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409B1 - 파일 처리 장치, 파일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파일 처리 장치, 파일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409B1
KR101503409B1 KR1020130103127A KR20130103127A KR101503409B1 KR 101503409 B1 KR101503409 B1 KR 101503409B1 KR 1020130103127 A KR1020130103127 A KR 1020130103127A KR 20130103127 A KR20130103127 A KR 20130103127A KR 101503409 B1 KR101503409 B1 KR 101503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file name
transfer destination
nam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292A (ko
Inventor
겐 후지타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4File meta data generation
    • G06F16/166File name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파일명이 변경된 경우라도, 파일의 동일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촬상 장치는 촬상 화상 생성부, 파일명 생성부, 및 화상 파일 생성부를 구비한다. 촬상 화상 생성부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와, 그 파일의 통상의 파일명을 생성한다. 파일명 생성부는 촬상 화상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전송하는 소정의 전송처에 대응하는 전송처 파일명을 생성한다. 화상 파일 생성부는 파일명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전송처 파일명을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여, 화상 파일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Description

파일 처리 장치, 파일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FILE PROCESSING APPARATUS FOR FILE TRANSFER, FIL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파일 처리 장치, 파일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신의 기기의 파일을 다른 장치에 전송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자신의 기기에서 다른 장치로의 전송 시, 자신의 기기에 있어서 부여된 파일명과 다른 장치에 이미 있는 파일명이 중복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전송처인 다른 장치에 있어서, 기존의 파일을 유지하는 것을 우선하여, 전송되어 온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여, 상이한 파일명의 파일로서 저장한다는 기술이,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33710호와 같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 기술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전송되어 온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여 저장한 후에, 다시, 동일한 파일명의 파일이 전송되어 오는 것은 상정되어 있지 않다. 즉, 전술한 선행 기술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파일명에 의존하여 파일의 동일성을 확인하면, 이미 파일명이 변경되어 파일은 다른 파일로서 인식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선행 기술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파일의 동일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파일명이 변경된 경우라도, 파일의 동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파일 처리 장치는,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파일과, 상기 파일의 제1 파일명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수단;
상기 파일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전송하는 소정의 전송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파일명과는 상이한 제2 파일명을 특정하는 파일명 특정 수단; 및
상기 파일명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제2 파일명을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는 부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파일 처리 방법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파일과, 상기 파일의 제1 파일명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단계;
상기 파일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전송하는 소정의 전송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파일명과는 상이한 제2 파일명을 특정하는 파일명 특정 단계; 및
상기 파일명 특정 단계에 의해 특정된 제2 파일명을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는 부가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파일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파일과, 상기 파일의 제1 파일명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기능;
상기 파일 생성 기능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전송하는 소정의 전송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파일명과는 상이한 제2 파일명을 특정하는 파일명 특정 기능; 및
상기 파일명 특정 기능에 의해 특정된 파일명을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는 부가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명이 변경된 경우라도 파일의 동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과 다른 목적, 및 새로운 특징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예시를 위한 것임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일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화상 파일의 파일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촬상 장치의 기능적 구성 중, 파일 관리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촬상 장치의 기능적 구성 중, 파일 생성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의 촬상 장치의 기능적 구성 중, 파일 전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3의 촬상 장치의 기능적 구성 중, 동일 파일 판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가 실행하는 파일 관리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5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가 실행하는 파일 생성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6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가 실행하는 파일 전송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7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가 실행하는 동일 파일 판별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일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의 개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촬상 장치(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하여 얻은 화상 파일을 소정의 외부 장치(T1∼T4)에 전송한다.
전송처가 되는 각종 외부 장치(T1∼T4)로서는, 제1 서비스로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파일 전송 가능한 서버 장치(T1), 제2 서비스로서 온라인 스토리지 서비스(online storage service)에 의해 제공되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파일 전송 가능한 서버 장치(T2), 기억 매체 등을 통하여 파일 전송 가능한 PC(Personal Computer)(T3), 기억 매체 등을 통하여 파일 전송 가능한 다른 촬상 장치(이하, "다른 카메라"라고 함)(T4)를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서비스는 Facebook(등록상표), 제2 서비스는 Dropbox(등록상표)를 예로서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또한, 이하, 각종 외부 장치(T1∼T4)를 특히 식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외부 장치(T)"라고 하기로 한다.
또한, 촬상 장치(1)는, 전송 시에, 전송하는 파일의 파일명을 전송처에 적합한 파일명으로 변경한다.
전송처에 적합한 파일명은, 파일의 전송 시에 생성하는 것은 아니고, 화상 파일의 생성 시에 함께 생성되어, 그 화상 파일에 전송용의 파일명(이하, "전송 파일명"이라고 함)으로서 유지된다. 그리고, "전송처에 대응하는 파일명"은 사용자가 식별하여 판단할 수 있는 명칭이어도 되고, 적어도, 전송을 행하는 촬상 장치(1)가 전송처를 식별 가능한 명칭이면 된다.
이상과 같이 촬상 장치(1)에 의해 전송되는 화상 파일은, 실제로 화상 파일의 파일명이 되는 파일명(이하, "통상의 파일명"이라고 함)과, 전송처에 대응하는 전송 파일명인 전송 파일명, 이 2개의 파일명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화상 파일 생성 시에는, 촬상 장치(1)의 장치 고유의 규칙에 준거하여 명명되는 파일명이 통상의 파일명으로서 화상 파일에 부여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파일의 생성 시점에서는, 통상의 파일명은, "CIMG1102.jpg"가 부여된다. 또한, 전송 파일명은, 제1 서비스용으로 "Facebook1102.jpg", 제2 서비스용으로 "Dropbox1102.jpg", PC용으로 "MYPC1102.jpg", 및 다른 카메라용으로 "ZR1102.jpg"가 부여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송처의 종별(種別)과 파일 생성일을 조합하여 전송 파일명의 명명 규칙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규칙에 준거하여 전송 파일명의 명명을 행할 수 있다.
