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807A -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807A
KR20130139807A KR1020130120638A KR20130120638A KR20130139807A KR 20130139807 A KR20130139807 A KR 20130139807A KR 1020130120638 A KR1020130120638 A KR 1020130120638A KR 20130120638 A KR20130120638 A KR 20130120638A KR 20130139807 A KR20130139807 A KR 20130139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yringe
needle
discharge
chemic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141B1 (ko
Inventor
장진영
Original Assignee
장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영 filed Critical 장진영
Priority to KR102013012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14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의 바늘부에 결합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로서, 신축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부에 약액이 흡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약액이 흡입되는 압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절개선이 형성되는 차단막; 원판 형상으로 차단막의 하측에 배치되어 절개선을 통해 흡입되는 약액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원판 형상으로 필터의 하면에 배치되어 필터를 통과한 약액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필터판; 및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기둥형상으로 하단이 필터판과 일체로 결합되고 차단막을 관통하는 배출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늘부에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구비하여 유리 파편 및 고무 조각과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함에 따라, 주사시 이물질 없는 약액을 주사기로부터 배출할 수 있고, 약액이 주사기로 흡입될 때 필터를 거치도록 하여 직접 주사가 가능한 환자에게는 직접주사가 가능하고 링거를 꽂은 환자에게는 주사침을 제거 후 링거 호스에 구비된 밸브를 통해 약액을 주사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Description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Filter assembly for syringe}
본 발명은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주사기를 이용하여 투여하는 약액은 유리로 제작된 앰플이나, 유리병에 고무마개를 적용한 바이알에 담겨 유통되며, 앰플이나 바이알에 담긴 약액은 주사기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투여하게 되는데, 약액을 주사기로 흡입하는 과정에서 앰플을 오픈하면서 발생하는 유리 파편이나, 바이알의 고무마개에서 발생하는 고무 조각이 주사기로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주사기를 통해 약액을 투여할 때 유리 파편이나 고무 조각이 함께 환자에게 투여되어 합병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정맥으로 투여되어 정맥염을 유발하거나, 척수주사의 경우에는 뇌에 침투되는 등 신체 조직의 괴사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심한 경우 암으로 발전 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주사기용 필터의 사용을 권고하고 있으며, 여러 주사기용 필터에 대한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87239호에서는 필터링 영역을 제외한 구간만으로 주사액을 흡입 유도하면서도 흡입된 주사액을 배출할 경우에는 오로지 필터링 영역에 대해서만 해당 주사액이 배출되게 유도함으로써, 링거를 꽂은 환자에게 약액을 주사하기 위해서는 링거 호스에 구비된 밸브를 통해 약액을 주사하게 되는데, 밸브를 통해 주사하는 경우 주사기의 바늘부를 제거하고 약액을 주사하기 때문에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171150호에서는 주사액을 흡입할 때는 필터를 거치지 않도록 하여 주사액의 원활한 흡입을 가능케 하고 반면 주사기 내로 흡입된 주사액을 인체에 투여할 때는 필터를 거치도록 하여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한 주사기용 필터 부재에 관한 것이나 이는 사전에 반드시 환자가 링거를 꽂은 환자인지 혈관주사나 근육주사가 가능한 환자인지 환자의 상태 파악을 반드시 한 후에 필터장착을 선 진행 할 것인지 아니면 필터장착을 후 진행할 것인지 판단 후 순서에 따라 진행하고, 착오가 있었다면 약액을 조심히 다시 빼고 다시 진행해야하며, 항상 착오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87239호(2013.07.11), “피스톤 행정에 의한 흡·배출 유도 타입의 빌로우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안전필터 주사기” 한국등록특허 제10-1171150호(2012.07.31), “주사기용 필터부재”
본 발명은 기존에 생산되는 주사기에 적용이 용이하고 약액이 주사기에 흡입될 때 필터를 거치도록 하여 진료부서나 환자의 상태 그리고 치료방법에 따라 다양한 그 모든 상황에서 기존 주사기와 같이 추가 동작 없이 원하는 기능이 모두 수행되어 번거로움 없이 사용과 적용이 가능하며 환자에게 약액 주사시에 링거 환자나 정맥주사 환자나 모든 상황에서 추가적인 동작이나 불편함 없이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는 주사기의 바늘부에 결합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로서, 신축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부에 약액이 흡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약액이 흡입되는 압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절개선이 형성되는 차단막; 원판 형상으로 상기 차단막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절개선을 통해 흡입되는 약액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원판 형상으로 상기 필터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한 약액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필터판; 및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기둥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필터판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차단막을 관통하는 배출기둥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막은, 약액을 흡입하고 배출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절개선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의 외측에서 상기 절개선을 덮으면서 일측이 상기 차단막에 결합되는 복수의 개폐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차단막은, 내부에 상기 배출기둥을 감싸도록 신축성 재질을 포함하는 차단막 결합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차단막 결합수단은, 약액 흡입시 상단으로 약액이 흡입되지 않게 하고, 약액 배출시 상기 배출기둥의 상단으로 배출되는 