계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의 표시부(34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계산된 라이각이 상기 결정된 클럽의 라이각과 동일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부(340)에는 결정된 클럽으로 세팅되었음을 표시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은 클럽부(100)의 스윙평면과 클럽각도와 공격각도를 계산하여 표시부(34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클럽부(100)의 샤프트 축방향을 Z축, 헤드유닛이 골프공을 향해 움직이는 방향을 Y축, 사용자와 멀어지는 방향을 X축이라 할 때, 상기 그립부(120)의 공간좌표를 {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
Figure pat00015
}라 하고, 상기 클럽부(100)의 헤드유닛(130) 바닥면 중심점의 공간좌표를{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라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유닛(130)이 골프공을 임팩트한 것으로 가정하여 헤드유닛(130)이 골프공에 근접하여 위치한다고 가정한 가상헤드(600)의 바닥면 중심점의 공간좌표를 {
Figure pat00019
,
Figure pat00020
,
Figure pat00021
}라 할 때, 상기 클럽부(100)의 헤드바닥면의 중심점과 가상헤드 바닥면의 중심점까지는 z축 방향으로 거리(b)만큼 떨어져 배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클럽 종류(예: 아이언, 우드, 샌드, 드라이버 등)를 결정하면, 상기 결정된 클럽종류에 따라 라이각이 결정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동기광발생부(141)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동기광수신부(241)에서 수신되도록 하면서 손목의 각도를 조절하여 라이각을 세팅한다.
그런데 사용자는 어드레스 상태에서 상기 동기광발생부(141)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동기광수신부(241)에서 수신되도록 하면서(즉 상기 동기광발생부(141)와 상기 동기광수신부(241)가 서로 마주보면서 직선을 이루도록 함)라이각을 맞추기 위해서는 상기 동기광수신부(241)의 위치와 사용자가 서있는 위치의 거리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결정한 클럽종류에 따라 라이각을 맞추기 위해서는 상기 동기광발생부(141)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동기광수신부(241)에서 수신되도록 맞추어야 하므로 상기 동기광수신부(241)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있어야 할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결정한 클럽종류에 따라 사프트의 길이가 차이가 있게 되므로 클럽부(100)의 헤드유닛의 바닥면의 중심점과 가상헤드의 바닥면의 중심점까지의 z축 방향 거리(b)는 클럽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된다.
즉 사용자가 클럽종류를 결정하면, 사용자는 동기광발생부(141)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동기광수신부(241)에서 수신되도록 맞추면서 라이각을 맞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동기광수신부(241)의 위치를 기준으로 서있는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클럽종류가 결정되면 샤프트의 길이가 차이가 있으므로 클럽부(100) 헤드유닛의 바닥면의 중심점과 가상헤드 바닥면의 중심점까지의 z축 방향 거리(b)는 클럽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세팅된다.
그렇다면 상기 동기광발생부(141)와 동기광수신부(241)의 직선거리가 바로 클럽부(100)의 헤드와 가상헤드까지의 z축 방향 거리(b)가 되며 정확한 거리측정을 위해 별도의 거리측정센서와 함께 상기 동기광발생부(141) 슬릿광이 아닌 포인트광(직선광)을 발생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별도의 거리측정센서로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이용하거나 초음파센서 등을 이용하여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골프스윙 연습기에는 3축 가속도 센서와 3축 각속도 센서로 구성된 IMU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상기 가상헤드가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에서 상기 골프스윙 연습기의 각속도와 순간회전중심(도9의 Instant rotation center)을 구할 수 있어 IMU센서를 통해서 골프스윙 연습기의 헤드유닛(130)의 속도(V1)와 가상헤드(600)의 속도(V2)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골프스윙 연습기는 골프스윙 연습기로 스윙을 했을 때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 가상헤드가 골프공의 타격포인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매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10을 보면 헤드유닛(130)의 바닥면의 중심점과 가상헤드(600) 바닥면의 중심점까지의 거리를 b 라 했을 때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 헤드유닛 바닥면의 위치를 통해 가상헤드가 골프공의 타격포인트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과 도11을 통해 설명하면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 헤드유닉 바닥면(135)과 바닥부(200)의 거리(H=h1)가 h1=b 일 때(도 10의 좌측 2번째 그림)는 가상헤드의 바닥면은 정확히 골프공(210)의 밑부분을 타격(도11 h1의 가상헤드 바닥면 궤적 참조)하여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 헤드유닉 바닥면(135)과 바닥부(200)의 거리(H=h2)가 h2<b 일 때(도 10의 좌측 3번째 그림)는 가상헤드의 바닥면은 골프공(210)의 뒷땅을 타격(도11 h2의 가상헤드 바닥면 궤적 참조)하여 골프공을 정확한 타격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직경이 D 인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 헤드유닉 바닥면(135)과 바닥부(200)의 거리(H=h3)가 b<h3<b+D 일 때(도 10의 좌측 4번째 그림)는 가상헤드의 바닥면은 골프공(210)의 윗부분을 타격(도11 h3의 가상헤드 바닥면 궤적 참조)하여 골프공의 탑부를 타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 헤드유닉 바닥면(135)과 바닥부(200)의 거리(H=h4)가 b+D<h4 일 때(도 10의 좌측 5번째 그림)는 가상헤드의 바닥면은 골프공(210)의 윗부분을 지나쳐(도11 h4의 가상헤드 바닥면 궤적 참조)하여 골프공의 전혀 타격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헤드의 바닥면이 궤적정보를 통해 골프공의 타격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골프공의 비거리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클럽부(100)를 가지고 스윙을 함에 따라 상기 IMU센서의 출력값을 소정시간간격으로 전달받은 상기 연산모듈(320)은 그립부(120)의 공간궤적과 헤드유닛 바닥면 중심점의 공간궤적과 가상헤드의 바닥면 중심점의 공간궤적을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연산한다.