파일이 전송된 외부 장치(T)는 촬상 장치(1)로부터의 화상 파일을 저장한다. 또한, 외부 장치(T)는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 전송원인 촬상 장치(1)로부터의 것인지의 동일성의 확인 요구를, 촬상 장치(1)에 대하여 행한다.
동일성의 확인 요구를 받은 촬상 장치(1)는, 저장하고 있는 화상 파일을 검색하여, 전송처의 파일과 동일한 파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촬상 장치(1)는, 판별 결과를, 자신의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거나, 외부 장치(T)에 송신하거나 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방법으로 동일성의 확인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전송에 의해 파일명이 변경되어도 파일의 동일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은 촬상 장치(1)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 파일의 파일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화상 파일의 파일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화상 파일은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규격의 Exif 화상 파일 규정에 준거하여 생성된다.
이 화상 파일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더 영역(R1)과 Exif 영역(R2)과 화상 데이터 영역(R3)을 가진다.
헤더 영역(R1)은 통상의 파일명(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IMG1102.jpg) 등의 각종 헤더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Exif 영역(R2)은 화상의 메타데이터(metadata)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상세하게는, Exif 영역(R2)은 촬영 일시 정보, 조리개 값 등의 촬영 조건의 정보, 카메라 기종 정보, 썸네일(thumbnail) 등이 저장된다.
또한, Exif 영역(R2)에는, 전술한 Exif의 규격 정보 외에, 전송 파일명[전송처 (1)의 파일명 내지 전송처 (x)의 파일명과 전송원의 파일명]이 저장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송 파일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처 (1) Facebook1102.jpg, 전송처 (2) Dropbox1102.jpg, 전송처 (3) MYPC1102.jpg, 전송처 (4) MYPC1102.jpg와 화상 파일 생성 시의 파일명(통상의 파일명)인 CIMG1102.jpg가 된다.
이와 같이 Exif 영역(R2)에 전송 파일명을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새로운 영역을 규정하지 않고 기존의 영역에 전송 파일명을 유지하여 둘 수가 있다. 즉, 종전의 화상 파일의 생성 방법을 바꿀 필요 없이, 전송 파일명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화상 파일에 대해서도 전송 파일명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은 촬상 장치(1)의 하드웨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1)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서 구성된다.
촬상 장치(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 ROM(Read Only Memory)(12), RAM(Random Access Memory)(13), 버스(14), 입출력 인터페이스(15), 촬상부(16), 입력부(17), 출력부(18), 기억부(19), 통신부(20), 및 드라이브(21)를 구비하고 있다.
CPU(11)는 ROM(1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9)로부터 RAM(13)에 적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13)에는,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 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1), ROM(12) 및 RAM(13)은 버스(1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촬상부(16), 입력부(17), 출력부(18), 기억부(19), 통신부(20) 및 드라이브(21)가 접속되어 있다.
촬상부(16)는, 도시하지 않지만, 광학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 렌즈부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광을 집광하는 렌즈, 예를 들면,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 등으로 구성된다.
포커스 렌즈는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에 피사체 상(像)을 결상시키는 렌즈이다.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일정한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있는 렌즈이다.
광학 렌즈부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초점, 노출, 화이트 밸런스 등의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주변 회로가 설치된다.
이미지 센서는 광전 변환 소자나, AFE(Analog Front End)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의 광전 변환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에는, 광학 렌즈부로부터 피사체 상이 입사된다. 그래서, 광전 변환 소자는, 피사체 상을 광전 변환(촬상)하여 화상 신호를 일정 시간 축적하고, 축적된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서 AFE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AFE는, 이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A/D(Analog/Digital) 변환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각종 신호 처리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가 생성되고, 촬상부(16)의 출력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은 촬상부(16)의 출력 신호를, 이하, "촬상 화상의 데이터"라고 한다. 촬상 화상의 데이터는 CPU(11) 등에 적절히 공급된다.
입력부(17)는 각종 버튼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출력부(18)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화상이나 음성을 출력한다.
기억부(19)는 하드디스크 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20)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장치(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드라이브(21)에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탈착 가능한 매체(removable media)(31)가 적절히 장착된다. 드라이브(21)에 의해 탈착 가능한 매체(31)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기억부(19)에 설치된다. 또한, 탈착 가능한 매체(31)는, 기억부(19)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도, 기억부(19)와 마찬가지로 기억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촬상 장치(1)의 기능적 구성 중, 파일 관리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파일 관리 처리란, 취득한 화상 파일에 대하여, 전송처마다 파일명을 유지시켜 두고, 동일성의 확인이 있었을 경우에는, 저장하고 있는 화상 파일을 확인하여, 통지하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파일 관리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에 있어서, 전송처 설정부(51), 파일 생성부(52), 파일 전송부(53), 및 파일 판별부(54)가 기능한다.
그리고, 전송처 설정부(51) 내지 파일 판별부(54)가 CPU(11)에 의해 기능하는 것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즉, 전송처 설정부(51) 내지 파일 판별부(54)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CPU(11)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화상 처리용의 전용 프로세서 등)에 이양(移讓)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기억부(19)의 한 영역에는, 전송처 정보 기억부(61)와 화상 파일 기억부(62)가 설치된다.
전송처 정보 기억부(61)에는, 전송처 설정부(51)에 의해 설정된 전송에 관한 정보(이하, "전송처 정보"라고 함)가 기억되어 있다. 전송처 정보란, 예를 들면, 전송처의 정보, 전송 방법, 전송 시에 변경하는 파일명의 명명 규칙 등이다.
화상 파일 기억부(62)에는, 파일 생성부(52)에 의해 생성된 화상 파일이 기억되어 있다.
전송처 설정부(51)는, 입력부(17)로부터의 전송처의 설정에 관한 조작(이하, "전송처 설정 조작"이라고 함)에 기초하여, 전송처 정보 기억부(61)에 전송처 정보를 출력하여, 전송처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처 설정부(51)는, SNS:Facebook(등록상표)의 제1 서비스, 온라인 스토리지 서비스:Dropbox(등록상표)의 제2 서비스, PC, 및 다른 카메라, 이 4개의 전송처를 설정한다.
