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153B1 -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 - Google Patents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153B1
KR101504153B1 KR20130147590A KR20130147590A KR101504153B1 KR 101504153 B1 KR101504153 B1 KR 101504153B1 KR 20130147590 A KR20130147590 A KR 20130147590A KR 20130147590 A KR20130147590 A KR 20130147590A KR 101504153 B1 KR101504153 B1 KR 10150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lank
area
goggle
goggle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섭
Original Assignee
송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화섭 filed Critical 송화섭
Priority to KR2013014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글용 렌즈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글용으로 적합하게 제조되어 가공 및 고글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고글용 렌즈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렌즈 블랭크(10)는 곡률 중심이 눈의 회전 도심에 놓이도록 위치되게 한 것이며, 상기 곡률 중심으로부터 사방으로 확장된 설정영역(11)의 겉표면 또는 안표면, 또는 겉표면과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는 상기 확장된 설정영역(11)을 벗어난 외곽 영역의 디옵터 수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Easy assembly and processing goggles lens blanks}
본 발명은 고글용 렌즈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글용으로 적합하게 제조되어 가공 및 고글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고글용 렌즈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안경렌즈의 제조를 제조할 때는 주형(注型) 성형한 블랭크(cast and moled blank)(중간품의 안경렌즈)의 피가공 렌즈면을 절삭가공 및 연마가공하는 것으로 소망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광학면을 형성하고 있다. 안경렌즈의 일반적인 형상은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이고, 그 광학면은 볼록 곡면과 오목 곡면이다.
안경렌즈의 광학면형상으로서는 구면(球面) 이외에 안구의 여러가지 굴절이상을 교정하기 위해서 비구면, 누진면, 누진요소를 가지는 비구면 등이 있다. 안경렌즈의 피가공 렌즈면은 예를 들면 유럽특허출원 EP0849038A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 선반 또는 프레이즈반에 의해서 절삭가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렌즈 블랭크(100)를 나타내며, 이 렌즈 블랭크(100)로 고글 렌즈 가공을 나타낸 도면으로, 살펴보면, 도 1은 렌즈 블랭크(100)를 곡률 중심으로부터 사방으로 확장된 설정영역(110)과, 상기 확장된 설정영역(110)을 벗어난 외곽 영역(120)으로 구분하였다. T1은 외곽 영역(120)의 두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종래의 렌즈 블랭크(100)를 고글 렌즈로 가공시 L1의 지름에 대응하는 설정영역(110)의 안쪽 표면은 기계식 연마 가공장치를 통해 1차 가공을 하고, 외곽 영역(120)의 안쪽 표면은 기계식 연마 가공장치으로는 가공이 어려워 상대적으로 비싼 장비로 변곡점(S)이상의 외곽 영역(120)을 2차 가공한다. 때문에 가공 비용이 상승되어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고, 가공을 하더라도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고글에 조립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조립시 고글 렌즈가 얼굴에 닿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38593호(공고일자: 2012년05월1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고글용으로 적합하게 제조되어 가공 및 고글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고글용 렌즈 블랭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글에 장착하기 위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렌즈 블랭크는 곡률 중심이 눈의 회전 도심에 놓이도록 위치되게 한 것이며, 상기 곡률 중심으로부터 사방으로 확장된 설정영역의 겉표면 또는 안표면, 또는 겉표면과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는 상기 확장된 설정영역을 벗어난 외곽 영역의 디옵터 수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 블랭크의 설정영역의 겉표면, 안표면, 또는 겉표면과 안표면은 +10D(Diopter) 내지 -10D 이며, 상기 확장된 설정영역을 벗어난 외곽 영역의 겉표면, 안표면, 또는 겉표면과 안표면은 상기 설정영역의 겉표면, 안표면, 또는 겉표면과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와 ±1D 이상 차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영역은 전방 시선으로부터 관자 방향(temporal direction)으로 