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942B1 - 차량의 포브 키 - Google Patents

차량의 포브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942B1
KR101502942B1 KR20130123543A KR20130123543A KR101502942B1 KR 101502942 B1 KR101502942 B1 KR 101502942B1 KR 20130123543 A KR20130123543 A KR 20130123543A KR 20130123543 A KR20130123543 A KR 20130123543A KR 101502942 B1 KR101502942 B1 KR 101502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electrical signal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2013012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포브 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치 공간이 형성된 하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조작 버튼이 상기 설치 공간 내부로 푸싱되도록 설치되는 상부 커버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전부를 덮는 러버 패드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작 버튼에 의한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홀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한 상기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시 차량에 설치된 각종 기능 동작부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됨으로써, 기존 방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치 않는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포브 키{FOB Ke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포브 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복수개의 버튼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차량의 기능 동작부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포브 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기능 동작부가 구비되고,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도난 방지 등을 위하여, 포브 키를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차량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포브 키와 차량의 SMK Unit 간 무선통신을 통하여 정상 사용자임을 인증한 후, 원격에서 포브 키에 구비된 복수개의 조작 버튼을 눌림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각종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스마트키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의 일례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조작 버튼(30)이 하방으로 푸싱되도록 배치된 상부 커버(10)와, 상부 커버(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 커버(10)와 결합되는 하부 바디(20)를 포함한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의 일례는, 상부 커버(10)와 하부 바디(20)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조작 버튼(30)의 푸싱에 따른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인쇄회로기판(60)과, 상부 커버(10)와 인쇄회로기판(60)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조작 버튼(30)에 형성된 틈새 또는 상부 커버(10)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40) 사이로 유입되는 수분의 인쇄회로기판(60)으로의 침투를 방지하는 러버 패드부(50)를 더 포함한다.
복수개의 조작 버튼(30)의 하단부에는 미도시되었지만 하부로 돌출된 원형의 조작 돌기가 형성되고, 러버 패드부(50)의 상부면에는 원형의 조작 돌기 각각이 삽입되는 유동 방지홀(51)이 형성됨으로써, 복수개의 조작 버튼(30)의 가고정시 임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는, 사용자(운전자)가 주머니 등에 넣어서 휴대할 때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도 복수개의 조작 버튼(30)이 실수로 푸싱되어 조작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정상 사용자임을 인증할 수 있는 거리에 있는 경우 차량의 각종 기능 동작부가 작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복수개의 조작 버튼(30)이 구비된 상부 커버(10)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복수개의 조작 버튼(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홀더부를 구비할 수 있으나, 작동 홀더부를 구비할 경우 필연적으로 그 하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60)과의 소통을 위하여 필연적으로 러버 패드부(50)에 관통홀을 형성하여야 하는 바, 이 관통홀을 통하여 수분이 침투할 우려가 있어 방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복수개의 버튼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차량의 기능 동작부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포브 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치 공간이 형성된 하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조작 버튼이 상기 설치 공간 내부로 푸싱되도록 설치되는 상부 커버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전부를 덮는 러버 패드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작 버튼에 의한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홀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한 상기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시 차량에 설치된 각종 기능 동작부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 버튼 조립체는, 상기 상부 커버에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된 슬라이드 노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노브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따라 제2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슬라이드 노브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노브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노브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노브는, 상기 노브 슬롯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조작단과, 상기 조작단의 좌우 양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되고, 상기 노브 슬롯 내에서의 상기 조작단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좌우 슬라이드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단의 하부면에는 소정의 자기장을 발산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러버 패드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마그네트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단을 기준으로 상기 좌우 슬라이드단 중 어느 일측의 상면에는 상기 제2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였음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소정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홀더 버튼 조립체에 의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홀더 버튼 조립체를 구비하더라도 러버 패드부에 관통 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의 