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090B1 -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090B1
KR101501090B1 KR20140024803A KR20140024803A KR101501090B1 KR 101501090 B1 KR101501090 B1 KR 101501090B1 KR 20140024803 A KR20140024803 A KR 20140024803A KR 20140024803 A KR20140024803 A KR 20140024803A KR 101501090 B1 KR101501090 B1 KR 10150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miconductor
semiconductor switch
voltage
polarity
neg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강률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02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9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having a synchronous rectifier circuit or a synchronous freewheeling circui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simultaneous control of series or parallel connected semiconductor devices
    • H02M1/092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simultaneous control of series or parallel connected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signals being transmitted optic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1차측의 양(+)극성 또는 음(-)극성 전압의 인가에 대응하여, 2차측에서의 양(+)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온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을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하고, 음(-)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방전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오프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이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양(+)전압 구동부와, 2차측에서의 음(-)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하여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온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을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하고, 양(+)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방전하여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오프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이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음(-)전압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형 전력변환기 시스템을 간단한 회로구조로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절연형 전력변환기 시스템의 소형화 및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SYNCHRONOUS RECTIFIER DRIVING CIRCUIT FOR INSULATION TYPE POWER CONVERTER}
본 발명은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차측 양(+)극성 및 음(-)극성 전압에 대응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및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스위칭을 통해 정류작용을 수행하는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를 이용하는 절연형 전력변환기의 2차측에는 정류를 위해 통상적으로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이러한 다이오드는 스위치 역할을 하며, 2차측으로 전달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턴온/턴오프를 반복함으로써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그러나, 다이오드는 도통저항이 크기 때문에, 도통 시 스위칭 손실이 발생하여 소자의 발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소자의 발열은 소자의 특성을 변화시켜 시스템의 오동작을 야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최근 전력변환기가 고(高)사양으로 개발되는 추세에 따라 큰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이오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학계와 산업계에서는 2차측 정류기로 전력반도체스위치를 이용한 동기정류기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동기정류기 방식은 변압기의 권선이 추가되는 등 변압기 설계에 있어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다른 방식에서는 전용 구동IC를 이용하여 동기정류기를 구동하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사용되는 소자의 비용이 고가이므로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6745호(공개일 2009.09.1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5321호(공개일 2009.12.0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측 양(+)극성에 대응하여 구동되는 양전압 구동부와, 1차측 음(-)극성에 대응하여 구동되는 음전압 구동부를 구비하여, 양전압 구동부에 포함된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와 음전압 구동부에 포함된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스위칭을 통해 정류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는, 1차측의 양(+)극성 또는 음(-)극성 전압의 인가에 대응하여, 2차측에서의 양(+)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온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을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하고, 음(-)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방전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오프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이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양(+)전압 구동부; 및 2차측에서의 음(-)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하여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온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을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하고, 양(+)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방전하여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오프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이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음(-)전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전압 구동부와 상기 음(-)전압 구동부의 구동전원으로 사용되는 보조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전압 구동부는, 1차측 양(+)극성 전압 인가에 대응하여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양(+)극성 전압검출부; 상기 양(+)극성 전압검출부의 스위칭에 대응하여 상기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턴온, 턴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 및 상기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 및 방전하여 2차측 코일의 전압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전압 구동부는, 1차측 음(-)극성 전압 인가에 대응하여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음(-)극성 전압검출부; 상기 음(-)극성 전압검출부의 스위칭에 대응하여 상기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턴온, 턴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 및 상기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 및 방전하여 2차측 코일의 전압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양(+)극성 전압검출부 및 상기 음(-)극성 전압검출부 각각은, 2차측 코일에 일단이 접속되는 저항(R1, R5)과, 상기 저항(R1, R5)의 타단에 접속된 포토커플러(U1, U2)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 및 상기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 각각은, 상기 포토커플러의 구동에 의해 제어되는 npn트랜지스터와 pnp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npn트랜지스터와 pnp트랜지스터간 이미터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pnp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와 포토커플러 사이에 저항(R2, R7)이 접속되고, 상기 npn트랜지스터 및 pnp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포토커플러 사이에 저항(R3, R6)이 접속되고, 상기 npn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에 구동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pnp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가 접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및 상기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각각은, 게이트 단자가 저항(R4, R8)을 경유하여 상기 npn트랜지스터 및 상기 pnp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에 접속되며,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저항(R1, R5)의 일단에 접속되고, 소스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에 따르면, 절연형 전력변환기 시스템을 간단한 회로구조로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절연형 전력변환기 시스템의 소형화 및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양(+)전압 인가시 동작상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전압 인가시 동작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는,
1차측의 양(+)극성 또는 음(-)극성 전압의 인가에 대응하여,
2차측에서의 양(+)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온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을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하고, 음(-)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방전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오프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이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양(+)전압 구동부(10)와,
2차측에서의 음(-)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하여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온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을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하고, 양(+)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방전하여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오프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이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음(-)전압 구동부(20)를 포함한다.
