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638B1 -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638B1
KR101502638B1 KR1020097023657A KR20097023657A KR101502638B1 KR 101502638 B1 KR101502638 B1 KR 101502638B1 KR 1020097023657 A KR1020097023657 A KR 1020097023657A KR 20097023657 A KR20097023657 A KR 20097023657A KR 101502638 B1 KR101502638 B1 KR 10150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
resin
radio wave
solubl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7100A (ko
Inventor
히로미츠 무코
스스무 인난
아키히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6Vapour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6Water-soluble, water-disper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32B2309/025Temperature vs time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한 윤곽을 갖춘 금속광택 모양을 표현할 수 있는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박리성을 갖춘 기체 시트(2) 상에 박리층(3)을 전면적으로 형성하고, 다음에 그 위에 수용성 패턴층(4)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다음에 그 위에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을 전면적으로 형성하고, 다음에 그 위에 전면적 또는 수용성 패턴층(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부분적으로 보호층(6)을 형성하며, 다음에 가열처리를 수행하고, 다음에 수세 처리를 실시해서 수용성 패턴층(4)과 그 위에 형성된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 및 보호층(6)을 박리 제거하며, 다음에 접착층(7)을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Description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ELECTRIC WAVE TRANSPARENT TRANSFER MATERIAL}
본 발명은, 윤곽이 샤프해서 미려한 금속광택 모양을 표현할 수 있는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등의 통신기기, 자동차 내부의 정보 기기, 가전제품 등에서 플라스틱 성형품의 표면에 전파 투과성의 금속광택을 표현하기 위해 전사재를 이용해서 장식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피전사물 면을 장식하는 방법으로서 공지의 전사법이 있다. 전사법으로는 기체 시트 상에 박리층, 도안 무늬층, 접착층 등으로 이루어진 전사층을 형성한 전사재를 이용하고, 가열가압해서 전사층을 피전사물에 밀착시킨 후, 기체 시트를 박리해서 피전사물 면에 전사층 만을 전이시켜 장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또한, 피전사물이 수지성형품인 경우에 전사법을 보다 합리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는 성형 동시 전사법이 있다. 성형 동시 전사법이라 함은 전사재를 성형금형 내에 끼워넣고, 금형 내에 수지를 사출충만시켜 냉각해서 수지성형품을 얻 는 것과 동시에 성형품 표면에 전사재를 접착시킨 후, 기체 시트를 박리해서 피전사물 면에 전사층을 전이시켜 장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이용되는 전파 투과성을 갖춘 금속광택을 구비한 전사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 평7-3711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기재의 표면에 수용성 도료를 인쇄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도포하고, 그 위로부터 절연성 금속박막을 전면적으로 형성한다. 더욱이, 당해 절연성 금속박막의 위로부터 두께 0.05∼1.0㎛의 물 불용성 도료를 도포한 후, 이와 같이 해서 얻은 것을 수세(水洗)해서 수용성 도료를 용해 제거한다. 이 방법에 의해 수용성 도료 상의 절연성 금속박막과 물 불용성 도료를 제거함과 더불어 수용성 도료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절연성 금속박막과 물 불용성 도료를 잔존시켜 절연성 금속박막을 부분적으로 부여한다.