약액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출공은, 반구 형상으로서, 약액을 배출하는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배출공은, 고깔 형상으로서, 상기 바늘부의 바늘침의 굵기에 대응되는 크기가 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캡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막은,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고깔 형상이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차단막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상부와 하부의 반경이 다른 원기둥 형상이되, 하부의 반경이 상부의 반경보다 작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차단막 하부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차단막의 하면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원통 형상으로 상기 차단막, 상기 필터 및 상기 필터판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바늘부의 하측으로부터 내삽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원통 형상으로 상기 차단막, 상기 필터 및 상기 필터판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측이 상기 바늘부의 하측으로부터 내삽되고, 하측이 실린더의 네크(neck)부에 외삽되는 결합케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원통 형상으로 상기 차단막, 상기 필터 및 상기 필터판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측에 허브네크부를 구비하여 상기 바늘부의 하측에 끼워지고, 하측이 실린더의 네크부에 끼워지는 허브케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허브네크부는, 상기 바늘부의 하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 형상의 제1 결합홈이 형성된 허브네크 결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린더의 네크부는, 상기 허브케이스의 하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 형상의 제2 결합홈이 형성된 네크 결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바늘침에 이물질이 걸리지 않도록 바늘침의 측면에 바늘 구멍이 형성된 바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의하면,
첫째, 바늘부에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구비하여 유리 파편 및 고무 조각과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함에 따라, 주사시 이물질 없는 약액을 주사기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둘째, 약액이 주사기로 흡입될 때 필터를 거치도록 하여 링거를 꽂은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표준 주사기에 사용할 수 있어 적용이 유리하다.
넷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감싸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주사기의 바늘부에 삽입이 용이하다.
다섯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감싸면서 주사기 실린더의 네크부에 외삽되는 결합케이스를 구비하여 바늘부에 삽입이 용이하면서 실린더와 결합이 용이하다.
여섯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감사면서 상측에 허브네크부를 구비하여 주사기의 바늘부와 결합이 용이하다.
일곱째, 배출기둥은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압력 변화를 최소화하여 배출되는 약액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여덟째, 바늘침의 측면에 바늘 구멍이 형성된 바늘부를 더 구비하여 바늘침에 이물질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홉째, 일회용 인슐린 주사침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되는 주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주사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개폐수단이 개폐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배출캡을 구비한 것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의 배출기둥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의해 약액이 필터링 되어 주사기로 흡입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의해 필터링된 약액이 주사기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에서 바라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케이스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주사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결합케이스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주사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허브케이스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주사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허브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허브케이스가 조립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에 도시된 허브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허브케이스가 조립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바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되는 주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주사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개폐수단이 개폐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배출캡을 구비한 것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의 배출기둥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의해 약액이 필터링 되어 주사기로 흡입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의해 필터링된 약액이 주사기로부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에서 바라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100)는 주사기(200)의 바늘부(210)에 결합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100)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막(110), 필터(120), 필터판(130) 및 배출기둥(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100)는 일회용 인슐린 주사침에도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차단막(110)은 신축성 재질을 포함하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에 약액이 흡입되는 개구부(111)가 형성되며 약액이 흡입되는 압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절개선(112)이 형성된다.
