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606B1 -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606B1
KR101501606B1 KR1020120103899A KR20120103899A KR101501606B1 KR 101501606 B1 KR101501606 B1 KR 101501606B1 KR 1020120103899 A KR1020120103899 A KR 1020120103899A KR 20120103899 A KR20120103899 A KR 20120103899A KR 101501606 B1 KR101501606 B1 KR 101501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ub
blades
fan
w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577A (ko
Inventor
원승식
서은영
안용남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6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7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 개선을 통해 공기 흡입율과 토출공기의 정압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토출공기의 풍량과 풍속 및 풍압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의 콘형 허브와, 허브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들을 포함하며, 날개들은 허브 상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토출하는 다익팬형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에 있어서, 허브측부분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측의 상기 날개들측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허브의 상면부분으로부터 공기의 흡입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단의 리딩에지부(Leading Edge)부분이 특정한 방향을 향해 만곡되어 회전 시 공기의 유동방향을 축방향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내측날개들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내측날개들은, 허브의 콘형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의 날개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익단부분으로 갈수록 날개폭이 점차 넓어진다. 그리고 내측날개들 각각은, 익단부분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특정한 곡률로 만곡(彎曲)되어 있는 후향 및 후곡(Backward Curve, Backward Inclined)의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BLOWER FAN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 개선을 통해 공기 흡입율과 토출공기의 정압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토출공기의 풍량과 풍속 및 풍압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실내를 냉,난방하는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를 흡입한 후, 차실내로 송풍하는 송풍기(1)를 구비한다.
송풍기(1)는, 스크롤 케이싱(10)과, 스크롤 케이싱(10)의 송풍실(12)에 설치되는 송풍팬(20) 및, 송풍팬(20)을 구동시키는 송풍모터(30)를 구비한다.
송풍팬(20)은, 다익팬(Multi Vane Fan)으로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허브(Hub)(22)와, 허브(22)의 둘레에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24)들을 구비한다.
허브(22)는, 송풍모터(30)의 축(32)이 고정되는 콘형(Cone Type) 중앙부(22a)와, 콘형 중앙부(22a)의 가장자리 둘레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b)로 구성된다.
날개(24)들은, 허브(22)가 회전됨에 따라 동시에 회전운동하며, 이렇게 회전운동하는 날개(24)들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실(12)의 입구(12a)측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송풍실(12)의 출구(12b)측으로 송풍한다.
특히, 다수의 날개(24)들은, 허브(22)를 중심으로 고속으로 회전운동하는 과정에서, 송풍실(12)의 입구(12a)측 공기를 날개(24)들 안쪽부분으로 흡입하는데,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콘형 허브(22)의 상면에 부딪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공기는 송풍실(12)의 출구(12b)측으로 송풍된다.