그러나, 상기한 전사재의 제조방법은 금속광택 모양의 윤곽이 샤프하게 되지 않고 희미해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한 방법에서는 얻어진 전사재를 구성하는 각 층에 있어서, 특히 수용성 도료와, 절연성 금속박막 및 물 불용성 도료와의 밀착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수세 공정으로 수용성 도료를 제거할 때에, 수용성 도료를 형성한 패턴의 윤곽 같이 절연성 금속박막 및 물 불용성 도료가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로서, 절연성 금속박막에 의해 표현되는 금속광택 모양의 윤곽이 의도한 바와 같은 패턴으로서 샤프하게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도 3 참조).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샤프한 윤곽을 갖춘 금속 광택 모양을 표현할 수 있는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1태양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은, 박리성을 갖춘 기체 시트의 상층에 박리층을 전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박리층의 상층에 수용성 패턴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박리층 및 수용성 패턴층의 상층에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을 전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의 상층에 전면적 또는 수용성 패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부분적으로 보호층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성 패턴층과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과 보호층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가열 처리를 수행하고,
수세 처리를 실시해서 수용성 패턴층과 그 상층에 형성된 전파 투과성 금속 광택층 및 보호층을 박리 제거하고,
접착층을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태양으로서, 제1태양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은, 수용성 패턴층이 아크릴산에스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태양으로서, 제1태양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은, 보호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텔계 수지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4태양으로서, 제1태양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은, 가열처리가 온도 120∼170℃에서 20∼50초간 가열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은, 박리성을 갖춘 기체 시트 상에 박리층을 전면적으로 형성하고, 다음에 그 위에 수용성 패턴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다음에 그 위에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을 전면적으로 형성하고, 다음에 그 위에 전면적 또는 수용성 패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부분적으로 보호층을 형성하며, 다음에 수용성 패턴층과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과 보호층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가열처리를 수행하고, 다음에 수세 처리를 실시해서 수용성 패턴층과 그 위에 형성된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 및 보호층을 박리 제거하며, 다음에 접착층을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샤프한 윤곽의 금속광택 모양을 표현할 수 있는 전파 투과성 전사재를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의 1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의 1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계속하기 전에, 첨부도면에서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서의 제1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의 1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중, 1는 전파 투과성 전사재, 2는 기체 시트, 3은 박리층, 4는 수용성 패턴층, 5는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 6은 보호층, 7은 접착층이다. 한편, 각 도면에서 같은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성 전사재(1)의 제조방법은 박리성을 갖춘 기체 시트(2) 상에 박리층(3)을 전면적으로 형성하고, 다음에 박리층(3) 상에 수용성 패턴층(4)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다음에 박리층(3) 및 수용성 패턴층(4) 상에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을 전면적으로 형성하고, 다음에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 상에 전면적 또는 수용성 패턴층(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부분적으로 보호층(6)을 형성하며, 다음에 수용성 패턴층(4)과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과 보호층(6)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가열처리를 수행하고, 다음에 수세 처리를 실시해서 수용성 패턴층(4)과 수용성 패턴층(4) 상에 형성된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 및 보호층(6)을 박리 제거하며, 다음에 접착층(7)을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박리성을 갖춘 기체 시트(2)로서는, 폴리플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텔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등의 수지시트 등, 통상적인 전사재의 기체 시트로서 이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기체 시트(2)의 표면이 미세한 요철을 갖춘 경우는, 전사층에 요철이 모사(模寫)되어 광택을 없게 하거나 헤어라인 등의 표면형상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체 시트(2)로부터의 전사층의 박리성을 개선하기 위해, 기체 시트(2) 상에 전사층을 설치하기 전에, 이형층(離型層)을 전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도시되지 않았음). 이형층은 전사 후 또는 성형 동시 전사 후에 기체 시트(2)를 박리했을 때, 기체 시트(2)와 함께 전사층으로부터 이형된다. 이형층의 재질로는 멜라민수지계 이형제, 실리콘수지계 이형제, 불소수지계 이형제, 셀룰로오스 유도체계 이형제, 요소수지계 이형제, 폴리올레핀수지계 이형제, 파라핀계 이형제 및, 이들의 복합형 이형제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형층의 형성방법으로는 롤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등의 코팅법,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인쇄법이 있다.
박리층(3)은 기체 시트(2)의 표면에 전면적으로 형성된다(도 1의 (a) 참조). 박리층(3)은 전사 후 또는 성형 동시 전사 후에 기체 시트(2)를 박리했을 때, 기체 시트(2) 또는 이형층으로부터 박리되어 피전사물의 가장 외면으로 되는 층이다. 박리층(3)의 재질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텔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고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등의 외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등의 코폴리머를 이용하면 좋다. 박리층(3)에 경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자외선경화성 수지 등의 광경화성 수지, 전자선경화성 수지 등의 방사선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을 선정해서 이용하면 좋다. 박리층(3)은 착색한 것이어도, 미착색인 것이어도 좋다. 박리층(3)의 형성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콤마 코팅법 등의 코팅법,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인쇄법이 있다.
