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989B1 - 스크린 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린 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989B1
KR101487989B1 KR20130130520A KR20130130520A KR101487989B1 KR 101487989 B1 KR101487989 B1 KR 101487989B1 KR 20130130520 A KR20130130520 A KR 20130130520A KR 20130130520 A KR20130130520 A KR 20130130520A KR 101487989 B1 KR101487989 B1 KR 101487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ine
golf ball
screen
sensor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국
Original Assignee
네오에이스코리아(주)
김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에이스코리아(주), 김승국 filed Critical 네오에이스코리아(주)
Priority to KR20130130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5Tracking the path or location of one or more users, e.g. players of a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56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for statistical or strategic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골프공을 가력하는 타석부와, 상기 타석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가력한 상기 골프공의 운동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라인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라인에서 생성된 상기 복수개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골프공이 이동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를 외부로 주사하는 프로젝터부와,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주사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라인은, 상기 타석부로부터 상기 스크린부까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골프공이 통과하는 가상의 면을 형성하는 제 1 센서라인, 제 2 센서라인 및 제 3 센서라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센서라인, 상기 제 2 센서라인 및 상기 제 3 센서라인은 각각 상기 골프공이 상기 제 1 센서라인, 상기 제 2 센서라인 및 상기 제 3 센서라인이 형성하는 각각의 가상의 면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골프공의 위치인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센서라인은 상기 골프공이 상기 스크린부에 충돌한 후 리바운드될 때 상기 제 3 센서라인의 가상의 면에서의 상기 골프공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 4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신호 및 상기 제 4 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미지 상의 상기 골프공의 스핀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신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골프공의 이동 방향에 대한 상기 스크린부 상의 상기 골프공의 위치 및 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스크린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골프공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스크린 골프 시스템{Screen golf system}
본 발명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는 대중적으로 인기 있는 스포츠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경제적 또는 시간적 여건에 의해서 많은 골퍼들은 필드에 나가는 대신 스크린 골프를 이용하고 있다.
스크린 골프는 골퍼가 프로젝터 등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사되는 골프장의 영상을 보면서 골프공을 타격하면, 측면 등에 설치된 타구 위치 측정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골프공의 타구 위치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미리 프로그램 된 계산식 또는 계산 테이블에 의해 골프공의 착지 지점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골프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이는 골퍼가 실제 골프장에서 라운드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골프에서 퍼팅(Putting)의 경우, 그린 상의 라이(Lie) 또는 그린의 경사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세기와 방향으로 골프공을 타격하여 볼을 홀컵(pin)에 집어넣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3652호(발명의 명칭 : 가정용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골프공을 가력하는 타석부와, 상기 타석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가력한 상기 골프공의 운동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라인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라인에서 생성된 상기 복수개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골프공이 이동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를 외부로 주사하는 프로젝터부와,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주사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라인은, 상기 타석부로부터 상기 스크린부까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골프공이 통과하는 가상의 면을 형성하는 제 1 센서라인, 제 2 센서라인 및 제 3 센서라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센서라인, 상기 제 2 센서라인 및 상기 제 3 센서라인은 각각 상기 골프공이 상기 제 1 센서라인, 상기 제 2 센서라인 및 상기 제 3 센서라인이 형성하는 각각의 가상의 면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골프공의 위치인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센서라인은 상기 골프공이 상기 스크린부에 충돌한 후 리바운드될 때 상기 제 3 센서라인의 가상의 면에서의 상기 골프공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 4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신호 및 상기 제 4 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미지 상의 상기 골프공의 스핀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신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골프공의 