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439B1 - 텐션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텐션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439B1
KR101504439B1 KR20130161822A KR20130161822A KR101504439B1 KR 101504439 B1 KR101504439 B1 KR 101504439B1 KR 20130161822 A KR20130161822 A KR 20130161822A KR 20130161822 A KR20130161822 A KR 20130161822A KR 101504439 B1 KR101504439 B1 KR 101504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tension reel
bearing
cylind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석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61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05Cantilevered roll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21B31/06Fastening stands or frames to foundation, e.g. to the sole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64Uncoi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되어 스트립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텐션릴을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텐션릴의 미세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텐션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되어 스트립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텐션릴을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텐션릴 지지장치는, 상기 텐션릴의 자유단에 구비되는 베어링과, 상기 텐션릴과 근접하여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베어링이 삽입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회동프레임 및 상기 중공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을 감싸며 가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텐션릴 지지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TENSION REEL}
본 발명은 텐션릴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되어 스트립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텐션릴을 고정할 수 있는 텐션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강 생산시 열간압연을 마친 열연코일은 수요자의 요구에 맞춰 다시 냉간압연을 거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강 냉연공장에 구비된 냉간압연기(10)는 상하 각각 복수 개의 크고 작은 롤로 구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제1텐션릴(20) 및 제2텐션릴(30)이 각각 구비되며, 제1텐션릴(20)과 제2텐션릴(30) 사이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40)이 구비되어 있다.
열간 열간압연을 마친 스트립(S)은 코일형태로 감겨있는데, 이러한 코일형태의 스트립(S)을 제1텐션릴(20)에 설치한 후 스트립(S)을 조금씩 권출하여 일정 텐션이 유지되도록 그 선단부를 맞은편에 위치한 제2텐션릴(30)에 고정한다.
제2텐션릴(30)에 스트립(S)의 선단부가 고정되면 제2텐션릴(30)을 회전시켜 스트립(S)을 권취하는데, 이때 제1텐션릴(20)은 권출되고 제2텐션릴(30)은 권취된다.
제1텐션릴(20)의 권출이 완료되면 제1텐션릴(20)에 설치되어 있던 스트립은 모두 제2텐션릴(30)로 옮겨진 상태가 되는데, 이렇게 제1텐션릴(20)의 권출이 완료되면 제2텐션릴(30)의 권출을 시작함과 동시에 제1텐션릴(20)은 권취한다.
이렇게 제1텐션릴(20)과 제2텐션릴(30)이 권취/권출되는 동안 냉간압연기(10)에서는 롤 사이를 통과하는 스트립(S)을 냉간압연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약 5~6회 반복한다.
도 2에는 코일형태의 스트립(S)이 제1텐션릴(2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종래에는 코일형태의 스트립(S)이 제1텐션릴(20)에 설치된 후 권출되어 제2텐션릴(30)로 권취되고, 다시 제1텐션릴(20)에 권출되는 과정이 반복되는 동안 제1텐션릴(20) 및 제2텐션릴(30)이 조금씩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권출/권취과정 중 발생되는 미세한 진동과 냉간압연기(10)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충격 및 스트립의 무게에 의해 제1텐션릴(20) 및 제2텐션릴(30)이 조금씩 흔들려 권출된 스트립(S)에 채터링 마크가 발생되는 품질불량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스테인레스강 냉간압연 공정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종래의 "스테인레스용 냉간압연기(공개특허 10-2004-0056327)" 및 "냉간압연 스틸 슬리브 장치(공개특허 10-2013-0072823)"에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스테인레스용 냉간압연기(공개특허 10-2004-0056327)"에서는 스테인레스 소재가 버려지는 양을 삭감시켜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테인레스용 냉간압연기를 제공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스테인레스용 냉간압연기는 압연기의 전, 후에 텐션릴을 배치한 압연기의 전단에 페이오프릴과 강판의 리더스트립을 적치하는 장치, 1매의 스트립을 흡착이동하는 장치 및 용접기를 배치하여 페이오프릴에서 풀어낸 앞부분에 레더 스트립을 용접 연결하여 압연기 후단의 텐션릴에 감아 용접부를 압연기의 중앙부 출측 바로 앞 위치에 놓고 압연을 시작하여 코일의 끝부분을 다시 강판인 레더 스트립을 용접기에 의해 용접 연결하여 압연기 전단의 텐션릴에 감아 용접부를 압연기의 중앙부 입측 바로 앞까지 보내어 역전압연을 시작하여 리더스트립 부위를 압연하지 않고 가역운전을 반복하여 압연함으로서 스테인레스 스트립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손실을 방지하므로서 실수율을 향상시켰다.