다음에, 박리층(3) 상에 수용성 패턴층(4)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도 1의 (b) 참조). 부분적으로 형성된 수용성 패턴층(4)에 겹쳐서 전면적으로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을 형성하고, 수용성 패턴층(4)을 수세 처리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패턴층(4)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금속광택을 갖춘 전파 투과성의 패턴이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수용성 패턴층(4)은, 예컨대 폴리비닐알콜, 전분, 알기드, 에폭시, 폴리우레탄, 아크릴산에스텔 공중합체 등으로 대표되는 수용성 수지를 바인더로 하는 잉크를 이용하고,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인쇄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박리층 및 수용성 패턴층의 상층에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을 전면적으로 형성한다(도 1의 (c) 참조).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은 금속광택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플레이팅법 등으로 형성한다. 표현하고 싶은 금속광택 색에 따라 주석, 니켈, 금, 백금, 크롬, 철, 동, 인디움, 은, 티타늄, 납, 아연 등의 금속, 이들의 합금 또는 화합물을 사용한다. 특히, 주석 등의 금속은 미세한 섬형상 구조를 나타내도록 해서 박막형성을 함으로써 전파 투과성을 구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을 설치할 때에, 다른 전사층과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앵커층을 설치하여도 좋다 (도시되지 않았음). 앵커층의 재질로는, 2액성 경화우레탄수지, 열경화 우레탄수지, 멜라민계 수지, 셀룰로오스 에스텔계 수지, 염소함유 고무계 수지, 염소함유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등을 사용하면 좋다. 전(前) 앵커층 및 후(後) 앵커층의 형성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콤마 코팅법 등의 코팅법,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인쇄법이 있다.
다음에, 그 상층에 전면적으로, 또는 수용성 패턴층(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부분적으로, 보호층(6)을 형성한다(도 1의 (d) 참조). 보호층(6)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텔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고무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등의 외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등의 코폴리머를 이용하면 좋다.
다음에, 수용성 패턴층과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과 보호층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가열처리를 수행한다(도 1의 (e) 참조). 또한, 각 층 사이에 앵커층 등의 다른 층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수용성 패턴층과 전파 투과성 금속광 택층과 보호층에 각각 이웃하는 2개의 층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가열처리로서는 열원으로서 원적외선을 사용하는 것이나 열풍을 사용하는 것 등을 이용하면 좋다. 또한, 롤 서포트 방식, 플로팅 방식의 어디에라도 좋다. 가열조건은 필름 표면의 피크온도가 120∼170℃이고, 가열 시간이 20∼50초 사이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필름 표면의 피크온도가 140℃∼150℃이고, 가열 시간이 30∼40초 사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가열처리에 의한 열량이 적은 경우, 후 공정인 수세 처리시에 수용성 패턴층(4)과 함께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 및 보호층(6)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샤프한 패턴의 윤곽이 얻어지지 않는 염려가 있다. 또, 상기 범위를 넘어 가열처리에 의한 열량이 많은 경우는, 기체 시트(2)가 치수정밀도를 유지 없게 되는 등의 대미지를 받을 염려가 있다. 또한, 본 건 발명에서 말하는 가열처리는 통상적인 인쇄법에서 채용되는 인쇄 잉크의 건조 처리와는 다른 처리로서, 건조처리와 비교해서 고온이면서 장시간의 처리를 의미한다. 예컨대, 그라비아 인쇄법에서의 건조처리는 통상 80∼100℃에서 수 초간의 가열이 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본 건 발명에서는 보호층(6)을 형성한 후에 고온이면서 장시간의 가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수용성 패턴층(4)과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과 보호층(6)과의 사이의 밀착성이 높아, 후 공정인 수세 처리에 의해 수용성 패턴층(4)을 제거하는 때, 수용성 패턴층(4)이 형성된 형상의 윤곽을 따라 예쁘게 수용성 패턴층(4)과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과 보호층(6)이 제거되는 것으로 된다. 또, 수용성 패턴 층(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과 보호층(6)이 수용성 패턴층(4)이 형성된 형상의 윤곽을 따라 예쁘게 잔존하는 것으로 된다(도 2 참조). 여기서, 가열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수용성 패턴층(4)과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과 보호층(6)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아, 수용성 패턴층(4)을 수세 처리에 의해 제거한 경우, 본래 수용성 패턴층(4)과 함께 제거될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이나 보호층(6)이 일부 잔존하는 것으로 되고, 그 결과 수용성 패턴층(4)을 형성한 윤곽과 같이 패턴화되지 않아, 샤프한 윤곽을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도 3 참조).