여기에, 양(+)전압 구동부와 음(-)전압 구동부의 구동전원(Vcc)으로 사용되는 보조전원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전압 구동부(10)는, 1차측 양(+)극성 전압 인가에 대응하여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양(+)극성 전압검출부(101)와, 양(+)극성 전압검출부(101)의 스위칭에 대응하여 전력반도체스위치의 턴온, 턴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102)와,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102)의 제어에 의해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 및 방전하여 2차측 코일의 전압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103)를 포함한다.
양(+)극성 전압검출부(101)는, 2차측 코일에 일단이 접속된 저항(R1)과, 저항(R1)의 타단과 접속된 포토커플러(U1)로 구성된다.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102)는, 포토커플러(U1)의 구동에 의해 제어되는 트랜지스터(Q2)와 트랜지스터(Q3)를 포함하며, 트랜지스터(Q2)와 트랜지스터(Q3)간 이미터 단자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단자와 포토커플러(U1) 사이에 저항(R2)이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2) 및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단자와 포토커플러(U1) 사이에 저항(R3)이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단자에 구동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103, Q1)는, 게이트 단자가 저항(R4)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2) 및 트랜지스터(Q3)의 이미터 단자에 접속되며, 드레인 단자가 저항(R1)의 타단에 접속되고, 소스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음(-)전압 구동부(20)는, 1차측 음(-)극성 전압 인가에 대응하여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음(-)극성 전압검출부(201)와, 음(-)극성 전압검출부(201)의 스위칭에 대응하여 전력반도체스위치의 턴온, 턴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202)와,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202)의 제어에 의해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 및 방전하여 2차측 코일의 전압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203)를 포함한다.
음(-)극성 전압검출부(201)는, 2차측 코일에 일단이 접속된 저항(R5)과, 저항(R5)과 접속된 포토커플러(U2)로 구성된다.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202)는, 포토커플러(U2)의 구동에 의해 제어되는 트랜지스터(Q4)와 트랜지스터(Q5)를 포함하며, 트랜지스터(Q4)와 트랜지스터(Q5)간 이미터 단자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4) 및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 단자와 포토커플러(U2) 사이에 저항(R6)이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 단자와 포토커플러(U2) 사이에 저항(R7)이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 단자에 구동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203, Q6)는, 게이트 단자가 저항(R8)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4) 및 트랜지스터(Q5)의 이미터 단자와 접속되며, 드레인 단자가 저항(R5)의 타단에 접속되고, 소스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여기서,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103) 및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203)는 기생 다이오드(body diode)가 포함된 MOSFET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유사한 동작을 하는 전력반도체스위치이며, 동기정류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보조전원부(30)는 2차측 코일(N23)에 애노드 단자가 접속된 다이오드(D)와, 다이오드(D)의 캐소드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되는 캐패시터(Co1)를 포함한다.
이 때, 출력전압 Vo가 구동전원으로 충분한 전압을 가질 경우, Vcc는 Vo로 대체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때 회로는 더 간략화되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참조부호 Co은 2차측의 직류 출력전압을 충전하는 출력 캐패시터이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양(+)전압 인가시 동작상태도이고, 도 2b는 음(-)전압 인가시 동작상태도이고, 도 3은 동작 파형도이다.
