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704B1 - 역장력 인발기 및 이를 이용한 인발 방법 - Google Patents

역장력 인발기 및 이를 이용한 인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704B1
KR101502704B1 KR20130143169A KR20130143169A KR101502704B1 KR 101502704 B1 KR101502704 B1 KR 101502704B1 KR 20130143169 A KR20130143169 A KR 20130143169A KR 20130143169 A KR20130143169 A KR 20130143169A KR 101502704 B1 KR101502704 B1 KR 101502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linear material
reverse
tens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곤
정명식
박훈재
조용재
김다혜
이인규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4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7Carriages; Drives
    • B21C1/30Drives, e.g. carriage-traversing mechanisms; Driving elements, e.g. drawing chains; Controlling th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7Carriages; Drives
    • B21C1/28Carriages; Connections of grippers thereto;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7Carriages; Drives
    • B21C1/30Drives, e.g. carriage-traversing mechanisms; Driving elements, e.g. drawing chains; Controlling the drive
    • B21C1/305Linear motor pul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선형 소재의 일단에서, 선형 소재를 고정하는 제 1 척; 선형 소재의 타단에서, 선형 소재를 고정하는 제 2 척; 제 1 척과 제 2 척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LM 가이드; 상기 제 1 척이 LM 가이드를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 1 척에 인발력을 전달하고, 또한 상기 제 2 척이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역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 동력부(150); 및 상기 제 1 척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형 소재에 인장력을 가하게 하고, 상기 제 2 척에 제 2 방향으로 힘을 가해 상기 선형 소재에 역장력을 가하게 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장력 인발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역장력 인발기 및 이를 이용한 인발 방법{BACK TENSION DRAWING APPARATUS AND BACK TENSION DRAWING METHOD}
본 발명은 역장력 인발기 및 이를 이용한 인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형 및 이형 소재를 인발하는 역장력 인발기 및 이를 이용한 인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발 공정이란, 소재를 다이(die)에 통과시켜 단면적을 줄이고,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가공으로서, 다이 구멍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봉, 파이프, 선 등을 만드는 작업을 의미한다.
종래의 인발 공정은 소재를 다이에 통과시키기 위해 일 방향의 장력만을 소재에 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인발 공정은 다이에 상당한 크기의 압력을 가해 다이의 수명을 감소시키고, 과도한 마찰열 발생으로 소재의 성질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역장력 인발기 및 이를 이용한 인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선형 소재에 장력과 역장력을 모두 가하여 다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는 역장력 인발기 및 이를 이용한 인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장력 인발기는,
선형 소재의 일단에서, 상기 선형 소재를 고정하는 제 1 척; 상기 선형 소재의 타단에서, 상기 선형 소재를 고정하는 제 2 척; 상기 제 1 척과 제 2 척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LM 가이드; 상기 제 1 척과 제 2 척이 상기 LM 가이드를 따라 이동을 하도록 상기 제 1 척과 제 2 척에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 동력부; 및 상기 제 1 척 및 제 2 척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형 소재에 인장력을 가하게 하고, 상기 제 2 척이 상기 선형 소재에 역장력을 가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장력 인발기는, 상기 유압 동력부로부터 유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척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 1 실린더; 및 상기 유압 동력부로부터 유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 2 척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 2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 동력부는, 유압유를 저장하는 저유부; 상기 저유부에 저장된 유압유를 상기 제 1 실린더 및 제 2 실린더에 공급하는 유압 펌프;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제 1 실린더 및 제 2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유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 및 상기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척 및 제 2 척은, 상기 제어부의 원점 이동 요청에 따라 기 설정된 지점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역장력 인발기는, 사용자로부터 인장력, 역장력 및 인장 속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척 및 제 2 척 각각은,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인장력, 역장력 및 인장 속도를 기초로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역장력 인발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인장력, 역장력 및 인장 속도에 대응하여 변형된 상기 선형 소재의 길이와 인발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장력 인발기는, 상기 제 1 척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척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와 제 1 척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우면 상기 제 1 척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 2 센서와 제 2 척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우면 상기 제 2 척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발 방법은,