방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구성 중 홀더 버튼 조립체의 슬라이드 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구성 중 홀더 버튼 조립체의 슬라이드 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70)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치 공간이 형성된 하부 바디(120)와, 하부 바디(120)의 상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조작 버튼(130)이 설치 공간 내부로 푸싱되도록 설치되는 상부 커버(110)와, 인쇄회로기판(170)의 상면 전부를 덮는 러버 패드부(180)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개의 조작 버튼(130)에 의한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홀더 버튼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170)에는 복수개의 조작 버튼(130)의 푸싱 조작에 의하여 제1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컨택터(미도시)가 해당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러버 패드부(180)에 의하여 상면 전부가 덮혀짐으로써 복수개의 조작 버튼(130)이 설치된 상부 커버(110)의 틈새(140) 사이로 유입된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복수개의 조작 버튼(130)은, 그 조작에 의하여 제1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면 차량에 설치된 각종 기능 동작부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차량으로부터 원격에 위치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00)의 휴대자가 복수개의 조작 버튼(130) 중 하나를 푸싱 조작하여 차량의 도어 락 어셈블리(미도시)를 작동시켜 잠금시키거나, 다른 하나를 푸싱 조작하여 차량의 도어락 어셈블리를 작동시켜 잠금 해제시킬 수 있고, 복수개의 조작 버튼(130) 중 또 다른 하나를 푸싱하여 차량의 트렁크 도어(미도시)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홀더 버튼 조립체(200)는, 이와 같은 복수개의 조작 버튼(130)의 푸싱 조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00)를 상시 휴대할 때 보통 호주머니 속에 보관하는데, 포브 키(100)가 차량과 무선통신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한 경우 실수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는 푸싱 조작이 있을 수 있고, 의도적으로 어린이 승객의 사용을 금지하기 위하여 푸싱 조작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홀더 버튼 조립체(200)를 이용하여 상술한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홀더 버튼 조립체(20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10)에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된 슬라이드 노브(210)와, 인쇄회로기판(170)의 상면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노브(21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따라 제2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홀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110)에는 슬라이드 노브(210)가 설치되는 노브 슬롯(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되고, 슬라이드 노브(210)는 일부가 노브 슬롯의 외부로 노출된다. 노브 슬롯은 슬라이드 노브(21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노브(21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노브 슬롯의 외부로 노출되돌고 상측으로 돌출된 조작단(212)과, 조작단(212)의 좌우 양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되고, 노브 슬롯 내에서의 조작단(212)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좌우 슬라이드단(213A,213B)을 포함할 수 있다.
노브 슬롯은, 노브 슬롯의 외측에서 관찰할 때, 조작단(212)과 함께 좌우 슬라이드단(213A,213B) 중 어느 하나의 상면이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작단(212)의 하부면에는 소정의 자기장을 발산하는 마그네트(211)가 배치된다. 마그네트(211)는, 상술한 홀 센서(22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홀 센서(220)로 하여금 제2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홀더 버튼 조립체(20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조작 버튼(130)의 의도치 않는 작동이 되지 않도록 하되, 기존의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러버 패드부(180)를 전혀 형상 변형 없이 마그네트(211)의 자기장이 러버 패드부(180)를 통과하여 러버 패드부(180)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된 홀 센서(220)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방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홀 센서(220)는, 러버 패드부(180)를 사이에 두고 마그네트(211)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인쇄회로기판(170)의 상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조작단(212)을 기준으로 좌우 슬라이드단(213A,213B) 중 어느 일측의 상면에는 제2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였음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214)가 소정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현재 홀더 버튼 조립체(200)에 의하여 사용자가 복수개의 조작 버튼(130)을 조작하더라도 제1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임을 외부로 표시하여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슬라이드 노브(21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자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술한 조작단(212)에 해당되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술한 좌우 슬라이드단(213A,213B)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마그네트(211)를 최대한 홀 센서(220)가 구비된 방향과 인접하게 설치되도록 조작단(212)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 노브(210)는 하방으로 연장 돌출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150은 비상 키의 손잡이부이고, 160은 비상 키의 잠금을 제어하는 비상키 홀더 버튼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복수개의 조작 버튼(130)의 의도치 않는 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더 버튼 조립체(200)의 조작단(212)을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표시부(214)가 구비된 좌우 슬라이드단(213A,213B) 중 어느 하나가 조작단(212)과 함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슬라이드 노브(210)의 마그네트(211)와 홀 센서(220)가 상호 작용하여 홀 센서(220)로 하여금 제2전기적 신호를 생성시키고, 제2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면, 복수개의 조작 버튼(130)에 의한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기존 러버 패드부(180)의 어떠한 형상 변화 없이도 홀더 버튼 조립체(200)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편의성 및 제품에 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창출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포브 키 110: 상부 커버
120: 하부 바디 130: 조작 버튼
140: 틈새 170: 인쇄회로기판
180: 러버 패드부 200: 홀더 버튼 조립체
210: 슬라이드 노브 211: 마그네트
212: 조작단 213A,213B: 좌우 슬라이드단
214: 표시부

