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06820A1 -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06820A1
WO2016006820A1 PCT/KR2015/005043 KR2015005043W WO2016006820A1 WO 2016006820 A1 WO2016006820 A1 WO 2016006820A1 KR 2015005043 W KR2015005043 W KR 2015005043W WO 2016006820 A1 WO2016006820 A1 WO 20160068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elevator
storage tank
air condition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50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ublication of WO20160068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068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ate discharge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ensate discharge device for easily collecting and treating condensate discharged from an elevator air conditioner.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condensate treatment method.
  • the air conditioner 1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elevator E,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20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10, and the condensate reservoir 72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elevator path P of the elevator.
  •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20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reservoir 72 to discharge the condensate into the reservoir.
  • a sensor for detecting the high water level is installed in the condensate reservoir 72, and when the condensate is full, the condensate is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using a separate drain pump.
  • FIG. 2 to 2A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condensate treatment method.
  • the condensate reservoir 72 is installed next to the air conditioner 10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elevator, and the condensate W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er is collected in the reservoir 72, and if necessary, an ultrasonic evaporator ( 74) is installed to evaporate condensate. Since the principle of the ultrasonic evaporator 74 is the same as the ultrasonic humidifi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at is, the principle of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in the reservoir by evaporating the condensed water in the reservoir 72 by the ultrasonic evaporator 74.
  • the inside of the hoistway P is filled with evaporated vapor of condensate, and the humidity is very high. Due to such high humidity, corrosion of the metal members of the elevator and various devices accompanying the elevator is promoted, and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malfunction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prevents condensate steam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elevator hoistway (P) to increase the humidity, as well as convenient condensate of the elevator air conditioner without using an expensive drainage pump.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for discharging.
  • This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10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elevator (E):
  • a condensate discharge pipe 20 extending from the air conditioner 10 and extending alo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E;
  •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is installed to mov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door frame 50 on the side of the elevator door, the door frame 50 is formed with an entrance door 52 to access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from the outside. do.
  • an opening / closing valve (V)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20),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V) shuts off the discharge of condensate in a normally closed state, and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20) is a condensate feed pipe (30).
  •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V) is achieved by the condensate discharge device of the elevator air conditioner to allow the discharge of the condensate.
  • the guide member 60 which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condensate (W) accumulated in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is installed, the level of the condensate (W)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60).
  • Limit switch (S) for informing the outside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door frame 5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member 60, buoy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condensate (W)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member 60 (62) is attached, the guide member 60 is raised by the buoy 62 to operate the limit switch (S), by the operation of the limit switch (S) condensed water level of the storage tank 40 is external It is desirable to be represented by.
  • the drain pipe 70 for discharging the condensate overflowed to the outside of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to the outside to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of the door frame, the drain pipe 70 of the elevator hoistway (P) Exten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condensate reservoir 72 for storing the condensate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70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hoistway (P).
  • the elevator hoistway P can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of the elevator air conditioner conveniently without using an expensive drainage pump without increasing the humidity due to the condensed water vapor.
  • 1 to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wo examples of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condensate treatment method
  • FIG. 3 to 6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densat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E reaches the lowest floor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ure 3
  • Figure 5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3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3;
  • 6A to 6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oving state of the condensate storage tank.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door frame portion.
  • FIG. 3 to 6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densat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E reaches the lowest floor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ure 3
  • Figure 5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3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3.
  • the air conditioner 1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elevator E, and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20 extending from the air conditioner 10 extends alo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E.
  •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20 is in the form of going down the back along the ceiling of the elevator (E), specifically, L-shaped is preferable. For this reason,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20 moves up and down like the elevator E.
  • FIG. 1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20 moves up and down like the elevator E.
  • the condensate feed pipe 30 is provid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hoistway (P).
  • Condensate transfer pipe 30 is preferably inclined downward while having a constant slope.
  • the adapter 22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20 or the upper end of the condensate transfer pipe 30 so that the transfer pipe 30 is well coupled to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20 during condensation.
  • this adapter 22 can be omitted as needed.