또한, 종래의 "냉간압연 스틸 슬리브 장치(공개특허 10-2013-0072823)"에서는 냉간압연된 스트립을 감는 데에 이용되는 냉간압연 스틸 슬리브 장치에 있어서, 스트립이 감길 때 스트립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냉간압연 스틸 슬리브 장치를 제시 하였다.
이러한 냉간압연 스틸 슬리브 장치는, 공급릴에 감긴 스트립을 풀면서 압연기에 공급하고, 압연기에서 냉간압연되어 배출되는 스트립을 감는 냉간압연 스틸 슬리브 장치에 있어서 압연기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압연기에서 배출되는 스트립이 감기는 한 쌍의 텐션릴부들 및 압연기와 적어도 하나의 텐션릴부 사이에 위치되어, 압연기에서 배출된 스트립의 종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텐션릴부의 홈에 삽입되도록 이송시키는 스트립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스테인레스강 냉간압연 공정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텐션릴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현재까지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04-0056327 (2004. 06. 30) 한국공개특허 10-2013-0072823 (2013. 07. 02)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되어 스트립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텐션릴을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텐션릴의 미세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텐션릴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텐션릴 지지장치는,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되어 스트립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텐션릴을 고정하기 위한 텐션릴 지지장치로서, 상기 텐션릴의 자유단에 구비되는 베어링과, 상기 텐션릴과 근접하여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베어링이 삽입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회동프레임 및 상기 중공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을 감싸며 가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의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는 개폐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프레임은 연결핀을 매개로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어 회동하며, 상기 개폐실린더의 피스톤로드는 상기 회동프레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그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접할 수 있도록 벤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판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접하도록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고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의 타단부는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과 베어링 사이에 구비되는 라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실린더는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어 상기 베어링 방향으로 상기 고정판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실린더의 가압력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로부터 측정된 가압력을 전송받아 상기 가압실린더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너의 마모시 상기 로드셀로부터 변화된 가압력을 전송받아 상기 가압실린더를 조절하여 가압력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실린더의 양측에 상기 베어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보조실린더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실린더의 양측에 상기 베어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보조가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가압유닛은,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압축과, 상기 가압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축 외부로 돌출되어 승하강하는 가압로드와, 상기 가압로드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을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축과 상기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가압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텐션릴을 견고히 지지함으로써 스트립의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구조 및 구성이 단순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셋째, 본 발명은 냉간압연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간압연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릴 지지장치의 닫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텐션릴 지지장치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되어 스트립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텐션릴(100)을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릴 지지장치는, 베어링(110), 지지프레임(200), 회동프레임(300) 및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스테인레스강의 냉간압연 공정에서 사용되는 텐션릴(100)은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단은 주변 지지물에 고정되어 있지만 그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텐션릴(100)의 자유단에는 텐션릴(100)의 마모를 방지하고 텐션릴(100)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110)이 구비된다.
텐션릴(100) 근처에는 지지프레임(20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지지프레임(200)은 주변설비에 고정설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지상에 고정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어떠한 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자유이지만 텐션릴(1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지프레임(200)의 단부에는 회동프레임(300)이 연결되는데, 회동프레임(300)의 내부에는 베어링(110)이 장착된 텐션릴(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프레임(300)과 지지프레임(200)은 연결핀(310)을 매개로 연결되어 연결핀(310)을 중심으로 회동프레임(300)이 회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핀(310)은 회동프레임(300)과 연결핀(310)을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회동프레임(300)이 연결핀(310)을 중심으로 텐션릴(100)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회동프레임(300)과 텐션릴(100)은 비접촉 상태가 되며(이하 개방상태라 함), 회동프레임(300)이 텐션릴(100) 방향으로 회동하여 중공부에 베어링(110) 및 텐션릴(100)이 삽입되어 접촉하게 되면(이하 닫힘상태라 함) 텐션릴(100)의 미세한 움직임을 회동프레임(300)이 흡수 및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프레임(200)의 측면에는 개폐실린더(210)가 구비되고, 개폐실린더(210)의 피스톤로드 끝단은 회동프레임(300)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된 개폐실린더(210)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하강하게 되면, 회동프레임(300)이 개폐실린더(210)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회동프레임(300)이 연결핀(31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개폐실린더(210)가 승강하게 되면, 회동프레임(300)은 연결핀(31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중공부에 베어링(110) 및 텐션릴(100)이 삽입되어 접촉하게 되는 닫힘상태가 되는 것이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개폐실린더(210)를 지지프레임(200)에 구비하였지만, 별도의 지지부를 준비하여 그곳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회동프레임(300)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이하 회동프레임 내측이라 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중공부에는 고정부(400)가 구비되는데, 회동프레임(300)이 닫힘상태가 되었을 때 고정부(400)가 베어링(110)을 감싸며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400)는 고정판(410), 돌출부(420) 및 고정실린더(440)를 포함한다.
