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456B1 -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 - Google Patents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456B1
KR101504456B1 KR20140099359A KR20140099359A KR101504456B1 KR 101504456 B1 KR101504456 B1 KR 101504456B1 KR 20140099359 A KR20140099359 A KR 20140099359A KR 20140099359 A KR20140099359 A KR 20140099359A KR 101504456 B1 KR101504456 B1 KR 101504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yringe
needle
valve memb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이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승 filed Critical 이현승
Priority to KR2014009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456B1/ko
Priority to US15/313,551 priority patent/US20170189623A1/en
Priority to PCT/KR2015/007183 priority patent/WO20160137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8Incorporating one-way valves, e.g. pressure-relief or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사기 약물과 같은 이물질에 유리가루와 같은 이물질이 혼합된 경우, 약물 유입시 이를 필터링하고, 약물 배출시, 필터링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주사기 바늘이 지지되는 바늘 지지 캡과;상기 바늘 지지 캡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주사기 바늘의 단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단부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커버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주사기 플런저의 입동작에 의하여 액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바늘 지지 캡 내부의 공간을 분리하여 개방구 방향으로의 액체 유입을 유도하고, 주사기 플런저의 배출동작에 의하여 액체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바늘 지지 캡 내부 공간의 분리를 해제시키고, 상기 관통공을 경유한 액체의 배출을 유도하되, 액체의 유입유로와 다른 배출유로가 형성되게 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 A sylinge comprising a valve member }
본 발명은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사기 약물과 같은 이물질에 유리가루와 같은 이물질이 혼합된 경우, 약물 유입시 이를 필터링하고, 약물 배출시, 필터링 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 10-2011-13756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내부에 주사액이 저장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실린더와, 실린더의 전방 측에 위치된 바늘 지지 캡 및 바늘 지지 캡에 설치된 바늘을 포함한다.
주사기는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실린더의 내부로 주사액을 빨아들이거나 실린더에 저장된 주사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플런저 (plunger)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주사기로 환자에게 주사액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실린더의 내부에서 플런저를 전방 측으로 밀착시킨 다음, 주사액이 담긴 앰플 유리병의 상부에 충격을 가하여, 보통은 앰플 상부를 부러뜨려 개봉하고, 개봉된 공간을 통하여 주사 바늘을 담근 다음, 플런저를 후퇴시키면 실린더 내부로 주사액이 흡입되어 담긴다.
그러나 앰플 유리병 상부를 부러뜨려 개봉할 때에 유리입자들이 비산하면서 일부는 앰플 유리병의 주사액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주사액의 내부로 들어간 유리입자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주사액을 흡입할 때에 실린더의 내부로 주사액과 함께 혼입되며, 이와 같은 주사액을 환자에 투입하는 경우에 주사액과 함께 유리입자가 인체에 투여되어 환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사기 플런저에 의한 주사기 실린더 로의 액체 유입시와, 주사기 실린더로부터 액체 배출시,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밸브 부재에 의하여 유리가루와 같은 이물질이 인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판막과 같은 밸브 부재를 활용함으로써, 밸브가 복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됨으로써 복잡한 결합 관계를 갖는 것을 지양하고, 그 전후 방향 간의 압력의 구배 변화에 따라 간명하게 동작하게 할 수 있는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사기 바늘이 지지되는 바늘 지지캡과; 상기 바늘 지지캡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주사기 바늘의 단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단부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커버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주사기 플런저의 유입동작에 의하여 액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바늘 지지캡 내부의 공간을 분리하여 개방구 방향으로의 액체 유입을 유도하고, 주사기 플런저의 배출동작에 의하여 액체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바늘 지지캡 내부 공간의 분리를 해제시키고, 상기 관통공을 경유한 액체의 배출을 유도하되, 액체의 유입유로와 다른 배출유로가 형성되게 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 부재는 판막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주사기 플런저에 의한 유입동작시, 그 최외곽 테두리가 상기 바늘 지지캡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밸브 부재의 전방공간과 후방공간을 차단하고, 상기 주사기 플런저에 의한 배출동작시, 그 최외곽테두리가 상기 바늘 지지 캡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밸브 