절개선(112)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막(110)의 내부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약액이 흡입되는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절개선(112)이 개방되면서 반대로, 약액을 주사기(200)로부터 배출할 때 절개선(112)으로 약액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도록 내부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된 절개선(11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막(110)은 외측에서 절개선(112)을 덮으면서 일측이 차단막(110)에 결합되는 복수의 개폐수단(1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약액을 흡입하는 압력에 의해 절개선(112)이 개방되면서 개폐수단(113)이 개방되어 약액을 실린더(220)로 흡입할 수 있고 반대로, 약액을 배출하는 압력에 의해 절개선(112)이 닫히고 개폐수단(113)이 절개선(112) 덮으면서 절개선(112)으로 약액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번 더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막(110)은 후술할 배출기둥(140)을 감싸도록 신축성 재질을 포함하는 차단막 결합수단(110a)을 더 구비하여 차단막(110)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차단막 결합수단(110a)은 주사기(200)의 내부로 약액을 흡입할 때 상단으로 약액이 흡입되지 않게 하고, 약액 배출시 배출기둥(140)의 상단으로 배출되는 약액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114)은 도 7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배출기둥(114)의 상단보다 작은 크기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바늘부(210)의 바늘침(211)의 굵기에 대응되는 크기가 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배출공(114)은 약액을 배출하는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반구 형상의 배출수단(11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출수단(114)은 상단이 닫혀있다가 주사기(200)로부터 약액이 배출될 때 압력에 의해 상단이 열리도록 배치되어, 주사기(200)로 약액을 흡입할 때 결합수단(110a)의 상단으로 약액이 흡입되지 않도록 한번 더 차단할 수 있다.
도 7의 (c)에 도시된 것처럼 배출공(114)은 바늘부(210)의 바늘침(211)의 굵기에 대응되는 크기가 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고깔 향상의 배출캡(116)을 더 구비할 수도 있으며, 배출캡(116)을 구비함으로써 주사기(200)로 약액을 흡입할 때 결합수단(110a)의 상단으로 약액이 흡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필터(1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원판 형상으로 차단막(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절개선(112)을 통해 흡입되는 약액의 이물질을 걸러준다.
필터판(13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원판 형상으로 필터(120)의 하면에 배치되며, 필터(120)를 통과한 약액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복수의 흡입공(131)이 형성된다.
배출기둥(14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기둥형상으로 하단이 필터판(130)과 일체로 결합되고 차단막(110)을 관통한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배출기둥(140)은 주사기(200)로부터 약액이 배출될 때 압력 변화를 줄여, 용이하게 약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필터 조립체(10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약액을 주사기(200)로 흡입할 때 차단막(110)의 절개선(112)이 압력에 의해 개방된다. 그에 따라, 절개선(112)을 따라 약액이 주사기(200)의 실린더(220)로 들어오게 된다. 이렇게 차단막(110)의 절개선(112)을 통해 흡입된 약액은 차단막(110)의 하측에 배치된 필터(120)를 거쳐 주사기(200)의 실린더(220)로 흡입되는데 이때, 약액과 함께 유입되는 유리 파편 및 고무 조각 등의 이물질은 필터(12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반대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약액을 주사기(200)로부터 배출할 때는 압력에 의해 배출기둥(140)을 따라 배출된다. 즉,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필터(12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깨끗한 약액을 배출기둥(140)을 따라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주사기(200)로 약액이 흡입될 때 필터(120)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주사기(200)의 실린더(220) 내부로는 깨끗한 약액만 흡입되기 때문에, 특히 링거를 꽂은 환자에게 적용이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링거를 통해 약액을 환자에게 투입하는 경우, 링거의 호스에 구비된 사이드 밸브에 주사기(200) 실린더(220)의 네크부(221)를 직접 꽂아 약액을 투입하기 때문에 링거를 꽂은 환자에게 이물질이 걸러진 깨끗한 약액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차단막(1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고깔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절개선(112)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막(110)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앞서 설명한 것처럼 약액이 흡입되는 압력에 의해 절개선(112)이 하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횡단면이 원형인 고깔 형상의 차단막(110)을 도시하였지만, 횡단면이 다각형인 고깔 형상의 차단막(110)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횡단면이 다각형 및 십자형이면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고깔 형상의 차단막(110)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횡단면이 다각형 및 십자형의 기둥형상의 차단막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종단면이 다각형인 깔대기형이면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고깔 형상의 차단막(110)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막(110)은 상부와 하부의 반경이 다른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하부의 반경이 상부의 반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절개선(112)은 하부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앞서 설명한 것처럼 약액이 흡입되는 압력에 의해 절개선(112)이 하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막(110)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절개선(112)은 차단막(110)의 하면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앞서 설명한 것처럼 약액이 흡입되는 압력에 의해 절개선(112)이 