이동 방향에 대한 상기 스크린부 상의 상기 골프공의 위치 및 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스크린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골프공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석부로부터 상기 제 1 센서라인까지의 제 1 거리, 상기 제 1 센서라인으로부터 상기 제 2 센서라인까지의 제 2 거리, 상기 제 2 센서라인으로부터 상기 제 3 센서라인까지의 제 3 거리, 상기 제 3 센서라인으로부터 상기 스크린부까지의 제 4 거리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거리, 상기 제 2 거리, 상기 제 3 거리 및 상기 제 4 거리는 순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라인, 상기 제 2 센서라인, 상기 제 3 센서라인을 상기 타석부로부터 상기 스크린부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석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라인, 상기 프로젝터부,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제 골프를 하는 것과 공의 움직임을 모사함으로써 정확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실제 골프를 치는 것과 같이 운동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는 기다란 평행육면체 형태의 틀로 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이때, 하우징(110)은 한쪽이 오픈되어 있고 다른 한쪽이 막혀있을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폐쇄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폐쇄된 공간으로 사람이 출입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110)은 바닥벽(111), 천장벽(113) 및 측면벽(112)으로 이루어져있고, 각 벽들은(111,112,113) 가벼우면서 튼튼한 합성물질로 만들어져 쉽고 빠르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벽들(111,112,113)은 틀내에서 소음을 최소하게 하며 골프공(B)이 부딪쳤을 때의 충격을 흡수한다. 특히 이 벽들(111,112,113)은 내부에 충격이나 소음을 흡수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며, 흡수부재의 안쪽에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흡수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골프공(B)을 티샷하는 타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석부(160)는 골프티(16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립하도록 형성되는 발판부(16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타석부(160)는 하우징(110)의 오픈된 쪽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고, 사용자는 하우징(110)의 막혀있는 내부쪽을 향하여 골프공(B)을 치기도 하고 퍼팅을 할 수도 있다. 이때, 타석부(160) 측의 하우징(110)의 개구된 부분은 도어(미도시) 등을 통하여 완전히 폐쇠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벽을 설치한 후 상기 벽에 상기 도어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는 하우징(110)의 막혀져 있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크린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부는 티샷하는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되며, 골프공(B)을 막아주고 비디오 이미지를 투영하는 두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린(150)을 구비할 수 있다. 스크린(150)은 하얀색이며 비닐형태의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스크린부는 스크린(150)을 고정하는 고정프레임(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이버글라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크린(150)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무줄 등과 같은 탄성부재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스크린(150) 전체에 동일한 장력을 제공함으로써 스크린(150)에 도달한 골프공(B)이 같은 속도, 스핀, 방향이라면 언제나 동일한 결과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는 타석부(160)로부터 상기 스크린부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1 센서라인(120), 제 2 센서라인(130) 및 제 3 센서라인(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센서라인(120) 내지 제 3 센서라인(140) 각각은 벽 내부에 설치되는 수광센서(126,136,146)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수광센서(126,136,146)는 모두 똑같은 센서들이며 이들이 적외선 발광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바꾸어준다.
이때, 제 1 센서라인(120) 내지 제 3 센서라인(140)는 각각 감지할 공간의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센서라인(120) 내지 제 3 센서라인(140)는 골프공(B)의 진행방향(Z방향)에 수직한 하우징(110) 단면으로 보았을 때 제 1 센서라인(120) 내지 제 3 센서라인(140) 내부의 공간이 하나의 다각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 다각형들은 서로 수직한 두변을 갖는 사각형일 수 있다.
하우징(110) 내부에서 타석부(160)로부터 제 1 센서라인(120)까지의 제 1 거리(S1), 제 1 센서라인(120)으로부터 제 2 센서라인(130)까지의 제 2 거리(S2), 제 2 센서라인(130)으로부터 제 3 센서라인(140)까지의 제 3 거리(S3) 및 제 3 센서라인(140)으로부터 스크린(150)까지의 제 4 거리(S4)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거리(S1) 내지 제 4 거리(S4)는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거리(S1) 내지 제 4 거리(S4)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스펙 내지 규격에 따라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센서라인(120)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거리(S1) 내지 제 4 거리(S4)는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센서라인(120)은 제 1 기둥프레임(121), 제 2 기둥프레임(122), 제 3 기둥프레임(123) 및 제 4 기둥프레임(1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센서라인(130)은 제 1 센서라인(120)과 유사하도록 제 5 기둥프레임(131), 제 6 기둥프레임(132), 제 7 기둥프레임(133) 및 제 8 기둥프레임(134)을 포함하고, 마지막으로 제 3 센서라인(140)은 제 9 기둥프레임(141), 제 10 기둥프레임(142), 제 11 기둥프레임(143) 및 제 12 기둥프레임(14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센서라인(120) 내지 제 3 센서라인(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센서(125,135,145)를 구비할 수 있다. 