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129B1 - 세탁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129B1
KR101504129B1 KR1020080079483A KR20080079483A KR101504129B1 KR 101504129 B1 KR101504129 B1 KR 101504129B1 KR 1020080079483 A KR1020080079483 A KR 1020080079483A KR 20080079483 A KR20080079483 A KR 20080079483A KR 101504129 B1 KR101504129 B1 KR 101504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sing
water
turbidity sensor
detergent
ri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747A (ko
Inventor
최현영
한정수
표상연
김정한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129B1/ko
Priority to CN200810169032A priority patent/CN101649538A/zh
Publication of KR2010002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탁도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물의 탁도를 검출하기 위한 탁도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헹굼 행정에서 헹굼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제 1 헹굼의 헹굼수를 이용하여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한 다음 헹굼 세제를 투입하는 제 2 헹굼의 헹굼수를 공급하여 제 2 헹굼을 실시함으로써 깨끗한 물로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한다.
세탁, 헹굼, 탁도, 혼탁, calibration, 초기화, 조정

Description

세탁기의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의 탁도를 검출하기 위한 탁도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탁도 센서는 액체의 탁도(이물질의 포함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탁도 센서는 액체가 다루어지는 많은 기기 또는 그 기기들이 사용되는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탁도 센서가 사용되는 기기 가운데 하나로서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세탁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세탁기는 세제가 용해된 물로 세탁물의 오염을 분리해 내는 세탁 행정과,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물로 세탁물을 헹구어 거품이나 잔류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 행정과, 세탁물을 탈수시키는 탈수 행정을 포함하는 세탁 운전을 수행한다. 이처럼 세탁기의 경우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 등에서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되고, 탁도 센서는 이 물의 탁도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많이 사용되는 탁도 센서의 형태 가운데 하나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탁도 센서를 들 수 있다. 발광부는 빛을 조사하고, 수광부는 이 빛을 수신한다.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액체를 투과하여 수광부에 수신될 때 수신되는 빛의 양은 액체의 혼탁 정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발광부의 발광량과 수광부의 수광량의 차이로부터 액체의 혼탁 정도를 가늠한다.
이와 같은 탁도 센서는 그 기능적 특성 상 액체에 장시간 노출되기 때문에 탁도 센서의 표면이 오염되어 발광부의 발광 능력 또는 수광부의 수광 능력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탁도 센서가 물의 탁도를 검출하기 위해 물 속에 설치되는 경우, 탁도 센서의 표면에 물 때가 끼거나 물 속의 오염 물질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오염된 탁도 센서의 수광부의 수광량은 액체의 실제 탁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염된 탁도 센서의 탁도 검출 결과는 신뢰할 수 없다. 만약 탁도 센서의 오염을 제거하지 못하는 환경이라면, 깨끗한 액체를 기준으로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하여 탁도 센서의 검출 결과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탁도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탁도 센서의 더욱 정확한 캘리브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탁도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헹굼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제 1 헹굼의 헹굼수를 이용하여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하고; 헹굼 세제를 투입하는 제 2 헹굼의 헹굼수를 공급하여 제 2 헹굼을 실시한다.
또한, 상술한 제 1 헹굼의 헹굼수를 이용하여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한 다음 제 1 헹굼을 실시한다.
또한, 상술한 헹굼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제 1 헹굼은 복수의 헹굼으로 이루어지고, 탁도 센서의 캘리브레이션은 복수의 제 1 헹굼 가운데 마지막으로 실시되는 헹굼에서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은, 탁도 센서를 구비하고, 세탁 세제 투입구 및 헹굼 세제 투입구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 세제 투입구를 통해 세탁 세제 및 물을 공급하여 세탁 행정을 실시하고; 헹굼 세제가 투입되지 않는 제 1 헹굼의 헹굼수를 이용하여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하며; 헹굼 세제 투입구를 통해 헹굼 세제 및 물을 공급하여 제 2 헹굼을 실시한다.
또한, 상술한 제 1 헹굼의 헹굼수를 이용하여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한 다음 제 1 헹굼을 실시한다.