고정판(410)은 그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접할 수 있도록 벤딩되어 형성되며, 고정판(410)의 일단부에는 돌출부(420)가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420)에는 고정실린더(440)가 연결되는데, 고정실린더(440)는 회동프레임(30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실린더(440)가 회동프레임(300)의 외측에 위치하여 회동프레임(300)을 관통하며 돌출부(420)와 연결되는데, 회동프레임(300)의 내측에 공간을 마련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고정판(41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접하는 곳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고정판(410)의 측면은 고정축(430)을 감싸며 결합되는데, 이러한 고정축(430)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동프레임(300)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회동프레임(300)에 고정된 고정축(430)의 표면과 고정판(410)의 측면이 결합됨에 따라 고정판(410) 또한 회동프레임(300) 내측에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이때 고정판(410)의 타단부는 회동프레임(300) 내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하에서는 고정축(430)을 중심으로 고정축(430)과 고정판(410)의 타단부 까지를 하부고정판(402), 고정축(430)과 고정판의 일단부 까지를 상부고정판(401)이라 함.)
고정판(410)의 타단부가 회동프레임(300) 내측에 고정됨에 따라 고정실린더(440)의 승강(또는 하강)시 하부고정판(402)은 그대로 있고, 상부고정판(401)만 고정축(430)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된다.(정확히는 탄성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동프레임(300)이 개방상태일 때는 고정실린더(440)가 승강(또는 하강)하여 상부고정판(401)이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고정판(41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비접촉상태가 된다.
이때, 개폐실린더(210)가 작동하여 회동프레임(300)을 닫힘상태로 만들면 상부고정판(401)과 하부고정판(402) 사이에 베어링(110) 및 텐션릴(100)이 위치하게 되고, 그 후 고정실린더(440)가 하강(또는 승강)하여 고정판(410)의 돌출부(420)를 가압하게 된다.
고정실린더(440)가 돌출부(420)를 가압하면 회동프레임(300) 내측과 돌출부(420)가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고정판(410)이 베어링(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강하게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가압부(500), 라이너(450)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500)는, 고정부(400)의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가압실린더(510), 로드셀(520) 및 보조가압유닛(550)을 포함한다.