  • the door frame 5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oor of the elevator of each floor, it is common that the interior space of the door frame 50 is empty.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eparate condensate storage tank 40 in the inner space of the door frame 50 using the structure of this structure, so that the condensate discharg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densate transfer pipe 30 to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do.
  • FIG. 5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5.
  •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20 is fixed to the ceiling and the rear wall by the fixing means 24.
  •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V)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20).
  • the on-off valve V is normally closed to block the discharge of condensate, and when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20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feed pipe 30 as shown in FIG. 5A, the open / close valve V is opened to open the condensate feed pipe ( Allow the discharge of condensate to 30).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and its accessories well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 of the door frame 50.
  •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is installed to mov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door frame 50 on the side of the elevator door, the door frame 50 has an access door to access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from the outside. 52 is formed (see FIG. 7).
  • the door 52 preferably has a hinged structure.
  • the condensate W accumulated inside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should be emptied in time.
  • a guide member 60 that moves up and down is installed, the level of the condensate (W)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60 Limit switch (S) for informing the outside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door frame 5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member (60).
  • Buoy 62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condensate (W) by the buoyancy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member 60 so that the guide member 60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 the guide member 60 is lifted by this buoy 62 to contact the limit switch S to operate the limit switch.
  • the condensed water level of the storage tank 40 is displayed to the outside.
  • the water level display displaying three levels of “stop”, “caution”, and “normal”
  • the back 54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door frame 50, it is to be considered that the display of the back 54 i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heel 42 may be attached to the movement of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 the fixing jaw 44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to maintain the fixed position while receiving the condensate.
  • the L-shaped handle 62 is attached to the guide member 60 so that the guide member does not escape from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dur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60, and the operator can easily handle the guide member. You can also hang it.
  • a stopper 64 for preventing the guide member 60 from rising above the limited range may be provided above the guide member in the inner space of the door frame.
  • the rise of the guide member 60 is made only up to the stopper 64,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rise of the guide member.
  • the limit switches can be operated in turn to activate the " normal “, " attention " and “ stop” indica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ondensate (see FIG. 7).
  • the movement of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can be attached to the storage tank handle 46, which can be removed by the operator by the operator,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as shown in Figure 6A-B, such storage tank handle 46 It is desirable to adopt a structure that can be expanded upward.
  • FIG.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oving state of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 the condensate should be emptied, open the door 52 (see FIG. 7), raise the guide member 60 in the direction of arrow 1, and tilt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in the direction of arrow 2.
  • Tilted storage tanks are indicated by broken lines.
  • the storage tank handle 46 is unfolded in the direction of arrow 3, and the operator can simply move the storage tank to the outside by grasping the handle 46 and pulling the storage tank 40 in the direction of arrow 4.
  • the drainage operation is simply completed by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may not be emptied in time due to a failure of the limit switch or other causes, and condensate may overflow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 a drain pipe 70 for discharging the overflowed condensate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of the door frame, and the drain pipe 70 extends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hoistway P. It is desirable to.
  • the condensate reservoir 72 for storing the condensate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70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hoistway (P). In this case, in case of an accident, it is possible to prepare even when the condensate overflows from the condensate storage tank 40.
  • the condensate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lowest floor on which the elevator stops, but in some case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places such as a building intermediat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손쉽게 수집하고 처리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컨(10)에서부터 뻗어나와, 엘리베이터(E)의 외벽면을 따라 연장되는 응축수 배출관(20); 엘리베이터(E)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벽면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부착되고, 엘리베이터(E)가 승강로(P) 내부의 최저점에 도달했을 때, 상단부가 상기 응축수 배출관(20)에 결합되는 응축수 이송관(30); 및 응축수 이송관(30)의 하단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임시로 담아두기 위한 응축수 저장탱크(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손쉽게 수집하고 처리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엘리베이터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자체에 에어컨을 설치한 에어컨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신축 건물의 엘리베이터에 에어컨이 장착되어 공급되는 것은 물론, 기존의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에도 에어컨을 추가로 설치하는 예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에어컨의 냉각작용에서 생성되는 응축수의 처리가 문제가 되고있다.