여기서 중심점이란 바닥면을 원형의 평면이라 했을 때 중앙점을 가르킨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은 상기 헤드유닛(130)의 공간궤적을 연산한 다음 상기 연산된 헤드유닛(130)의 경로에서 임팩트시점(
Figure pat00022
)을 전후하여 X축방향의 값이 좌표변화가 없으면 스트레이트(straight)이고, 양의 값에서 음의 값으로 변화면 아웃투인(out-to-in)이고,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화면 인투아웃(in-to-out)으로 판단하여 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부(34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은 헤드유닛(130)의 공간궤적과 각 공간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백스윙을 시작하여 톱위치까지 걸리는 시간(T_b)과 톱위치에서 다운스윙을 시작하여 임팩트시점까지 걸리는 시간(T_t)의 비를 계산한 템포비와 두 시간의 합인 템포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부(34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헤드유닛(130)의 바닥면(135)에 배치된 상기 제1광수신센서(131)와 상기 제2광수신센서(132) 사이에는 동기광발생부(1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200)의 제1광발신부(222)와 제2광발신부(221) 사이에는 동기광수신부(24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동기광발생부(141)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동기광수신부(241)에서 수신되어 상기 클럽부(100)의 이동시작을 세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는 어드레스를 더욱 가시적으로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헤드유닛(130)의 동기광발생부(141)는 바닥부(200)를 향하여 주사되는 슬릿형태 또는 클럽형상을 주사하여 바닥부(200)에 있는 두 개의 동기광수신부(241) 센서사이에 맞추어 수신됨을 인지할 수 있는 신호가 표시되고 이때부터 상기 제2광발신부(221)와 제1광발신부(222)는 발신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동기광발생부(141)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가시광선 형태로 LED다이오드나 레이저다이오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클럽부 110 : 샤프트 120 : 그립부
130 : 헤드유닛 135 : 해드유닛 바닥면 141 : 동기광발생부
200 : 바닥부 210 : 골프공 221 : 제2광발신부
222 : 제1광발신부 231 : 제2슬릿빔 232 : 제1슬릿빔
241 : 동기광발생부 300 : 애플리케이션 310 : 제어부
320 : 연산모듈 330 : 입력부 340 : 표시부
350 : 저장부

Claims (14)

  1. 골프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윙을 할 수 있는 클럽부(100);와,
    상기 클럽부의 스윙을 통해 타격하는 골프공이 놓여있는 바닥부(200);와,
    상기 바닥부(200)에 놓여있는 골프공을 타격할 때 클럽부의 상태를 평가하거나 연습클럽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300)이 구비되어,
    상기 클럽부(100)의 스윙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럽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그립부(120)와,
    클럽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광 수광부 또는 광 발광부를 구비한 헤드유닛(130)과,
    상기 그립부(120)와 헤드유닛(130)을 연결하는 샤프트(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럽부(100)의 소정의 위치에는 가속도센서와 각속도센서(IMU센서)가 배치되어 상기 클럽부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00)에는 가상의 골프공(210);이 배치되고,
    상기 클럽부(100)의 백스윙을 감지하기 위한 백스윙감지수단과 백스윙 후에 다운스윙을 시작하여 상기 클럽부(100)가 상기 가상의 골프공(210)을 임팩트하는 순간을 감지하기 위한 임팩트감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는 제어부(310)와 연산모듈(320)과 입력부(330)와 표시부(340)와 저장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스윙감지수단은,
    상기 바닥부(200)에 배치된 제1광발신부(222)에서 바닥부에 수직으로 조사되는 제1슬릿빔(232)과,
    상기 제1슬릿빔(232)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헤드유닛(130)의 바닥면(135)에 배치된 광수신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클럽부(100)가 백스윙을 시작할 때 상기 광수신센서에서 상기 제1슬릿빔(232)이 감지되는 순간 상기 제어부(310)로 제1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감지신호가 절단되는 시점을 백스윙 하는 시점으로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35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감지수단은,
    상기 바닥부(200)에 배치된 제2광발신부(221)에서 바닥부에 수직으로 조사되는 제2슬릿빔(231)과,
    상기 제2슬릿빔(231)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헤드유닛(130)의 바닥면(135)에 배치된 광수신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클럽부(100)가 다운스윙을 할 때 상기 광수신센서에서 상기 제2슬릿빔(231)을 감지하는 순간 상기 제어부(310)로 제2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순간을 임팩트 순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스윙 연습기는 임팩트순간의 헤드유닛(130) 속도를 측정하되,