부재의 전방공간과 후방공간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늘 지지 캡의 전방부분은 그 내경이 후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밸브 부재는 액체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바늘 지지 캡의 내주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하고, 액체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바늘 지지 캡의 내주면과 접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커버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되, 전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늘 지지 캡의 내부 공간의 최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기 플런저에 의한 배출동작시 상기 밸브 부재를 통과한 액체를 상기 관통공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에 마련되어 액체를 상기 관통공 방향으로 안내하는 곡면 형태의 안내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커버는; 전방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증가하는 제1영역과;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는 제2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1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되고,상기 개방구는 상기 제2영역의 최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1영역의 외주면과 상기 제2영역의 외주면의 경계 부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사기에 유입될 액체에 이물질이 혼합되고, 주사기 플런저의 유입 동작에 의하여 이물질이 혼합된 액체가 주사기 실린더 방향으로 유입되는 경우,이물질은 필터 부재에 걸리고, 액체는 상기 개방구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사기 실린더 내부에 유입되되, 상기 밸브 부재가 차단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관통공을 통한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사기 실린더 내부에 있는 액체가 주사기 플런저의 배출동작에 의하여 배출되는 경우, 상기 밸브 부재는 개방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주사기 실린더의 액체가 상기 상기 밸브 부재과 상기 바늘 지지 캡 내벽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바늘의 안내를 받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필터 부재에 끼어 있는 이물질에 대해서 상기 바늘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유리 앰플에 들어 있는 액상의 약제에 유리 가루와 같은 이물질이 있는 경우, 이를 주사기로 뽑아낼 때, 이물질이 필터 부재에 걸리게 됨으로써, 주사기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밸브 부재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필터 부재 내부에서 이동경로가 짧은 관통공 방향에는 액체의 이동경로가 형성되지 않아서 이물질이 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개방구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필터 부재에 걸리게 된다.
한편, 주사기 실린더에 있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 액체의 배출압력에 의하여 밸브가 개방되며, 이에 의하여 필터 커버 주위에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데, 이 바이 패스 유로를 거쳐서 주사기 실린더 액체 대부분이 바늘로 빠져나갈 수 있으며, 이 경우, 배출되는 액체가 이물질을 배출방향 반대로 힘을 가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필터 부재 내부에 잔류할 수 있다.
따라서, 주사를 이용하여 인체에 약물 주입시, 이물질이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밸브 부재를 복잡한 장치로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판막과 같이, 일방향으로는 흐름을 허용하거, 다른 방향으로는 흐름을 불허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바늘 지지 캡 내부의 제한적 공간 내에서 구조가 보다 간단하게 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의 바늘에 필터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의 바늘에 필터 커버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에서 밸브 부재 및 안내부재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에서 밸브 부재 및 안내부재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에서 밸브 부재 및 필터 커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에서 밸브 부재 및 필터 커버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에서 액체가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에서 액체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1)는 약물과 같은 액체가 임시적으로 보관되는 주사기 실린더(2)와, 상기 주사기 실린더(2)의 전방에 마련되는 노즐에 끼워지는 바늘 지지 캡(100)과, 바늘 지지 캡(100)에 끼워지는 바늘(200)을 포함한다.
바늘(200)의 후단부는 바늘 지지 캡(100)의 전단부에 고정된다.
주사기 실린더(2) 내부에는 주사기 플런저(미도시)가 마련된다.
주사기 플런저가 주사기 실린더(2) 내부 공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바늘(200)을 통하여 액체가 유입되고, 바늘 지지 캡(100)을통과하여, 주사기 실린더(2) 내부로 유입된다.
그 반대로, 주사기 플런저가 주사기 실린더(2) 내부 공간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주사기 실린더(2) 내부에서 바늘 지지 캡(100), 바늘(2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2 내지 도5는 바늘 지지 캡(100) 내부에 구성된 각종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필터부재(210), 도3은 필터 커버(220)를 도시한 것이다. .
한편, 도4와 도5는 상기 필터 커버(220)의 주위에 배치되는 밸브 부재(230) 및 상기 필터 커버(220) 앞에 배치되는 안내부재(240)를 도시한 것이다.