도 1은 기존의 에어컨 응축수 처리방법의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E)의 천정 윗면에 에어컨(10)을 설치하고, 에어컨(10)에 응축수 배출관(20)을 연결하며, 엘리베이터의 승강로(P) 바닥면에는 응축수 저장소(72)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E)가 최저층에 도달했을 때 응축수 배출관(20)이 응축수 저장소(72)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저장소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이때 응축수 저장소(72)에 만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응축수가 가득차면 별도의 배수펌프를 이용해 응축수를 배수관으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배수펌프가 고가여서 배수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인력에 의해서만 응축수 저장소의 응축수를 배수관으로 배출하는 경우가 많으며, 배수펌프를 사용할 경우에도 상당한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도 2~2A는 기존의 에어컨 응축수 처리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전체 단면도와 부분확대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된 에어컨(10) 바로 옆에 응축수 저장소(72)를 설치하고, 에어컨에서 배출된 응축수(W)를 이 저장소(72)에 모아두며, 필요에 따라서는 초음파 증발장치(74)를 설치하여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구조이다. 초음파 증발장치(74)의 원리는 초음파 가습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초음파 증발장치(74)에 의해 저장소(72)내의 응축수를 증발시켜 저장소의 응축수를 배출하는 원리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복잡한 배관장치와 배수펌프가 불필요한 장점은 있지만, 승강로(P) 내부가 응축수의 증발 증기로 채워져 습도가 아주 높아지게 된다. 이렇게 높은 습도로 인해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에 부수되는 각종 장치의 금속부재의 부식이 촉진되고, 각종 전자장치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P)로 응축수 증기가 배출되어 습도를 높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고가의 배수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은, 엘리베이터(E)의 천정 위에 설치된 에어컨(1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10)에서부터 뻗어나와, 엘리베이터(E)의 외벽면을 따라 연장되는 응축수 배출관(20);
엘리베이터(E)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벽면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부착되고, 엘리베이터(E)가 승강로(P) 내부의 최저점에 도달했을 때, 상단부가 상기 응축수 배출관(20)에 결합되는 응축수 이송관(30); 및
응축수 이송관(30)의 하단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임시로 담아두기 위한 응축수 저장탱크(40);를 포함하고,
응축수 저장탱크(40)가 엘리베이터 도어 측면의 문틀(50) 내부공간에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문틀(50)에는 외부에서 응축수 저장탱크(4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52)이 형성된다.
또, 응축수 배출관(20)의 하단부에 개폐밸브(V)가 설치되고, 이 개폐밸브(V)는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로 응축수의 배출을 차단하고, 응축수 배출관(20)이 응축수 이송관(30)에 연결되었을 때는 개폐밸브(V)가 열려 응축수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응축수 저장탱크(40) 내부에 축적된 응축수(W)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부재(60)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부재(60)의 승강운동에 맞춰 응축수(W)의 수위를 외부에 알려주기 위한 리미트스위치(S)가 가이드부재(6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문틀(50)의 내부에 설치되며, 가이드부재(60)의 하단부에는 응축수(W)의 표면에 뜨는 부표(62)가 달려있고, 부표(62)에 의해 가이드부재(60)가 상승되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S)를 작동시키며, 리미트스위치(S)의 작동에 의해 저장탱크(40)의 응축수 수위가 외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상시를 대비해, 응축수 저장탱크(40)의 외부로 흘러넘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70)을 문틀 내부공간의 바닥에 연결하고, 이 배수관(70)은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바닥면을 향해 뻗으며, 배수관(70)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수 저장소(72)를 승강로(P) 바닥면에 설치하면 좋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승강로(P)가 응축수 증기로 인해 습도가 높아지지도 않으면서, 고가의 배수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2는 기존의 에어컨 응축수 처리방법의 2가지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각각 도 3은 엘리베이터(E)가 최저층에 도달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VI-VI선 단면도;
도 6A~B는 응축수 저장탱크의 이동상황을 보여주는 단면도들
도 7은 문틀 부분을 자세히 보여주는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각각 도 3은 엘리베이터(E)가 최저층에 도달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E)의 천정 위에 에어컨(10)을 설치하고, 에어컨(10)에서부터 뻗어나온 응축수 배출관(20)은 엘리베이터(E)의 외벽면을 따라 연장된다. 도 3과 5에서 알 수 있듯이, 응축수 배출관(20)은 엘리베이터(E)의 천정을 따라 뒷면을 타고 아래로 내려가는 형태로, 구체적으로는 L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문에, 응축수 배출관(20)은 엘리베이터(E)와 같이 상하로 움직인다.