가압실린더(510)는 회동프레임(300)에 고정 구비되어 고정판(410)의 상부고정판(401)과 연결되며, 상부고정판(401)을 베어링(110)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판(401)과 베어링(110) 사이의 밀착력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가압실린더(510)와 상부고정판(401) 사이에는 보조플레이트(540)를 삽입할 수 있는데, 가압실린더(510)가 상부고정판(401)을 직접 가압하는 것이 아닌 보조플레이트(540)를 가압하여 보조플레이트(540)가 상부고정판(401)을 가압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보조플레이트(540)를 구비함으로써 상부고정판(401)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가압실린더(510)가 보조플레이트(540) 또는 상부고정판(401)을 가압할 때에는 로드셀(520)이 구비되어 가압실린더(510)의 가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로드셀(520)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일 실시예에서 처럼, 가압실린더(510)와 별개로 상부고정판(401)을 관통하며 베어링(110)과 접촉하는 로드셀(520)을 구비한 후, 베어링(110)과 접촉하는 힘을 이용해 가압실린더(510)의 가압력을 측정하고, 후술하는 라이너(450)의 마모시 베어링(110)과 접촉되는 힘의 변화값을 측정함하여 초기값과 비교함으로써 가압력이 변하는 것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라이너(450)와 베어링(110) 사이에 로드셀(520)을 위치하여 가압실린더(510)의 가압력을 직접 측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가압력 측정기능이 있는 가압실린더(51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고정판(410)과 베어링(110)이 직접 접하게 되면 텐션릴(100)에 발생되는 미세한 진동 및 충격이 회동프레임(300)에 그대로 전달되며, 장시간 사용시 고정부(400)가 마모 및 파손될 수 있으므로 고정판(410)과 베어링(110) 사이에는 라이너(4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텐션릴(100) 및 베어링(110)의 형상이 원형이기 때문에 고정판(410) 또한 원형의 형상을 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원형의 형상을 하나의 가압실린더(510)로 가압할 때에는 힘의 균형이 정확하지 않으면 가압실린더(510)가 가하는 힘이 텐션릴(100)의 중심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지 않고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실린더(510)의 양측에는 베어링(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보조가압유닛(55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보조가압유닛(550)은 회동프레임(330)의 외측에 위치하여 회동프레임(300)을 관통하며 고정판(410) 또는 보조플레이트(540)를 가압하게 되며, 회동프레임(330)의 외측 뿐만 아니라 내측에도 고정 가능할 것이다.
보조가압유닛(550)은 가압축(570), 가압로드(580), 가압플레이트(560) 및 탄성스프링(590)을 포함하며, 본 일 실시예에서는 가압축(570)을 회동프레임(300) 외부에 고정시켰다.
가압축(570) 내부에는 가압축(570) 외부로 돌출되어 승하강되는 가압로드(580)가 구비되는데, 가압로드(580)의 끝단에는 가압플레이트(560)가 구비되어 고정판(410) 또는 보조플레이트(540)를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플레이트(560)와 가압축(570) 사이에는 탄성스프링(590)이 배치되는데, 탄성스프링(590)은 가압로드(58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구비된다. 즉, 가압플레이트(560)가 탄성스프링(59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판(410) 또는 보조플레이트(54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라이너(450)가 마모되어 베어링(110)과 라이너(450) 사이에 빈틈이 형성되면 가압실린더(510)가 작동되며, 그와 함께 탄성스프링(590)에 의해 가압로드(580)가 하강하게 된다.
즉, 가압플레이트(560)가 고정판(410) 또는 보조플레이트(54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가압유닛(550)를 대신하여 보조실린더(미도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한데, 보조실린더를 구비할 경우에는 상술한 가압실린더(510)와 함께 동일하게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술한 로드셀(520)은 실시간으로 가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게 되는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로드셀(520)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에 따라 가압실린더(510) 및 보조실린더(미도시)를 조절하게 된다.
즉, 라이너(450)의 마모 또는 텐션릴(100)에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고정부(400) 및 라이너(450)와 접촉하고 있는 베어링(110)의 위치가 미세하게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로드셀(520)에서 이에 따른 변화량을 측정하여 가압실린더(510) 및 보조실린더(미도시)로 측정값을 전송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에서는 변화된 값만큼 가압실린더(510) 및 보조실린더(미도시)의 가압력을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회동프레임(300)과 연결되어 회동프레임(300)을 더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잠금부(6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부(600)는, 지지프레임(200)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회동프레임(300)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프레임(300)의 닫힘상태시 회동프레임(300)의 끝단에 연결되어 회동프레임(3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잠금부(600)는, 별도의 암(610)과, 암(610)과 연결되는 암실린더(620)를 포함하며, 본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축(63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암(610)을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플레이트, 축, 봉 등의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회동프레임(300)과 연결되는 암(610)의 끝단에는 별도의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잠금홈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암(610)은 암실린더(620) 연결되어 있는데, 암실린더(620)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암(610)과 회동프레임(300)이 접촉 또는 비접촉상태가 된다.