한편, 날개(24)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단(翼端)부분이 회전방향을 향해 굽어져 있는 전향깃(Forward Curve)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날개(24)들을 전향깃으로 구성할 경우, 유체의 동압(Velocity Pressure)이 높아져 공기의 토출풍량이 증대되기 때문이며, 이로써,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동압(Velocity Pressure)은, 정압(Static Pressure)과 함께 송풍팬(20)의 전체토출압력(Total Pressure)을 이루는 것으로, 송풍팬(20)의 토출풍량과 풍속에 관계된다. 특히, 그 크기에 비례하여 송풍팬(20)의 토출풍량과 풍속이 증가되며, 이렇게 증가된 토출풍량은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정압(Static Pressure)은, 송풍팬(20)의 토출풍압에 관계되는 것으로, 그 크기에 비례하여 송풍팬(20)의 토출풍압이 증가되며, 이렇게 증가된 토출풍압은 하류측에 설치되는 저항체, 즉, 증발기(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대항능력을 높인다. 이로써, 다량의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여 차실내로 송풍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공조장치의 송풍팬(20)은, 많은 토출풍량과 빠른 풍속을 얻기 위해서 공기의 동압도 높아야 하지만, 높은 토출풍압을 얻기 위해서는 공기의 정압도 높아야 한다. 그래야만, 송풍팬(20)의 토출공기가 증발기의 저항을 극복하고 차실내로 원활하게 송풍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송풍팬(20)은, 날개(24)들이 전향깃으로 구성되어 공기의 동압이 증가되는 구조이므로, 공기의 토출풍량과 풍속은 증가되지만, 상대적으로 공기의 정압이 낮아져 하류측의 증발기에 대한 대항능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향깃의 날개(24)들을 갖는 송풍팬(20)은, 동압이 높아져 공기의 토출풍량과 풍속은 증가되지만, 상대적으로 정압이 낮아져 토출풍압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하류측에 설치되는 증발기에 대한 대항능력이 저하되고, 이로써,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실내의 냉,난반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 밖에도, 종래의 송풍팬(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시에, 날개(24)들이 형성되어 있는 가장자리 둘레부분으로만 공기가 집중적으로 흡입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날개(24)들의 안쪽 에지(Edge)부분으로만 집중적으로 흡입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공기의 흡입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송풍팬(20)의 송풍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 개선을 통해 토출공기의 동압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공기의 동압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의 토출풍압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의 토출풍압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류측의 증발기에 대한 송풍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차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 개선을 통해 공기의 흡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의 흡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의 송풍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은, 중앙의 콘형 허브와, 상기 허브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들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들은 상기 허브 상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토출하는 다익팬형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에 있어서, 상기 허브측부분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측의 상기 날개들측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허브의 상면부분으로부터 공기의 흡입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단의 리딩에지부(Leading Edge)부분이 특정한 방향을 향해 만곡되어 회전 시 공기의 유동방향을 축방향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내측날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날개들은, 상기 허브의 콘형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의 날개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익단부분으로 갈수록 날개폭이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날개들 각각은, 상기 익단부분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특정한 곡률로 만곡(彎曲)되어 있는 후향 및 후곡(Backward Curve, Backward Inclined)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에 의하면, 허브에 내측날개를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허브측으로의 공기 흡입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브측으로의 공기 흡입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이므로, 송풍팬의 토출풍량과 풍속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브에 내측날개를 설치하되, 내측날개가 토출공기의 정압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이므로, 송풍팬의 토출풍압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풍팬의 토출풍압을 높일 수 있으므로, 하류측의 증발기에 대한 송풍능력이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차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브에 밑면날개를 더 설치하고, 이를 통해 토출공기의 풍량과 풍속 및 풍압을 더 상승시키는 구조이므로, 송풍팬의 송풍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공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공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공조장치의 송풍팬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송풍팬(20)은, 중앙의 허브(22)와, 허브(22)의 둘레에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24)들을 구비한다.
허브(22)는, 송풍모터(30)의 축(32:도 2참조)이 고정되는 콘형 중앙부(22a)와, 콘형 중앙부(22a)의 가장자리 둘레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날개(24)들을 지지하는 연장부(22b)로 구성된다.
날개(24)들은, 허브(22)가 회전됨에 따라 동시에 회전운동하면서 상측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송풍한다.
이때, 날개(24)들 안쪽부분으로 흡입된 공기는 콘형 허브(22)의 상면에 부딪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날개(24)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단부분(24a)이 회전방향을 향해 굽어져 있는 전향깃(Forward Curve)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날개(24)들에 의해 토출된 공기는 동압이 높아지고, 이로써, 송풍팬(20)의 토출풍량과 풍속은 증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특징부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송풍팬은, 허브(22)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내측날개(40)들을 더 구비한다.