도 3과 4에서 알 수 있듯이, 엘리베이터(E)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가급적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벽면에 바짝 붙여서 응축수 이송관(30)을 설치한다. 응축수 이송관(30)은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면서 아랫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엘리베이터(E)가 승강로(P) 내부의 최저점에 도달했을 때, 응축수 이송관(30)의 상단부는 응축수 배출관(20)에 결합된다(도 5 참조). 이때, 응축시 이송관(30)이 응축수 배출관(20)에 잘 결합되도록, 응축수 배출관(20)의 하단부또는 응축수 이송관(30)의 상단부에 어댑터(22)를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이 어댑터(22)는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건물 각층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양 옆에는 문틀(50)이 설치되고, 문틀(50) 내부공간은 비어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이런 구조의 문틀(50)을 이용해 문틀 내부공간에 별도의 응축수 저장탱크(40)를 설치하고, 응축수 이송관(30)의 하단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응축수 저장탱크(40)에 담아두도록 한다.
도 5A는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응축수 배출관(20)은 고정수단(24)에 의해 엘리베이터 천정과 뒷벽면에 고정된다.
또, 엘리베이터(E)가 승강운동을 하는 동안에는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관(20)에서 배출되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 응축수 배출관(20)의 하단부에 개폐밸브(V)를 설치한다. 이 개폐밸브(V)는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로 응축수의 배출을 차단하고, 도 5A와 같이 응축수 배출관(20)이 응축수 이송관(30)에 연결되었을 때는 개폐밸브(V)가 열려 응축수 이송관(30)으로의 응축수의 배출을 허용한다.
도 6은 응축수 저장탱크(40)와 그 부속품의 구성을 잘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문틀(50) 부분을 자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저장탱크(40)는 엘리베이터 도어 측면의 문틀(50) 내부공간에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고, 이 문틀(50)에는 외부에서 응축수 저장탱크(4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52)이 형성된다(도 7 참조). 출입문(52)은 경첩으로 여닫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응축수 저장탱크(40) 내부에 축적된 응축수(W)는 제때에 비워져야 한다. 이를 위해,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응축수 저장탱크(40)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부재(60)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부재(60)의 승강운동에 맞춰 응축수(W)의 수위를 외부에 알려주기 위한 리미트스위치(S)가 가이드부재(6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문틀(50)의 내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부재(60)가 수위에 맞춰 승강운동하도록, 가이드부재(60)의 하단부에는 부력에 의해 응축수(W)의 표면에 뜨는 부표(62)가 달려있다. 이 부표(62)에 의해 가이드부재(60)가 상승되면서 리미트스위치(S)에 접촉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킨다.