먼저,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시간 t0~t1 구간에서 1차측 변압기단에 양(+)전압이 인가되면 변압기의 자기적 특성으로 인해 2차측으로 1차측 양(+)전압이 전달되고 양(+)극성 전압검출부(101)의 전압인 VU1이 영(0)전압이 된다. 따라서 포토커플러(U1)의 광다이오드가 턴온이 되고, 발생된 광에너지는 광 트랜지스터로 전달되어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102)의 npn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이것을 통해 npn트랜지스터(Q3)가 도통되고 저항 R4를 거쳐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103, Q1)의 게이트-소스를 충전함으로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103, Q1)는 턴온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음(-)극성 구동부(20)는 역전압이 인가되어 포토커플러(U2)의 광다이오드 양단에는 변압기 1차측의 전압이 2차측으로 반영된 전압
Figure 112014020591916-pat00001
가 인가(
Figure 112014020591916-pat00002
)되며, 포토커플러(U2) 광다이오드는 턴오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203, Q6)에 충전되었던 게이트-소스단 전압은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202)의 pnp트랜지스터(Q5)가 도통되면서 접지를 통해 방전되고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203, Q6)는 턴오프된다.
한편,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시간 t1~t2 구간에서 1차측 변압기단에 음(-)전압이 인가되면 변압기의 자기적 특성으로 인해 1차측 음(-)전압이 2차측으로 전달되고 음(-)극성 전압검출부(201)의 전압인 VU2가 영(0)전압이 된다. 따라서 포토커플러(U2)의 광다이오드가 턴온이 되고, 발생된 광에너지는 광 트랜지스터로 전달되어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202)의 npn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이것을 통해 npn트랜지스터(Q4)가 도통되고 저항 R6을 거쳐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203, Q6)의 게이트-소스를 충전함으로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203, Q6)는 턴온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양(+)극성 구동부(10)는 역전압이 인가되어 포토커플러(U1)의 광다이오드 양단에는 변압기 1차측의 전압이 2차측으로 반영된 전압
Figure 112014020591916-pat00003
가 인가(
Figure 112014020591916-pat00004
)되며, 포토커플러(U1) 광다이오드는 턴오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103, Q1)에 충전되었던 게이트-소스단 전압은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102)의 pnp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면서 접지를 통해 방전되고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103, Q1)는 턴오프된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0 : 양(+)전압 구동부
20 : 음(-)전압 구동부
30 : 보조전원부
101 : 양(+)극성 전압검출부
102 :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
103 :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201 : 음(-)극성 전압검출부
202 :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
203 :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Claims (4)

1차측의 양(+)극성 또는 음(-)극성 전압의 인가에 대응하여,
2차측에서의 양(+)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온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을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하고, 음(-)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방전하여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오프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이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양(+)전압 구동부; 및
2차측에서의 음(-)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하여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온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을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하고, 양(+)극성 전압의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방전하여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턴오프함으로 2차측 코일의 전압이 출력 캐패시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음(-)전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전압 구동부 및 상기 음(-)전압 구동부 각각은, 2차측 코일에 일단이 접속되는 저항(R1, R5)과, 상기 저항(R1, R5)의 타단에 접속된 포토커플러(U1, U2)를 포함하는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압 구동부와 상기 음(-)전압 구동부의 구동전원으로 사용되는 보조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압 구동부는,
1차측 양(+)극성 전압 인가에 대응하여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양(+)극성 전압검출부;
상기 양(+)극성 전압검출부의 스위칭에 대응하여 상기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턴온, 턴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 및
상기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 및 방전하여 2차측 코일의 전압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전압 구동부는,
1차측 음(-)극성 전압 인가에 대응하여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음(-)극성 전압검출부;
상기 음(-)극성 전압검출부의 스위칭에 대응하여 상기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턴온, 턴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 및