설정된 전송처에는, 자동으로 파일을 전송하도록 할 수도, 설정한 전송처 중에서 선택하여 임의의 전송처에 파일을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파일 생성부(52)는, 입력부(17)로부터의 파일을 생성하는 취지의 조작,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촬상과 기록을 지시하는 조작(이하, "촬상 기록 지시 조작"이라고 함)에 기초하여, 파일 생성 처리를 행한다.
"파일 생성 처리"란, 촬상부(16)로부터 취득한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통상의 파일명을 부여하고, 또한 전송 파일명을 유지시켜 화상 파일을 생성할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이다.
그리고, 파일 생성부(52)에 대한 세부사항은 후술한다.
파일 전송부(53)는, 입력부(17)로부터의 파일을 전송하는 취지의 조작(이하, "전송 지시 조작"이라고 함)에 기초하여, 파일 전송 처리를 행한다.
"파일 전송 처리"란, 전송처 정보 기억부(61)에 기억되는 전송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송처에 대응한 명칭으로 파일명을 변경하여 파일을 전송하기까지의 일련의 처리이다.
그리고, 파일 전송부(53)에 대한 세부사항은 후술한다.
파일 판별부(54)는, 외부 장치(T)로부터의 파일의 동일성을 확인하기 위한 동일 파일의 판별을 행하는 취지의 지시(이하, "동일 판별 지시"라고 함)에 기초하여, 파일 판별 처리를 행한다.
"파일 판별 처리"란, 화상 파일 기억부(62)에 기억되는 화상 파일로부터 해당하는 파일명을 검색하여, 판별 결과를 통지할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이다.
그리고, 파일 판별부(54)에 대한 세부사항은 후술한다.
다음에, 파일 생성부(5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촬상 장치(1)의 기능적 구성 중, 파일 생성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파일 생성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 생성부(52)에 있어서, 촬상 화상 생성부(81)와 파일명 생성부(82)와 화상 파일 생성부(83)가 기능한다.
촬상 화상 생성부(81)는, 촬상부(16)로부터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그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보통의 파일명을 부여한다. 촬상 화상 생성부(81)에 의해 부여되는 통상의 파일명은, 장치가 장치에 의해 생성된 파일인 것을 식별 가능한 파일명,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CIMG1102.jpg"가 부여된다.
촬상 화상 생성부(81)는, 파일명이 부여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화상 파일 생성부(83)에 출력한다.
파일명 생성부(82)는, 설정된 전송처, 즉 전송처 정보 기억부(61)에 기억되는 전송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처마다 전송처용으로 파일명을 생성한다.
파일명 생성부(82)는, 설정된 4개의 전송처[Facebook(등록상표)의 제1 서비스, Dropbox(등록상표)의 제2 서비스, PC, 다른 카메라]에 대응하는 전송 파일명을 생성한다.
파일명 생성부(82)는, Facebook(등록상표)의 제1 서비스에 대해서는, 전송처의 서비스명+생성된 일자의 규칙에 따라, "Facebook1102.jpg"의 전송 파일명을 생성한다.
파일명 생성부(82)는, Dropbox(등록상표)의 제2 서비스에 대해서는, 전송처의 서비스명+생성된 일자의 규칙에 따라, "Dropbox1102.jpg"의 전송 파일명을 생성한다.
파일명 생성부(82)는, PC에 대해서는, 전송처의 종류+생성된 일자의 규칙에 따라, "MYPC1102.jpg"의 전송 파일명을 생성한다.
파일명 생성부(82)는, 다른 카메라에 대해서는, 전송처의 다른 카메라의 기종명+생성된 일자의 규칙에 따라, "ZR1102.jpg"의 전송 파일명을 생성한다.
파일명 생성부(82)는 생성한 전송 파일명의 정보를 화상 파일 생성부(83)에 출력한다.
화상 파일 생성부(83)는, 촬상 화상 생성부(81)로부터 출력된 보통의 파일명이 부여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의 Exif 영역에 파일명 생성부(82)에 의해 생성된 전송 파일명의 정보를 추가하여, 화상 파일을 생성한다.
화상 파일 생성부(83)는 생성한 화상 파일을 화상 파일 기억부(62)에 출력한다.
이상, 파일 생성부(52)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다음에, 파일 전송부(53)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촬상 장치(1)의 기능적 구성 중, 파일 전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파일 전송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 전송부(53)에 있어서, 전송처 확인부(91)와 파일명 변경부(92)와 전송 제어부(93)가 기능한다.
전송처 확인부(91)는, 전송하는 화상 파일의 전송 파일명을 확인하여 전송처를 확인하거나, 전송 지시로부터 전송처를 확인하거나 한다.
전송처 확인부(91)는 확인한 전송처를 파일명 변경부(92)에 출력한다.
파일명 변경부(92)는, 전송처에 기초하여, 전송용으로 복제하여 추출한 화상 파일의 파일명을, 화상 파일이 유지하는 전송 파일명에 기초하여 변경한다.
전송처가 제1 서비스의 경우에는, 파일명 변경부(92)는 통상의 파일명인 "CIMG1102.jpg"를 제1 서비스의 전송 파일명 "Facebook1102.jpg"로 변경한다.
전송처가 제2 서비스의 경우에는, 파일명 변경부(92)는 통상의 파일명인 "CIMG1102.jpg"를 제2 서비스의 전송 파일명 "Dropbox1102.jpg"로 변경한다.
전송처가 PC의 경우에는, 파일명 변경부(92)는 통상의 파일명인 "CIMG1102.jpg"를 PC의 전송 파일명 "MYPC1102.jpg"로 변경한다.