역장력 인발기를 이용한 선형 소재의 인발 방법에 있어서, 선형 소재의 일단에서, 상기 선형 소재를 고정하는 제 1 척과, 상기 선형 소재의 타단에서, 상기 선형 소재를 고정하는 제 2 척이 전후 이동을 하도록 상기 제 1 척과 제 2 척에 유압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1 척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형 소재에 인장력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척을 제 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형 소재에 역장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발 방법은, 제어부의 원점 이동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척과 제 2 척 각각을 기 설정된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인장력, 역장력 및 인장 속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 소재에 인장력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발 속도에 따라 상기 제 1 척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소재에 역장력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역장력 및 인장 속도에 따라 상기 제 2 척을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인발 방법은, 제 1 센서와 제 1 척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우면 상기 제 1 척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을 중지시키고, 제 2 센서와 제 2 척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우면 상기 제 2 척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척에 작용하는 역장력은, 상기 제 1 척에 작용하는 인발력의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선형 소재에 장력과 역장력을 모두 가하여 다이에 가해지는 압력과 마찰에 의한 표면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장력 인발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장력 인발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압 동력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발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발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장력 인발기(100)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장력 인발기(100)는 제 1 척(110), 제 2 척(120), LM 가이드(190), 유압 동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척(110)은, 선형 소재(10)의 일단에서 선형 소재(10)를 고정한다. 또한, 제 2 척(120)은 선형 소재(10)의 타단에서 선형 소재(10)를 고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척(110)과 제 2 척(120) 각각에는 로드셀(115, 125)이 연결될 수 있는데, 이 로드셀들(115, 125)은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은 선형 소재(10)를 고정하는 복수의 조(jaw)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LM 가이드(190)는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은 LM 가이드(190)를 따라 직선으로 전후 이동을 할 수 있다.
유압 동력부(150)는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에 유압을 전달하여,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이 LM 가이드(190)를 따라 전후 이동을 하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척(110)과 제 2 척(120) 각각은 제 1 실린더(140)와 제 2 실린더(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실린더(140)는 유압 동력부(150)로부터 유압유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유압유를 이용하여 실린더 내 피스톤(145)을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척(110)을 전후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실린더(130) 역시 유압 동력부(150)로부터 유압유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유압유를 이용하여 실린더 내 피스톤(135)을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제 2 척(120)을 전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유압 동력부(150)로부터 제 1 실린더(130)와 제 2 실린더(140)에 공급되는 유압유를 조절하여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 1 척(110)을 제 1 방향(A)으로 이동시켜 선형 소재(10)에 인장력을 가하게 하고, 제 2 척(120)을 제 2 방향(B)으로 이동시켜 선형 소재(10)에 역장력을 가하게 할 수 있다. 제 1 방향(A)과 제 2 방향(B)은 서로 반대 방향이고, 역장력은 제 2 척(120)이 선형 소재(10)에 가하는 인장력을 의미한다.
상기 제1척(110)은 제1방향으로 소재를 잡아당기고, 제2척(120)은 제2방향으로 소재를 잡아당겨 역장력을 가한다. 실제과정에서 제1척의 인발력이 제2척의 인발력보다 크기 때문에(제2척의 힘은 제1척의 힘의 약 1/4 정도임), 인발 과정에서 제1척과 제2척이 모두 소재를 당기고 있으나 소재는 실제로 제1방향(A)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60)는, 유압 동력부(150)로 원점 이동 요청을 전달하여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이 기 설정된 지점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유압 동력부(150)로 원점 이동 요청을 전달하고, 유압 동력부(150)는 제 1 실린더(140)와 제 2 실린더(130)로 공급되는 유압유를 조절하여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이 기 설정된 지점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 1 척(110)과 제 2 척(120) 각각에 기 설정되는 지점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선형 소재(10)에 대해 인발 공정을 시작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어부(160)를 조작하여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을 소정의 지점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인발 