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066B1 -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066B1
KR101504066B1 KR20140054655A KR20140054655A KR101504066B1 KR 101504066 B1 KR101504066 B1 KR 101504066B1 KR 20140054655 A KR20140054655 A KR 20140054655A KR 20140054655 A KR20140054655 A KR 20140054655A KR 101504066 B1 KR101504066 B1 KR 101504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shift
hall sensor
shift finger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균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20140054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어액츄에이터의 쉬프트핑거에 홀센서를 내장하고, 쉬프트핑거를 셀렉트 방향 이동 가능구간의 전 범위를 한쪽 끝에서 다른 한쪽 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홀센서에서 측정된 전압 변동값으로부터 쉬프트러그 간 경계선 위치를 알 수 있고, 이로부터 쉬프트러그의 셀렉트 방향 중심위치를 알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shift position of Automatic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학습이 간단하고 학습 시간이 감소하여 출고 후 필드에서도 학습이 가능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부드러운 변속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수동변속기와 같은 변속기구를 갖추고 있으면서 변속기구의 작동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변속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케이스(11)의 내측에 다수의 쉬프트레일(12)과, 쉬프트레일(12)에 연동되어 싱크로나이저를 작동시켜 변속치합을 이루도록 하는 쉬프트포크(13)를 포함하는 변속기구(10 ; Lower control assembly)를 갖춘다.
상기 변속기구(10)는 케이스(11) 외측에 장착되는 기어액츄에이터(20)에 의해 조작되는데, 기어액츄에이터(20)는 2개의 모터(셀렉트모터, 쉬프트모터)로 쉬프트핑거를 작동시켜 상기 쉬프트레일(12)을 밀거나 당겨줌으로써 변속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쉬프트핑거의 작동을 설명한다. 쉬프트핑거(22)는 쉬프트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스플라인샤프트(21)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어서, 스플라인샤프트(21)의 회동에 연동되어 전후로 회동될 수 있고, 스플라인샤프트(21)상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축방향을 좌우방향,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한다.)
스플라인샤프트(21)에서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셀렉트모터와 쉬프트핑거는 셀렉트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해주는 나사기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쉬프트핑거(22)의 하단부는 케이스(11)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해 케이스(11) 내부로 삽입되어 쉬프트레일(12)에 장착된 쉬프트러그(14)의 전후 걸림단 사이에 위치된다. 쉬프트러그(14)들은 서로 밀착 배치되어 있어 작은 범위의 움직임으로 쉬프트핑거(22)가 쉬프트레일(12)을 전후로 밀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변속기제어유니트(TCU)에 의해 목표 변속단이 결정되면, 셀렉트모터가 작동되어 쉬프트핑거(22)를 스플라인샤프트(21)상에서 좌우 이동시켜 해당 변속단으로 변속조작을 행하는 쉬프트러그(14)와 일치하도록 쉬프트핑거(22)가 이동되고, 이어 쉬프트모터가 작동되어 쉬프트핑거(22)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쉬프트핑거(22)의 하단이 선택된 쉬프트러그(14)의 전방 걸림단 또는 후방 걸림단을 밀어줌으로써 쉬프트레일(12)이 이동하고, 그에 따라 쉬프트포크(13)가 싱크로나이저를 작동시켜 목표 변속단의 기어를 구동축에 동기시킴으로써 목표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어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02983(2012.09.19.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기어액츄에이터(20)를 갖춘 자동화 수동변속기 시스템에서는 변속기 본체 및 기어액츄에이터(20)의 양산 산포에 대응하여 최적의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변속단 즉, 쉬프트러그(14)의 위치를 미리 학습하여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학습방법은 기어액츄에이터(20)가 변속 조작(목표 변속단의 해당 쉬프트러그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을 실제로 수행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치고 이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학습 실패 가능성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매우 많은 단계의 동작을 거치는 만큼 학습 시간이 매우 오래 걸렸다.