또한, 상술한 제 1 헹굼은 세탁 세제 투입구 또는 별도의 급수 라인을 통해 헹굼수가 공급되고, 제 1 헹굼은 복수의 헹굼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제 1 헹굼 가운데 마지막으로 실시되는 헹굼에서 탁도 센서의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탁도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은, 헹굼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복수의 제 1 헹굼 가운데 마지막 헹굼인지를 판단하고; 복수의 제 1 헹굼 가운데 마지막 헹굼일 때 공급되는 헹굼수를 이용하여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한 다음 제 1 헹굼을 실시하며; 헹굼 세제를 투입하는 제 2 헹굼의 헹굼수를 공급하여 제 2 헹굼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탁도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은, 복수의 헹굼 행정 중 마지막 헹굼 행정인지를 판단하고; 마지막 헹굼일 때 헹굼 세제가 투입되지 않도록 헹굼수의 일부를 급수한 다음 헹굼수의 일부를 이용하여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하며; 나머지 헹굼수를 공급한 다음 마지막 헹굼을 실시한다.
또한, 상술한 마지막 헹굼수의 일부는 탁도 센서의 설치 높이를 초과하는 수량(水量)이다.
또한, 상술한 나머지 헹굼수를 공급할 때 헹굼 세제를 함께 투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탁도 센서를 구비하고 세탁 세제 투입구 및 헹굼 세제 투입구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 세제 투입구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하여 세탁 행정을 실시하고; 헹굼 행정의 마지막 헹굼일 때 마지막 헹굼수의 일부를 공급하여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하며, 헹굼 세제 투입구를 통해 마지막 헹굼수의 잔여량을 공급하여 마지막 헹굼을 실시한다.
또한, 상술한 마지막 헹굼수의 일부는 탁도 센서의 설치 높이를 초과하는 수량(水量)이다.
또한, 상술한 마지막 헹굼수의 일부는 세탁 세제 투입구 또는 별도의 급수 라인을 통해 공급된다.
이처럼,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 함으로써 탁도 센서의 더욱 정확한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세탁기(전자동, 드럼 포함) 및 식기 세척기 등 액체를 사용하는 여러 가전 기기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가전 기기의 한 종류인 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탁도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10)를 구비하고,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공급되는 물이 담수되도록 수조(111)가 완충 장치(112)에 고정 지지되며, 수조(111)의 내부에는 드럼(113)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드럼(113)의 회전은 구동 모터(114)의 회전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드럼(113)에는 수조(111) 내부의 물이 드럼(11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113a)이 형성된다.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 공급 장치(120)와 외부의 급수전으로부터 수조(111)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장치(115)가 마련된다. 이 급수 장치(115)는, 외부의 급수전과 세제 공급 장치(120)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급수 유로(115a)와, 제 1 급수 유로(115a)의 일측에 설치되어 급수를 제어하 는 메인 급수 밸브(170), 세제 공급 장치(120)와 수조(111)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급수 유로(115b), 메인 급수 밸브(170)와 수조(111)를 직접 연결하는 제 3 급수 유로(115C)를 포함한다. 메인 급수 밸브(170)는 외부의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세제 공급 장치(120) 또는 수조(111)로 공급한다.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수조(111)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수조(111)와 연결되는 배수 유로(117) 및 배수 밸브(118)가 설치된다.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드럼(113)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되며, 이 투입구(미도시)는 케이스(1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된다.
수조(111)의 하부에는 수조(111) 내부의 물의 탁도를 검출하기 위한 탁도 센서(180)가 설치된다. 이 탁도 센서(180)는 발광부(180a)와 수광부(180b)를 구비하고, 발광부(180a)에서 조사된 빛이 수조(111) 내부의 물을 투과하여 수광부(180b)에 전달되면 수광부(180b)는 수신되는 빛의 양에 비례하는 크기의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서, 그 전기 신호의 크기를 통해 수조(111) 내부의 물의 탁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세제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의 세탁기에 마련되는 세제 공급 장치(120)는 급수 챔버(121)와 예비 세탁 세제 투입구(122), 헹굼 세제 투입구(123), 본 세탁 세제 투입구(124)가 구비된다.