발광센서(125,135,145)는 IR 발광센서일 수 있다. 이때, 발광센서(125,135,14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광센서(126,136,146)와 동일한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수광센서(126,136,146)는 IR 발광센서에서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IR 수광센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광센서(125,135,145)는 수광센서(126,136,146)와 동일한 센서라인 중 서로 다른 기둥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수광센서(126,136,146)의 위치 및 발광센서(125,135,145)의 위치는 골프공(B)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위치이면 각 센서라인 중 최적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발광센서(125,135,145)와 수광센서(126,136,146)는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발광센서(125,135,145)는 제 1 센서라인(120)에 배치되는 제 1 발광센서(125), 제 2 센서라인(130)에 배치되는 제 2 발광센서(135) 및 제 3 센서라인(140)에 배치되는 제 3 발광센서(1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발광센서(125) 내지 제 3 발광센서(145)는 각각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 1 발광센서(125)는 제 1 센서라인(120)을 형성하는 제 1 기둥프레임(121) 내지 제 4 기둥프레임(124)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발광센서(135) 및 제 3 발광센서(145)도 제 1 발광센서(125)와 유사하게 각각 제 2 센서라인(130) 및 제 3 센서라인(14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수광센서(126,136,146)는 제 1 센서라인(120)에 배치되는 제 1 수광센서(126), 제 2 센서라인(130)에 배치되는 제 2 수광센서(136) 및 제 3 센서라인(140)에 배치되는 제 3 수광센서(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수광센서(126) 내지 제 3 수광센서(146)는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 1 수광센서(126) 내지 복수개의 제 3 수광센서(146)는 각각 제 1 센서라인(120) 내지 제 3 센서라인(140)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제 1 수광센서(126)는 제 1 기둥프레임(121) 내지 제 4 기둥프레임(124) 중 적어도 하나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제 2 수광센서(136)는 제 5 기둥프레임(131) 내지 제 8 기둥프레임(134) 중 적어도 하나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 3 수광센서(146)는 제 9 기둥프레임(141) 내지 제 12 기둥프레임(144) 중 적어도 하나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발광센서(125,135,145) 및 수광센서(126,136,146)는 각 센서라인 내에서 라인내의 모든 공간을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곳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골프공(B)의 통과가 예상되는 모든 곳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센서라인(120) 내지 제 3 센서라인(140)에 각각 설치되는 발광센서(125,135,145) 및 수광센서(126,136,146)의 개수는 변할 수 있고, 각 발광센서(125,135,145) 및 수광센서(126,136,146)의 위치 및 거리도 전체 틀의 크기와 골프공(B)의 궤적을 계산하는 시스템의 원하는 정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는 제 1 센서라인(120) 내지 제 3 센서라인(140)에서 감지된 결과를 근거로 골프공(B)의 이동 시 휘어지는 정도, 골프공(B)의 회전속도 및 골프공(B)의 이동속도 등을 산출하며, 골프공(B)의 궤적을 이미지화하는 제어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작 연산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이미지를 구현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젝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터(180)는 하우징(110)의 천장벽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180)는 제어부(170)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전달받아 스크린(150)상에 투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어부(170)는 처음에 플레이어가 골프공(B)을 칠 것을 기대하여 스크린(150)에 골프코스를 비출 것을 준비시킨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 1 센서라인(120)에서 골프공(B)을 감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 1 센서라인(1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 1 센서라인(120)에서 공이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공의 정보를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저장한다. 이때, 제 1 센서라인(120)에서 감지과정은 시간 제한 없이 진행된다. 그런 후에 제 2 센서라인(130)에서 제 1 시간 제한이 설정될 수 있으며, 제 1 시간제한은 2.5초 혹은 그보다 작은 시간으로 계산된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70)는 제 1 센서라인(120)에서 골프공(B)을 감지한 후 제 1 시간제한동안 제 2 센서라인(130)에서 골프공(B)이 감지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제 2 센서라인(130)은 상기에서 설명한 기 설정된 제 1 시간제한동안 제 2 센서라인(130)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 2 센서라인(130)에서 공이 탐지되지 않으면 공이 탐지 될 때까지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센서라인(120)에서 골프공(B)을 감지하는 과정 및 제 2 센서라인(130)에서 골프공(B)을 감지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제 1 센서라인(120) 및 제 2 센서라인(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골프공(B)을 잘못 인식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필요한 과정이다.
상기와 같이 제 2 센서라인(130)에서 골프공(B)이 탐지되면 제어부(170)에서는 또 다른 제 2 시간 제한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 2 시간제한은 제 1 시간제한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한편, 제 2 센서라인(130)에서 공을 탐지하면, 제어부(170)는 제 3 센서라인(140)을 준비시킨다. 이때, 제 3 센서라인(140)이 공을 찾기 위해 할당된 최대 시간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시간 제한에 의해 정해진다.