전송처가 다른 카메라의 경우에는, 파일명 변경부(92)는 통상의 파일명 "CIMG1102.jpg"를 다른 카메라의 전송 파일명 "ZR1102.jpg"로 변경한다.
전송 제어부(93)는 전송처에 따른 전송 방법으로 화상 파일을 전송한다.
전송처가 제1 서비스인 경우에는, 전송 제어부(93)는 화상 파일을 통신부(20)를 통하여 제1 서비스의 서버에 전송한다.
전송처가 제2 서비스인 경우에는, 전송 제어부(93)는 화상 파일을 통신부(20)를 통하여 제2 서비스의 서버에 전송한다.
전송처가 PC인 경우에는, 전송 제어부(93)는 화상 파일을 드라이브(21)를 통하여 탈착 가능한 매체(31)에 전송한다. 그 후, 사용자에 의하여, PC에 탈착 가능한 매체(31)를 통하여 전송된다.
전송처가 다른 카메라의 경우에는, 전송 제어부(93)는 화상 파일을 드라이브(21)를 통하여 탈착 가능한 매체(31)에 전송한다. 그 후, 사용자에 의하여, 다른 카메라에 탈착 가능한 매체(31)를 통하여 전송된다.
이상, 파일 전송부(53)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다음에, 파일 판별부(54)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3의 촬상 장치(1)의 기능적 구성 중, 동일 파일 판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동일 파일 판별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 판별부(54)에 있어서, 수신 제어부(101), 파일명 취득부(102), 파일명 검색부(103), 동일 파일 판별부(104), 및 통지 제어부(105)가 기능한다.
수신 제어부(101)는 외부 장치(T)로부터의 동일 판별 지시를 통신부(20)를 통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동일 판별 지시에는, 단지, 동일성의 확인을 요구하는 지시 외에, 판별 대상이 되는 파일이나 판별 대상이 되는 파일명이 포함되어 있다.
파일명 취득부(102)는, 수신 제어부(101)에 의해 수신된 동일 판별 지시로부터, 판별 대상이 되는 파일명을 취득한다. 파일명 취득부(102)는, 동일 판별 지시에 포함되는 판별 대상이 되는 파일이나 파일명으로부터, 판별 대상이 되는 파일명을 취득한다.
파일명 검색부(103)는 화상 파일 기억부(6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Exif 영역에 저장되는 전송 파일명을 검색한다.
동일 파일 판별부(104)는 파일명 검색부(103)의 검색 결과인 전송 파일명과 파일명 취득부(102)에 의해 취득된 판별 대상이 되는 파일명을 비교하여, 동일 파일 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동일 파일 판별부(104)는 판별 결과를 통지 제어부(105)에 출력한다.
통지 제어부(105)는 동일 파일 판별부(104)에 의한 판별 결과를 출력부(18)에 표시 출력하거나, 통신부(20)를 통하여 외부 장치(T)에 출력하거나 하는 제어를 행한다.
출력부(18)에 있어서는, 통지 제어부(105)의 제어에 의하여, 동일 파일 유무가 판별 결과로서 표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통지되게 된다.
이상, 파일 판별부(54)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다음에, 파일 관리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가 실행하는 파일 관리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파일 관리 처리는 사용자의 입력부(17)에 대한 파일 관리 처리 개시의 조작을 계기로 개시된다.
단계 S1에서, 전송처 설정부(51)는 전송처의 설정을 행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에의 전송처를 설정하는 조작인 전송처 설정 조작에 기초하여, 전송처 설정부(51)는 전송처에 관한 정보를 전송처 정보 기억부(61)에 기억시킴으로써, 전송처의 설정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정되는 전송처는 제1 서비스, 제2 서비스, PC 및 다른 카메라의 전송처가 설정된다. 전송처와 함께, 전송처에 적합한 전송 방법 도 설정된다.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는, 통신부(20)를 통하여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전송 방법이 선택된다. PC 및 다른 카메라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탈착 가능한 매체(31)를 통한 전송 방법이 선택된다.
단계 S2에서, 파일 생성부(52)는 촬상하여 기록을 행하는 취지의 지시(이하, "촬상 기록 지시"라고 함)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파일 생성부(52)는, 셔터 버튼 등의 입력부(17)에 대하여, 촬상 기록 지시 조작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촬상 기록 지시가 없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2에서 NO로 판단되어, 처리는 단계 S4로 진행한다. 단계 S4 이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촬상 기록 지시가 있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2에서 YES로 판단되어, 처리는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에서, 파일 생성부(52)는 파일 생성 처리를 행한다. 파일 생성 처리에 대한 세부사항은 후술한다.
단계 S4에서, 파일 전송부(53)는 소정의 전송처에 파일을 전송한다는 취지의 지시(이하, "전송 지시"라고 함)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파일 전송부(53)는, 셔터 버튼 등의 입력부(17)에 대하여, 전송 지시 조작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송 지시가 없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4에서 NO이며, 처리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 이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송 지시가 있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4에서 YES이며, 처리는 단계 S5로 진행한다.
단계 S5에서, 파일 전송부(53)는 파일 전송 처리를 행한다. 파일 전송 처리에 대한 세부사항은 후술한다.
단계 S6에서, 파일 판별부(54)는 외부 장치(T)로부터의 동일 판별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동일 판별 지시가 없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6에서 NO이며, 처리는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8 이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동일 판별 지시가 있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6에서 YES이며, 처리는 단계 S7로 진행한다.
단계 S7에서, 파일 판별부(54)는, 동일 파일 판별 처리를 행한다.
단계 S8에서, CPU(11)는, 파일 관리 처리의 종료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종료 지시가 없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8에서 NO이며, 처리는 단계 S2로 복귀하고, 촬상 기록 지시 등의 각종 지시 대기 상태가 된다.