한편, 변속기나 기어액츄에이터(20)의 사용 시간이 증가하면 각 부분의 마모가 발생하고, 이에 각 부품들의 상대 위치 및 작동량에 변동이 발생하여 적합한 변속 작동을 위한 기어액츄에이터(20)의 제어값도 변경되어야만 하므로 내구 진행에 따라 마모량이 증가하면 새로운 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학습방법은 그 단계가 복잡하여 학습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기 때문에 차량 출고 전에만 실시할 수 있었고, 출고 후 필드에서는 학습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점차 부적합한 변속 조작이 이루어짐으로써 변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변속시 이음 및 충격이 발생하는 등 변속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속위치 학습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필드에서의 재학습이 가능하여, 부품 마모에 따른 편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출고전에는 양산 사이클을 감소시킬 수 있고, 출고후에는 항상 부드럽고 정숙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는, 모터에 의해 쉬프트핑거의 셀렉트 및 쉬프트 조작을 행하는 기어액츄에이터와, 상기 기어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변속기 제어유니트와, 상기 쉬프트핑거에 설치되어 쉬프트러그들을 셀렉트 방향으로 지나치면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홀센서는 쉬프트핑거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홀센서장착공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홀센서는 홀센서장착공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삽입되어, 쉬프트핑거가 쉬프트러그와 접촉할 때 쉬프트러그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변속기 제어유니트에 연결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변속기 제어유니트에 학습 수행 신호를 전달하는 학습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방법은, 변속기 제어유니트가 변속위치 학습 수행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학습조건 만족단계와, 상기 학습 수행 조건이 만족되면 기어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홀센서가 구비된 쉬프트핑거를 학습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쉬프트핑거 학습초기위치 이동단계와, 상기 쉬프트핑거가 학습초기위치로 이동하면 쉬프트핑거를 학습초기위치로부터 학습종료위치로 셀렉트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쉬프트핑거 학습종료위치 이동단계와, 상기 쉬프트핑거가 학습종료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홀센서에서 발생한 전압 변동값을 연속적으로 획득하고 홀센서의 출력값 중 특이값이 발생한 위치를 쉬프트러그간 경계선 위치로 파악하는 홀센서 출력값 파악단계와, 상기 쉬프트러그간 경계선 위치와 쉬프트러그의 치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쉬프트러그의 셀렉트 방향 중심위치를 계산하고 그 값을 기억하는 쉬프트러그 중심위치 계산 및 기억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쉬프트러그 중심위치 기억 후 쉬프트핑거를 변속위치 학습 시작전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쉬프트핑거 초기위치 이동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학습초기위치는 일측의 최외측 쉬프트러그의 스토퍼에 쉬프트핑거가 접촉한 위치이다.
상기 학습종료위치는 상기 학습초기위치의 반대쪽에 위치한 최외측 쉬프트러그의 스토퍼에 쉬프트핑거가 접촉한 위치이다.
상기 학습조건 만족단계에서 인정되는 학습 수행 조건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학습스위치의 on신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일 수 있다.
상기 학습조건 만족단계에서 인정되는 학습 수행 조건은 엔진 시동 스위치가 on 되었는지의 여부일 수 있다.
상기 학습조건 만족단계에서 인정되는 학습 수행 조건은 엔진 시동 스위치가 off 되었는지의 여부일 수 있다.
상기 학습조건 만족단계에서 인정되는 학습 수행 조건은 최근 학습 수행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변속위치 학습을 매우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출고전에는 학습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하여 양산 사이클 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학습 방법이 매우 간단하므로 학습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오류 및 편차가 감소되어 보다 정확한 학습값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변속시 이음 및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보다 고품질의 변속이 가능하다.
정확한 학습값을 얻을 수 있으므로 변속 작동이 실패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변속 실패 및 재시도의 과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변속시간이 단축된다.
상기와 같이 변속시간이 단축됨으로써 가속시 가속지연 현상이 방지되고, 이에 소비자 불만 요인이 제거되어 상품성이 향상된다.
한편, 변속위치 학습을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차량 출고 후 필드에서도 학습이 가능하다.