바늘 지지 캡(100) 내부에는 바늘(200)의 후단부와, 바늘(200)의 후단부에 결합된 필터 부재(210)와, 필터 커버(220), 밸브 부재(230), 안내 부재(240)가 마련된다.
필터 부재(210)는 촘촘한 밀도의 내부 구조를 갖는 구조이며, 그 재질은 섬유 재질이나, 기타 부드러운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필터 부재(210)의 역할은 약물에 섞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걸러 내기 위한 것이다.
필터 부재(210)는 원통형이나, 단순 다면체 형상이 아니라, 그 직경이 점점 늘어나다가 어느 순간 줄어드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늘어나는 부분을 필터 제1영역(211)이라하고, 직경이 감소하는 부분을 필터 제2영역(212)이라고 하겠다.
도3과,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부재(210)의 외부에는 필터 부재(210)의 외부를 지지하는 필터 커버(220)가 마련된다.
필터 커버(220)의 형상도 필터 부재(210)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터 커버(220)는 커버 제1영역(221)과, 커버 제2영역으로 구분되고, 커버 제1영역(221)은 필터 제1영역(211)이 수용되고, 커버 제2영역(222)은 필터 제2영역(212)이 수용된다.
즉, 커버 제1영역(221)은 필터 커버(220)의 직경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부분이고, 커버 제2영역(222)은 필터 커버(220)의 직경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부분이다.
커버 제1영역(22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관통공(223)이 형성되고, 커버 제2영역(222)의 후단부에는 개방구(224)가 형성된다.
관통공(223)은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경유지점 역할을 하는 것이고, 개방구(224)는 액체가 주사기 실린더(2)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경유점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4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커버(220)의 외주면에는 밸브 부재(230)가 마련된다.
도6과 도7은 밸브부재(230)의 전방 사시도와, 후방 사시도를 표현하고 있다.
밸브 부재(230)는 판막과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필터 커버(22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가 되고, 선택적으로 바늘 지지 캡(100) 내주면에 닿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밸브 부재(230)는 필터 제1영역(221)과 필터 제2영역(222)의 경계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부재(230)의 형상을 보면, 그 두께가 외측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이 되나, 일정하게 유지될 수 도 있다.
한편, 밸브 부재(230)는 필터 커버(220)의 연결부분에서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전방방향으로 향하여 절곡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바늘 지지 캡(200)의 내주면과 용이하게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늘 지지 캡(200)의 전단부는 그 내경이 뒤로 갈수록 증가하게되는 형상인데, 밸브 부재(240)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이 되면 주사기 플런저의 동작 및 이에 따른 액체의 유동방향에 의하여 그 최외곽 단부가 용이하게 바늘 지지 캡(200) 내면과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4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 지지 캡(200) 내부의 최전방에는 안내 부재(240)가 마련된다.
안내 부재(240)는 필터 커버(220)의 전방에 배치된다. 안내부재(240)는 밸브 부재(240)가 개방되면서 형성되는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한 액체가 관통공(223)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방향을 전환시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안내부재(240)의 후면에는 곡면 형태의 안내면(241)이 형성된다.
따라서, 개방된 밸브 부재(230)를 통과한 액체는 안내부재(240)의 안내를 받아서 방향 전환이 되어 관통공(223)을 통과한 후, 필터 제1영역(211)을 거쳐, 바늘(200)로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사기 플런저를 잡아 당겨 액체가 유입될 때, 밸브 부재(230) 후방이 저압이 되고, 밸브 부재(230) 전방에 고압이 되어 자연스럽게 밸브 부재(230)의 최외곽 단부가 펼쳐져서 바늘 지지 캡(200)의 내주면에 닿는다.
따라서, 밸브 부재(230)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이 격리되고, 필터부재(210)를 통과한 액체가 관통공(223)을 통해서 나올 수 없다. 대신, 필터 부재(210)를 통과한 액체는 필터 커버(220)의 개방구(224)를 통해서 주사기 실린더로 나올 수 있다.