종료 지시가 있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8에서 YES이며, 처리는 종료한다. 이로써, 파일 관리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 파일 관리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에, 파일 관리 처리에서의 파일 생성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5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가 실행하는 파일 생성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31에 있어서, 촬상 화상 생성부(81)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세하게는, 촬상 화상 생성부(81)는, 촬상부(16)로부터 취득한 화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등의 데이터 형식으로 데이터를 압축하여,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32에서, 파일명 생성부(82)는, 전송처별 파일명인 전송 파일명을 Exif 영역에 저장한다. 상세하게는, 파일명 생성부(82)는, 전송처 정보 기억부(61)에 기억되는 전송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파일명을 생성하여, 촬상 화상 생성부(81)에 의해 생성된 화상 파일의 소정의 빈 영역(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Exif 영역)에 전송처별 파일명을 추가한다.
화상 파일 기억부(62)에 기억되는 화상 파일은 통상의 파일명과, 생성된 전송 파일명의 정보를 유지하게 된다.
단계 S33에서, 화상 파일 생성부(83)는 통상의 파일명으로 화상 파일을 저장한다. 상세하게는, 화상 파일 생성부(83)는, 단계 S32에서 전송 파일명의 정보가 추가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장치 고유의 파일명인 통상의 파일명을 부여하여 화상 파일을 화상 파일 기억부(62)에 기억시킨다.
이로써, 파일 생성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 파일 생성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파일 전송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6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가 실행하는 파일 전송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51에서, 전송처 확인부(91)는 전송처 정보 기억부(61)에 기억되는 전송처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즉, 전송처가 제1 서비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송 제어부(93)는, 단계 S4의 전송 지시가 제1 서비스로의 전송을 지시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송처가 제1 서비스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51에서 YES이며, 처리는 단계 S55로 진행한다. 단계 S55 이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송처가 제1 서비스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51에서 NO이며, 처리는 단계 S52로 진행한다.
단계 S52에서, 전송처 확인부(91)는, 전송처가 제2 서비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송처 확인부(91)는, 단계 S4의 전송 지시가 제2 서비스로의 전송을 지시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송처가 제2 서비스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52에서 YES이며, 처리는 단계 S55로 진행한다.
전송처가 제2 서비스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52에서 NO이며, 처리는 단계 S53로 진행한다.
단계 S53에서, 전송처 확인부(91)는, 전송처가 PC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송처 확인부(91)는, 단계 S4의 전송 지시가 PC로의 전송을 지시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송처가 PC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53에서 YES이며, 처리는 단계 S55로 진행한다.
전송처가 PC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53에서 NO이며, 처리는 단계 S54로 진행한다.
단계 S54에서, 전송처 확인부(91)는, 전송처가 다른 카메라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송처 확인부(91)는, 단계 S4의 전송 지시가 다른 카메라로의 전송을 지시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송처가 다른 카메라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54에서 YES이며, 처리는 단계 S55로 진행한다.
전송처가 다른 카메라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54에서 NO이며, 처리는 단계 S56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전송 지시는, 설정된 전송처로의 전송을 지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그 지시에 따라 지정된 전송처에 파일의 전송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파일명의 변경은 행하지 않는다.
단계 S55에서, 파일명 변경부(92)는 전송처에 따른 파일명으로 변경한다. 상세하게는, 파일명 변경부(92)는, 단계 S51 내지 S54에서 판단된 전송처에 대응하는 전송 파일명을 화상 파일의 Exif 영역으로부터 추출하여, 그 추출한 전송 파일명의 명칭으로 통상의 파일명의 명칭을 변경한다.
단계 S56에서, 전송 제어부(93)는 파일 전송을 행한다. 상세하게는, 전송 제어부(93)는 전송 지시에 따라 지정된 전송처, 즉 전송처에 대응한 전송 방법으로, 파일 전송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송 제어부(93)는, 전송처가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인 경우에는, 각 서비스가 지정하는 서버 등에, 통신부(20)를 통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파일을 전송한다. 또한, 전송 제어부(93)는, 전송처가 PC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드라이브(21)를 통하여 탈착 가능한 매체(31) 등에 파일을 전송한다. 또한, 전송 제어부(93)는, 전송처가 다른 카메라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드라이브(21)를 통하여 파일을 전송한 탈착 가능한 매체(31)를 경유하는 것 등에 의해 파일을 전송한다.
그리고, 단계 S54에서 NO이었던 경우, 즉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전송처에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파일명의 변경을 행하지 않고, 통상의 파일명으로 파일의 전송을 행한다.
이로써, 파일 전송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 파일 전송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동일 파일 판정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7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가 실행하는 동일 파일 판별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71에서, 수신 제어부(101)는, 동일성의 판별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파일(이하, "판별용 파일"이라고 함)을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별용 파일을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71에서 NO이며, 처리는 단계 S72로 진행한다.
단계 S72에서, 수신 제어부(101)는 판별용 파일의 파일명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별용 파일의 파일명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72에서 NO이며, 동일 파일 판별 처리는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판별용 파일의 파일명을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 S72에서, YES이며, 처리는 단계 S73으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판별용 파일을 수신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71에서 YES이며, 처리는 단계 S73으로 진행한다.
단계 S73에서, 파일명 취득부(102)는 파일명을 취득한다. 상세하게는, 파일명 취득부(102)는, 단계 S71에서 파일을 취득한 경우에는, 파일의 데이터로부터 파일명을 검색하여, 동일 판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명을 취득한다.
또한, 파일명 취득부(102)는, 단계 S72에서 파일명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는, 파일명 정보의 데이터로부터 파일명을 취득한다. 파일명 취득부(102)가 취득한 파일명이 동일성을 판단하는 대상이 된다.
단계 S74에서, 파일명 검색부(103)는 화상 파일 기억부(62) 내에 있는 선두의 파일에 액세스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화상 파일을 어드레스 순으로 순차적으로 판별하여 간다. 본 단계에 있어서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최초로 판별을 행하는 파일에 액세스하게 된다.