세제 공급 장치(120)로의 물의 공급은 메인 급수 밸브(170) 및 제 1 급수 유로(115a)를 통해 이루어진다. 메인 급수 밸브(170)의 개방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제 1 급수 밸브(171)를 통해 예비 세탁 세제 투입구(122)로 공급되거나, 제 2 급수 밸브(172)를 통해 본 세탁 세제 투입구(124)로 공급되거나, 제 3 급수 밸브(174)를 통해 헹굼 세제 투입구(123)로 공급된다. 또한 메인 급수 밸브(171)의 개방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제 3 급수 유로(115c)를 통해 수조(111) 내부로 직접 공급되기도 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세탁기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330)의 입력 측에는 입력부(310)와 수위 센서(320), 탁도 센서(180), 메모리(390)가 제어부(33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입력부(310)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세탁 모드 선택 및 세탁 운전 명령 등을 제어부(330)에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수위 센서(320)는 수조(111)에 공급되어 담수되는 물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탁도 센서(180)는 도 1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조(111)에 공급된 물의 탁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390)는 탁도 센서(180)의 캘리브레이션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330)의 출력 측에는 부하(3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340)가 제어부(33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부하(350)는, 드럼(11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14)와 함께, 메인 급수 밸브(170), 제 1 급수 밸브(171), 제 2 급수 밸브(172), 제 3 급수 밸브(174), 보조 급수 밸브(173), 배수 밸브(118)를 포함한다.
탁도 센서(180)의 캘리브레이션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탁도 센서(180)는 발광부(180a)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발광량과 수광부(180b)에 수신되는 빛의 수 광량의 비율로 탁도를 판단하기 때문에, 각 탁도 별로 기준이 되는 탁도 센서(180)의 출력 전압 값들을 대응시킨 참조 테이블이 필요하다.
만약 이 탁도 센서(180)가 물 때 등에 의해 오염되면, 물의 실제 탁도와 상관없이 탁도 센서(180)의 수광부(180b)에 수신되는 빛의 수광량이 감소하여 탁도 센서(180)의 출력 전압도 함께 감소하기 때문에 실제의 탁도보다 더 높은 탁도 검출 결과를 발생시킨다. 즉, 물의 실제 탁도는 변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수광부(118a)가 물 때 등에 의해 오염되어 이와 같은 정확하지 않은 탁도 검출 결과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의 탁도 센서(180)의 캘리브레이션은 이와 같이 탁도 센서(180)의 오염에 의해 출력 전압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낮을 경우, 탁도 센서(180)에 입력 전류량을 더 증가시켜서 기준 수에 대한 탁도 센서(180)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일정 전압이 되도록 강제 조정하는 것이다. 만약 탁도 센서(180)의 오염 정도가 더 심해지면 입력 전류량을 더 증가시켜서 기준 수에 대한 탁도 센서의 출력 전압이 항상 정해진 일정 전압이 되도록 강제 조정한다. 탁도 센서(180)의 출력 전압은 제품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세탁기에 구비되는 탁도 센서의 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가로 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 축은 탁도 센서(180)의 출력 전압을 나타낸다. 탁도 센서(180)의 출력 전압은 실제 탁도와는 반비례한다. 즉, 탁도 센서(180)의 출력 전압이 낮을수록 실제 탁도는 높고 탁도 센서(180)의 출력 전압이 높을수록 실제 탁도는 낮다.
도 4에서, 세탁과 헹굼을 실시하는 동안 탁도 센서(180)의 출력 전압을 살펴보면, 세탁 행정에서는 세탁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 물질에 의해 수조(111) 내부의 물이 오염되어 탁도가 비교적 낮다. 그러나 헹굼#1 및 헹굼#2 등의 헹굼 행정에서는 이미 세탁이 완료되어 오염 물질이 많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수조(111) 내부의 물이 상대적으로 매우 깨끗하여 탁도 센서(180)의 출력 전압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각각의 헹굼에서 헹굼수를 급수할 때와 실제 헹굼을 위해 드럼(113)이 회전할 때의 탁도가 다르다. 도 4의 헹굼#1 및 헹굼#2 각각에서, A 구간에서는 헹굼수가 급수되고 B 구간에서는 드럼(113)이 회전하여 헹굼이 이루어진다. A 구간과 B 구간의 탁도 센서(180)의 출력 전압을 비교해 보면 A 구간의 출력 전압이 B 구간의 출력 전압보다 더 높은데, 이는 곧 A 구간의 탁도가 B 구간의 탁도보다 더 낮은 것을 의미한다. 즉 헹굼수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동안(A 구간)의 탁도가 드럼(113)이 회전하여 실제로 헹굼이 이루어지는 동안(구간 B)의 탁도보다 더 낮다.