액체에 이물질(290)이 있는 경우에는 필터 부재(210)에 걸릴 것이며, 대부분 필터 부재(210)의 후방 부분인 필터 제2영역(212)에 위치할 것이다.
반면에, 도9와 같이 사용자가 주사기 플런저를 밀어서, 액체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밸브 부재(230) 후방이 고압이 되고, 밸브 부재(230) 전방이 저압이 되어, 액체에 밀려서 밸브 부재(230)의 최외곽 단부가 오므라 들어 바늘 지지 캡(200)의 내주면으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밸브 부재(230)의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이 개통된다.
그 개통된 공간의 면적이 필터 커버(220)의 개방구(224)보다 넓고, 필터커버(220)에 의한 유체 흐름 저항과, 필터 부재(210) 내부에서의 유동 경로의 길이 차이 등으로 인하여, 배출되려는 유체의 대부분은 밸브 부재(230)과 바늘 지지 캡 (100)내벽 사이에 형성된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여, 관통공(223)을 경유하고, 필터 부재(210)의 제1영역(211)을 거쳤다가 바늘(20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관통공(223)으로 유입될 액체는 안내부재(240)의 안내면(241)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액체 유입시 이물질(290)이 섞인 경우, 대부분의 이물질(290)은 필터부재(210)의 제2영역(212)에 존재할 것인데, 유체 배출시 그 유동경로가 필터 제1영역(211)에 집중되고, 필터 제1영역(211)을 거치는 액체가 이물질이 바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바늘방향으로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이는 필터 제1영역(211)을 지나가는 액체가 이물질(290)에 대해서 바늘 (200)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때문이다.
한편, 배? 작용시 개방구(224)를 통해서도 액체가 필터 부재(210)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부재(210)의 촘촘한 밀도 및 개방구(224)의 면적이 그 이외 바이패스(밸브 부재가 개방되어 형성된 유로) 면적보다 좁다는 점, 그리고, 개방구(224)를 통해서 바늘(200)로 이동하려면, 필터 제1,2영역(211, 212)을 모두 거쳐야 하나, 바이패스 유로를 거친 액체의 경우, 필터 제1영역(211)만 거쳐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개방구(224)로 유입되는 액체의 양은 관통공(223)을 유입되는 액체의 양에 비해 현저히 적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여, 만약에 유리앰플 가루가 있는 액체가 주사기로 유입되는 경우, 유입과정에서 그러한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고, 배출과정에서는 액체의 배출유로는 유입유로와 다르게 하고, 배출과정의 액체가 이물질을 배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이물질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바늘 지지 캡 200: 바늘
210: 필터 부재 220: 필터 커버
230: 밸브 부재 240: 안내 부재
290: 이물질

Claims (10)

  1. 주사기 바늘이 지지되는 바늘 지지 캡과;
    상기 바늘 지지 캡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주사기 바늘의 단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단부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커버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주사기 플런저의 유입동작에 의하여 액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바늘 지지 캡 내부의 공간을 분리하여 개방구 방향으로의 액체 유입을 유도하고, 주사기 플런저의 배출동작에 의하여 액체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바늘 지지 캡 내부 공간의 분리를 해제시키고, 상기 관통공을 경유한 액체의 배출을 유도하되, 액체의 유입유로와 다른 배출유로가 형성되게 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판막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주사기 플런저에 의한 유입동작시, 그 최외곽테두리가 상기 바늘 지지 캡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밸브 부재의 전방공간과 후방공간을 차단하고,
    상기 주사기 플런저에 의한 배출동작시, 그 최외곽테두리가 상기 바늘 지지 캡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밸브 부재의 전방공간과 후방공간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지지 캡의 전방부분은 그 내경이 후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밸브 부재는 액체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바늘 지지 캡의 내주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하고, 액체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바늘 지지 캡의 내주면과 접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커버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되, 전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지지 캡의 내부 공간의 최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기 플런저에 의한 배출동작시 상기 밸브 부재를 통과한 액체를 상기 관통공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에 마련되어 액체를 상기 관통공 방향으로 안내하는 곡면 형태의 안내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커버는;
    전방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증가하는 커버 제1영역과;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는 커버 제2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커버 제1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는 상기 커버 제2영역의 최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커버 제1영역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 제2영역의 외주면의 경계 부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8. 제1항에 있어서,
    주사기에 유입될 액체에 이물질이 혼합되고, 주사기 플런저의 유입 동작에 의하여 이물질이 혼합된 액체가 주사기 실린더 방향으로 유입되는 경우,