제 3 센서라인(140)에서 공이 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제 1 센서라인(120)과 제 2 센서라인(130)에서 얻어진 데이터(data)만으로 골프공(B)의 속도, 스크린(150) 상에서의 위치, 훅 슬라이스 양 등을 계산을 하고 이 데이터는 제어부(170)로 보내져서 스크린(150)에 표시될 골프공(B)의 데이터를 산출하고, 골프공(B)의 스핀 양은 0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150)에 표시될 골프공(B)의 데이터는 골프공(B)의 중심을 구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때, 골프공(B)의 중심을 구하는 방법은 제 1 센서라인(120) 및 제 2 센서라인(130)에서의 골프공(B)의 위치와 제 1 센서라인(120) 및 제 2 센서라인(130)에서 골프공(B)이 감지된 시간을 계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골프공(B)의 중심을 산출하는 방법은 제어부(170)에 프로그래밍 형태로 탑재될 수 있으며, 골프공(B)의 감지된 결과에 근거하여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의 경우 이외에 제 3 센서라인(140)에서 공이 탐지되면, 골프공(B)의 데이터는 다른 방법에 의해 계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제 1 센서라인(120) 및 제 2 센서라인(130)에서 골프공(B)의 중심을 산출하는 과정과 유사하게 제 3 센서라인(140)에서 골프공(B)의 중심을 산출하여 골프공(B)의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작업은 3번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골프공(B)의 데이터의 계산은 제 1 센서라인(120)과 제 2 센서라인(130), 제 2 센서라인(130)과 제 3 센서라인(140), 그리고 제 1 센서라인(120)과 제 3 센서라인(140) 사이에서 계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골프공(B)의 데이터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센서라인(120) 및 제 2 센서라인(130)에서 골프공(B)의 데이터를 산출하는 방법과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라인간에서 골프공(B)의 중심점과 시간 탐지로 행해진다. 사용되는 데이터의 계산 순서는 다음과 같다. 제 1 센서라인(120)과 제 2 센서라인(130) 사이의 골프공(B)의 데이터, 제 2 센서라인(130)과 제 3 센서라인(140) 사이의 골프공(B)의 데이터, 그리고 제 1 센서라인(120)과 제 3 센서라인(140) 사이의 골프공(B)의 데이터 순이다. 각 계산식에서의 골프공(B)의 데이터는 5개의 값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골프공(B)의 데이터는 골프공(B)이 스크린에 맞을 때의 X, Y 좌표, 그리고 골프공(B)이 스크린에 맞을 때의 속도와 방향에 관한 x, y, z값이다. x값은 좌에서 우로 가는 수평적 값이고, y값은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수직의 값이고, z값은 타석에서 스크린까지의 진행 좌표 값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골프공(B)의 데이터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70)는 골프공(B)이 제 2 센서라인(130)과 제 3 센서라인(140) 사이의 내부 측면 벽을 쳤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골프공(B)이 각 센서라인을 벗어나 하우징(110)의 측면을 쳤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제 1 센서라인(120)과 제 2 센서라인(130) 사이의 속도와 제 2 센서라인(130)과 제 3 센서라인(140) 사이의 속도값을 비교한다. 만약, 이 두개의 값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제 3 센서라인(140)의 값은 사용되지 않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센서라인(120)과 제 2 센서라인(130)의 값만을 사용하여 골프공(B)의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우 이외에 만약 골프공(B)이 하우징(110)의 벽면을 치지 않은 걸로 확인된다면, 과정은 제어부(170)는 골프공(B)의 평균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골프공(B)의 데이터는 평균 계산되고 가중치를 더해서 위에 언급한 5개의 값을 제어부(170)에 기 설정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계산하여 골프공(B)의 궤적을 스크린(150)에 표현하게 한다. 가중치를 계산하기 위한 방법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3098834819-pat00001
이때,
Figure 112013098834819-pat00002
는 속도의 수평요소의 평균값이고,
Figure 112013098834819-pat00003
는 제 1 센서라인(120)과 제 2 센서라인(130) 사이의 계산된 속도이고,
Figure 112013098834819-pat00004
은 제 1 센서라인(120)과 제 3 센서라인(140) 사이의 계산된 속도, 그리고,
Figure 112013098834819-pat00005
은 제 1 센서라인(120)과 제 3 센서라인(140) 사이의 계산된 속도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골프공(B)의 평균데이터 산출이 완료되면, 제 3 센서라인(140)에서 공이 스크린을 맞고 튀어 나오는 것을 탐지한다. 튀어 나오는 것이 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골프공(B)의 스핀속도가 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기 설정된 시간안에 공이 튀어 나오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골프공(B)의 스핀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골프공(B)이 제 2 센서라인(130)에서 탐지됐으나 제 3 센서라인(140)에서 탐지가 안되었다면 제어부(170)는 짧은 퍼팅이나 칩샷(chip shot)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B)이 제 3 센서라인(140)에 탐지가 됐으나 튀어 나오는 것이 없는 경우 제어부(170)는 긴 퍼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센서라인(130)과 제 3 센서라인(140) 사이에는 제 3 센서라인(140)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 커튼(19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커튼(190)은 칩샷이 제 2 센서라인(130) 및 제 3 센서라인(140) 사이의 천장을 맞고 제 3 센서라인(140)을 통과하는 것을 막아준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각 센서라인에서 골프공(B)을 탐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어부(170)는 제 1 센서라인(120)의 제 1 발광센서(125), 제 2 센서라인(130)의 제 2 발광센서(135) 및 제 3 센서라인(140)의 제 3 발광센서(145)에서 순차적으로 짧은 시간 간격으로 적외선을 발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제 1 발광센서(125)가 적외선 광선을 발사하고 나면 상기의 시간 간격 후에 제 2 발광센서(135)가 적외선을 발사한다. 또한, 제 2 발광센서(135)가 적외선을 발사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 3 발광센서(145)가 적외선을 발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발광센서에서 적외선이 방출된 후 각 센서라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광센서(126,136,146)에서 골프공(B)이 탐지되면, 제어부(170)는 잠시 동안 탐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센서라인에 있는 서로 다른 3개의 수광센서가 골프공(B)을 탐지했는지 확인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골프공(B)의 데이터를 산출 시 골프공(B)의 비거리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 골프공(B)의 탄도와 공기저항 요소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골프공(B)이 클럽을 맞고 나온 후, 골프공(B)의 탄도와 공기저항은 골프공(B)의 비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골프공(B)의 '상승' 또는 '하강'정도는 시스템의 바닥과 측면벽에 평행한 축에 대한 골프공(B)의 회전력과 공전 요소의 측정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골프공(B)의 훅(hook)이나 슬라이스(slice)의 정도는 스크린과 평행하며 바닥에 수직인 축에 대응하는 골프공(B)의 공전량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속도는(velocity) 엔지니어링 개념으로 사용된다. 속도는 속력과 (speed) 방향 (direction)을 고려한 방향성이다. 골프공(B)이 채를 맞고 튀어 나올 때 회전과 진행의 두가지 속도를 보인다. 특히 골프공(B)의 진행에 대응하는 골프공(B)의 진행속도는 속력과 방향 (3차원)으로 이뤄지고, 골프공(B)의 회전에 대응하는 골프공(B)의 회전속도는 회전력과 회전축의 방향에 따라 이뤄진다 (3차원).