각 내측날개(40)들은, 허브(22)의 상면으로부터 공기의 흡입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내측날개(40)들은, 허브(22)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각 내측날개(40)들은, 허브(22)의 콘형 중앙부(22a)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의 날개(24)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렇게 연장된 각 내측날개(40)들은, 익단부분(42)으로 갈수록 날개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내측날개(40)들은, 송풍팬(20)의 회전 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허브(22)의 중앙부(22a)측 부분으로 다량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율을 상승시킨다. 이로써, 날개(24)들로만 흡입하는 종래의 송풍팬(20)에 비해 공기의 흡입율이 현저하게 상승된다. 그 결과, 송풍팬(20)의 송풍성능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한편, 공기를 흡입한 내측날개(40)들은, 흡입한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토출한다. 특히, 외측부분에 설치된 날개(24)들로 배출시키며, 이렇게 배출된 공기는 외측의 날개(24)들에 의해 풍속이 높아지면서 빠른 속도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각 내측날개(40)들은, 허브(22)에 형성되어 있되, 길이방향(A1)의 익단부분(42)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특정한 곡률로 만곡(彎曲)되어 있는 후향 및 후곡(Backward Curve, Backward Inclined)의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후향 및 후곡의 형상을 갖는 내측날개(40)들은, 흡입한 공기의 정압(Static Pressure)을 높여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의 토출풍압을 상승시킨다.
이로써, 하류측의 저항체, 즉, 증발기에 대한 송풍능력을 향상시킨다. 그 결과, 다량의 공기가 증발기의 저항을 극복하고 차실내로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차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킨다.
참고로, 후향, 후곡깃의 날개는, 공기의 정압(Static Pressure)을 높이는데 매우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각 내측날개(40)들은, 허브(22)에 형성되어 있되, 폭방향(A2) 상단의 리딩에지부(Leading Edge)(44)부분이 회전방향을 향해 특정한 곡률로 만곡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내측날개(40)의 형상을 축류팬(Axial Fan)의 날개형상으로 구성하기 위함이며, 이는, 송풍팬(20)의 회전시, 공기의 유동방향을 축방향으로 유도하고, 이를 통해 공기의 송풍량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내측날개(40)는, 전체 날개폭 중, 리딩에지부(44)부분만 회전방향을 향해 특정한 곡률로 만곡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회전방향에 대해 직각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도 6참조).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각 내측날개(40)들은, 상단의 리딩에지부(44)가 길이방향(A1)을 따라 사선(斜線)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리딩에지부(44)는, 길이방향(A)의 익근부분(46)으로부터 익단부분(42)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리딩에지부(44)는 허브(22)의 콘형 중앙부(22a)로부터 날개(24)의 상단 에지부분(24b)까지 사선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리딩에지부(44)의 익단부분(42)은, 날개(24)의 상단 안쪽 에지부분(24b)과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리딩에지부(44)가 사선으로 형성된 내측날개(40)들은, 회전 시에, 외측 메인 날개(24)들의 공기 흡입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날개(24)들의 송풍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구성의 내측날개(40)들은, 외측의 메인 날개(24)의 개수 대비 1/4 ∼ 1/3 범위의 개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내측날개(40)들의 개수가 외측의 메인 날개(24) 개수의 1/4이하이면, 날개의 개수가 너무 적어서 공기의 흡입율과 송풍율의 상승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며, 메인 날개(24) 개수의 1/3이상이면, 날개의 개수가 너무 많아서 메인 날개(24)의 송풍성능을 오히려 더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송풍팬(20)의 허브(22)에는, 다수의 관통구멍(50)들이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관통구멍(50)들은, 각 내측날개(4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특히, 각 내측날개(40)의 하측부분에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관통구멍(50)들은, 허브(22)를 관통하여 허브(22)의 밑면부분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관통구멍(50)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날개(40)들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허브(22)의 밑면부분으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허브(22)의 밑면부분으로 유입된 공기들이 허브(22)의 밑면 둘레의 날개(24)들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관통구멍(50)들은, 내측날개(40)의 평면 투영(投影)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측날개(40)를 허브(22)와 일체로 사출 성형할 시에, 관통구멍(50)을 통해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내측날개(40)의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 구조가 매우 간단해진다. 그 결과, 제조비용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허브(22)의 밑면에는, 다수의 밑면날개(60)들이 설치된다.