55°보다 큰 시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렌즈 블랭크에 비해 외곽 영역의 두께가 얇아 기계식 연마 장치만으로 가공할 수 있어 비용이 절약되고,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곽 영역의 두께가 얇아 가공 후 고글에 조립하기 용이하며, 고글 렌즈가 얼굴에 닿지 않도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렌즈 블랭크 및 이 렌즈 블랭크로 고글 렌즈 가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글용 렌즈 블랭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고글용 렌즈 블랭크로 고글 렌즈 가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고글용 렌즈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글용으로 적합하게 제조되어 가공 및 고글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고글용 렌즈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글에 장착하기 위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10)에 있어서, 상기 렌즈 블랭크(10)는 곡률 중심이 눈의 회전 도심에 놓이도록 위치되게 한 것이며, 상기 곡률 중심으로부터 사방으로 확장된 설정영역(11)의 겉표면 또는 안표면, 또는 겉표면과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는 상기 확장된 설정영역(11)을 벗어난 외곽 영역의 디옵터 수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블랭크(10)에 있어서 상기 렌즈 블랭크(10)의 설정영역(11)의 겉표면, 안표면, 또는 겉표면과 안표면은 +10D(Diopter) 내지 -10D 이며, 상기 확장된 설정영역(11)을 벗어난 외곽 영역(12)의 겉표면, 안표면, 또는 겉표면과 안표면은 상기 설정영역(11)의 겉표면, 안표면, 또는 겉표면과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와 ±1D 이상 차이를 두어서 가공시 외곽영역(12)이 불필요하게 두꺼워져 가공하기 어려운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영역(11)은 전방 시선으로부터 관자 방향(temporal direction)으로 55°보다 큰 시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고글에 장착하기 위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10)에 있어서, 상기 렌즈 블랭크(10)는 곡률 중심이 눈의 회전 도심에 놓이도록 위치되게 한 것이며, 상기 곡률 중심으로부터 사방으로 확장된 설정영역(11)의 겉표면 또는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는 상기 확장된 설정영역(11)을 벗어난 외곽 영역(12)의 겉표면 또는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와 상이하고, 설정영역(11)의 겉표면과 외곽영역(12)의 겉표면의 디옵터 수치가 상이하면, 설정영역(11)과 외곽영역(12)의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는 상기 설정영역(11)의 겉표면의 수치와 동일하고, 설정영역(11)의 안표면과 외곽영역(12)의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가 상이하면, 설정영역(11)과 외곽영역(12)의 겉표면의 디옵터 수치는 상기 설정영역(11)의 안표면의 수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렌즈 블랭크 및 이 렌즈 블랭크로 고글 렌즈 가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글용 렌즈 블랭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고글용 렌즈 블랭크로 고글 렌즈 가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의 종래 렌즈 블랭크와 도 2 및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블랭크를 비교하면서 설명하면,
도 1의 종래의 렌즈 블랭크(100)의 겉표면을 예컨대 6디옵터라 하고 안표면은 8디옵터라 하면, 겉표면과 안표면의 중심의 길이는 D1, 끝단의 두께는 T1이 되고, D1은 렌즈 블랭크(100)의 기본 도수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렌즈 블랭크(100)와 동일한 기본 도수를 갖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렌즈 블랭크(10)의 겉표면 중 설정영역(11)의 겉표면은 4디옵터, 설정영역(11)을 제외한 나머지가 되는 외곽영역(12)의 겉표면은 6디옵터, 그리고 설정영역(11)과 외곽영역(12)의 안표면은 6디옵터로 구성하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D3는 종래의 렌즈 블랭크(100)의 기본 도수와 동일하고, 외곽영역(12)의 두께(T2)는 종래의 렌즈 블랭크(100)의 외곽영역(120)의 두께(T1)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T1은 T2 보다 크다
즉, 종래의 D1과 본 발명의 D3를 동일하게 하면서도 외곽영역(12)의 두께는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글용 렌즈 블랭크(10)는 종래의 렌즈 블랭크(100)에 비해 외곽영역(12)의 두께(T2)를 줄일 수 있어 고글 렌즈로 가공시 기계식 연마 장치로도 충분히 가공을 완료할 수 있어 비용이 절약되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가공 후 고글에 조립하기가 용이하며, 렌즈에 걸리는 느낌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이 우수해진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렌즈 블랭크 11: 설정 영역