진행속도는 공이 3개의 센서라인을 통과한 위치와 시간에 따라 구해진다. 회전속도 혹은 스핀은 공이 제 3 센서라인(140)을 통과했다가 스크린(150)을 맞고 튀어 나오는 위치와 시간을 가지고 구해진다.
스크린(150)을 맞고 튀어 나오는 각이 공의 스핀을 알려주는 것이고 이 스핀이 골프공(B)의 계산된 궤적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드라이브 샷이나 피칭샷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공의 스핀이 반드시 구해져야 한다. 그러나 퍼팅에 있어서는 공의 스핀이 계산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값을 고려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센서라인(140)을 통과한 골프공(B)이 스크린(150)을 맞고 제 3 센서라인(140)을 다시 통과하는 동안 제어부(170)는 스크린(150)에 구현할 골프공(B)의 이미지를 계산한다. 이때, 골프공(B)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시간제한은 제어부(170)에 기 설정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시간제한은 1초이하일 수 있다. 그런 후에 제어부(170)는 제 1 센서라인(120)을 통과한 골프공(B)의 속도, 스핀, 위치 등을 계산한다. 이때, 퍼팅한 골프공(B)의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오직 속도와 공의 위치만을 계산한다.
제 1 센서라인(120) 내지 제 3 센서라인(140)으로부터 속도, 스핀, 위치의 평균값을 계산한 뒤, 제어부(170)는 골프공(B)이 스크린을 맞췄을 때의 공의 속도, 스핀, 위치를 계산하고 이 값을 골프공(B)이 스크린(150)을 맞히지 않았더라면 필드를 향해 날아갔을 궤적을 프로젝터를 통하여 스크린(150)에 주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골프공(B)의 궤적을 산출하기 위하여 각 센서라인에서 측정된 값을 근거로 계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각 센서라인에서 얻어진 값을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각 센서라인을 통과한 공의 X, Y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각 센서라인을 통과한 각각의 골프공(B)마다 5개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수광센서가 공을 탐지했음을 표시하면 제어부(170)는 미리 저장된 테이블에서 적절한 선 방정식을 찾는다. 여기서 선 방정식 (line equation)은 하나의 센서 라인에서 각 발광센서와 수광센서 사이의 가상의 선을 표현한다. 제어부(170)는 각 발광센서가 광선을 발사한 시간과 수광센서가 관선을 받은 시간을 기록하여 적외선을 감지 했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한다. 그리하여 만약, 특정의 수광센서가 발광센서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170)는 어느 발광센서와 수광센서간의 선이 골프공(B)에 의해 수신이 방해됐는지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테이블로부터 이 선의 방정식을 결정하여 저장한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70)는 공이 제 1 센서라인(120), 제 2 센서라인(130) 또는 제 3 센서라인(140)을 통과한 골프공(B)의 중심점을(X, Y좌표)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170)가 각 센서라인을 통과하는 골프공(B)의 중심점을 산출하는 방법은 제어부(170)에 기 설정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특히 골프공(B)의 중심점 산출은 골프공(B)을 감지하는 수광센서(126,136,146)들의 위치를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 센서라인에서의 골프공(B)의 중심점의 계산이 완료되면, 제어부(170)는 계산한 2개의 센서라인간의 X좌표 및 Y좌표를 이용하여 골프공(B)이 스크린(150)을 지나서 갔을 것을 가정한 골프공(B)의 속도와 위치를 계산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이용되는 2개의 센서라인(제 1 센서라인(120) 및 제 2 센서라인(130), 제 2 센서라인(130) 및 제 3 센서라인(140) 또는 제 1 센서라인(120) 및 제 3 센서라인(140)) 중에서 첫번째 센서라인의 골프공(B)이 통과하는 순간의 X좌표 및 Y좌표 및 골프공(B)이 두번째 센서라인을 통과한 순간의 X좌표 및 Y 좌표를 이용한다. 2개의 센서라인에서 구해진 X좌표 및 Y좌표와 골프공(B)이 탐지된 시간들을 가지고 첫번째 센서라인에 의해 정의된 골프공(B)의 속도가 결정된다. 이때, 하기의 [수학식 2]을 근거로 골프공(B) 속도의 X성분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3098834819-pat00006
여기서 T는 두개의 센서라인을 골프공(B)이 통과한 경과시간이고,
Figure 112013098834819-pat00007
은 사용되는 두개의 라인중 첫번째 라인을 통과한 시점의 골프공(B) 중심점의 X 좌표이고,
Figure 112013098834819-pat00008
는 골프공(B)이 2개의 라인중 두번째 라인을 통과한 시점의 골프공(B) 중심점의 X좌표이다.