    이물질은 필터 부재에 걸리고, 액체는 상기 개방구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사기 실린더 내부에 유입되되, 상기 밸브 부재가 차단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관통공을 통한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실린더 내부에 있는 액체가 주사기 플런저의 배출동작에 의하여 배출되는 경우,
    상기 밸브 부재는 개방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주사기 실린더의 액체가 상기 상기 밸브 부재과 상기 바늘 지지 캡 내벽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바늘의 안내를 받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필터 부재에 끼어 있는 이물질에 대해서 상기 바늘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KR20140099359A 2014-07-21 2014-08-02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 KR101504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9359A KR101504456B1 (ko) 2014-08-02 2014-08-02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
US15/313,551 US20170189623A1 (en) 2014-07-21 2015-07-10 Syringe and safety cap assembly for syringe
PCT/KR2015/007183 WO2016013791A1 (ko) 2014-07-21 2015-07-10 주사기 및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9359A KR101504456B1 (ko) 2014-08-02 2014-08-02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456B1 true KR101504456B1 (ko) 2015-03-19

Family

ID=5302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9359A KR101504456B1 (ko) 2014-07-21 2014-08-02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4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028B1 (ko) 2015-11-30 2016-05-18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WO2016208923A1 (ko) * 2015-06-23 2016-12-29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안전필터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5987A (ja) * 2004-05-03 2007-12-13 インヒュースィヴ・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多チャンバ順次投与計量分配注射器
KR20130139807A (ko) * 2013-10-10 2013-12-23 장진영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20130139812A (ko) * 2013-10-22 2013-12-23 장진영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20140001800A (ko) * 2013-11-13 2014-01-07 장진영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5987A (ja) * 2004-05-03 2007-12-13 インヒュースィヴ・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多チャンバ順次投与計量分配注射器
KR20130139807A (ko) * 2013-10-10 2013-12-23 장진영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20130139812A (ko) * 2013-10-22 2013-12-23 장진영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20140001800A (ko) * 2013-11-13 2014-01-07 장진영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923A1 (ko) * 2015-06-23 2016-12-29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안전필터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101618028B1 (ko) 2015-11-30 2016-05-18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WO2017159923A1 (ko) * 2015-11-30 2017-09-21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986B1 (ko) 주사기용 안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주사기
KR101324555B1 (ko) 안전 필터를 구비하는 주사기용 허브
JP2013532576A5 (ko)
JP7089302B2 (ja) 薬液供給調節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注射液注入装置
KR101535350B1 (ko) 내부 필터를 구비한 모세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US20180147359A1 (en) Filter structure for syringe and syringe including same
KR101753478B1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주사기
JP2009273515A (ja) ろ過器具
KR101247145B1 (ko) 주사기용 안전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
KR101456378B1 (ko) 주사기용 필터유닛
KR101504456B1 (ko)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
KR101532413B1 (ko)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JP6591065B2 (ja) フィルター注射器
KR101536584B1 (ko) 의료용 주사 바늘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
KR101466764B1 (ko)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CN109310409A (zh) 用于施用泡沫的注射器
CN105120920B (zh) 流体系统的填充装置
US6579245B1 (en) Device for underpressuring collection and dosage liquid samples, in particular for analytic tests
JP2007195975A (ja) 流通物質を貯蔵し取り出すための装置
KR101880602B1 (ko) 여과 기능을 갖는 니들 팁 및 주사기
KR101891223B1 (ko) 내장용 필터 조립체를 이용한 안전 주사기
KR20180056821A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KR20180105305A (ko) 분지관형 필터 주사기, 이를 이용한 약액 필터링 및 주사 방법
KR20190054480A (ko) 안전 필터 주사기 구조
JP6999560B2 (ja) フォームを分配する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