따라서, 필드에서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수시 재 학습이 가능한 바, 쉬프트러그의 위치 데이터가 항상 최신의 것으로 업데이트 가능하여 기어액츄에이터에 의한 변속조작이 항상 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항상 변속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음 및 충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와 기어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변속기구의 쉬프트러그와 기어액츄에이터의 쉬프트핑거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홀센서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 학습방법에 따른 쉬프트핑거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 모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홀센서의 설치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는, 모터에 의해 쉬프트핑거(310)의 셀렉트(Select) 및 쉬프트(Shift) 조작을 행하는 기어액츄에이터(300)와, 기어액츄에이터(300)의 작동을 제어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변속기 제어유니트(200)와, 쉬프트핑거(310; 도 4 참조)에 설치되어 학습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홀센서(400)를 포함한다.
상기 변속기 제어유니트(200)는 변속 프로그램에 의해 일반적인 변속조작을 위한 기어액츄에이터(30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상 수행되는 변속을 위해 여러 운전조건을 수렴하여 셀렉트모터 및 쉬프트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한다.
상기 기어액츄에이터(300)는 변속기 제어유니트(200)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셀렉트모터와 쉬프트모터 및 이들에 의해 셀렉트 작동 및 쉬프트 작동을 수행하는 쉬프트핑거(310)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구성의 것으로 구성 및 작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변속기 제어유니트(200)에는 이후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있다.
변속기 제어유니트(200)는 엔진 시동 스위치의 on/off 신호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변속기 제어유니트(200)는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학습 시작 신호를 줄 수 있도록 구비된 학습스위치(100)와 연결된다.
변속기 제어유니트(200)에 입력된 학습프로그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정 주기마다 학습을 수행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학습프로그램은 상기 엔진 시동 스위치의 on 또는 off 신호가 입력될 때 학습을 수행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학습프로그램은 상기 학습스위치(100)의 on 신호가 입력될 때 학습을 수행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따라서, 변속기 제어유니트(200)는 어떤 외부 신호 없이 일정 주기마다 학습을 수행하거나, 엔진이 시동되거나 정지할 때마다 학습을 수행하거나, 학습스위치(100) on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 수행에 의해 변속위치 데이터 즉, 쉬프트러그들의 폭방향(셀렉트 방향) 중심위치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상기 기어액츄에이터(300)의 쉬프트핑거(310)에는 홀센서(400)가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프트핑거(310)의 하부 측면(쉬프트러그와의 대응면)에 홀센서(400)가 설치되고, 홀센서(400)에 연결된 전선(410)은 상기 변속기 제어유니트(200)에 연결된다.
홀센서(400)는 스플라인샤프트에 장착되는 헤드부(311)와, 헤드부(311)의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쉬프트러그를 밀어주는 바디부(312)로 이루어지며, 헤드부(311)에 형성된 원형 구멍의 내주면에는 스플라인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되기 위한 스플라인(311a)이 형성된다.
홀센서(400)의 바디부(312) 일측면에는 수평으로 홀센서장착공(312a)이 형성되어, 홀센서장착공(312a)의 내부로 홀센서(400)가 삽입 설치된다.
홀센서장착공(312a)의 후단은 바디부(312)와 헤드부(311)의 내부를 관통하여 헤드부(311)의 일측면으로 개구되는 전선통로(312b)와 연통된다. 따라서, 홀센서(400)에 연결된 전선(410)은 상기 전선통로(312b)를 통해 쉬프트핑거(31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된 타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변속기 제어유니트(200)에 연결되어 작동 전류를 인가 받고, 발생 신호(전압 변동값)를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홀센서(400)는 홀센서장착공(312a)의 입구로부터 안쪽으로 수 mm 정도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쉬프트핑거(310)가 쉬프트러그를 밀 때 쉬프트러그와의 접촉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홀센서(400)는 홀(Hall)소자를 통과하는 자속밀도의 양과 방향을 감지하여 전압으로 출력해주는 센서로서 주변에 위치한 자성체에 의해 출력값이 변화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홀센서(400)는 쉬프트핑거(310)가 쉬프트러그들의 사이를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할 때, 쉬프트러그의 대향면을 지날 때와, 쉬프트러그간 경계선을 지날 때, 서로 다른 출력값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출력값의 변동을 감지하여 변속기 제어유니트(200)는 쉬프트러그간 경계선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 경계선 위치 정보와 기 입력된 쉬프트러그의 폭과 같은 미리 알고 있는 정보를 조합하여 쉬프트러그의 셀렉트 방향 중간 위치 즉, 쉬프트핑거(310)가 쉬프트 작동시 위치해야할 위치(=변속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변속기 제어유니트(200)는 상기와 같이 계산된 변속위치를 기억하고, 이후 기어액츄에이터(300)의 제어에 사용한다.