공정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장력 인발기(100)는 제어부(160)에 연결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62)와 출력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62)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62)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리모콘 등 당업자에게 자명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62)를 이용하여 선형 소재(10)에 가하고자 하는 역장력, 및 선형 소재(10)의 인발 속도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인발 속도 및 역장력이 입력되면, 제 1 척(110) 및 제 2 척(120) 각각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발 속도 및 역장력에 따라 제 1 방향(A) 및 제 2 방향(B)으로 인장력을 가하게 되나, 통상 제 1 척의 제 1 방항(A) 인발력이 제 2 척의 제 2 방향(B)의 역장력보다 크기 때문에 인발시에는 제 1 척 및 제 2 척 모두 제 1 방향(A)으로 이동한다. 즉, 제 1 척(110)은 입력된 인발 속도에 따라 제 1 방향(A)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 2 척(120)은 입력된 역장력을 가해주면서 제 1 방향(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출력부(164)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62)를 통해 수신된 인발 길이(인발 시 제 1 척의 제 1 방향(A)으로의 이동거리)에 따른 제 1 척의 인발력 및 제 2 척의 역장력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64)는,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 등 당업자에게 자명한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장력 인발기(100)는, 제 1 실린더(140)와 제 1 척(11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센서(180), 및 제 2 실린더(130)와 제 2 척(1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센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180) 및 제 2 센서(170)의 위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 1 센서(180)는 제 1 센서(170)와 제 1 척(11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고, 제 2 센서(170)는 제 2 센서(170)와 제 2 척(12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제어부(160)는 제 1 센서(180)와 제 1 척(110)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우면 제 1 척(110)의 이동을 중지시키고, 제 2 센서(170)와 제 2 척(120)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우면 제 2 척(120)의 이동을 중지시킨다. 이는, 제 1 척(110) 또는 제 2 척(120)이 제 1 방향(A) 또는 제 2 방향(B)으로 계속 이동하여 제 1 실린더(140) 또는 제 2 실린더(13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장력 인발기(100)는 다이 장착 치구(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 장착 치구(195)에는 선형 소재(10)가 통과되는 다이가 장착될 수 있으며, 다이 장착 치구는 인발 시 윤활제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장력 인발기(100)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역장력 인발기(100)의 제 1 척(110) 및 제 2 척(120) 각각은 복수의 조(112, 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형 소재(10)는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의 복수의 조(112, 122) 내측으로 삽입되어 클램핑될 수 있다.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은 유압 동력부(150)로부터 유압을 전달받아 선형 소재(10)를 클램핑할 수 있고, 기타 다른 동력부로부터 압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 2 척(120)은 도 1에 도시된 제 2 척(120)과 달리 제 2 실린더(130)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도르래(134) 사이를 관통하는 체인(132)을 통해 제 2 실린더(14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압 동력부(15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압 동력부(150)는 저유부(152), 유압 펌프(154), 제어 밸브(156) 및 전기 모터(15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유부(152)는 제 1 실린더(140)와 제 2 실린더(130)로 공급되는 유압유를 저장한다. 유압 펌프(154)는 저유부(152)에 저장된 유압유를 제 1 실린더(140) 및 제 2 실린더(130)로 공급한다.
제어 밸브(156)는 유압 펌프로부터 제 1 실린더(140) 및 제 2 실린더(130)에 공급되는 유압유의 양을 제어하여 제 1 실린더(140) 및 제 2 실린더(130)가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한다.
전기 모터(158)는 유압 펌프를 구동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발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발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역장력 인발기(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역장력 인발기(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4의 인발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역장력 인발기(100)는, 선형 소재의 일단에서 선형 소재를 고정하는 제 1 척(110)과, 선형 소재의 타단에서 선형 소재를 고정하는 제 2 척(120)이 전후 이동을 하도록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에 유압을 전달한다. 역장력 인발기(100)는 내부에 피스톤을 포함한 제 1 실린더(140)에 유압류를 전달하여 피스톤을 전후 이동시키고, 제 2 실린더(130)에는 입력된 역장력을 인발 방향과 반대방향(제 2 방향(B))으로 유지하기 위해 유압유가 전달된다.
S420 단계에서, 역장력 인발기(100)는, 제 1 척(110)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켜 선형 소재에 인장력을 가한다.
S430 단계에서, 역장력 인발기(100)는, 제 2 척(120)에 입력된 역장력을 제 2 방향 가하여 선형 소재에 역장력을 가한다.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이고, 따라서 역장력의 방향은 인장력의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즉, 역장력 인발기(100)는,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에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에 고정된 선형 소재를 인장할 수 있다.