다수의 밑면날개(60)들은, 허브(2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내측날개(4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특히, 허브(2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날개(40)들과 대칭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밑면날개(60)들은, 송풍팬(20)의 회전 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측의 내측날개(40)와 함께 공기의 송풍효율을 상승시킨다. 이로써, 송풍팬(20)의 송풍성능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또한, 밑면날개(60)들은, 관통구멍(50)들을 통해 허브(22)의 밑면부분으로 유입된 공기도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공기의 송풍효율을 더욱 상승시킨다.
한편, 이러한 밑면날개(60)들은, 내측날개(40)들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의 익단부분(62)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특정한 곡률로 만곡되어 있는 후향 및 후곡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흡입한 공기의 정압(Static Pressure)을 높여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의 토출풍압을 상승시킨다.
또한, 밑면날개(60)들은, 하단의 리딩에지부(Leading Edge)(64)가 회전방향을 향해 특정한 곡률로 만곡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밑면날개(60)들은, 축류팬의 날개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송풍팬(20)의 회전시, 공기의 유동방향을 축방향으로 유도하고, 이를 통해 공기의 송풍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밑면날개(60)들은, 하단의 리딩에지부(64)가 길이방향을 따라 사선(斜線)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리딩에지부(64)는, 허브(22)의 콘형 중앙부(22a)로부터 날개(24)의 하단 에지부분까지 사선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송풍팬(20)의 회전 시에, 외측 날개(24)들의 공기 흡입작용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허브(22)에 내측날개(40)를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허브(22)측으로의 공기 흡입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허브(22)측으로의 공기 흡입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이므로, 송풍팬(20)의 토출풍량과 풍속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허브(22)에 내측날개(40)를 설치하되, 내측날개(40)가 토출공기의 정압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이므로, 송풍팬(20)의 토출풍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송풍팬(20)의 토출풍압을 높일 수 있으므로, 하류측의 증발기에 대한 송풍능력이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차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허브(22)에 밑면날개(60)를 더 설치하고, 이를 통해 토출공기의 풍량과 풍속 및 풍압을 더 상승시키는 구조이므로, 송풍팬(20)의 송풍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송풍기 10: 스크롤 케이싱(Scroll Casing)
12: 송풍실 20: 송풍팬(Fan)
22: 허브(Hub) 22a: 콘형(Cone Type) 중앙부
24: 날개 30: 송풍모터(Motor)
40: 내측날개 42: 익단부분
44: 리딩에지부(Leading Edge) 46: 익근부분
50: 관통구멍 60: 밑면날개
62: 익단부분 64: 리딩에지부(Leading Edge)

Claims (9)

  1. 삭제
  2. 중앙의 콘형 허브(22)와, 상기 허브(22)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24)들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24)들은 상기 허브(22) 상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토출하는 다익팬형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에 있어서,
    상기 허브(22)측부분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측의 상기 날개(24)들측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허브(22)의 상면부분으로부터 공기의 흡입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단의 리딩에지부(Leading Edge)(44)부분이 특정한 방향을 향해 만곡되어 회전 시 공기의 유동방향을 축방향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내측날개(40)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날개(40)들은, 외측의 날개(24)와 별도로 구성되고, 상기 허브(2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측의 날개(24)와 상이한 각도로 배열되며,
    상기 내측날개(40)들은,
    상기 허브(22)의 콘형 중앙부(22a)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의 날개(24)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익단부분(42)으로 갈수록 날개폭이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날개(40)들 각각은,
    상기 익단부분(42)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특정한 곡률로 만곡(彎曲)되어 있는 후향 및 후곡(Backward Curve, Backward Inclined)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날개(40)들 각각은,
    전체 날개폭 중, 상기 리딩에지부(44)부분은, 회전방향을 향해 특정한 곡률로 만곡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회전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내측날개(40)의 리딩에지부(44)는,
    상기 허브(22)의 콘형 중앙부(22a)측의 익근부분(46)에서 상기 날개(24)측의 익단부분(42)까지 상기 날개(24)의 상단부분을 향해 사선(斜線)의 형태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날개(40)들은,