이제, 상기한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조건 만족단계(S10), 쉬프트핑거 학습초기위치 이동단계(S20), 쉬프트핑거 학습종료위치 이동단계(S30), 홀센서 출력값 파악단계(S40), 쉬프트러그 중심위치 계산 및 기억 단계(S50), 쉬프트핑거 초기위치 이동단계(S60)을 포함한다.
학습조건 만족단계(S10)는, 변속기 제어유니트(200)가 변속위치 학습을 수행할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변속위치 학습조건으로는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학습스위치(100)가 조작되어 학습스위치 on신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 엔진 시동 스위치가 on되었거나 off되었는지의 여부, 변속기 제어유니트(200) 또는 엔진제어유니트에 내장된 타이머 즉, 차량에 구비된 타이머장치에 의해 시간 흐름을 인지하는 중에 최근 학습 수행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 등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학습방법은, 학습스위치(100)가 on되었을 때(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원할 때), 엔진이 시동될 때, 엔진이 정지할 때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은 외부 신호 없이 변속기 제어유니트(200) 자체의 판단으로 최근 학습 수행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쉬프트핑거 학습초기위치 이동단계(S20)는 상기 학습조건 만족단계(S10)에서 학습조건(=학습수행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수행되는 것으로, 임의 위치에 있는 쉬프트핑거(310)를 학습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학습초기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프트핑거(310)가 일측의 최외측 쉬프트러그의 스토퍼(최외측 쉬프트러그의 외측 단부에는 쉬프트핑거(310)가 쉬프트러그들의 외측 범위로 이동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5-6속 쉬프트러그의 왼쪽 단부와 R속 쉬프트러그의 오른쪽 단부에 각각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에 접하는 위치이다.
최외측 쉬프트러그는 5-6속 쉬프트러그와 R속 쉬프트러그를 지칭한다.
따라서, 학습초기위치는 A점 또는 B점이 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A점을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쉬프트핑거(310)가 학습초기위치(A)로 이동하면, 쉬프트핑거 학습종료위치 이동단계(S30)를 수행한다.
학습종료위치는 학습초기위치(A)에 대응하여 반대쪽 끝 부분인 B점이 된다.
즉, 쉬프트핑거 학습종료위치 이동단계(S30)의 수행에 의하여 쉬프트핑거(310)는 학습초기위치(A)로부터 학습종료위치(B)까지 모든 쉬프트러그들과 그들의 경계선을 가로지르는 경로를 이동하게 된다.(학습초기위치(A)로부터 학습종료위치(B)까지의 이동은 쉬프트핑거(310)의 중립위치(N3,N2,N1,N0)를 연결한 선을 따라 이루어진다.)
따라서, 쉬프트핑거(310)에 내장된 홀센서(400)도 쉬프트러그들과 그 경계선을 지나게 된다. 이 단계에서 홀센서(400)는 전류 인가 상태로서 주변의 자성체에 반응하여 전압 변동을 출력값으로 생성할 수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홀센서(400)는 학습초기위치(A)에서 학습종료위치(B)로 이동하는 중에 쉬프트러그의 대응면과, 쉬프트러그 간 경계선을 지나면서 각 위치에서 상이한 출력값을 생성한다. 즉, 홀센서(400)에서 발생하는 파형은 쉬프트러그간 경계선을 지날 때 다른 부분에서와는 다른 특이함을 보이게 되며, 변속기 제어유니트(200)는 이로부터 홀센서 전체 이동 구간 중에서 쉬프트러그 사이의 경계선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홀센서 출력값 파악단계(S40))
상기와 같은 홀센서 출력값 파악단계(S40)의 수행 후에는, 쉬프트러그 중심위치 계산 및 기억 단계(S50)가 수행된다.