Claims (6)

  1.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치 공간이 형성된 하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조작 버튼이 상기 설치 공간 내부로 푸싱되도록 설치되는 상부 커버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전부를 덮는 러버 패드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작 버튼에 의한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홀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한 상기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시 차량에 설치된 각종 기능 동작부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며,
    상기 홀더 버튼 조립체는,
    상기 러버 패드부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노브에 구비되어 소정의 자기장을 발산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러버 패드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마그네트와의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 변화에 따라 제2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의 포브 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노브는, 상기 상부 커버에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차량의 포브 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슬라이드 노브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노브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노브 슬롯이 형성된 차량의 포브 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노브는,
    상기 노브 슬롯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조작단과;
    상기 조작단의 좌우 양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되고, 상기 노브 슬롯 내에서의 상기 조작단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좌우 슬라이드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조작단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차량의 포브 키.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단을 기준으로 상기 좌우 슬라이드단 중 어느 일측의 상면에는 상기 제2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였음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소정 색상으로 표시된 차량의 포브 키.
KR20130123543A 2013-10-16 2013-10-16 차량의 포브 키 KR101502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543A KR101502942B1 (ko) 2013-10-16 2013-10-16 차량의 포브 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543A KR101502942B1 (ko) 2013-10-16 2013-10-16 차량의 포브 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942B1 true KR101502942B1 (ko) 2015-03-16

Family

ID=5302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543A KR101502942B1 (ko) 2013-10-16 2013-10-16 차량의 포브 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9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354U (ko) * 2015-07-16 2017-01-25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포브 키
EP3819877A3 (en) * 2019-10-16 2021-07-21 Mark Churchward A switching assembly and use thereof in a handheld wireless device for remotely activating a remote controlle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254A (ja) 2004-03-08 2005-09-15 Asahi Denso Co Ltd パッシブエントリーシステム
KR20070010561A (ko) * 2005-07-19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홀드키 및 그 홀드키를 채택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1270055B1 (ko) * 2012-10-19 2013-05-31 문명일 터치식 포브 키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제어 방법
KR20130079038A (ko) * 2012-01-02 2013-07-10 최이호 주차 위치 안내 기능을 가지는 자동차 키 고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254A (ja) 2004-03-08 2005-09-15 Asahi Denso Co Ltd パッシブエントリーシステム
KR20070010561A (ko) * 2005-07-19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홀드키 및 그 홀드키를 채택한 휴대용 전자기기
KR20130079038A (ko) * 2012-01-02 2013-07-10 최이호 주차 위치 안내 기능을 가지는 자동차 키 고리 장치
KR101270055B1 (ko) * 2012-10-19 2013-05-31 문명일 터치식 포브 키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354U (ko) * 2015-07-16 2017-01-25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포브 키
KR200482489Y1 (ko) * 2015-07-16 2017-02-13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포브 키
EP3819877A3 (en) * 2019-10-16 2021-07-21 Mark Churchward A switching assembly and use thereof in a handheld wireless device for remotely activating a remote controlled system
GB2595432A (en) * 2019-10-16 2021-12-01 Churchward Mark A switching assembly and use thereof in a handheld wireless device for remotely activating a remote controlle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1099B2 (en) Vehicular keyless entry system
JP5151405B2 (ja) 入力装置
JP5187903B2 (ja) スイッチ装置
US20100123549A1 (en) Sliding key fob
US20160278229A1 (en) Portable wireless key
WO2015064034A1 (ja) 携帯型無線キー
KR101502942B1 (ko) 차량의 포브 키
JP4595547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9316034B2 (en) Vehicle door lock control device
US20230175305A1 (en) Sensor Device
EP3192709A1 (en) Steering lock device
JP2013187044A (ja) 電気コネクタ
KR200468484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US20140346020A1 (en) Operator control device with push buttons, in particular, a remote key fob with push buttons for motor vehicles
JP5206534B2 (ja) 電子キー
JP2009052338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6805215B2 (ja) 操作入力装置
JP2004136802A (ja) 自動車用ドアおよびドアトリム
JP2005330752A (ja) ドアハンドルユニット
CN218676870U (zh) 防水旋钮按键及电磁炉
KR101404933B1 (ko) 자동차 리모트 키 잠금 기억 장치
JP7240988B2 (ja) 電子キー
TWI654635B (zh) Operating device
EP3030057A1 (en)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key using same
KR101529479B1 (ko) 차량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