Figure 112013098834819-pat00009
는 공의 속도중 x 요소이다. 이 수식은 제 1 센서라인(120)과 제 2 센서라인(130) 사이의
Figure 112013098834819-pat00010
를, 제 2 센서라인(130)과 제 3 센서라인(140) 사이의
Figure 112013098834819-pat00011
, 그리고 제 1 센서라인(120)과 제 3 센서라인(140) 사이의
Figure 112013098834819-pat00012
자료를 계산하기 위해 이용된다.
X 방향은 스크린(150)을 바라보면서 수평의 방향을 말하며 스크린(150)을 보면서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방향을 말한다. Y 방향은 스크린(150)을 바라보면서 위에서 아래의 방향을 말한다. Z 방향은 타석부(160)에서 스크린(150) 간의 공간 면적을 말한다.
한편, 하기의 [수학식 3]은 두개의 센서라인중 첫번째 라인을 통과하는 골프공(B) 속도의 y성분을 구하기 위해 이용된다.
Figure 112013098834819-pat00013
여기서 G는 중력의 가속도이다. T는 골프공(B)이 첫번째와 두번째 라인을 통과한 경과 시간이다. Y1과 Y2 는 골프공(B)이 첫번째와 두번째 라인을 통과한 시점의 골프공(B)의 중심점의 Y좌표이다.
아울러 골프공(B) 속도의 z 성분을 구하기 위해서는 하기의 [수학식 4]를 사용한다.
Figure 112013098834819-pat00014
여기서 Z0는 두 센서 라인간의 거리이고, T는 두 센서 라인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경과 시간이다. 두 센서라인간의 경과 시간이 길다면 그것은 골프공(B)이 퍼팅되었음을 뜻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골프공(B)의 퍼팅 여부를 기 설정된 시간과 상기의 경과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판별할 수있다. 이 경우 골프공(B) 속도의 Z성분의 계산은 골프공(B)이 카페트나 바닥에 의해 감속되었음을 반드시 계산해야 한다. 이 경우 골프공(B) 속도의 Z 성분의 계산은 하기의 [수학식 5]를 사용한다.
Figure 112013098834819-pat00015
이때 D는 카펫트에 의한 감속 정수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계산을 수행하는 동안, 제어부(170)는 골프공(B)이 첫번째 라인을 통과한 후 공의 속도와 위치를 계산한다. 운동의 방정식을 이용하면, 제어부(170)는 골프공(B)이 스크린(150)에 충돌할 때의 골프공(B)의 위치와 속도를 산출해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대로 공이 각 센서라인을 통과한 후 제 1 센서라인(120) 내지 제 3 센서라인(140)에서 측정된 결과값을 근거로 골프공(B) 속도의 x, y, z 성분을 각 센서 라인간의 시간차를 이용해서 필요한 자료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센서라인과 스크린간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골프공(B)을 스크린(150)에 표현할 때 바람과 같은 환경적 요소는 고려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Y축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력의 영향은 고려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위의 VX와 VZ를 결정 짓는 값은 스크린에서의 연관된 속도 값을 위해 사용된다. Y축에서의 공의 스크린에서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수학식 6]을 통하여 구해진다.
Figure 112013098834819-pat00016
여기서 G는 중력의 가속도, TS는 골프공(B)이 두개의 센서라인 중 첫번째 센서라인으로부터 스크린(150)에 맞는 순간까지의 경과시간이다. 또한, VY은 골프공(B) 속도의 Y성분의 평균일 수 있으며, [수학식 1]로 구할 수 있다. 이때, TS는 다음 [수학식 7]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13098834819-pat00017
여기서 ZS는 두개의 센서 라인중 첫번째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이다. 또한, VZ은 골프공(B) 속도의 Z성분의 평균일 수 있다. 이때, VZ의 경우 [수학식 1]으로 구하는 것과 유사하게 산출될 수 있다. 퍼팅의 경우 속도의 z 성분은 다음의 [수학식 8]을 통해 계산한다.