다음에, 수세 처리를 실시하고(도 1의 (f) 참조), 수용성 패턴층(4)과 그 위에 형성된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 및 보호층(6)을 박리 제거한다(도 1의 (g) 참조). 수세 처리를 수행하는데에는, 수용성 패턴층(4)이 형성된 시트를 냉수 또는 온수 조(槽) 중에 침지, 또는 냉수 또는 온수 샤워 방수를 수행하면서, 보호층(6)이 형성된 면을 부드러운 브러시에 의해 마찰 세정을 수행하고, 수용성 패턴층(4) 상에 형성된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 및 보호층(6)과 함께 수용성 패턴층(4)을 완전히 제거하면 좋다. 수세 시는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이 보호층(6)에 의해 물리적으로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수세 브러시나 반송 롤이 접촉하더라도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에 손상이 생기기 어렵다. 다음에, 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수분을 열풍 건조에 의해 제거한다. 먼저 수행한 가열처리에 의해 수용성 패턴층(4)과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과 보호층(6)과의 사이의 밀착성이 높은 것으로 되기 때문에, 수용성 패턴층(4)을 수세 처리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수 용성 패턴층(4)을 형성한 윤곽을 따라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 및 보호층(6)이 샤프한 윤곽으로 잔존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접착층(7)을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시켜(도 1의 (h) 참조), 전파 투과성 전사재(1)를 얻는다. 접착층(7)은 피전사물 면에 상기 각 층을 접착하는 것이다. 접착층(7)은 접착시키고 싶은 부분에 형성한다. 즉, 접착시키고 싶은 부분이 전면적이라면, 접착층(7)을 전면적으로 형성한다. 또한 접착시키고 싶은 부분이 부분적이라면 접착층(7)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접착층(7)으로서는 피전사물의 소재에 적합한 감열성 또는 감압성의 수지를 적절히 사용한다. 예컨대, 피전사물의 재질이 아크릴계 수지인 경우는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면 좋다. 또한, 피전사물의 재질이 폴리페닐렌 옥시드·폴리스틸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스티렌 공중합체계 수지, 폴리스틸렌계 혼합 수지인 경우는, 이들 수지와 친화성이 있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틸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사용하면 좋다. 더욱이, 피전사물의 재질이 폴리프로피렌 수지인 경우는,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 염소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환화고무, 쿠마론인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7)의 형성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콤마 코팅법 등의 코팅법,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인쇄법이 있다.
전사층의 구성은 상기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5)에 의한 금속광택의 모양 이외에, 다양한 패턴이나 문자 등의 장식을 수행하기 위해 도안 무늬층을 형성하여도 좋다(도시되지 않았음). 도안 무늬층의 재질로서는, 폴리비닐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텔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폴리에스텔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 에스텔계 수지, 알키드 수지 등의 수지를 바인더로 하고, 적절한 색의 안료 또는 염료를 착색재로서 함유하는 착색잉크를 이용하면 좋다. 인쇄층의 형성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옵셋 인쇄법 등의 통상적인 인쇄법 등을 이용하면 좋다. 특히, 다색인쇄나 계조표현을 수행하는데에는 옵셋 인쇄법이나 그라비아 인쇄법이 적합하다. 또한, 단색의 경우에는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콤마 코팅법 등의 코팅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안 무늬층은 표현하고 싶은 도안 무늬에 따라 임의의 패턴으로 설치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해서 구성되는 전파 투과성 전사재(1)는 다음과 같이 이용함으로써 피전사물에 대해 장식을 수행할 수 있다.