단계 S75에서, 파일명 검색부(103)는 Exif 정보에 액세스한다. 즉, 파일명 검색부(103)는, 단계 S74에서, 액세스한 파일의 Exif 영역에 액세스하여, Exif 정보를 취득한다. 그 Exif 정보에는 변경 전의 파일명 등의 파일명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단계 S76에서, 동일 파일 판별부(104)는, 동일 파일명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즉, 동일 파일 판별부(104)는 단계 S73에서 취득한 파일명과, 단계 S75에 있어서 취득한 Exif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명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파일명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동일 파일명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 S76에서 YES로 판별되어, 처리는 단계 S77로 진행한다.
단계 S77에서, 통지 제어부(105)는 해당하는 파일 있음의 통지를 행한다. 즉, 통지 제어부(105)는 해당하는 파일 있음으로 하여 동일한 파일명이 있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도록, 예를 들면, 표시 출력 등의 출력을 행하도록 출력부(18)를 제어한다. 그 결과, 출력부(18)에 있어서는, "동일 파일 있음" 등의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사용자는 그 출력부(18)의 표시 출력을 봄으로써, 예를 들면, 파일의 재기입(overwritting)·삭제·파일명 변경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 후, 동일 파일명 판별 처리는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동일 파일명이 없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 S76에서 NO로 판별되어, 처리는 단계 S78로 진행한다.
단계 S78에서, 파일명 검색부(103)는 다음 파일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즉, 파일명 검색부(103)는 화상 파일 기억부(62)에 아직도 판별되지 않은 화상 파일이 있는지의 여부를 어드레스 순으로 탐색한다.
다음 파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78에서 YES로 판단되어, 처리는 단계 S75로 복귀하고, 단계 S75 이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즉, 동일 파일명의 판별이 이후의 어드레스에 저장된 화상 파일에 대하여 행해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파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78에서 NO로 판단되어, 처리는 단계 S79로 진행한다.
단계 S79에서, 통지 제어부(105)는 해당하는 파일 없음의 통지를 행한다. 즉, 통지 제어부(105)는 해당하는 파일 없음으로 하여 동일한 파일명이 없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도록, 예를 들면, 표시 출력 등의 출력을 행하도록 출력부(18)를 제어한다. 그 결과, 출력부(18)에 있어서는, "동일 파일 없음" 등의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사용자는 그 출력부(18)에 표시 출력을 보고서, 예를 들면, 파일의 등록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 후, 동일 파일명 판별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촬상 장치(1)는 촬상 화상 생성부(81), 파일명 생성부(82), 및 화상 파일 생성부(83)를 구비한다.
촬상 화상 생성부(81)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와 그 파일의 통상의 파일명을 생성한다.
파일명 생성부(82)는 촬상 화상 생성부(81)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전송하는 소정의 전송처에 대응하는 전송처 파일명을 생성(특정)한다.
화상 파일 생성부(83)는 전송처와 파일명 생성부(82)에 의해 생성(특정)된 전송처 파일명을 대응시켜, 부가 정보로서 해당 파일에 부가하여, 화상 파일 기억부(62)에 기억시킨다.
그러므로, 촬상 장치(1)는 전송처와 파일명 생성부(82)에 의해 생성(특정)된 전송처 파일명을 대응시켜, 부가 정보로서 해당 파일에 부가하여, 화상 파일 기억부(62)에 기억시킨다.
따라서, 촬상 장치(1)는, 파일명이 전송처 파일명으로 변경되어 파일 생성 시의 파일명과 다른 파일명으로 된 경우라도, 파일이 전송처의 파일명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유지하고 있는 전송처 파일명을 확인하면, 파일의 동일성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는 전송 제어부(93)와 파일명 변경부(92)를 더 구비한다.
전송 제어부(93)는 파일의 부가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전송처에 파일을 전송하도록 통신부(20)나 드라이브(21) 등을 제어한다.
파일명 변경부(92)는, 전송 제어부(93)에 의해 전송처에 파일을 전송하는 제어를 행할 때, 전송하는 파일의 파일명을 부가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전송처에 대응시켜 저장되어 있는 파일명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전송처에 따라, 수고를 들이지 않고 자동으로 적합한 파일명으로 변경하여 파일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파일명에 관한 정보를 기억 수단 등으로 관리할 필요 없이, 전송처에 대응하는 파일명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에 있어서, 파일명 생성부(82)는, 촬상 화상 생성부(81)에 의해 파일이 생성되었을 때, 전송처에 대응하는 파일명을 생성(특정)한다. 또한, 화상 파일 생성부(83)는, 전송처와 촬상 화상 생성부(81)에 의해 생성된 파일명을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화상 파일의 생성 시에 전송 파일명에 관한 부가 정보도 부가하므로, 나중에 파일의 사이즈가 변경되는 일은 없다. 즉, 전송처 파일명을 파일 생성 후에 사후적으로 부가한 경우에는, 최초의 파일 사이즈와 달라지게 되지만,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최초의 파일로부터의 사이즈의 변경이 없으므로, 계획적인 파일 관리를 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생긴다.
또한, 촬상 장치(1)는 전송처를 설정하는 전송처 설정부(51)를 더 구비한다.
또한, 파일명 생성부(82)는 전송처 설정부(51)에 의해 설정된 전송처에 대응하는 파일명을 생성(특정)한다.
따라서,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전송처를 임의로 설정하여 둘 수가 있다.
또한, 파일명 생성부(82)는, 전회(前回)에 생성한 전송 파일명과 중복되지 않도록 전송 파일명을 생성한다.
따라서,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생성하는 전송 파일명끼리 중복되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전송 시에 파일명을 변경한 경우라도, 전송처에서의 파일명의 중복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는 파일명 취득부(102), 동일 파일 판별부(104), 및 통지 제어부(105)를 더 구비한다.
파일명 취득부(102)는 전송처로부터 파일 또는 그 파일의 파일명을 취득한다.