리미트스위치(S)의 작동에 의해 저장탱크(40)의 응축수 수위가 외부로 표시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도 7과 같이 "정지","주의", "정상"의 3가지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등(54)을 문틀(50) 외부에 설치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또,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응축수 저장탱크(40)의 이동을 위해 바퀴(42)를 달 수도 있다. 또한, 응축수 저장탱크(40)가 응축수를 받는 동안에는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고정턱(44)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가이드부재(60)의 상하 운동시 가이드부재가 응축수 저장탱크(4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조작자가 가이드부재를 취급하기 쉽도록, 가이드부재(60)에 L형 핸들(62)을 달아둘 수도 있다. 또, 가이드부재(60)가 제한범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64)를 문틀 내부공간의 가이드부재 윗쪽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재(60)의 상승은 스토퍼(64)까지만 이루어지게 되어, 가이드부재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60)가 상승하면서, 리미트스위치를 차례로 작동시켜,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정상", "주의", "정지" 표시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응축수 저장탱크(40)의 이동시 조작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저장탱크 핸들(46)를 응축수 저장탱크(40)에 부착할 수 있는데, 도 6A~B에서 보듯이, 이런 저장탱크 핸들(46)은 윗쪽으로 펼쳐질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B는 응축수 저장탱크(40)의 이동상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응축수를 비워야 할 경우, 출입문(52)을 연 다음(도 7 참조), 가이드부재(60)를 화살표 ①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응축수 저장탱크(40)를 화살표 ② 방향으로 기울인다. 기울어진 상태의 저장탱크는 파단선으로 표시되었다. 이 상태에서, 저장탱크 핸들(46)을 화살표 ③ 방향으로 펼치고, 조작자가 핸들(46)을 쥐고 화살표 ④ 방향으로 저장탱크(40)를 당기면 간단하게 저장탱크를 외부로 움직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저장탱크(40)를 배운 다음, 원위치로 되돌리면 배수작업이 간단하게 완료된다. 물론, 이상의 설명과 다른 방식으로 저장탱크를 움직일 수도 있지만, 다른 방식으로 저장탱크를 움직이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리미트스위치가 고장나거나 기타 다른 원인으로 응축수 저장탱크(40)를 제때 비우지 못해, 이 저장탱크의 외부로 응축수가 흘러넘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 도 5와 같이, 흘러넘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70)을 문틀 내부공간의 바닥에 연결하고, 이 배수관(70)을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바닥면을 향해 뻗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배수관(70)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수 저장소(72)를 승강로(P) 바닥면에 설치한다. 이렇게 되면, 불의의 사고로, 응축수 저장탱크(40)에서 응축수가 흘러넘칠 경우에도 대비할 수 있게된다.
이상의 설명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예를 든 것일 뿐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축수 저장장치는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는 최저층을 기준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빌딩 중간층과 같은 다른 곳에도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E)의 천정 위에 설치된 에어컨(1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10)에서부터 뻗어나와, 엘리베이터(E)의 외벽면을 따라 연장되는 응축수 배출관(20);
    엘리베이터(E)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벽면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부착되고, 엘리베이터(E)가 승강로(P) 내부의 최저점에 도달했을 때, 상단부가 상기 응축수 배출관(20)에 결합되는 응축수 이송관(30); 및
    상기 응축수 이송관(30)의 하단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임시로 담아두기 위한 응축수 저장탱크(40);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40)가 엘리베이터 도어 측면의 문틀(50) 내부공간에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문틀(50)에는 외부에서 응축수 저장탱크(4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20)의 하단부에 개폐밸브(V)가 설치되고, 이 개폐밸브(V)는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로 응축수의 배출을 차단하고, 응축수 배출관(20)이 응축수 이송관(30)에 연결되었을 때는 개폐밸브(V)가 열려 응축수의 배출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40) 내부에 축적된 응축수(W)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부재(60)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부재(60)의 승강운동에 맞춰 응축수(W)의 수위를 외부에 알려주기 위한 리미트스위치(S)가 가이드부재(6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문틀(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60)의 하단부에는 응축수(W)의 표면에 뜨는 부표(62)가 달려있고, 상기 부표(62)에 의해 가이드부재(60)가 상승되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S)를 작동시키며, 리미트스위치(S)의 작동에 의해 저장탱크(40)의 응축수 수위가 외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40)의 외부로 흘러넘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70)을 문틀 내부공간의 바닥에 연결하고, 이 배수관(70)은 엘리베이터 승강로(P)의 바닥면을 향해 뻗으며, 배수관(70)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수 저장소(72)가 승강로(P)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PCT/KR2015/005043 2014-07-08 2015-05-20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WO201600682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229 2014-07-08