상기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의 게이트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를 충전 및 방전하여 2차측 코일의 전압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를 포함하는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 및 상기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구동부 각각은, 상기 포토커플러의 구동에 의해 제어되는 npn트랜지스터와 pnp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npn트랜지스터와 pnp트랜지스터간 이미터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pnp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와 포토커플러 사이에 저항(R2, R7)이 접속되고, 상기 npn트랜지스터 및 pnp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포토커플러 사이에 저항(R3, R6)이 접속되고, 상기 npn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에 구동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pnp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가 접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양(+)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및 상기 음(-)극성 전력반도체스위치 각각은, 게이트 단자가 저항(R4, R8)을 경유하여 상기 npn트랜지스터 및 상기 pnp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에 접속되며,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저항(R1, R5)의 일단에 접속되고, 소스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KR20140024803A 2014-03-03 2014-03-03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KR10150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4803A KR101501090B1 (ko) 2014-03-03 2014-03-03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4803A KR101501090B1 (ko) 2014-03-03 2014-03-03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090B1 true KR101501090B1 (ko) 2015-03-12

Family

ID=5302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4803A KR101501090B1 (ko) 2014-03-03 2014-03-03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192B1 (ko) * 2019-09-10 2020-03-03 금호이앤지 (주) 브리지리스 회로를 이용한 에너지 효율 향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4131A (en) * 1999-03-12 2000-10-17 University Of Hong Kong Current driven synchronous rectifier with energy recovery
JP2007236058A (ja) * 2006-02-28 2007-09-13 Mitsum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080055942A1 (en) * 2006-09-06 2008-03-06 Delta Electronics, Inc. Resonance converter and synchronous rectification driv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4131A (en) * 1999-03-12 2000-10-17 University Of Hong Kong Current driven synchronous rectifier with energy recovery
JP2007236058A (ja) * 2006-02-28 2007-09-13 Mitsum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080055942A1 (en) * 2006-09-06 2008-03-06 Delta Electronics, Inc. Resonance converter and synchronous rectification driving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논문(제목: A New Current-Driven Synchronous Rectifier for Series-Parallel Resonant(LLC) DC-DC Converter), 논문발표 2011년 1월 *
IEEE 논문(제목: A New Current-Driven Synchronous Rectifier for Series-Parallel Resonant(LLC) DC-DC Converter), 논문발표 2011년 1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192B1 (ko) * 2019-09-10 2020-03-03 금호이앤지 (주) 브리지리스 회로를 이용한 에너지 효율 향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1044B2 (ja) ゲート駆動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602006B2 (en) Method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demagnetization zero current time for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JP4903214B2 (ja) 半導体スイッチをガルバニック絶縁で制御する方法および回路装置
CN101999205A (zh) 用于过渡模式电源转换器的有源吸收器
US20170302260A1 (en) Driving device and inductive load driving device
KR20190037093A (ko) 오프라인 전력 컨버터를 위한 동기식 정류기 제어기, 및 오프라인 전력 컨버터와 그의 방법
TWI583119B (zh) 應用於電源轉換器的同步整流器及其操作方法
JP504026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324009B2 (ja) 受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US20200036379A1 (en) Gate circuit and gate drive circuit for power semiconductor switch
US20060034107A1 (en) Bipolar bootstrap top switch gate drive for half-bridge semiconductor power topologies
CN108736748B (zh) 电源转换装置及其同步整流控制器
KR101501090B1 (ko)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KR20160125676A (ko) 자려식 액티브 클램프를 적용한 플라이백 컨버터
JP2011055597A (ja) スイッチング素子駆動回路及び電力変換装置
US956481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CN110326200B (zh) 开关控制装置
KR102272344B1 (ko) 전력 스위칭 장치 및 상기 전력 스위칭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JP2014150654A (ja) ゲート駆動回路
JP473049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884663B2 (en) Gate-controlled rectifier and application to rectification circuits thereof
JP2018007345A (ja) 絶縁ゲート型半導体素子駆動装置
KR101356927B1 (ko) 스위칭 전원장치
US11699945B2 (en) Drive circuit and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JP2012138984A (ja) リンギングチョーク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