    상기 외측의 날개(24) 개수의 1/4 ∼ 1/3 범위의 개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내측날개(40)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허브(22)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구멍(50)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멍(50)들은 상기 내측날개(40)들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허브(22)의 밑면부분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2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날개(40)들과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허브(22)의 밑면부분에 설치되는 다수의 밑면날개(60)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밑면날개(60)들은, 상기 관통구멍(50)들을 통해 상기 허브(22)의 밑면부분으로 유입된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날개(60)들 각각은,
    길이방향의 익단부분(62)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특정한 곡률로 만곡되어 있는 후향 및 후곡의 형상을 갖고;
    하단의 리딩에지부(Leading Edge)(64)가 회전방향을 향해 특정한 곡률로 만곡되어, 회전 시 공기의 유동방향을 축방향으로 유도하며;
    상기 리딩에지부(64)가, 상기 허브(22)의 콘형 중앙부(22a)측의 익근부분으로부터 상기 날개(24)측의 익단부분(62)까지 상기 날개(24)의 하단부분을 향해 사선의 형태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KR1020120103899A 2012-09-19 2012-09-19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KR101501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899A KR101501606B1 (ko) 2012-09-19 2012-09-19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899A KR101501606B1 (ko) 2012-09-19 2012-09-19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577A KR20140037577A (ko) 2014-03-27
KR101501606B1 true KR101501606B1 (ko) 2015-03-11

Family

ID=5064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899A KR101501606B1 (ko) 2012-09-19 2012-09-19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9008B (zh) * 2018-09-29 2020-05-08 泛仕达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带导流装置离心风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434A (ko) * 1998-07-31 2000-02-15 이형도 자동차용 블로어
JP2000240590A (ja) * 1999-02-23 2000-09-05 Hitachi Ltd 多翼前向ファン
KR20040010914A (ko) * 2002-07-25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의 임팰러구조
JP2012140884A (ja) * 2010-12-28 2012-07-26 Daikin Industries Ltd 多翼送風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434A (ko) * 1998-07-31 2000-02-15 이형도 자동차용 블로어
JP2000240590A (ja) * 1999-02-23 2000-09-05 Hitachi Ltd 多翼前向ファン
KR20040010914A (ko) * 2002-07-25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의 임팰러구조
JP2012140884A (ja) * 2010-12-28 2012-07-26 Daikin Industries Ltd 多翼送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577A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2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AU2005260828B2 (en)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with centrifugal blower
CN102536907B (zh) 用于空调的鼓风机
JP6430024B2 (ja) プロペラファン、プロペラファン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用室外機
JP4035237B2 (ja) 軸流送風機
JP4581992B2 (ja) 遠心送風機および該遠心送風機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20000012143A (ko) 예비 스월러를 구비한 차량용 원심 송풍기 조립체
CN100506584C (zh) 离心式风机
KR20070101642A (ko) 터보팬
JP2004060447A (ja) 多翼ファン
KR20140142950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JP2010242601A (ja) 遠心式送風機及び自動車用シート
KR20140054655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JP4865654B2 (ja) 遠心送風機およ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20011506A (ko) 차량용 냉각팬
KR10150160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KR2014003757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JP2003074494A (ja) ターボファン
KR10154000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KR10191188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KR10167637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KR1019503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KR1019758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KR20120023319A (ko) 공기조화기용 터보팬
KR20060089870A (ko) 터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