    상기 광수신센서가 상기 제1슬릿빔(232)과 상기 제2슬릿빔(231)을 감지하는 제1감지신호와 제2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1감지신호와 상기 제2감지신호의 시간차를 Δt라 하고, 상기 제1슬릿빔(232)과 상기 제2슬릿빔(231)의 최단거리를 K라 할 때 임팩트순간의 헤드유닛(130)의 속도 Vh= K/Δ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130)의 바닥면(135)에 배치된 광수신센서는 2개가 설치되되,
    상기 헤드유닛(130) 중심으로부터 동일거리 떨어져 설치되며, 이때 사용자가 상기 클럽부(100)의 그립부(120)를 잡았을 때 사용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된 센서가 제1광수신센서(131)이고, 사용자와 가까이 배치된 센서를 제2광수신센서(1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는 임팩트시점의 페이스각도를 측정하는 기능이 구비되되,
    상기 제1광수신센서(131)가 상기 제2슬릿빔(231)을 인지하는 시점을 ta라 하고,
    상기 제2광수신센서(132)가 상기 제2슬릿빔(231)을 인지하는 시점을 tb라 할 때,
    상기 ta와 tb의 시간차이를 Δab 라 하고,
    상기 제1광수신센서(131)와 제2광수신센서(132)의 직선거리를 d라 할 때 임팩트시점의 페이스각도는
    Figure pat00023
    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여기서 Δd = Vh * Δab 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의 표시부(340)는,
    상기 제1광수신센서(131)가 상기 제2슬릿빔(231)을 인지하는 시점 ta가 상기 제2광수신센서(132)가 상기 제2슬릿빔(231)을 인지하는 시점 tb시점보다 빠르면 페이스각도가 크로스(close) 되었다고 표시하고,
    상기 시점 ta가 상기 tb시점보다 늦으면 페이스각도가 오픈(open) 되었다고 표시하며,
    상기 시점 ta와 상기 tb가 동일할 때는 페이스각도가 스퀘어(square) 되었다고 표시하면서 각도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는 클럽종류를 선택하여 연습하는 기능이 구비되되,
    사용자가 클럽 종류를 결정하면 결정된 클럽에 따라 라이각이 결정되며,
    상기 사용자가 어드레스 동작을 하면서 상기 그립부(120)를 잡고 손목의 각도를 조절하여 그립의 각도를 바꾸면 상기 가속도센서와 각속도센서의 출력값을 전달받은 연산모듈(320)은 라이각을 계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의 표시부(340)에 표시하며,
    상기 계산된 라이각이 상기 결정된 클럽의 라이각과 동일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부(340)에는 결정된 클럽으로 세팅되었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은 클럽부(100)의 스윙평면과 클럽각도와 공격각도를 계산하여 표시부(340)에 표시하되,
    상기 클럽부(100)의 샤프트 축방향을 Z축, 헤드유닛이 골프공을 향해 움직이는 방향을 Y축, 사용자와 멀어지는 방향을 X축이라 할 때,
    상기 그립부(120)의 센서 위치 공간좌표를 {
    Figure pat00024
    ,
    Figure pat00025
    ,
    Figure pat00026
    }라 하고, 상기 클럽부(100)의 헤드바닥면의 중심점 공간좌표를{
    Figure pat00027
    ,
    Figure pat00028
    ,
    Figure pat00029
    }라 하며,
    상기 헤드유닛(130)이 골프공을 임팩트한 것으로 가정하여 헤드유닛(130)이 골프공에 근접하여 위치한다고 가정한 가상헤드 바닥면의 중심점 공간좌표를{
    Figure pat00030
    ,
    Figure pat00031
    ,
    Figure pat00032
    }라 할 때,
    상기 클럽부(100)의 헤드유닛(130) 바닥면(135)에서 가상헤드의 바닥면까지는 z축 방향으로 거리 b 만큼 떨어져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클럽부(100)를 가지고 스윙을 함에 따라 상기 IMU센서의 출력값을 소정시간간격으로 전달받은 상기 연산모듈(320)은 그립부(120)의 공간궤적과 헤드바닥면 중심점의 공간궤적과 가상헤드 바닥면 중심점의 공간궤적을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은 상기 헤드유닛(130)의 공간궤적을 연산한 다음 상기 연산된 헤드유닛(130)의 경로에서 임팩트시점(
    Figure pat00033
    )을 전후하여 X축방향의 값이 좌표변화가 없으면 스트레이트(straight)이고, 양의 값에서 음의 값으로 변화면 아웃투인(out-to-in)이고,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화면 인투아웃(in-to-out)으로 판단하여 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부(34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







KR1020210072778A 2021-06-04 2021-06-04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52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778A KR102520867B1 (ko) 2021-06-04 2021-06-04 골프 스윙 연습기
PCT/KR2022/003564 WO2022255605A1 (ko) 2021-06-04 2022-03-15 골프 스윙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778A KR102520867B1 (ko) 2021-06-04 2021-06-04 골프 스윙 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248A true KR20220164248A (ko) 2022-12-13