피전사물로서는 수지성형품 등 각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피전사물은 투명, 반투명, 불투명한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피전사물은 착색되어 있어도, 착색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수지로서는 폴리스틸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ABS 수지, AS 수지, AN 수지 등의 범용 수지를 들 수가 있다. 또한, 폴리페닐렌옥시드·폴리스틸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레페닐렌에텔 수지,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 수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범용 엔지니어링 수지나 폴리슬폰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페닐렌옥시드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텔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액정 폴리에스텔수지, 폴리아릴계 내열수지 등의 슈퍼엔지니어링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유 리섬유나 무기 필러 등의 보강재를 첨가한 복합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층 구성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1)를 이용하고, 전사법을 이용해서 피전사물 면에 장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피전사물 면에 전파 투과성 전사재(1)의 접착층(7) 측을 밀착시킨다. 다음에, 실리콘 러버 등의 내열 고무상 탄성체를 구비한 롤 전사기, 업다운 전사기 등의 전사기를 이용하고, 온도 80∼260℃ 정도, 압력 490∼1960Pa 정도의 조건으로 설정한 내열 고무상 탄성체를 매개로 전파 투과성 전사재(1)의 기체 시트(2) 측으로부터 열과 압력을 가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접착층(7)이 피전사물 표면에 접착된다. 마지막으로, 냉각 후에 기체 시트(2)를 벗기면, 기체 시트(2)와 박리층(3)과의 경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 전사가 완료된다.
다음에, 상기한 전파 투과성 전사재(1)를 이용하고, 사출성형에 의한 성형 동시 전사법을 이용해서 피전사물인 수지성형품의 면에 장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가동형과 고정형으로 이루어진 성형용 금형 내에 전파 투과성 전사재(1)를 들여 보낸다. 그 때, 낱장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1)를 1매씩 들여 보내도 좋고, 장척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1)의 필요 부분을 간헐적으로 들여보내도 좋다. 장척의 전파 투과성 전사재(1)를 사용하는 경우, 위치결정기구를 갖춘 이송장치를 사용해서 전파 투과성 전사재(1)의 패턴과 성형용 금형과의 어림짐작이 일치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전파 투과성 전사재(1)를 간헐적으로 들여 보내는 때에, 전파 투과성 전사재(1)의 위치를 센서로 검출한 후에 전파 투과성 전사재(1)를 가동형과 고정형으로 고정하도록 하면, 항상 같은 위치에서 전파 투과성 전사재(1)를 고정할 수가 있어, 패턴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편리하다. 성형용 금형을 닫은 후, 게이트로부터 용융수지를 금형 내로 사출해서 충만시키고, 피전사물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면에 전파 투과성 전사재(1)를 접착시킨다. 피전사물인 수지성형품을 냉각시킨 후, 성형용 금형을 열어 수지성형품을 취출한다. 마지막으로, 기체 시트(2)를 벗겨냄으로써 전사가 완료된다.
실시예
이형층을 갖춘 두께 38㎛의 PET 필름을 기체 시트로 하고, 그 위에 먼저 박리층으로서 광경화성 수지를 두께 5㎛로 코터 인쇄법으로 전면적으로 형성하고, 다음에 그 위에 아크릴산에스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용성 수지를 두께 1㎛로 수용성 패턴층으로서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였다.
다음에, 저항 가열식 진공증착 장치를 이용해서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을 두께 200Å으로 전면적으로 형성하였다.
다음에, 그 위에 보호층으로서 1액 폴리에스텔계 수지를 이용하고, 두께 0.5㎛(건조시 막두께)로 되도록 부분적으로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였다.
다음에, 열풍 열처리기를 이용해서 140℃에서 30초간의 가열처리를 수행하였다.