각 쉬프트러그들의 폭과, 쉬프트핑거의 폭에서 홀센서(400)의 위치와, 쉬프트핑거가 학습초기위치(A) 및 학습종료위치(B)에 있을 때 홀센서(400)의 위치는 부품치수에 의해 정해진 고정값이므로, 이 고정된 값들과 쉬프트러그간 경계선의 위치를 조합하여 각 쉬프트러그의 셀렉트 방향 중심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각 쉬프트러그의 셀렉트 방향 중심위치는 변속기 제어유니트(200)에 기억된다.
쉬프트러그 중심위치 계산 및 기억 단계(S50)가 종료되면, 쉬프트핑거 초기위치 이동단계(S60)가 수행된다. 쉬프트핑거 초기위치는 변속위치 학습이 수행되기전 쉬프트핑거(310)가 위치하고 있던 위치여도 되고, 임의로 설정된 쉬프프러그의 셀렉트 방향 중심위치이어도 무방하다. 이로써, 변속위치 학습 방법의 수행이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을 이용하면, 홀센서(400)가 설치된 쉬프트핑거(310)가 셀렉트 방향 이동 가능 구간의 일측 끝(A)에서 다른 쪽 끝(B)까지 1회 이동하는 것으로 학습을 위한 동작이 완료된다.
따라서, 변속위치 학습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학습 소요 시간이 감소된다.
따라서, 차량 출고전에는 양산 사이클 타임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차량 출고 후, 필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때, 정기적 및 비정기적으로 재학습이 가능하여, 항상 변속위치 데이터가 최신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기어액츄에이터에 의한 변속조작이 항상 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항상 부드러운 변속이 가능하고, 변속시 이음 및 충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학습 방법이 매우 간단하므로 학습 관련 오류 및 편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보다 정확한 학습값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변속시 이음 및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보다 고품질의 변속이 가능하다.
또한, 정확한 변속위치 데이터에 의해 변속 실패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변속 재시도의 과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변속시간이 단축되고, 따라서 가속시 가속지연 현상이 방지되며, 이에 운전자가 느끼는 차량 성능에 대한 호감도가 크게 증가하여 차량 상품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학습스위치 200 : 변속기 제어유니트
300 : 기어액츄에이터 310 : 쉬프트핑거
311 : 헤드부 311a : 스플라인
312 : 바디부 312a : 홀센서장착공
312b : 전선통로 400 : 홀센서
410 : 전선

Claims (11)

  1. 모터에 의해 쉬프트핑거의 셀렉트 및 쉬프트 조작을 행하는 기어액츄에이터와,
    상기 기어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변속기 제어유니트와,
    상기 쉬프트핑거에 설치되어 쉬프트러그들을 셀렉트 방향으로 지나치면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홀센서
    를 포함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는 쉬프트핑거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홀센서장착공에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는 홀센서장착공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삽입되어, 쉬프트핑거가 쉬프트러그와 접촉할 때 쉬프트러그에 접촉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제어유니트에 연결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변속기 제어유니트에 학습 수행 신호를 전달하는 학습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5. 변속기 제어유니트가 변속위치 학습 수행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학습조건 만족단계(S10),
    상기 학습 수행 조건이 만족되면, 기어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홀센서가 구비된 쉬프트핑거를 학습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쉬프트핑거 학습초기위치 이동단계(S20),
    상기 쉬프트핑거가 학습초기위치로 이동하면, 쉬프트핑거를 학습초기위치로부터 학습종료위치로 셀렉트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쉬프트핑거 학습종료위치 이동단계(S30),
    상기 쉬프트핑거가 학습종료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홀센서에서 발생한 전압 변동값을 연속적으로 획득하고, 홀센서의 출력값 중 특이값이 발생한 위치를 쉬프트러그간 경계선 위치로 파악하는 홀센서 출력값 파악단계(S40),
    상기 쉬프트러그간 경계선 위치와, 쉬프트러그의 치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쉬프트러그의 셀렉트 방향 중심위치를 계산하고 그 값을 기억하는 쉬프트러그 중심위치 계산 및 기억 단계(S50) 및
    상기 계산된 쉬프트러그 중심위치 기억 후, 쉬프트핑거를 변속위치 학습 시작전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쉬프트핑거 초기위치 이동단계(S60)