암실린더(620)가 작동하여 암(610)과 회동프레임(300)이 접촉하게 되면 서로가 강하게 밀착하게 되며, 이러한 밀착력에 의해 회동프레임(300)을 더욱 강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텐션릴 110 : 베어링
200 : 지지프레임 300 : 회동프레임
400 : 고정부 410 : 고정판
420 : 돌출부 450 : 라이너
500 : 가압부 600 : 잠금부

Claims (8)

  1.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되어 스트립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텐션릴을 고정하기 위한 텐션릴 지지장치로서,
    상기 텐션릴의 자유단에 구비되는 베어링;
    상기 텐션릴과 근접하여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베어링이 삽입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회동프레임; 및
    상기 중공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을 감싸며 가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그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접할 수 있도록 벤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판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접하도록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고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의 타단부는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릴 지지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는 개폐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프레임은 연결핀을 매개로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어 회동하며, 상기 개폐실린더의 피스톤로드는 상기 회동프레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릴 지지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베어링 사이에 구비되는 라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실린더는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어 상기 베어링 방향으로 상기 고정판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릴 지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실린더의 가압력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로부터 측정된 가압력을 전송받아 상기 가압실린더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너의 마모시 상기 로드셀로부터 변화된 가압력을 전송받아 상기 가압실린더를 조절하여 가압력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릴 지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실린더의 양측에 상기 베어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보조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텐션릴 지지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실린더의 양측에 상기 베어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보조가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가압유닛은,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압축과, 상기 가압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축 외부로 돌출되어 승하강하는 가압로드와, 상기 가압로드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을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축과 상기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가압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텐션릴 지지장치.
KR20130161822A 2013-12-23 2013-12-23 텐션릴 지지장치 KR10150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822A KR101504439B1 (ko) 2013-12-23 2013-12-23 텐션릴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822A KR101504439B1 (ko) 2013-12-23 2013-12-23 텐션릴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439B1 true KR101504439B1 (ko) 2015-03-19

Family

ID=5302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1822A KR101504439B1 (ko) 2013-12-23 2013-12-23 텐션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4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3608A (ja) * 1992-03-13 1993-10-05 Kobe Steel Ltd 多段圧延機の駆動軸支持装置
KR20020034411A (ko) * 2000-11-01 2002-05-09 이구택 스트립 그라인더의 콘택트롤 진동방지장치
KR200464444Y1 (ko) 2012-07-26 2013-01-02 대원중공업 주식회사 텐션레벨러용 워크롤 진동흡수 베어링 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3608A (ja) * 1992-03-13 1993-10-05 Kobe Steel Ltd 多段圧延機の駆動軸支持装置
KR20020034411A (ko) * 2000-11-01 2002-05-09 이구택 스트립 그라인더의 콘택트롤 진동방지장치
KR200464444Y1 (ko) 2012-07-26 2013-01-02 대원중공업 주식회사 텐션레벨러용 워크롤 진동흡수 베어링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1622A (ko) 권취 맨드릴에 금속 스트립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41577A (ko) 피압연 박판의 권취 장치
JP2007229746A (ja) 鋼帯巻き取り装置及び鋼帯巻き取り方法
KR101504439B1 (ko) 텐션릴 지지장치
KR100919220B1 (ko)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20110028942A (ko) 센터링이 자동 조정되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벨트래퍼의 롤러 장치
KR101257470B1 (ko) 스트립 유도장치
KR101641978B1 (ko) 간지 주름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지 주름방지방법
JP6316445B2 (ja) コイルの中の圧延帯片を検査する設備
JP2012110940A (ja) コイル支持装置
JPH06238333A (ja) コイル巻取り巻戻し機における通板ガイド装置
CN107555256A (zh) 一种织物张力控制装置
JP2008188606A (ja) 鋼帯巻取り装置のダブルベルト式ベルトラッパー
KR20090065653A (ko) Sts 냉연코일의 선단 안내장치
JP3723523B2 (ja) 鋼帯巻取り装置
KR101474780B1 (ko) 강스트립 리와인더 장치
RU209517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центрирования рул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219238896U (zh) 一种收放卷装置及锂电池生产设备
JPH07241620A (ja) 鋼板ストリップコイルのプリパレ−ション装置
CN218114436U (zh) 一种单盘检品复卷机
KR101312734B1 (ko) 연속 소둔로용 스트립 통판장치
KR20010027480A (ko) 권취기의 코일 텔레스코프 방지장치
CN210876829U (zh) 多辊轧机不锈钢带自动对中上卷装置
SU1340862A1 (ru) Способ сматывани в рулон гор чекатаной полос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KR101373137B1 (ko) 강판의 엔드마크 방지용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강판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