KR20140085229A KR101502729B1 (ko) 2014-07-08 2014-07-08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6820A1 true WO2016006820A1 (ko) 2016-01-14

Family

ID=5302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5043 WO2016006820A1 (ko) 2014-07-08 2015-05-20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02729B1 (ko)
CN (2) CN105276785B (ko)
WO (1) WO20160068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6905A1 (de) * 2017-11-15 2019-05-16 Thyssenkrupp Ag Aufzugsystem mit einer Versorgungsvorrichtung zum Befüllen eines Tanks eines Fahrkorbs mit einem Flui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29B1 (ko) * 2014-07-08 2015-03-13 윤일식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2527000B1 (ko) 2022-08-25 2023-04-27 오성택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567A (ja) * 1991-12-10 1993-06-2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空調機用凝縮水処理装置
JPH08259150A (ja) * 1995-03-28 1996-10-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用エアコンのドレン水処理装置
JP2829168B2 (ja) * 1991-10-21 1998-11-2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排水処理装置
JP5152754B2 (ja) * 2008-02-19 2013-02-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排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09530A (zh) * 2004-11-24 2005-04-27 南京航空航天大学 电梯空调冷凝水自动排放系统
CN201897306U (zh) * 2010-10-13 2011-07-13 广州市机电高级技工学校 电梯空调智能排水装置
KR101502729B1 (ko) * 2014-07-08 2015-03-13 윤일식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9168B2 (ja) * 1991-10-21 1998-11-2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排水処理装置
JPH05155567A (ja) * 1991-12-10 1993-06-2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空調機用凝縮水処理装置
JPH08259150A (ja) * 1995-03-28 1996-10-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用エアコンのドレン水処理装置
JP5152754B2 (ja) * 2008-02-19 2013-02-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排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6905A1 (de) * 2017-11-15 2019-05-16 Thyssenkrupp Ag Aufzugsystem mit einer Versorgungsvorrichtung zum Befüllen eines Tanks eines Fahrkorbs mit einem Fluid
WO2019096608A1 (de) 2017-11-15 2019-05-23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system mit einer versorgungsvorrichtung zum befüllen eines tanks eines fahrkorbs mit einem flu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729B1 (ko) 2015-03-13
CN204555259U (zh) 2015-08-12
CN105276785B (zh) 2017-03-29
CN105276785A (zh)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06820A1 (ko)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US9267322B2 (en) Flap gate-type waterproof panel for wall installation
CN111059649A (zh) 一种具有多功能排水的除湿机及排水方法
KR20150120541A (ko) 축전지 충전 수조의 가스포집장치 및 방법
CN204902183U (zh) 船用防漏式空调冷凝水收集装置
NO137834B (no) Anordning for inn- eller utf¦ring av gassformede stoffer fra en bevegelig gjenstand
CN206781760U (zh) 一种轨道车辆空调冷凝水排放系统
CN211822856U (zh) 一种具有多功能排水的除湿机
CN210428205U (zh) 一种水箱液位检测装置和进水机构
CN209176625U (zh) 车厢及其自动排水装置
CN213088898U (zh) 一种防废液溢出装置
CN208513316U (zh) 一种通风柜自动感应升降视窗
WO2013081298A1 (ko) 제습기
KR102211114B1 (ko) 제습기
CN207401268U (zh) 液气自动分离排放系统
SK282778B6 (sk) Komínová pätka
CN212058998U (zh) 一种污水池水位检测装置
CN202361083U (zh) 一种煤气排水器安全保护装置
CN113223278B (zh) 一种船用除硫碱液泄放柜、碱液泄漏报警系统及方法
CN105381666A (zh) 一种节能型空气净化器
CN106638922A (zh) 一种污水集水池系统
JP2010060232A (ja) 溜液抜取装置
CN106996125A (zh) 一种多功能一体化预制泵站顶盖及方法
JP2022154038A (ja) 駐車設備
TH22880A3 (th) ระบบถังปฏิกรณ์ชีวภาพแบบจุ่มชั่วคราวสำหรับการบำบัดสีและสารประกอบฟีนอลิกในน้ำเสียโดยใช้ราตรึ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190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9/05/20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190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