동일 파일 판별부(104)는 파일명 취득부(102)에 의해 취득된 파일의 파일명 또는 파일명이, 해당 촬상 장치(1)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파일의 부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통지 제어부(105)는 동일 파일 판별부(104)에 의한 판별 결과를 출력부(18) 등에 통지하는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전송처가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파일을 다른 장소로부터 취득한 경우에, 그 파일이 촬상 장치(1)로 생성한 파일 인지의 여부의 판별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취급되는 파일은 화상 파일이며, 전송처 파일명의 부가 정보는 화상 파일 내의 Exif 영역에 저장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화상 파일의 전송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상 파일의 사후적인 파일 사이즈의 증가 등을 고려하여 화상 파일의 생성 시에 전송처 파일명을 생성하여 화상 파일(Exif 영역)에 저장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송처 파일명의 화상 파일(Exif 영역)에의 저장 시기는, 전송처 파일명을 파일의 전송 시(또는 파일 전송까지의 사이)에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화상 파일의 생성 시에 전송처 파일명의 저장용으로 소정의 영역을 확보하도록 구성하면, 사후적인 파일 사이즈의 증가는 없고, 전송처 파일명을 화상 파일(Exif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송처 파일명의 생성 시기는, 화상 파일의 생성 시에 한정되지 않고, 파일 전송 시(또는 파일 전송까지의 사이)에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화상 파일의 생성 시에 전송처 파일명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화상 파일 생성 시의 처리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송원이 되는 촬상 장치(1)로부터 파일을 전송받은 외부 장치(T)가, 그 후 파일명을 변경하지 않고 동일성의 판별을 요구하는 것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예를 들면, 전송처에 있어서 파일명을 변경한 경우에는, 전송처의 외부 장치(T)로부터 파일명의 변경을 전송원의 촬상 장치(1)에 통지하여, 전송원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해당하는 파일의 전송처 파일명에 새롭게 변경된 파일명을 추가 또는 갱신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파일이 전송처[외부 장치(T)]에 있어서 변경된 경우라도, 전송원이 되는 장치[촬상 장치(1)]에 동일성을 판별하는 요구를 하면, 파일명의 변경을 가미한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동일성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촬상 장치(1)와 다른 외부 장치(T) 사이, 즉 화상 파일을 생성한 장치와 그 장치로부터 파일을 전송받은 장치 사이에서 파일의 동일성을 판별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일의 동일성 판별은, 화상 파일을 생성한 장치[촬상 장치(1)]로부터, 파일을 전송받은 외부 장치[예를 들면, 제1 서비스의 서버 장치(T1)]로부터, 또한 외부 장치[예를 들면, PC(T3)]에 대하여 파일이 전송된 상태에서, 외부 장치 사이[제1 서비스의 서버 장치(T1)-PC(T3) 사이]에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취급하는 파일을 화상 파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일은, 예를 들면, 동영상 파일, 문서 파일 등이어도 되고, 저장한 보통의 파일명과 상이한 파일명으로 변경한 후에 이용되는 파일이면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송처 파일명만을 Exif 영역(R2)에 저장하도록 하였지만, 대응하는 전송처와 대응시켜 함께 저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촬상 장치(1)는,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특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파일 관리 처리 기능을 가지는 전자 기기 일반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 프린터, 텔레비전 수상기,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 휴대 전화기, 휴대용 게임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4의 기능적 구성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전체로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촬상 장치(1)에 구비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어떠한 기능 블록을 사용하는지는 특히 도 4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1개의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단체(單體)로 구성해도 되고, 소프트웨어 단체로 구성해도 되고, 이들 조합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설치된다.
컴퓨터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이어도 된다. 또한, 컴퓨터는 각종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라도 된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도 3의 탈착 가능한 매체(31)에 의해 구성될 뿐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된다. 탈착 가능한 매체(31)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함), 광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디스크는,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자기 디스크는 MD(Mini-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도 3의 ROM(12)이나, 도 3의 기억부(19)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그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의 실시예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외의 다양한 실시예를 취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이나 치환 등 각종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나 그 변형은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설명의 세부사항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부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Claims (14)

  1.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파일과, 상기 파일의 제1 파일명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수단;
    상기 파일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전송하는 소정의 전송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파일명과는 상이한 제2 파일명을, 상기 파일의 전송 전에 특정하는 파일명 특정 수단; 및
    상기 제1 파일명을 상기 파일에 유지한 채, 상기 파일명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제2 파일명을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는 부가 수단
    을 포함하는 파일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전송처에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 및
    상기 전송 수단에 의해 상기 전송처에 상기 파일을 전송할 때, 상기 제1 파일명을 상기 파일에 유지한 채, 상기 전송하는 파일의 파일명을 제1 파일명으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전송처에 대응하는 제2 파일명으로 변경하는 파일명 변경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파일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생성 수단에 의해 파일이 생성된 때, 상기 파일명 특정 수단은 상기 전송처에 대응하는 제2 파일명을 특정하고, 상기 부가 수단은 상기 파일명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제2 파일명을 상기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는, 파일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생성 수단에 의해 파일이 생성된 후에, 상기 파일명 특정 수단은 상기 전송처에 대응하는 제2 파일명을 특정하고, 상기 부가 수단은 상기 파일명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제2 파일명을 상기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는, 파일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에 의해 상기 전송처에 상기 파일을 전송할 때, 상기 파일명 특정 수단은 상기 전송처에 대응하는 제2 파일명을 특정하고, 상기 부가 수단은 상기 파일명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제2 파일명을 상기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는, 파일 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수단은, 전송처로부터 파일명의 변경의 통지가 있었던 경우에는, 상기 부가 정보에 상기 변경이 있었던 파일명을 제2 파일명으로서 추가하는, 파일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일명 특정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전송처에 대응하는 제2 파일명을 특정하는, 파일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명 특정 수단은 전회(前回)에 특정한 제2 파일명과 중복되지 않도록 제2 파일명을 특정하는, 파일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처로부터 파일 또는 상기 파일의 파일명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파일의 파일명이, 상기 파일 처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파일의 부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 및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한 판별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파일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처는 복수이며,
    상기 파일명 특정 수단은 복수의 소정의 전송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파일명과는 상이한 제2 파일명을, 상기 파일의 전송 전에 특정하고,
    상기 부가 수단은 상기 제1 파일명을 상기 파일에 유지한 채, 상기 파일명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복수의 제2 파일명을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는, 파일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수단은 상기 제2 파일명에 상기 전송처를 더 대응시켜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는, 파일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화상이며, 상기 부가 정보는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정보인, 파일 처리 장치.
