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731B1 -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731B1
KR101500731B1 KR1020080017606A KR20080017606A KR101500731B1 KR 101500731 B1 KR101500731 B1 KR 101500731B1 KR 1020080017606 A KR1020080017606 A KR 1020080017606A KR 20080017606 A KR20080017606 A KR 20080017606A KR 101500731 B1 KR101500731 B1 KR 101500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temperature
mak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385A (ko
Inventor
김영진
이태희
박홍희
이호연
오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7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731B1/ko
Priority to US12/379,438 priority patent/US20090211266A1/en
Priority to EP09002689.9A priority patent/EP2096384B1/en
Priority to CN2009101179982A priority patent/CN101520261B/zh
Publication of KR2009009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빙 제작을 위한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트레이 온도 제어 방법에 의하여,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제빙실 내부에서도 투명빙의 제작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제빙 어셈블리, 트레이, 투명빙

Description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Controlling method of an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투명빙 제작을 위한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기 위한 가전 기기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과,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측에 제공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 및 냉장실이 냉동실의 하측에 제공되는 탑마운트 방식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냉장실 도어를 열지 않고도 음식물 또는 음료수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홈바 구조가 적용되는 냉장고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팽창 부재가 제공되고, 냉장고 본체 배면에는 증발기가 제공된다.
또한, 냉장고의 내부에는 제빙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상기 제빙 어셈블리는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장착되거나, 냉동실 도어 또는 냉장실 도어에 장착될 수 있 다.
또한, 최근에는 투명빙 생성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커지면서 투명빙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빙 어셈블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세히, 기존의 상업용 제빙기는 영상 온도에 노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투명빙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제빙 트레이가 주위 공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얼음이 생성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물속에 녹아 있는 공기가 물이 얼기 전에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냉장고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빙 어셈블리, 특히 냉동실 내부에 장착되는 제빙 어셈블리 또는 냉장실 내부에 장착되지만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를 직접 받는 제빙 어셈블리의 경우, 제빙실 온도가 영하의 온도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빙 트레이는 제빙실 온도와 거의 같은 온도로 유지되어, 제빙 속도가 상업용 제빙기에 비하여 매우 빠르다.
그 결과, 물속에 녹아있는 공기가 밖으로 채 빠져나가기도 전에 얼음이 얼어버리기 때문에, 투명빙 제작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냉장고 내부에 장착된 제빙 어셈블리에서도 투명빙 제작이 가능한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세히, 트레이의 온도를 다단 제어 가능하게 함으로써, 투명빙 제작이 가능한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에는, 트레이에 형성된 아이스 홈에 물이 공급되는 과정; 로드가 상기 아이스 홈 내부로 하강하는 과정; 제빙실 내부로 냉기가 공급되어, 상기 로드가 냉각되는 과정; 및 투명빙 생성을 위하여, 제빙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가 결빙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트레이 히터가 구동하는 과정이 포함되고, 상기 트레이 온도는 단계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트레이 온도 제어 방법에 의하여,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제빙실 내부에서도 투명빙의 제작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제빙 과정에서 트레이가 영상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제빙 속도를 늦추고, 로드에서 아이스 홈의 내주면 방향으로 퍼지면서 얼음이 형성되도록 한 다. 그러면, 제빙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물속에 녹아 있는 공기가 얼음에 갇히기 전에 신속히 배출되어, 투명빙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빙 과정에서 트레이의 온도를 낮추는 단계의 수에 따라 얼음의 크기 및 제빙 완료 후 잔수의 양이 조절되며, 투명도가 높은 얼음의 생성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제빙 어셈블리가 냉동실 도어에 장착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제빙 어셈블리는 냉동실 또는 냉장실 및 냉장실 도어에도 장착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구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는 도어(10)의 배면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10)의 배면에는 제빙 어셈블리(20)가 수용되는 제빙실(11)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1)의 일측면에는 증발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공급홀(111)과, 상기 제빙실(11)로 유입된 냉기가 다시 증발기 쪽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냉기 배출홀(112)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빙실(11)의 상측에는 제빙 어셈블리(20)가 장착되고, 상기 제빙 어셈블리(20)의 하측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 는 아이스 