12: 외곽 영역

Claims (4)

  1. 고글에 장착하기 위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10)에 있어서,
    상기 렌즈 블랭크(10)는 곡률 중심이 눈의 회전 도심에 놓이도록 위치되게 한 것이며, 상기 곡률 중심으로부터 사방으로 확장된 설정영역(11)의 겉표면 또는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는 상기 확장된 설정영역(11)을 벗어난 외곽 영역(12)의 겉표면 또는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와 상이하고,
    설정영역(11)의 겉표면과 외곽영역(12)의 겉표면의 디옵터 수치가 상이하면, 설정영역(11)과 외곽영역(12)의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는 상기 설정영역(11)의 겉표면의 수치와 동일하고,
    설정영역(11)의 안표면과 외곽영역(12)의 안표면의 디옵터 수치가 상이하면, 설정영역(11)과 외곽영역(12)의 겉표면의 디옵터 수치는 상기 설정영역(11)의 안표면의 수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130147590A 2013-11-29 2013-11-29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 KR101504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7590A KR101504153B1 (ko) 2013-11-29 2013-11-29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7590A KR101504153B1 (ko) 2013-11-29 2013-11-29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153B1 true KR101504153B1 (ko) 2015-03-19

Family

ID=5302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7590A KR101504153B1 (ko) 2013-11-29 2013-11-29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1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662A (ko) * 2004-06-03 2007-03-14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성형틀의 설계 방법, 성형틀 및 성형품
JP2011121214A (ja) * 2009-12-09 2011-06-23 Tokai Kogaku Kk プラスチック製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同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るレンズ及び眼鏡レンズ用母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662A (ko) * 2004-06-03 2007-03-14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성형틀의 설계 방법, 성형틀 및 성형품
JP2011121214A (ja) * 2009-12-09 2011-06-23 Tokai Kogaku Kk プラスチック製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同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るレンズ及び眼鏡レンズ用母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2454B2 (en) Lens and method for correcting vision of a user
US8783863B2 (en) Contact lens for myopia control
JP2007086740A (ja) 累進屈折力レンズ
JP5566823B2 (ja) 累進屈折力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US20120274893A1 (en) Spectacle Lens,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and Design Apparatus
US20130107205A1 (en) Method of making prescription lens
JP2016026324A (ja) 眼鏡用レンズ、眼鏡、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及び設計装置
KR101504153B1 (ko)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고글용 렌즈 블랭크
JP6458876B2 (ja) 角膜矯正コンタクトレンズ
JP6598695B2 (ja) 眼鏡レンズ
JP5124735B2 (ja) 玉型レンズ用前駆体レンズの製造方法
JP2016057324A (ja) レンズ用材料ブロックの加工方法
JP4195663B2 (ja) 乱視矯正用レンズの製造方法
JP2014002342A (ja) セミフィニッシュレンズおよびセミフィニッシュレンズの設計方法
CN201820049U (zh) 下焦棱凸透镜式近视预防双焦眼镜
KR100638362B1 (ko) 콘택트 렌즈와 그 제조방법 및 콘택트 렌즈 제조용 몰드
JP2006527383A (ja) 近用単焦点複合レンズの為の成形モールド
TW201350315A (zh) 用以製造用於安全眼鏡的雙目鏡之方法與裝置
JP6205108B2 (ja) 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および製造方法
KR101556995B1 (ko) 토릭렌즈 제조방법
JP2010102101A (ja) 眼鏡レンズの加工形状設定方法、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眼鏡用中間レンズ
US20200409179A1 (en) Design structure of reverse curve of orthokeratology lens
JP2016212163A (ja) 眼軸長さ変化抑制型視力矯正レンズ
US20190369413A1 (en) Lens with asymmetric optical zone to increase defocus image area
CN204235758U (zh) 一种高度近视镜片加工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