하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절개선(112)이 수평으로 정렬되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케이스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주사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결합케이스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주사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허브케이스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주사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허브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허브케이스가 조립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도 17에 도시된 허브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허브케이스가 조립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바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100)는 차단막(110), 필터(120) 및 필터판(130)의 외주면을 감싸는 케이스(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케이스(300)는 원통 형상으로 차단막(110), 필터(120) 및 필터판(13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이 바늘부(210)의 하측으로부터 내삽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케이스(300)를 구비함에 따라,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100)를 용이하게 바늘부(21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100)는 차단막(110), 필터(120) 및 필터판(130)의 외주면을 감싸는 결합케이스(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결합케이스(300)는 원통 형상으로 차단막(110), 필터(120) 및 필터판(13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이 바늘부(210)의 하측으로 끼워지고 하측이 주사기(200) 실린더(220)의 네크부(221)에 외삽되는 결합케이스(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100)는 차단막(110), 필터(120) 및 필터판(130)의 외주면을 감싸는 허브케이스(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허브케이스(500)는 원통 형상으로 차단막(110), 필터(120) 및 필터판(13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에 허브네크부(510)를 구비하여 바늘부(210)의 하측에 끼워지고, 하측이 실린더(220)의 네크부(221)에 끼워지는 허브케이스(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허브케이스(500)는 허브네크부(510)의 내주면에 나사산 형상의 제1 결합홈(G1)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바늘부(210)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된 하측 가장자리(210a)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어 허브케이스(500)를 바늘부(210)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실린더(220)의 네크부(221)는 내주면에 나사산 형상의 제2 결합홈(G2)이 형성된 네크 결합부(2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허브케이스(500)의 하측 가장자리(520)가 제2 결합홈(G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어 허브케이스(500)를 실린더(220)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23을 참조하면 바늘침(211)의 측면에 바늘 구멍이 형성된 바늘부(210)를 더 구비하여 바늘침(211)에 이물질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링거를 꽂은 환자에게 약액을 투여하기 위해 링거 입구 또는 링거 호스에 구비된 사이드 밸브에 바늘침(211)을 삽입하여 약액을 투여할 수 있는데, 바늘침(211)의 상부에 바늘 구멍이 형성된 경우, 링거 입구 또는 사이드 밸브에 바늘침(211)을 삽입하는 동시에 바늘 구멍에 이물질이 걸리게 되고, 주사기(200) 내부에 있는 약액을 투입하면서 바늘침(211)에 걸린 이물질이 함께 투여될 수 있다.
하지만,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바늘침(211)의 측면에 바늘 구멍이 형성된 바늘부(210)를 구비하면, 바늘침(211)이 링거 입구 또는 사이드 밸브에 삽입되더라도 바늘침(211) 내부로 이물질이 걸리지 않고 밀리게 되어, 주사기(200) 내부에 있는 약액을 투여하더라도 이물질이 약액과 함께 투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110...차단막 110a...차단막 결합수단
111...개구부 112...절개선
113...개폐수단 114...배출공
115...배출수단 116...배출캡
120...필터 130...필터판
131...흡입공 140...배출기둥
200...주사기 210...바늘부
220...실린더 221...네크부
222...네크 결합부 300...케이스
400...결합케이스 500...허브케이스
510...허브네크부 511...허브네크 결합부
G1...제1 결합홈 G2...제2 결합홈

Claims (15)

  1. 주사기의 바늘부에 결합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로서,
    신축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부에 약액이 흡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약액이 흡입되는 압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절개선이 형성되는 차단막;
    원판 형상으로 상기 차단막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절개선을 통해 흡입되는 약액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원판 형상으로 상기 필터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한 약액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필터판; 및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기둥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필터판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차단막을 관통하는 배출기둥을 포함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약액을 흡입하고 배출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절개선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의 외측에서 상기 절개선을 덮으면서 일측이 상기 차단막에 결합되는 복수의 개폐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내부에 상기 배출기둥을 감싸도록 신축성 재질을 포함하는 차단막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결합수단은,