다음에, 수세기에 10m/분의 주행속도로 상기 필름을 통해 수용성 패턴층과 그 위에 형성된 전파 투과성 금속 증착층 및 보호층을 박리 제거하였다(수세 처리).
다음에, 접착층으로서 염화 비닐계 수지를 이용하고, 두께 1㎛(건조시 막두께)로 되도록 전면적으로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형성해서 전파 투과성 전사재를 얻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은 전파 투과성 전사재는 수용성 패턴층을 형성한 패턴의 윤곽 같이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 및 보호층이 제거되어 샤프한 윤곽을 갖춘 금속광택 모양을 갖춘 것이었다.
또한, 비교예로서 가열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점 만을 상기 공정으로부터 변경하고, 그 외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해서 전파 투과성 전사재를 얻은 바, 수용성 패턴층을 형성한 패턴의 윤곽 같이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 및 보호층이 제거되지 않아, 금속광택 모양의 윤곽이 샤프한 것은 아니고 희미한 것이었다.
또한, 상기 여러 가지 실시형태 중 임의의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해서 충분히 기재되어 있으나, 본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로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 등의 통신기기, 자동차 내부의 정보 기기, 가전제품 등, 각종 성형품의 장식 등에서 적절히 이용할 수가 있어 산업상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박리성을 갖춘 기체 시트의 상층에 박리층을 전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박리층의 상층에 수용성 패턴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박리층 및 수용성 패턴층의 상층에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을 전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의 상층에 전면적 또는 수용성 패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부분적으로 보호층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성 패턴층과 전파 투과성 금속광택층과 보호층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가열 처리를 수행하고,
    수세 처리를 실시해서 수용성 패턴층과 그 상층에 형성된 전파 투과성 금속 광택층 및 보호층을 박리 제거하며,
    접착층을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보호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텔계 수지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패턴층이 아크릴산에스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처리가 온도 120∼170℃에서 20∼50초간 가열을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097023657A 2007-05-31 2008-05-23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 KR101502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44879 2007-05-31
JP2007144879A JP4096023B1 (ja) 2007-05-31 2007-05-31 電波透過性転写材の製造方法
PCT/JP2008/059549 WO2008149694A1 (ja) 2007-05-31 2008-05-23 電波透過性転写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100A KR20100017100A (ko) 2010-02-16
KR101502638B1 true KR101502638B1 (ko) 2015-03-13

Family

ID=3956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657A KR101502638B1 (ko) 2007-05-31 2008-05-23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241456B2 (ko)
EP (1) EP2151318B1 (ko)
JP (1) JP4096023B1 (ko)
KR (1) KR101502638B1 (ko)
CN (1) CN101678647B (ko)
BR (1) BRPI0812123A2 (ko)
CA (1) CA2687831A1 (ko)
MX (1) MX2009012854A (ko)
RU (1) RU2009147288A (ko)
TW (1) TWI433772B (ko)
WO (1) WO2008149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9700B2 (ja) * 2007-09-14 2013-11-13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電波透過性転写材とその製造方法
JP5153550B2 (ja) * 2008-09-30 2013-02-27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シート面の一部に金属薄膜を有し、ポリエステル系アンカー層を有する転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40094A (ko) * 2009-10-13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박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7393B1 (ko) 2011-01-13 2014-03-25 (주)엘지하우시스 금속 광택의 비전도성 전사 필름
KR101931336B1 (ko) * 2012-04-16 2018-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용 전사필름 및 전사필름을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US9989919B2 (en) 2013-07-30 2018-06-05 Daigin Chemical Co., Ltd. Method for forming a hydraulic transfer film, hydraulic transfer film, and patterned article
TWI552887B (zh) * 2014-06-12 2016-10-11 Daigin Chemical Co Ltd Water pressure transfer method and transfer film structure
CN112410729B (zh) * 2020-11-09 2022-12-06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超薄液态金属薄膜及制备方法和应用