역장력은 제2방향으로 가해 지지만, 소재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것은, 제1척의 인발력이 제2척의 인발력보다 크기 때문에 인발 과정에서 제1척과 제2척이 모두 소재를 당기고 있으나 소재는 실제로 제1방향(A)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발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510 단계에서, 역장력 인발기(100)는, 제 1 척(110)과 제 2 척(120) 각각을 기 설정된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사용자가 선형 소재에 대한 인발 공정을 시작하려 하는 경우,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S520 단계에서, 역장력 인발기(100)의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에 선형 소재가 고정된다. 선형 소재는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에 포함된 복수의 조 안쪽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역장력 인발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인발 속도 및 역장력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다.
S540 단계에서, 역장력 인발기(100)는, 제 1 척(110)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발 속도에 따라 이동하도록 제 1 척(110)에 유압을 전달하고, 제 2 척(120)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역장력이 가해지도록 제 2 척(120)에 유압을 전달한다.
S550 단계에서, 역장력 인발기(100)의 제 1 척(110)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 척(120)은 제 2 방향으로 역장력을 주면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한다.
S560 단계에서, 역장력 인발기(100)는 제 1 센서(180)와 제 1 척(110)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지를 판단한다. 이는, 제 1 척(110)과 제 1 척(110)에 연결된 제 1 실린더(140)가 충돌할 위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S570 단계에서, 제 1 센서(180)와 제 1 척(110)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역장력 인발기(100)는 제 1 척(11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S580 단계에서, 제 1 척(110)과 제 2 척(120)의 이동이 정지되면, 역장력 인발기(100)는 소재의 인발길이에 따른 제 1 척(110)의 인발력과 제 2 척(120)의 역장력을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S590 단계에서, 제 1 센서(180)와 제 1 척(110)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먼 경우에는, 제 2 센서(170)와 제 2 척(120)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지를 판단한다.
제 2 센서(170)와 제 2 척(120)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S570 단계에서, 역장력 인발기(100)는 제 1 척(110)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제 2 센서(170)와 제 2 척(120)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먼 경우에는, 제 1 척(110)의 이동을 계속 유지시킨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역장력 인발기
110: 제 1 척
112, 122: 조
120: 제 2 척
115, 125: 로드셀
130, 140: 실린더
135, 145: 피스톤
150: 유압 동력부
160: 제어부
162: 사용자 입력 수신부
164: 출력부
170, 180: 센서
190: LM 가이드
195: 다이 장착 치구

Claims (13)

  1. 선형 소재(10)가 통과하는 다이가 장착되는 다이 장착 치구(195);
    상기 다이 장착 치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 상기 선형 소재의 일단과 타단을 고정하는 제 1 척(110)과 제 2 척(120);
    상기 제 1 척과 제 2 척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LM 가이드(190);
    상기 제 1 척이 LM 가이드를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 1 척에 인발력을 전달하고, 또한 상기 제 2 척이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역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 동력부(150);
    상기 제 1 척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형 소재에 인장력을 가하게 하고, 상기 제 2 척에 제 2 방향으로 힘을 가해 상기 선형 소재에 역장력을 가하게 하는 제어부(160);
    상기 유압 동력부로부터 유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척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 1 실린더(140); 및
    상기 유압 동력부로부터 유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 2 척에 역장력을 가하도록 하는 제 2 실린더(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장력 인발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동력부는,
    유압유를 저장하는 저유부;
    상기 저유부에 저장된 유압유를 상기 제 1 실린더 및 제 2 실린더에 공급하는 유압 펌프;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제 1 실린더 및 제 2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유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 및
    상기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장력 인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척 및 제 2 척은,
    상기 제어부의 원점 이동 요청에 따라 기 설정된 지점으로 각각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장력 인발기.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인장 속도 및 역장력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척 및 제 2 척 각각은,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인발 속도 및 역장력을 기초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장력 인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장력 인발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인발 속도 및 역장력에 대응하여 변형된 상기 선형 소재의 인발 길이에 따른 인발력 및 역장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장력 인발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장력 인발기는,
    상기 제 1 척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척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와 제 1 척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우면 상기 제 1 척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 2 센서와 제 2 척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우면 상기 제 1 척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장력 인발기.