Figure 112013098834819-pat00018
한편, 스크린(150)에 비춰지는 골프공(B)의 위치는 다음 [수학식 9]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112013098834819-pat00019
Pxs는 스크린(150) 상의 골프공(B)의 X좌표이고, Px1은 골프공(B)이 첫번째 라인을 통과할 때의 골프공(B)의 X좌표이다. 또한, Vx는 상기에서 구한 X방향의 평균 속력을 의미한다.
한편, 스크린(150) 상에서 골프공(B)의 위치는 하기의 [수학식 10]으로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3098834819-pat00020
여기서 PYS는 Y축을 따라서 스크린(150)에서 골프공(B)의 위치, PY1은 골프공(B)이 첫번째 센서라인을 통과했을 때의 Y좌표이다. 또한, VY 는 상기에서 구한 Y방향의 평균 속력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70)는 골프공(B)의 스핀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부(170)는 골프공(B)이 제 3 센서라인(140)을 통과할 때의 값을 기억했다가 스크린(150)을 맞고 튀어나오는 제 3 센서라인(140)에서의 골프공(B)의 좌표를 비교하여 계산한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위치값과 시간값을 바탕으로 상기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를 통하여 골프공(B)이 스크린(150)을 맞추기 전의 골프공(B) 속도의 X성분, Y성분, Z성분과 스크린(150)을 맞춘 후 [수학식 2], [수학식 3], [수학식 4]를 통하여 골프공(B) 속도의 X성분, Y성분, Z성분을 각각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골프공(B) 속도 성분의 계산이 완료되면, 제어부(170)는 골프공(B)의 스핀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골프공(B)의 스핀을 계산하는데 있어, 속도의 정보는 골프공(B)의 회전 에너지가 스크린을 맞음으로 인해 이동 에너지로 바뀐다고 가정한다.
특히 스크린(150)은 상기와 같은 데이터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150)은 적당한 양만큼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한 상태에서 골프공(B)이 바운드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바운드되는 골프공(B)의 요소는 백스핀(Y축 속도를 결정)과 훅-슬라이스 스핀(X축 속도를 결정) 만이 관심의 대상이 되므로 Z축 속도의 변화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이때, 스크린(150)은 Z축의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이것은 중요하다.
스크린(150)은 평평하게 수직으로 설치 되어 있고 골프공(B)의 비행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위치한다. 골프공(B)은 대개 스크린(150)에 각도를 가지고 비행을 하기 때문에 항상 최초의 이동속도와 최후의 이동속도가 존재한다. 골프공(B)의 최초의 스핀을 적절히 측정하기 위해 이 사실을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 이때, 골프공(B)의 훅-슬라이스 정도 및 스핀을 계산하기 위하여 하기의 [수학식 11] 및 [수학식 12]를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3098834819-pat00021
Figure 112013098834819-pat00022

여기서 Vhs, Vb는 각각 훅-슬라이스 양 및 스핀 양일 수 있다. 또한, VXS와 VYS는 스크린에 골프공(B)이 맞는 순간의 X, Y축 속도이고, VXR 과 VYR 은 골프공(B)이 스크린(150)을 맞고 다시 제 3 센서라인(140)을 통과하는 순간의 X, Y 축 속도이고, Rb는 골프공(B)의 직경, G는 중력의 가속도이다. TR은 제 3 센서라인(140)을 통과한 후 리바운드되어 다시 제 3 센서라인(140)을 골프공(B)이 통과할 때까지의 경과시간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계산이 완료되면, 제어부(170)는 상기의 결과값을 가지고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전체 공의 속도에 따라 스핀 양 및 훅-슬라이스 양을 이용하여 골프공(B)의 비거리를 스크린(150)에 표현한다. 이때, 스크린(150)에서 표시되는 골프공(B)의 속도 성분, 스핀 양, 훅-슬라이스 양은 제어부(170)에 테이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의 계산이 완료된 후 해당하는 값을 근거로 골프공(B)의 궤도를 스크린(150)에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는 골프공(B)의 운동을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다. 특히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는 골프공(B)이 스크린(150)에 충돌 후 스크린(150)으로부터 리바운드되는 골프공(B)의 속력으로부터 스핀 양을 측정함으로써 실제 골프 환경과 유사하게 골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스크린 골프 시스템
110: 하우징
120: 제 1 센서라인
125: 제 1 발광센서
126: 제 1 수광센서
130: 제 2 센서라인
135: 제 2 발광센서
136: 제 2 수광센서
140: 제 3 센서라인
145: 제 3 발광센서
146: 제 3 수광센서
150: 스크린
160: 타석부
170: 제어부
180: 프로젝터
190 : 커튼

Claims (5)

  1. 사용자가 골프공을 가력하는 타석부;
    상기 타석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가력한 상기 골프공의 운동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라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라인에서 생성된 상기 복수개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골프공이 이동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를 외부로 주사하는 프로젝터부;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주사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라인은,
