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729B1 -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729B1
KR101502729B1 KR20140085229A KR20140085229A KR101502729B1 KR 101502729 B1 KR101502729 B1 KR 101502729B1 KR 20140085229 A KR20140085229 A KR 20140085229A KR 20140085229 A KR20140085229 A KR 20140085229A KR 101502729 B1 KR101502729 B1 KR 101502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ondensed water
condensate
storage tank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2014008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729B1/ko
Priority to CN201520176999.5U priority patent/CN204555259U/zh
Priority to CN201510134786.0A priority patent/CN105276785B/zh
Priority to PCT/KR2015/005043 priority patent/WO20160068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손쉽게 수집하고 처리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컨(10)에서부터 뻗어나와, 엘리베이터(E)의 외벽면을 따라 연장되는 응축수 배출관(20); 엘리베이터(E)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벽면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부착되고, 엘리베이터(E)가 승강로(P) 내부의 최저점에 도달했을 때, 상단부가 상기 응축수 배출관(20)에 결합되는 응축수 이송관(30); 및 응축수 이송관(30)의 하단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임시로 담아두기 위한 응축수 저장탱크(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the condensate water of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손쉽게 수집하고 처리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엘리베이터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자체에 에어컨을 설치한 에어컨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신축 건물의 엘리베이터에 에어컨이 장착되어 공급되는 것은 물론, 기존의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에도 에어컨을 추가로 설치하는 예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에어컨의 냉각작용에서 생성되는 응축수의 처리가 문제가 되고있다.
도 1은 기존의 에어컨 응축수 처리방법의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E)의 천정 윗면에 에어컨(10)을 설치하고, 에어컨(10)에 응축수 배출관(20)을 연결하며, 엘리베이터의 승강로(P) 바닥면에는 응축수 저장소(72)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E)가 최저층에 도달했을 때 응축수 배출관(20)이 응축수 저장소(72)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저장소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이때 응축수 저장소(72)에 만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응축수가 가득차면 별도의 배수펌프를 이용해 응축수를 배수관으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배수펌프가 고가여서 배수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인력에 의해서만 응축수 저장소의 응축수를 배수관으로 배출하는 경우가 많으며, 배수펌프를 사용할 경우에도 상당한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도 2~2A는 기존의 에어컨 응축수 처리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전체 단면도와 부분확대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된 에어컨(10) 바로 옆에 응축수 저장소(72)를 설치하고, 에어컨에서 배출된 응축수(W)를 이 저장소(72)에 모아두며, 필요에 따라서는 초음파 증발장치(74)를 설치하여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구조이다. 초음파 증발장치(74)의 원리는 초음파 가습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초음파 증발장치(74)에 의해 저장소(72)내의 응축수를 증발시켜 저장소의 응축수를 배출하는 원리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복잡한 배관장치와 배수펌프가 불필요한 장점은 있지만, 승강로(P) 내부가 응축수의 증발 증기로 채워져 습도가 아주 높아지게 된다. 이렇게 높은 습도로 인해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에 부수되는 각종 장치의 금속부재의 부식이 촉진되고, 각종 전자장치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P)로 응축수 증기가 배출되어 습도를 높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고가의 배수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은, 엘리베이터(E)의 천정 위에 설치된 에어컨(1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10)에서부터 뻗어나와, 엘리베이터(E)의 외벽면을 따라 연장되는 응축수 배출관(20);
엘리베이터(E)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벽면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부착되고, 엘리베이터(E)가 승강로(P) 내부의 최저점에 도달했을 때, 상단부가 상기 응축수 배출관(20)에 결합되는 응축수 이송관(30); 및
응축수 이송관(30)의 하단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임시로 담아두기 위한 응축수 저장탱크(40);를 포함하고,
응축수 저장탱크(40)가 엘리베이터 도어 측면의 문틀(50) 내부공간에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문틀(50)에는 외부에서 응축수 저장탱크(4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52)이 형성된다.