더욱이, 헹굼#1과 헹굼#2 각각의 헹굼수 급수 구간(A)의 탁도를 비교하면, 먼저 실시된 헹굼#1의 A 구간의 탁도보다는 나중에 실시된 헹굼#2의 A 구간의 탁도가 더 낮다. 즉, 헹굼 행정에서 더 나중에 실시되는 헹굼을 위해 공급된 헹굼수의 탁도가 더 낮다. 이 결과로부터 탁도 센서(180)의 최적의 캘리브레이션 시점은 더 나중에 실시되는 헹굼을 위한 헹굼수의 공급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의 헹굼 행정에서는, 가장 마지막으로 실시되는 헹굼에서 헹굼 세제가 투입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헹굼 세제가 투입되는 헹굼보다 앞서 실시되는 헹굼의 헹굼수를 이 용하여 탁도 센서(180)를 캘리브레이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헹굼 세제가 투입되기 전의 헹굼수를 이용하여 탁도 센서(180)를 캘리브레이션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실시 예를 들 수 있다.
[실시 예 1]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헹굼 행정을 구성하는 복수의 헹굼을 헹굼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제 1 헹굼과 헹굼 세제를 투입하는 제 2 헹굼으로 구분하고, 제 1 헹굼을 위한 헹굼수를 공급할 때 이미 비어있는 예비 세탁 세제 투입구(122) 또는 본 세탁 세제 투입구(124) 또는 제 2 급수 유로(115b)를 통해 깨끗한 물을 공급하여 이 깨끗한 물로 탁도 센서(180)를 캘리브레이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세탁기의 탁도 센서(180)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세탁 모드 선택 및 세탁 운전 명령을 수신한다(502). 제어부(330)는 수신된 세탁 모드에 대응하는 세탁 운전을 위해 먼저 세탁 행정을 실시한다(504). 이 세탁 행정에서는 예비 세탁 세제 투입구(122) 또는 본 세탁 세제 투입구(124)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되면서 세탁 세제가 함께 투입된다. 따라서 세탁 행정에서 수조(111)에 세탁수가 공급된 이후에는 예비 세탁 세제 투입구(122) 또는 본 세탁 세제 투입구(124)는 비어있는 상태이다.
제어부(330)는, 세탁 행정이 완료되면, 세탁물에 잔존하는 세제 찌꺼기나 거품 등을 제거하기 위한 헹굼 행정을 시작한다(506).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헹굼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복수의 헹굼을 실시하며, 이 복수의 헹굼은 헹굼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제 1 헹굼과 헹굼 세제를 투입하는 제 2 헹굼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헹굼은 헹굼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복수의 헹굼으로 구성된다. 1회의 헹굼은 <급수>와 <세탁조(133)의 회전>, <배수>로 이루어진다. 헹굼 행정이 시작되어 헹굼을 실시할 때, 해당 헹굼이 헹굼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제 1 헹굼인지를 확인한다(508). 만약 헹굼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제 1 헹굼이면(508의 예) 제 1 헹굼을 위한 헹굼수를 공급한다(510). 이 때 제 1 헹굼을 위한 헹굼수는 이미 비어있는 예비 세탁 세제 투입구(122) 또는 본 세탁 세제 투입구(124) 또는 제 3 급수 유로(115c)를 통해 공급한다. 만약 이 때의 제 1 헹굼이 복수의 제 1 헹굼 가운데 마지막을 실시되는 제 1 헹굼인 경우에는(512의 예) 제 1 헹굼을 위해 예비 세탁 세제 투입구(122) 또는 본 세탁 세제 투입구(124) 또는 제 3 급수 유로(115c)를 통해 공급된 깨끗한 물로 탁도 센서(180)를 캘리브레이션하고, 그 캘리브레이션 결과를 메모리(390)에 저장한다(514). 탁도 센서(180)의 캘리브레이션이 완료되면 제 1 헹굼을 실시하고 배수한다(516). 즉, 제 1 헹굼을 위한 헹굼수가 공급되면 제 1 헹굼을 실시하기 전에 깨긋한 물을 이용하여 탁도 센서(180)를 캘리브레이션하고, 그 이후에 제 1 헹굼을 실시한다. 만약 이 때의 제 1 헹굼이 복수의 제 1 헹굼 가운데 마지막을 실시되는 제 1 헹굼이 아닌 경우에는(512의 아니오) 제 1 행굼 및 배수를 실시하고 508의 과정으로 진행한다(517) 이후, 헹굼 세제를 투입하는 제 2 헹굼을 실시할 것인지를 확인한다(518). 