    상기 타석부로부터 상기 스크린부까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골프공이 통과하는 가상의 면을 형성하는 제 1 센서라인, 제 2 센서라인 및 제 3 센서라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센서라인, 상기 제 2 센서라인 및 상기 제 3 센서라인은 각각 상기 골프공이 상기 제 1 센서라인, 상기 제 2 센서라인 및 상기 제 3 센서라인이 형성하는 각각의 가상의 면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골프공의 위치인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센서라인은 상기 골프공이 상기 스크린부에 충돌한 후 리바운드될 때 상기 제 3 센서라인의 가상의 면에서의 상기 골프공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 4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신호 및 상기 제 4 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미지 상의 상기 골프공의 스핀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신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골프공의 이동 방향에 대한 상기 스크린부 상의 상기 골프공의 위치 및 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스크린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골프공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석부로부터 상기 제 1 센서라인까지의 제 1 거리, 상기 제 1 센서라인으로부터 상기 제 2 센서라인까지의 제 2 거리, 상기 제 2 센서라인으로부터 상기 제 3 센서라인까지의 제 3 거리, 상기 제 3 센서라인으로부터 상기 스크린부까지의 제 4 거리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리, 상기 제 2 거리, 상기 제 3 거리 및 상기 제 4 거리는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라인, 상기 제 2 센서라인, 상기 제 3 센서라인을 상기 타석부로부터 상기 스크린부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석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라인, 상기 프로젝터부,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20130130520A 2013-10-30 2013-10-30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1487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0520A KR101487989B1 (ko) 2013-10-30 2013-10-30 스크린 골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0520A KR101487989B1 (ko) 2013-10-30 2013-10-30 스크린 골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989B1 true KR101487989B1 (ko) 2015-01-29

Family

ID=5259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0520A KR101487989B1 (ko) 2013-10-30 2013-10-30 스크린 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9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19B1 (ko) 2020-12-28 2021-11-16 우승준 시간제 이용권 구입이 가능한 포인트 연동방식의 스크린 골프장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5671B1 (ko) 2023-02-13 2023-05-30 주)제이와이디자인 골프공 수거 경로를 변형한 스크린 골프장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599B1 (ko) 2001-11-30 2004-06-04 아토정보기술 주식회사 체감형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059325B1 (ko) 2011-02-11 2011-08-24 (주)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JP5334185B2 (ja) 2009-07-07 2013-11-06 ゴルフゾ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タ及びそれに備えられるセンシ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599B1 (ko) 2001-11-30 2004-06-04 아토정보기술 주식회사 체감형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JP5334185B2 (ja) 2009-07-07 2013-11-06 ゴルフゾ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タ及びそれに備えられるセンシング装置
KR101059325B1 (ko) 2011-02-11 2011-08-24 (주)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19B1 (ko) 2020-12-28 2021-11-16 우승준 시간제 이용권 구입이 가능한 포인트 연동방식의 스크린 골프장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5671B1 (ko) 2023-02-13 2023-05-30 주)제이와이디자인 골프공 수거 경로를 변형한 스크린 골프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323B1 (ko) 스타트 센서를 이용하는 가상 스포츠 시스템
US10058733B2 (en) Sports simulator and simulation method
US5846139A (en) Golf simulator
US201401116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golf club shaft flex and golf simulation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201400806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aining and instruction to a football kicker
KR101085560B1 (ko) 골프공 회전 인식 장치 및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JP7282290B2 (ja) ビリヤードボールの駆動状態情報入力制御装置
KR101841427B1 (ko) 이동궤적추적장치, 이동궤적추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슈팅시뮬레이션 장치
CN105999677B (zh) 一种可联网的便携式高尔夫模拟系统及模拟方法
KR101248836B1 (ko) 골프 타격 정보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790747B1 (ko) 스크린 배드민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1487989B1 (ko) 스크린 골프 시스템
CN101934134B (zh) 虚拟高尔夫模拟装置、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装置的传感方法
KR100918302B1 (ko) 모의 골프시스템의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센싱 방법
KR101913034B1 (ko) 광선 패턴 이미지와 광센서를 이용한 가정용 골프 시뮬레이터
KR101398859B1 (ko) 인도어와 아웃도어를 겸비한 스크린 골프장치
KR100553036B1 (ko) 골프 모의 장치의 광센싱 장치 및 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82920B1 (ko) 피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JP5034716B2 (ja) 試打装置
KR20130057101A (ko) 듀얼 센서를 이용한 스크린 골프 연습장치
KR101067500B1 (ko) 골프공 인식 시스템
KR102520867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150021359A (ko)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23507857A (ja) ゲーム装置
JP3181031U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