또, 응축수 배출관(20)의 하단부에 개폐밸브(V)가 설치되고, 이 개폐밸브(V)는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로 응축수의 배출을 차단하고, 응축수 배출관(20)이 응축수 이송관(30)에 연결되었을 때는 개폐밸브(V)가 열려 응축수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응축수 저장탱크(40) 내부에 축적된 응축수(W)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부재(60)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부재(60)의 승강운동에 맞춰 응축수(W)의 수위를 외부에 알려주기 위한 리미트스위치(S)가 가이드부재(6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문틀(50)의 내부에 설치되며, 가이드부재(60)의 하단부에는 응축수(W)의 표면에 뜨는 부표(62)가 달려있고, 부표(62)에 의해 가이드부재(60)가 상승되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S)를 작동시키며, 리미트스위치(S)의 작동에 의해 저장탱크(40)의 응축수 수위가 외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상시를 대비해, 응축수 저장탱크(40)의 외부로 흘러넘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70)을 문틀 내부공간의 바닥에 연결하고, 이 배수관(70)은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바닥면을 향해 뻗으며, 배수관(70)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수 저장소(72)를 승강로(P) 바닥면에 설치하면 좋을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승강로(P)가 응축수 증기로 인해 습도가 높아지지도 않으면서, 고가의 배수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2는 기존의 에어컨 응축수 처리방법의 2가지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각각 도 3은 엘리베이터(E)가 최저층에 도달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VI-VI선 단면도;
도 6A~B는 응축수 저장탱크의 이동상황을 보여주는 단면도들
도 7은 문틀 부분을 자세히 보여주는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각각 도 3은 엘리베이터(E)가 최저층에 도달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E)의 천정 위에 에어컨(10)을 설치하고, 에어컨(10)에서부터 뻗어나온 응축수 배출관(20)은 엘리베이터(E)의 외벽면을 따라 연장된다. 도 3과 5에서 알 수 있듯이, 응축수 배출관(20)은 엘리베이터(E)의 천정을 따라 뒷면을 타고 아래로 내려가는 형태로, 구체적으로는 L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문에, 응축수 배출관(20)은 엘리베이터(E)와 같이 상하로 움직인다.
도 3과 4에서 알 수 있듯이, 엘리베이터(E)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가급적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벽면에 바짝 붙여서 응축수 이송관(30)을 설치한다. 응축수 이송관(30)은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면서 아랫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엘리베이터(E)가 승강로(P) 내부의 최저점에 도달했을 때, 응축수 이송관(30)의 상단부는 응축수 배출관(20)에 결합된다(도 5 참조). 이때, 응축시 이송관(30)이 응축수 배출관(20)에 잘 결합되도록, 응축수 배출관(20)의 하단부또는 응축수 이송관(30)의 상단부에 어댑터(22)를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이 어댑터(22)는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건물 각층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양 옆에는 문틀(50)이 설치되고, 문틀(50) 내부공간은 비어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이런 구조의 문틀(50)을 이용해 문틀 내부공간에 별도의 응축수 저장탱크(40)를 설치하고, 응축수 이송관(30)의 하단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응축수 저장탱크(40)에 담아두도록 한다.
도 5A는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응축수 배출관(20)은 고정수단(24)에 의해 엘리베이터 천정과 뒷벽면에 고정된다.
또, 엘리베이터(E)가 승강운동을 하는 동안에는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관(20)에서 배출되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 응축수 배출관(20)의 하단부에 개폐밸브(V)를 설치한다. 이 개폐밸브(V)는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로 응축수의 배출을 차단하고, 도 5A와 같이 응축수 배출관(20)이 응축수 이송관(30)에 연결되었을 때는 개폐밸브(V)가 열려 응축수 이송관(30)으로의 응축수의 배출을 허용한다.
도 6은 응축수 저장탱크(40)와 그 부속품의 구성을 잘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문틀(50) 부분을 자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저장탱크(40)는 엘리베이터 도어 측면의 문틀(50) 내부공간에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고, 이 문틀(50)에는 외부에서 응축수 저장탱크(4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52)이 형성된다(도 7 참조). 출입문(52)은 경첩으로 여닫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응축수 저장탱크(40) 내부에 축적된 응축수(W)는 제때에 비워져야 한다. 이를 위해,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응축수 저장탱크(40)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부재(60)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부재(60)의 승강운동에 맞춰 응축수(W)의 수위를 외부에 알려주기 위한 리미트스위치(S)가 가이드부재(6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문틀(50)의 내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부재(60)가 수위에 맞춰 승강운동하도록, 가이드부재(60)의 하단부에는 부력에 의해 응축수(W)의 표면에 뜨는 부표(62)가 달려있다. 이 부표(62)에 의해 가이드부재(60)가 상승되면서 리미트스위치(S)에 접촉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킨다.