만약 헹굼 세제를 투입하는 제 2 헹굼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518의 아니오) 추가 헹굼을 실시한 것인지를 확인하여 다음 과정을 진행한다. 만약 헹굼 세제를 투입하는 제 2 헹굼을 실시하는 경우(518의 예) 제 2 헹굼을 위한 헹굼수를 헹굼 세제 투입구(124)를 통해 공급하여 헹굼 세제가 물과 함께 공급되도록 한다(520). 제 2 헹굼을 위한 헹굼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제 2 헹굼을 실시한 다음 배수한다(522). 제 1 및 제 2 헹굼이 모두 완료되면, 탈수 행정을 실시하고 세탁 운전을 종료한다(526).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서는, 헹굼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제 1 헹굼과 헹굼 세제를 투입하는 제 2 헹굼 가운데 제 1 헹굼의 더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탁도 센서(180)를 캘리브레이션 함으로써 더 정확한 캘리브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만약 특히 복수의 제 1 헹굼을 실시한 다음에 최종적으로 제 2 헹굼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제 1 헹굼 가운데 가장 마지막으로 실시되는 제 1 헹굼의 헹굼수를 이용하여 탁도 센서(180)를 캘리브레이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2]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헹굼으로 구성되는 헹굼 행정의 마지막 헹굼을 위한 헹굼수의 공급을 1차와 2차로 나누어 실시하되, 1차 헹굼수 공급 시에는 깨끗한 물로 탁도 센서(180)를 캘리브레이션하고, 이후 헹굼 세제 투입구(123)를 통해 헹굼 세제와 함께 2차 헹굼수를 공급하며, 1차 공급된 헹굼수와 2차 공급된 헹굼수를 모두 이용하여 마지막 헹굼을 실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로서, 세탁기의 탁도 센서(180)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세탁 모드 선택 및 세탁 운전 명령을 수신한다(602). 제어부(330)는 수신된 세탁 모드에 대응하는 세탁 운전을 위해 먼저 세탁 행정을 실시한다(604). 이 세탁 행정에서는 예비 세탁 세제 투입구(122) 또는 본 세탁 세제 투입구(124)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되면서 세탁 세제가 함께 투입된다. 따라서 세탁 행정에서 수조(111)에 세탁수가 공급된 이후에는 예비 세탁 세제 투입구(122) 또는 본 세탁 세제 투입구(124)는 비어있는 상태이다.
제어부(330)는, 세탁 행정이 완료되면, 세탁물에 잔존하는 세제 찌꺼기나 거품 등을 제거하기 위한 헹굼 행정을 시작한다(606).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헹굼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복수의 헹굼을 실시하며, 1회의 헹굼은 <급수>와 <세탁조(133)의 회전>, <배수>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헹굼으로 이루어지는 헹굼 행정에서 각각의 헹굼이 실시되고 마지막 헹굼만이 남게 되면(608의 예), 마지막 헹굼을 위해 필요한 헹굼수 가운데 일부만을 공급한다(610). 이 때 공급되는 헹굼수는 이미 비어있는 예비 세탁 세제 투입구(122) 또는 본 세탁 세제 투입구(124) 또는 제 3 급수 경로(115c)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어서 탁도 센서(180)를 캘리브레이션하기에 충분히 깨끗하다. 마지막 헹굼을 위한 헹굼수의 일부는 세탁물의 헹굼을 위한 것이지만, 탁도 센서(180)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 때 공급되는 마지막 헹굼을 위한 헹굼수의 일부는 탁도 센서(180)의 설치 높이에서 α만큼 더 높은 수위까지, 즉 탁도 센서(180)가 잠길 정도의 수위까지 공급한다. 마지막 헹굼을 위한 헹굼수의 일부의 공급이 완료되면(612의 예), 급수를 일시 정지한다(614). 이 시점에서 수조(111) 내부의 물은 앞서 도 4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탁 운전 전체에 걸쳐 수조(111)에 공급되는 물 가운데 가장 깨끗한 물이다. 따라서 이 물을 이용하여 탁도 센서(180)를 캘리브레이션하고, 이 캘리브레이션 결과를 메모리(390)에 저장한다(616). 메모리(390)에 저장되는 캘리브레이션 결과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탁 운전은 물론 나중에 실시되는 다른 세탁 운전의 제어에 이용된다.