  13.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파일과, 상기 파일의 제1 파일명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단계;
    상기 파일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전송하는 소정의 전송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파일명과는 상이한 제2 파일명을, 상기 파일의 전송 전에 특정하는 파일명 특정 단계; 및
    상기 제1 파일명을 상기 파일에 유지한 채, 상기 파일명 특정 단계에 의해 특정된 제2 파일명을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는 부가 단계
    를 포함하는 파일 처리 방법.
  14. 파일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파일과, 상기 파일의 제1 파일명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기능;
    상기 파일 생성 기능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전송하는 소정의 전송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파일명과는 상이한 제2 파일명을, 상기 파일의 전송 전에 특정하는 파일명 특정 기능; 및
    상기 제1 파일명을 상기 파일에 유지한 채, 상기 파일명 특정 기능에 의해 특정된 파일명을 부가 정보로서 상기 파일에 부가하는 부가 기능
    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30103127A 2012-08-31 2013-08-29 파일 처리 장치, 파일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503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91914A JP6036021B2 (ja) 2012-08-31 2012-08-31 ファイル処理装置、ファイル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2-191914 2012-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292A KR20140029292A (ko) 2014-03-10
KR101503409B1 true KR101503409B1 (ko) 2015-03-17

Family

ID=5018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127A KR101503409B1 (ko) 2012-08-31 2013-08-29 파일 처리 장치, 파일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67883A1 (ko)
JP (1) JP6036021B2 (ko)
KR (1) KR101503409B1 (ko)
CN (1) CN1036784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3802B1 (en) * 2013-08-30 2017-07-11 Amazon Technologies, Inc. Web-native maintained media file format
KR102195899B1 (ko) * 2014-03-12 2020-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버
CA2965354C (en) * 2014-10-24 2023-03-28 Beezbutt Pty Limited Camera application
US10081241B2 (en) 2015-12-10 2018-09-25 Curtis Alan Roys Diesel fuel guard
JP6699284B2 (ja) * 2016-03-25 2020-05-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53959A (ko) * 2021-05-12 2022-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CN115236186B (zh) 2022-07-22 2024-05-17 浙大城市学院 空间k型斜柱网格内部侧向浇灌试验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273A (ja) * 2008-02-06 2009-08-20 Olympus Imaging Corp 電子装置、情報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および画像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619A (ja) * 1991-07-25 1993-02-12 Hokkaido Nippon Denki Software Kk フアイル転送装置
EP0885417B1 (en) * 1996-02-09 2002-07-31 Digital Privacy, Inc Access control/crypto system
CN1060981C (zh) * 1996-09-27 2001-01-24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缝纫机用精密中梭的制法
JP3836261B2 (ja) * 1998-08-10 2006-10-25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イルシステム
SE518643C2 (sv) * 2000-06-06 2002-11-05 Axis Ab Hantering av metainformation
WO2003001378A2 (en) * 2001-06-21 2003-0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secure file transfer to multiple destinations with integrity check
US7484007B2 (en) * 2002-02-01 2009-01-27 Codekko Inc. System and method for partial data compression and data transfer
JP2003274327A (ja) * 2002-03-15 2003-09-26 Konica Corp データ構造、画像取り扱い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1376360A3 (en) * 2002-06-21 2004-01-07 Sharp Kabushiki Kaisha Automatic backup system
US7412039B2 (en) * 2004-04-23 2008-08-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an attachment file within an e-mail
JP4646732B2 (ja) * 2004-09-13 2011-03-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プログラム、画像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9838574B2 (en) * 2006-06-30 2017-12-05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that sends electronic mail with event information
US8694497B2 (en) * 2008-10-27 2014-04-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abling file system tagging by applications
JP5614134B2 (ja) * 2010-07-02 2014-10-29 株式会社ニコン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及び装置
JP2012174113A (ja) * 2011-02-23 2012-09-10 Hitachi Ltd ファイル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記憶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273A (ja) * 2008-02-06 2009-08-20 Olympus Imaging Corp 電子装置、情報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および画像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292A (ko) 2014-03-10
CN103678440B (zh) 2017-06-16
CN103678440A (zh) 2014-03-26
JP2014048922A (ja) 2014-03-17
JP6036021B2 (ja) 2016-11-30
US20140067883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409B1 (ko) 파일 처리 장치, 파일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US7831598B2 (en)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metadata
WO2011102232A1 (ja) 電子機器、撮像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プログラム、画像再生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画像再生装置
US779174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6166408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2050012A (ja) 画像撮影システム、画像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撮影装置、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73649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system, photograph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hotographing control program
JP2012217166A (ja) 画像送信装置、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WO2017047012A1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とサーバとを含むシステム
JP2010079788A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812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 files by displaying backup information
US201001663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digital image including a face detection finction
JP2010068247A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JP2017157936A (ja) 撮像装置、送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11827A (ja) 撮影装置及び画像ファイル提供システム
JP6288210B2 (ja) ファイル処理装置、及びファイル処理方法
JP2011172092A (ja) 撮像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プログラム、画像再生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画像再生装置
JP6632374B2 (ja) データ処理装置、通信機器、及び制御方法
JP2018163590A (ja) 画像分類装置、画像分類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72219B2 (ja) 画像送信機能付きカメラ及び画像送信方法
JP5369881B2 (ja) 画像分類装置、画像分類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6052093A (ja)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57753B2 (ja) 画像送信機能付きカメラ、表示制御方法、および画像送信方法
JP4148957B2 (ja) コンテンツ記録装置
JP2014086805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