리미트스위치(S)의 작동에 의해 저장탱크(40)의 응축수 수위가 외부로 표시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도 7과 같이 "정지","주의", "정상"의 3가지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등(54)을 문틀(50) 외부에 설치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또,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응축수 저장탱크(40)의 이동을 위해 바퀴(42)를 달 수도 있다. 또한, 응축수 저장탱크(40)가 응축수를 받는 동안에는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고정턱(44)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가이드부재(60)의 상하 운동시 가이드부재가 응축수 저장탱크(4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조작자가 가이드부재를 취급하기 쉽도록, 가이드부재(60)에 L형 핸들(62)을 달아둘 수도 있다. 또, 가이드부재(60)가 제한범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64)를 문틀 내부공간의 가이드부재 윗쪽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재(60)의 상승은 스토퍼(64)까지만 이루어지게 되어, 가이드부재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60)가 상승하면서, 리미트스위치를 차례로 작동시켜,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정상", "주의", "정지" 표시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응축수 저장탱크(40)의 이동시 조작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저장탱크 핸들(46)를 응축수 저장탱크(40)에 부착할 수 있는데, 도 6A~B에서 보듯이, 이런 저장탱크 핸들(46)은 윗쪽으로 펼쳐질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B는 응축수 저장탱크(40)의 이동상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응축수를 비워야 할 경우, 출입문(52)을 연 다음(도 7 참조), 가이드부재(60)를 화살표 ①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응축수 저장탱크(40)를 화살표 ② 방향으로 기울인다. 기울어진 상태의 저장탱크는 파단선으로 표시되었다. 이 상태에서, 저장탱크 핸들(46)을 화살표 ③ 방향으로 펼치고, 조작자가 핸들(46)을 쥐고 화살표 ④ 방향으로 저장탱크(40)를 당기면 간단하게 저장탱크를 외부로 움직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저장탱크(40)를 배운 다음, 원위치로 되돌리면 배수작업이 간단하게 완료된다. 물론, 이상의 설명과 다른 방식으로 저장탱크를 움직일 수도 있지만, 다른 방식으로 저장탱크를 움직이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리미트스위치가 고장나거나 기타 다른 원인으로 응축수 저장탱크(40)를 제때 비우지 못해, 이 저장탱크의 외부로 응축수가 흘러넘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 도 5와 같이, 흘러넘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70)을 문틀 내부공간의 바닥에 연결하고, 이 배수관(70)을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바닥면을 향해 뻗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배수관(70)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수 저장소(72)를 승강로(P) 바닥면에 설치한다. 이렇게 되면, 불의의 사고로, 응축수 저장탱크(40)에서 응축수가 흘러넘칠 경우에도 대비할 수 있게된다.
이상의 설명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예를 든 것일 뿐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축수 저장장치는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는 최저층을 기준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빌딩 중간층과 같은 다른 곳에도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5)

  1. 엘리베이터(E)의 천정 위에 설치된 에어컨(1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10)에서부터 뻗어나와, 엘리베이터(E)의 외벽면을 따라 연장되는 응축수 배출관(20);
    엘리베이터(E)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벽면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부착되고, 엘리베이터(E)가 승강로(P) 내부의 최저점에 도달했을 때, 상단부가 상기 응축수 배출관(20)에 결합되는 응축수 이송관(30); 및
    상기 응축수 이송관(30)의 하단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임시로 담아두기 위한 응축수 저장탱크(40);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40)가 엘리베이터 도어 측면의 문틀(50) 내부공간에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문틀(50)에는 외부에서 응축수 저장탱크(4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20)의 하단부에 개폐밸브(V)가 설치되고, 이 개폐밸브(V)는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로 응축수의 배출을 차단하고, 응축수 배출관(20)이 응축수 이송관(30)에 연결되었을 때는 개폐밸브(V)가 열려 응축수의 배출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40) 내부에 축적된 응축수(W)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부재(60)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부재(60)의 승강운동에 맞춰 응축수(W)의 수위를 외부에 알려주기 위한 리미트스위치(S)가 가이드부재(6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문틀(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60)의 하단부에는 응축수(W)의 표면에 뜨는 부표(62)가 달려있고, 상기 부표(62)에 의해 가이드부재(60)가 상승되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S)를 작동시키며, 리미트스위치(S)의 작동에 의해 저장탱크(40)의 응축수 수위가 외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40)의 외부로 흘러넘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70)을 문틀 내부공간의 바닥에 연결하고, 이 배수관(70)은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바닥면을 향해 뻗으며, 배수관(70)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수 저장소(72)가 승강로(P)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KR20140085229A 2014-07-08 2014-07-08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1502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5229A KR101502729B1 (ko) 2014-07-08 2014-07-08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CN201520176999.5U CN204555259U (zh) 2014-07-08 2015-03-26 电梯用空调的冷凝水排出装置