JP7244103B2 (ja) * 2020-11-20 2023-03-22 尾池工業株式会社 金属調加飾フィルム、金属調成形体および金属調車両内外装部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4572A (ja) * 2004-03-10 2005-09-22 Nissha Printing Co Ltd 絶縁性部分金属光沢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631A (en) * 1985-08-28 1987-12-22 W. H. Brady Co. Rapidly removable undercoating for vacuum deposition of patterned layers onto substrates
JPH01103500A (ja) * 1987-10-16 1989-04-20 Dainippon Printing Co Ltd 部分金属蒸着層を有する転写箔の製造方法
US4891254A (en) * 1988-06-17 1990-01-02 Bianco James S Article with embedded optically-readable identification mea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H0737111B2 (ja) * 1989-06-23 1995-04-26 株式会社麗光 絶縁性金属薄膜を部分的に有する基材及び絶縁性金属薄膜を部分的に付与する方法
JPH0771880B2 (ja) * 1989-06-27 1995-08-02 株式会社麗光 転写材料の製造方法
JPH0737111A (ja) 1994-05-09 1995-02-07 Canon Inc 文書処理方法
US7156945B2 (en) 2002-04-24 2007-01-02 Sipix Imaging, Inc. Process for forming a patterned thin film structure for in-mold decoration
US7972472B2 (en) * 2002-04-24 2011-07-05 Sipix Imaging, Inc. Process for forming a patterned thin film structure for in-mold decoration
JP3756171B1 (ja) * 2004-10-28 2006-03-15 尾池工業株式会社 酸化防止層を備えた金属蒸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酸化防止層を備えた金属蒸着フィルム
JP4697900B2 (ja) * 2008-09-30 2011-06-0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装飾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4572A (ja) * 2004-03-10 2005-09-22 Nissha Printing Co Ltd 絶縁性部分金属光沢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96023B1 (ja) 2008-06-04
US8241456B2 (en) 2012-08-14
EP2151318A1 (en) 2010-02-10
TW200904629A (en) 2009-02-01
RU2009147288A (ru) 2011-06-27
JP2008296452A (ja) 2008-12-11
TWI433772B (zh) 2014-04-11
CA2687831A1 (en) 2008-12-11
US20100175823A1 (en) 2010-07-15
CN101678647B (zh) 2012-11-21
EP2151318A4 (en) 2012-01-04
BRPI0812123A2 (pt) 2014-11-18
MX2009012854A (es) 2009-12-11
WO2008149694A1 (ja) 2008-12-11
EP2151318B1 (en) 2013-02-20
KR20100017100A (ko) 2010-02-16
CN101678647A (zh)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638B1 (ko) 전파 투과성 전사재의 제조방법
JP5296059B2 (ja) 優れた立体感を有する転写シート
JP2010149383A (ja) 部分マット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JP3955599B2 (ja) マットハードコート用転写シートおよびマットハードコ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559793B1 (ko)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6255894A (ja) ヘアライン調加飾シート
JP4791596B2 (ja) 部分マットハードコート転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64056B1 (ko) 유브이 전사를 이용한 필름상의 패턴 형성 방법
JP2009090507A (ja) 加飾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加飾成形品
JPH09267357A (ja) 艶消しインサート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68491B2 (ja) 転写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加飾成形品
JP4054841B2 (ja) 凹凸模様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
JP5339700B2 (ja) 電波透過性転写材とその製造方法
JP2003181990A (ja) 凹凸模様加飾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3401231B2 (ja) 部分マットハードコート転写材と部分マットハードコ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4593325B2 (ja) 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80801A (ja) 絵付シートとこれを用いた絵付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8080584A (ja) 部分マットハードコート転写材と部分マットハードコ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0006031A (ja) 加飾成形品
JP2009029055A (ja) 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と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4266049B2 (ja) 凹凸模様を有する装飾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0052353A (ja) ヘアライン意匠を有する転写シートと転写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9202501A (ja)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と加飾成形品、金属蒸着転写シート
JP2005254572A (ja) 絶縁性部分金属光沢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1264510A (ja) 反射防止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