    약액 흡입시 상단으로 약액이 흡입되지 않게 하고, 약액 배출시 상기 배출기둥의 상단으로 배출되는 약액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반구 형상으로서, 약액을 배출하는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고깔 형상으로서, 상기 바늘부의 바늘침의 굵기에 대응되는 크기가 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고깔 형상이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차단막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부와 하부의 반경이 다른 원기둥 형상이되, 하부의 반경이 상부의 반경보다 작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차단막 하부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차단막의 하면에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차단막, 상기 필터 및 상기 필터판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바늘부의 하측으로부터 내삽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차단막, 상기 필터 및 상기 필터판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측이 상기 바늘부의 하측으로부터 내삽되고, 하측이 실린더의 네크(neck)부에 외삽되는 결합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차단막, 상기 필터 및 상기 필터판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측에 허브네크부를 구비하여 상기 바늘부의 하측에 끼워지고, 하측이 실린더의 네크부에 끼워지는 허브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허브네크부는,
    상기 바늘부의 하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 형상의 제1 결합홈이 형성된 허브네크 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네크부는,
    상기 허브케이스의 하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 형상의 제2 결합홈이 형성된 네크 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늘침에 이물질이 걸리지 않도록 바늘침의 측면에 바늘 구멍이 형성된 바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1020130120638A 2013-10-10 2013-10-10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10139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638A KR101396141B1 (ko) 2013-10-10 2013-10-10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638A KR101396141B1 (ko) 2013-10-10 2013-10-10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807A true KR20130139807A (ko) 2013-12-23
KR101396141B1 KR101396141B1 (ko) 2014-05-27

Family

ID=4998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638A KR101396141B1 (ko) 2013-10-10 2013-10-10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14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56B1 (ko) * 2014-08-02 2015-03-19 이현승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
KR101617122B1 (ko) * 2015-02-06 2016-04-29 박선명 주사기용 필터 유닛
WO2016105023A1 (ko) * 2014-12-24 2016-06-30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WO2016190526A1 (ko) * 2015-05-23 2016-12-01 라용국 주사기용 필터 주사바늘 조립체
WO2017074040A1 (ko) * 2015-10-30 2017-05-04 라용국 필터 주사기
CN113350619A (zh) * 2021-07-08 2021-09-07 上海振浦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内置式膜片过滤注射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5629B1 (en) 2011-04-08 2018-11-07 Zamart Co.,ltd Filter needle
KR101165946B1 (ko) 2012-04-13 2012-07-18 (주)상아프론테크 주사기용 필터부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56B1 (ko) * 2014-08-02 2015-03-19 이현승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
WO2016105023A1 (ko) * 2014-12-24 2016-06-30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KR101617122B1 (ko) * 2015-02-06 2016-04-29 박선명 주사기용 필터 유닛
WO2016190526A1 (ko) * 2015-05-23 2016-12-01 라용국 주사기용 필터 주사바늘 조립체
US10596320B2 (en) 2015-05-23 2020-03-24 Yong-Kuk RA Filtering injection needle assembly for syringe
WO2017074040A1 (ko) * 2015-10-30 2017-05-04 라용국 필터 주사기
CN108348689A (zh) * 2015-10-30 2018-07-31 罗镛国 过滤注射器
EP3369448A4 (en) * 2015-10-30 2019-07-17 Ra, Yong-Kuk FILTER SYRINGE
US11197960B2 (en) 2015-10-30 2021-12-14 Yong-Kuk RA Filtering syringe
CN113350619A (zh) * 2021-07-08 2021-09-07 上海振浦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内置式膜片过滤注射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141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987B1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101396141B1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101364496B1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101435898B1 (ko) 필터 니들 일체형 주사기
KR101245378B1 (ko) 필터 니들
KR101287239B1 (ko) 피스톤 행정에 의한 흡·배출 유도 타입의 빌로우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필터 주사기
KR101753478B1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주사기
US20120226239A1 (en) Syringe with integrated cannula
JP7068497B2 (ja) 吸引アセンブリ付きシリンジアダプタ
US9795746B2 (en) Filter needle
KR101713835B1 (ko) 필터 니들
KR101513465B1 (ko) 일회용 주사기의 안전 필터
CN110384842A (zh) 过滤器注射器
KR101600562B1 (ko) 스틱 인저리 방지기능을 갖는 필터형 주사기
AU2016346622B2 (en) Filtering Syringe
KR101504484B1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JP2016531697A (ja) 一体型のアンプルを有するシリンジ
KR101670796B1 (ko) 일체형 주사기
KR101301932B1 (ko) 밸브가 구비된 필터주사기
JP7389131B2 (ja) 薬品混合装置、これを含む薬品混合キット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KR102230768B1 (ko) 의료 장치
KR20180056821A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KR101819116B1 (ko) 이중 필터 모듈을 갖는 주사기용 허브
KR101485399B1 (ko) 피스톤 행정에 의한 위치 가변형 필터링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필터 주사기
JP6995317B2 (ja) 感染防止用の二重針付き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