CN201510134786.0A CN105276785B (zh) 2014-07-08 2015-03-26 电梯用空调的冷凝水排出装置
PCT/KR2015/005043 WO2016006820A1 (ko) 2014-07-08 2015-05-20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5229A KR101502729B1 (ko) 2014-07-08 2014-07-08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729B1 true KR101502729B1 (ko) 2015-03-13

Family

ID=5302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5229A KR101502729B1 (ko) 2014-07-08 2014-07-08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02729B1 (ko)
CN (2) CN204555259U (ko)
WO (1) WO20160068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000B1 (ko) 2022-08-25 2023-04-27 오성택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29B1 (ko) * 2014-07-08 2015-03-13 윤일식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DE102017126905A1 (de) 2017-11-15 2019-05-16 Thyssenkrupp Ag Aufzugsystem mit einer Versorgungsvorrichtung zum Befüllen eines Tanks eines Fahrkorbs mit einem Flu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567A (ja) * 1991-12-10 1993-06-2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空調機用凝縮水処理装置
JPH08259150A (ja) * 1995-03-28 1996-10-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用エアコンのドレン水処理装置
JP2829168B2 (ja) * 1991-10-21 1998-11-2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排水処理装置
JP5152754B2 (ja) * 2008-02-19 2013-02-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排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09530A (zh) * 2004-11-24 2005-04-27 南京航空航天大学 电梯空调冷凝水自动排放系统
CN201897306U (zh) * 2010-10-13 2011-07-13 广州市机电高级技工学校 电梯空调智能排水装置
KR101502729B1 (ko) * 2014-07-08 2015-03-13 윤일식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9168B2 (ja) * 1991-10-21 1998-11-2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排水処理装置
JPH05155567A (ja) * 1991-12-10 1993-06-2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空調機用凝縮水処理装置
JPH08259150A (ja) * 1995-03-28 1996-10-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用エアコンのドレン水処理装置
JP5152754B2 (ja) * 2008-02-19 2013-02-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排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000B1 (ko) 2022-08-25 2023-04-27 오성택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555259U (zh) 2015-08-12
CN105276785A (zh) 2016-01-27
WO2016006820A1 (ko) 2016-01-14
CN105276785B (zh)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729B1 (ko)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US9222848B2 (en) Leakage detection device using siphon principle
JP5152754B2 (ja) エレベータの排水装置
JP2011236876A (ja) 排水装置
KR20110015903A (ko)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JP6222600B2 (ja) 加湿機の漏水防止装置
CN103245046A (zh) 防止空气处理设备正压区空气泄漏的冷凝水自动排放装置
KR100998496B1 (ko) 초기 우수 배제 스크린 탱크
KR100700152B1 (ko)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N206781760U (zh) 一种轨道车辆空调冷凝水排放系统
CN208282377U (zh) 空调排水装置和空调器
KR102211114B1 (ko) 제습기
JP5319991B2 (ja) 溜液抜取装置
KR101231468B1 (ko) 차량의 워셔액 자동보충장치
KR102609434B1 (ko) 엘리베이터 구조와 제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침수 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425676Y1 (ko)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US3766936A (en) Water control apparatus responsive to leakage or overflow conditions
CN206891259U (zh) 一种空调自动清洗装置
CN215000922U (zh) 免补水智能型双防泄露煤气排水器
JPH027384Y2 (ko)
JP4487107B2 (ja) 自動排液装置
TWM451433U (zh) 集水器裝置
GB2459536A (en) Valve with float
RU23129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утечки воды
JP2022154038A (ja) 駐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