    를 포함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학습초기위치는 일측의 최외측 쉬프트러그의 스토퍼에 쉬프트핑거가 접촉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학습종료위치는 상기 학습초기위치의 반대쪽에 위치한 최외측 쉬프트러그의 스토퍼에 쉬프트핑거가 접촉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학습조건 만족단계(S10)에서 인정되는 학습 수행 조건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학습스위치의 on신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학습조건 만족단계(S10)에서 인정되는 학습 수행 조건은, 엔진 시동 스위치가 on 되었는지의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학습조건 만족단계(S10)에서 인정되는 학습 수행 조건은, 엔진 시동 스위치가 off 되었는지의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방법.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학습조건 만족단계(S10)에서 인정되는 학습 수행 조건은, 최근 학습 수행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방법.
KR20140054655A 2014-05-08 2014-05-08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 KR10150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4655A KR101504066B1 (ko) 2014-05-08 2014-05-08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4655A KR101504066B1 (ko) 2014-05-08 2014-05-08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066B1 true KR101504066B1 (ko) 2015-03-19

Family

ID=5302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4655A KR101504066B1 (ko) 2014-05-08 2014-05-08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540B2 (en) 2015-11-05 2018-06-2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setting reference position of actuator i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5619A (ja) 1997-05-30 2000-11-21 ルーク ゲトリーベ―ジステーメ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クラッチ及び/又は伝動装置の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20102983A (ko) * 2011-03-09 2012-09-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r단 변속제어방법
KR20130084575A (ko) * 2012-01-17 2013-07-25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5619A (ja) 1997-05-30 2000-11-21 ルーク ゲトリーベ―ジステーメ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クラッチ及び/又は伝動装置の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20102983A (ko) * 2011-03-09 2012-09-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r단 변속제어방법
KR20130084575A (ko) * 2012-01-17 2013-07-25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540B2 (en) 2015-11-05 2018-06-2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setting reference position of actuator i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1932B2 (ja) 手動変速機用変速操作機構
JP5762582B1 (ja) シフトレンジ切り替え装置
JP2016014435A (ja) シフトレンジ切換制御装置
CN103527769A (zh) 同步器自学习识别控制方法及位置校验控制方法
KR101504066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
JP2013143822A (ja) モータ制御装置
CN109931398B (zh) 变速器用齿轮促动器的空档位置设定方法
US9423024B2 (en) Rapid synchronizer touch point adjustment
CN109372984B (zh) 一种执行机构调整的方法及装置
KR20140039812A (ko) 차량의 변속기 제어방법
CN102966705A (zh) 车辆用双离合器式变速器
JP5706285B2 (ja) ギヤシフト装置及びディテント機構の基準位置学習方法
JP4998099B2 (ja) シフト位置検出装置
KR20130045085A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의 액추에이터 위치 보상 방법
JP4572858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式レンジ切換え装置
JP2014173606A (ja) レンジ切換装置
JP2017003082A (ja) 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786980B1 (ko) 토크-스트로크 관계 커브의 학습 방법
KR101821060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제어방법
JP2007045297A (ja) シフトレバーの基準位置決定装置
JP5974860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4966839B2 (ja) 歯車変速機の制御方法
JP4902256B2 (ja) 同期噛合式自動変速機
JP5693604B2 (ja) クラッチの駆動制御方法
JP2010030329A (ja) 変速レバーの操作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