KR102520867B1 KR102520867B1 (ko) 2023-04-12

Family

ID=8432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778A KR102520867B1 (ko) 2021-06-04 2021-06-04 골프 스윙 연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0867B1 (ko)
WO (1) WO202225560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283A (ja) * 1993-04-19 1994-11-01 Ricoh Kiyouiku Kiki Kk ゴルフ練習装置
KR100832098B1 (ko) 2006-11-24 2008-05-27 최광현 연습용 골프채
KR101048211B1 (ko) 2009-02-18 2011-07-08 김영득 헤드 스피드 조절이 가능한 연습용 골프채
US8109816B1 (en) 2007-05-31 2012-02-07 Yale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and analysis of a golf swing
KR101507569B1 (ko) 2014-12-10 2015-04-08 최승원 스윙 연습장치
KR101913034B1 (ko) * 2017-05-10 2018-10-29 한운학 광선 패턴 이미지와 광센서를 이용한 가정용 골프 시뮬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4063A (en) * 1993-03-17 1994-12-20 The Zelar Corp. Golf apparatus
KR20090129246A (ko) * 2008-06-12 2009-12-16 조황 골프 스윙 훈련 시스템, 스윙 궤적 산출 장치 및 방법
KR20110119026A (ko) * 2010-04-26 2011-11-02 주식회사 유엠비컴 화상 골프채를 이용한 컴퓨터 골프 게임 시스템
KR101718099B1 (ko) * 2015-07-22 2017-04-04 한운학 광선 패턴 이미지를 이용한 가정용 골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283A (ja) * 1993-04-19 1994-11-01 Ricoh Kiyouiku Kiki Kk ゴルフ練習装置
KR100832098B1 (ko) 2006-11-24 2008-05-27 최광현 연습용 골프채
US8109816B1 (en) 2007-05-31 2012-02-07 Yale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and analysis of a golf swing
KR101048211B1 (ko) 2009-02-18 2011-07-08 김영득 헤드 스피드 조절이 가능한 연습용 골프채
KR101507569B1 (ko) 2014-12-10 2015-04-08 최승원 스윙 연습장치
KR101913034B1 (ko) * 2017-05-10 2018-10-29 한운학 광선 패턴 이미지와 광센서를 이용한 가정용 골프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867B1 (ko) 2023-04-12
WO2022255605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958B1 (ko)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US20070135225A1 (en) Sport movement analyzer and training device
US20140379295A1 (en) Motion analysis device
JP6547300B2 (ja) 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方法、プログラム、及び運動解析システム
KR20130032850A (ko) 스타트 센서를 이용하는 가상 스포츠 시스템
TW201501752A (zh) 運動解析方法及運動解析裝置
KR101841427B1 (ko) 이동궤적추적장치, 이동궤적추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슈팅시뮬레이션 장치
WO1999049944A1 (en) Golf swing analysis system and method
EP1744642A2 (en) Golf alignment device, method and apparatus
KR20160106670A (ko) 운동 해석 방법, 운동 해석 장치, 운동 해석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200137073A (ko) 에이밍 기능이 구비된 퍼팅정보 제공 장치
KR102520867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JP6862931B2 (ja) 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方法、運動解析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KR101355882B1 (ko) 골프 스윙연습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US20220339495A1 (en) Golf analysis device with calibration function
JP2024521261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具
KR20180085843A (ko) 스윙 자세의 교정과 게임이 가능한 스윙 분석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JP6822173B2 (ja) 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方法、プログラム、及び運動解析システム
KR101487989B1 (ko)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0429149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JP6297662B1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用バット
KR20130057101A (ko) 듀얼 센서를 이용한 스크린 골프 연습장치
KR20090055458A (ko) 골퍼 지향각 표시장치 방법 및 장치
KR20160024477A (ko) 골프 스윙분석기
JP2003117043A (ja) ゴルフラブ選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