탁도 센서(180)의 캘리브레이션이 완료되면 마지막 헹굼을 위한 헹굼수의 잔여량의 공급을 재개한다(618). 마지막 헹굼을 위한 헹굼수의 잔여량은 헹굼 세제 투입구(123)를 통해 공급되며, 이 때 헹굼 세제 투입구(123)에 있는 헹굼 세제도 함께 수조(111)에 투입된다. 마지막 헹굼을 위한 헹굼수의 잔여량은 헹굼 목표 수위까지 공급된다. 즉 이미 공급되어 있는 일부 헹굼수와 현재 공급되는 잔여 헹굼수의 전체 수량은 마지막 헹굼에 필요한 목표 수량을 만족하는 수위이다. 현재 수위가 헹굼 목표 수위에 도달하면(620의 예) 급수를 정지한다(622). 제어부(330)는, 이와 같이 두 번에 걸쳐 공급된 마지막 헹굼을 위한 헹굼수를 이용하여 마지막 헹굼을 실시하고, 마지막 헹굼이 완료되면 배수한다(624). 이후 탈수 행정을 실시하여 세탁물에 흡수되어 있는 수분을 최대한 제거한 후 세탁 운전을 종료한다(626).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탁도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세탁기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세탁기에 구비되는 탁도 센서의 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케이스
111 : 수조
113 : 드럼
120 : 세제 공급 장치
122 : 예비 세탁 세제 투입구
123 : 헹굼 세제 투입구
124 : 본 세탁 세제 투입구
171 : 제 1 급수 밸브
172 : 제 2 급수 밸브
180 : 탁도 센서
180a : 발광부
180b : 수광부

Claims (13)

  1. 탁도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헹굼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제 1 헹굼의 헹굼수를 이용하여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하고;
    헹굼 세제를 투입하는 제 2 헹굼의 헹굼수를 공급하여 제 2 헹굼을 실시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헹굼의 헹굼수를 이용하여 상기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한 다음 상기 제 1 헹굼을 실시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제 1 헹굼은 복수의 헹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탁도 센서의 캘리브레이션은 상기 복수의 제 1 헹굼 가운데 마지막으로 실시되는 헹굼에서 실시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4. 탁도 센서를 구비하고, 세탁 세제 투입구 및 헹굼 세제 투입구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 세제 투입구를 통해 세탁 세제 및 물을 공급하여 세탁 행정을 실 시하고;
    헹굼 세제가 투입되지 않는 제 1 헹굼의 헹굼수를 이용하여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하며;
    상기 헹굼 세제 투입구를 통해 헹굼 세제 및 물을 공급하여 제 2 헹굼을 실시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헹굼의 헹굼수를 이용하여 상기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한 다음 상기 제 1 헹굼을 실시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헹굼은 상기 세탁 세제 투입구 또는 별도의 급수 라인을 통해 헹굼수가 공급되고, 상기 제 1 헹굼은 복수의 헹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1 헹굼 가운데 마지막으로 실시되는 헹굼에서 상기 탁도 센서의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7. 탁도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헹굼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복수의 제 1 헹굼 가운데 마지막 헹굼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헹굼 가운데 마지막 헹굼일 때 공급되는 헹굼수를 이용하 여 상기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한 다음 상기 제 1 헹굼을 실시하며;
    헹굼 세제를 투입하는 제 2 헹굼의 헹굼수를 공급하여 상기 제 2 헹굼을 실시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8. 탁도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헹굼 행정 중 마지막 헹굼 행정인지를 판단하고;
    마지막 헹굼일 때 헹굼 세제가 투입되지 않도록 헹굼수의 일부를 급수한 다음 상기 헹굼수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하며;
    나머지 헹굼수를 공급한 다음 상기 마지막 헹굼을 실시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헹굼수의 일부는 상기 탁도 센서의 설치 높이를 초과하는 수량(水量)인 세탁기의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헹굼수를 공급할 때 헹굼 세제를 함께 투입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1. 탁도 센서를 구비하고, 세탁 세제 투입구 및 헹굼 세제 투입구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 세제 투입구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하여 세탁 행정을 실시하고;
    헹굼 행정의 마지막 헹굼일 때 마지막 헹굼수의 일부를 공급하여 상기 탁도 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하며, 상기 헹굼 세제 투입구를 통해 상기 마지막 헹굼수의 잔여량을 공급하여 상기 마지막 헹굼을 실시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헹굼수의 일부는 상기 탁도 센서의 설치 높이를 초과하는 수량(水量)인 세탁기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헹굼수의 일부는 상기 세탁 세제 투입구 또는 별도의 급수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0080079483A 2008-08-13 2008-08-13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504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83A KR101504129B1 (ko) 2008-08-13 2008-08-13 세탁기의 제어 방법