  8.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역장력 인발기를 이용한 선형 소재의 인발 방법에 있어서,
    선형 소재의 일단을 제 1 척에 고정하고, 타단을 제 2 척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척에 제 1 방향으로 인발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제 2 척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역장력을 전달하도록 유압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척 및 제 2 척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형 소재에 인장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 방법은,
    제어부의 원점 이동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척과 제 2 척 각각을 기 설정된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인장 속도 및 역장력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소재에 인장력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장 속도 및 역장력에에 따라 상기 제 1 척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소재에 역장력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역장력에 따라 상기 제 2 척으로 제 2 방향으로 힘을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 방법은,
    제 1 센서와 제 1 척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우면 상기 제 1 척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을 중지시키고, 제 2 센서와 제 2 척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우면 상기 제 1 척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척에 작용하는 역장력은, 상기 제 1 척에 작용하는 인발력의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 방법.
KR20130143169A 2013-11-22 2013-11-22 역장력 인발기 및 이를 이용한 인발 방법 KR101502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3169A KR101502704B1 (ko) 2013-11-22 2013-11-22 역장력 인발기 및 이를 이용한 인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3169A KR101502704B1 (ko) 2013-11-22 2013-11-22 역장력 인발기 및 이를 이용한 인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704B1 true KR101502704B1 (ko) 2015-03-13

Family

ID=5302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3169A KR101502704B1 (ko) 2013-11-22 2013-11-22 역장력 인발기 및 이를 이용한 인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8356A (zh) * 2021-08-05 2021-12-14 中国铁建高新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接触网放线车及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430A (ja) * 1996-10-31 1998-05-19 Hitachi Cable Ltd 引抜装置
KR100257656B1 (ko) * 1998-01-24 2000-06-01 이경용 전자동 인발시스템의 인발장치
KR100261661B1 (ko) * 1994-05-02 2000-07-15 스기노 요시히로 관인발장치
KR20110023714A (ko) * 2009-08-28 2011-03-08 산와 코칸 가부시키가이샤 강관 인발 장치 및 인발 강관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661B1 (ko) * 1994-05-02 2000-07-15 스기노 요시히로 관인발장치
JPH10128430A (ja) * 1996-10-31 1998-05-19 Hitachi Cable Ltd 引抜装置
KR100257656B1 (ko) * 1998-01-24 2000-06-01 이경용 전자동 인발시스템의 인발장치
KR20110023714A (ko) * 2009-08-28 2011-03-08 산와 코칸 가부시키가이샤 강관 인발 장치 및 인발 강관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8356A (zh) * 2021-08-05 2021-12-14 中国铁建高新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接触网放线车及控制方法
CN113788356B (zh) * 2021-08-05 2024-04-09 中国铁建高新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接触网放线车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8525B2 (ja) ポータブル式のケーブル締結器具
KR101502704B1 (ko) 역장력 인발기 및 이를 이용한 인발 방법
EP2055596A3 (en) Method for operating a powertrain system to control engine stabilization
JP5466834B2 (ja) ダイクッション装置
US9150213B2 (en) Gear shifting control system of vehicle continuously-variable transmission
WO2009142132A1 (ja) ダイクッション装置
EP2070796A3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necessary output torque reserve by selection of hybrid range state and input speed for a hybrid powertrain system
TWI376277B (en) Steel pipe drawing apparatus and drawn steel pipe manufacturing method
CN102980753A (zh) 一种车门锁开启行程及推拉力试验装置
EP1634671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riction welding
CN211401928U (zh) 土工格栅拉伸试验夹具及应用该夹具的拉伸试验设备
JP2008030050A (ja) 摩擦撹拌接合方法及び摩擦撹拌接合装置
CN102359908A (zh) 一种用于粘弹性材料弯曲疲劳试验的试验控制系统及控制方法
CA2790492A1 (en) Pouch machine with sealer
US20220023982A1 (en) Bolt setting method of a nail-shaped bolt as well as a setting device with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implementing the bolt setting method
KR100756700B1 (ko) 버스의 사이드 패널 다단 인장장치
CN202344144U (zh) 一种焊接辅助装置
JP2017087242A (ja) 線形摩擦接合装置及び摩擦接合方法
CN117452035B (zh) 一种线束导通检测用辅助定位工装及线束导通检测方法
CN217212062U (zh) 一种电力金具磨损试验装置
JP4852508B2 (ja) 光ファイバの補強スリーブ加熱装置
JP2017008542A (ja) ブレース切断装置
JP2005321644A (ja) 光ファイバの補強スリーブ加熱装置
CN215279679U (zh) 一种线材生产用牵引装置
JPH04111919A (ja) 押出材用牽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