CN200810169032A CN101649538A (zh) 2008-08-13 2008-10-14 洗衣机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83A KR101504129B1 (ko) 2008-08-13 2008-08-13 세탁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747A KR20100020747A (ko) 2010-02-23
KR101504129B1 true KR101504129B1 (ko) 2015-03-19

Family

ID=4167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483A KR101504129B1 (ko) 2008-08-13 2008-08-13 세탁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4129B1 (ko)
CN (1) CN1016495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0523A (ja) * 2010-03-26 2011-10-13 Panasonic Corp 洗濯機
CN101899763A (zh) * 2010-07-22 2010-12-01 无锡小天鹅驱动和控制技术开发有限公司 利用污浊度传感器的洗衣方法
CN105455757A (zh) * 2014-09-01 2016-04-06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带校准功能的浊度检测系统、检测方法及洗碗机
CN107916528A (zh) * 2017-11-14 2018-04-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漂洗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清洁设备
DE102020212542A1 (de) * 2020-10-05 2022-04-07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r Steuer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5498A (ja) * 1989-02-17 1990-08-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3168187A (ja) * 1989-11-29 1991-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663280A (ja) * 1992-08-21 1994-03-08 Toshiba Corp 洗濯機
JPH09155094A (ja) * 1995-12-11 1997-06-17 Toshiba Corp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08612C (en) * 1989-01-27 1994-07-26 Mitsuyuki Kiuchi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5498A (ja) * 1989-02-17 1990-08-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3168187A (ja) * 1989-11-29 1991-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663280A (ja) * 1992-08-21 1994-03-08 Toshiba Corp 洗濯機
JPH09155094A (ja) * 1995-12-11 1997-06-17 Toshiba Corp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49538A (zh) 2010-02-17
KR20100020747A (ko) 201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719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CN105177920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5063956B (zh) 基于浊度和电导率检测的洗衣机的控制方法和装置
KR101504129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EP233905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irculating cleaning water for drum washing machine
RU2005136643A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й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пены
EA017259B1 (ru)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пены в режиме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я в барабанной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е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CN105088649A (zh) 基于浊度和电导率检测的洗衣机的控制方法和装置
EP2388364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34120B1 (ko) 식기 세척기
KR20080026411A (ko) 세탁물의 세탁 방법
KR20100037456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CN105088650A (zh) 基于浊度和电导率检测的洗衣机的控制方法和装置
KR101455775B1 (ko)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53278B1 (ko) 세탁기 헹굼행정 제어 방법
KR20160146057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2225A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9481957B2 (en) Method for optimizing a rinsing phase in a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suitable therefor
JP2018121899A (ja) 洗濯機
KR101036081B1 (ko) 세탁기의 운전 방법
CN113490776B (zh) 用于在洗衣机中洗涤衣物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洗衣机
KR950012727B1 (ko) 세탁기의 세제 자동 투입장치 및 방법
JP2012024512A (ja) 洗濯機
CN113474506B (zh) 用于在洗衣机中洗涤衣物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洗衣机
JP2001120878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