뱅크(3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 어셈블리(20)는 제빙 커버(31)에 의하여 보호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빙 커버(31)에 의하여 상기 제빙 어셈블리(20)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제빙실(11) 밖으로 비산되지 않고 안전하게 상기 아이스 뱅크(30)로 낙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4는 아이스 뱅크로 이빙되기 직전의 제빙 어셈블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20)에는, 특정 형태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아이스 홈(211)이 다수 개 배열되는 트레이(21)와, 상기 트레이(21)의 상측에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적층되는 다수 개의 핀(24)과, 상기 핀(24)을 관통하여 상기 아이스 홈(211)에 삽입되는 다수 개의 로드(23)와, 상기 다수 개의 핀(24)의 최하측에 제공되는 이빙 히터(25)와, 상기 이빙 히터(25), 핀(24) 및 상기 로드(23)가 단일체로 형성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판(27)과, 상기 트레이(21)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물공급부(26)와, 상기 트레이(21)의 타측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컨트롤 박스(28)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트레이(21)의 저면에는 히터(미도시)가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21)가 결빙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7)의 전단에는 지지 레버(271)가 연장되고, 일측 가장자리에는 힌지(27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빙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23)의 외주면에 상기 아이스 홈(211)과 동일한 형상의 얼음(24)이 부착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박스(28) 내부에는 캠(29)과, 상기 캠(29)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272)는 상기 캠(29)에 연결되며, 상기 캠(29)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승 및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빙 히터(25) 가 판 형태로 상기 로드(23)와 접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로드(23) 내부에 히터가 매설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7)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21)의 개구된 상부면은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1)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로드(23)를 통하여 상기 트레이(21)에 공급된 물을 간접적으로 냉각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에서 이루어지는 제빙 및 이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제빙 어셈블리(20)에 의하여 생성되는 얼음이 투명빙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21)에 부착된 히터가 구동하여 상기 트레이(21)가 영상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세히, 종래의 제빙 장치는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기에 의하여 물이 급속도로 결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속에 용해된 공기가 물밖으로 배출되지 못한다. 즉, 물속에 용해된 기체가 포함된 채로 얼음이 형성되기 때문에 투명빙의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20)는 상기 트레이(21)가 결빙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얼음 생성 속도를 늦춤으로써 물속에 녹아있는 공기가 결빙 전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20)에 의하여 투명빙이 용이하게 생성된다.
한편, 상기 로드(23)가 상기 아이스 홈(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급수가 이루어지고, 급수가 완료되면 제빙이 시작된다. 그리고, 제빙이 시작되면 상기 제빙실(11)로 냉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된 냉기에 의하여 상기 핀(24)이 결빙 온도 이하로 냉각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23)는 상기 핀(24)들과 열전도를 통하여 결빙 온도 이하로 냉각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23)의 일부분은 상기 트레이(21)의 아이스 홈(211)에 삽입되어 물에 잠긴 상태이다. 그러면, 상기 로드(23)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물은 점진적으로 결빙되어 상기 로드(23)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23)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아이스 홈(211)의 내주면으로 결빙이 확산된다.
또한,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캠(29)이 회전하여 상기 로드(23)가 아이스 홈(21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즉, 상기 캠(29)이 회전하여 상기 로드(23)가 상승하도록 하고, 상기 로드(23)가 상승하여 얼음(24)이 상기 아이스 홈(21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면 상기 캠(29)이 더 회전하여 상기 로드(23)가 소정 각도로 틸팅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빙 완료 시점은 제빙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 여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즉, 제빙이 시작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제빙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캠(29)이 구동하여 상기 로드(23)가 소정 높이 상승하도록 한다. 여기서 소정 높이 라 함은 상기 로드(23)에 응결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홈(21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전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23)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홈(211)에 남아 있는 잔수가 설정 양 이하 또는 미만인 경우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잔수의 양은 상기 트레이(21)에 장착된 수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아이스 홈(211)에 남아 있는 잔수가 설정 양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로드(23)가 다시 원위치로 하강하여 제빙이 계속 수행된다. 상기 수위 센서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판단 방법을 통하여 제빙 완료를 감지하면, 상기 로드(23)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23)가 상승하여 로드(23)에 부착된 얼음이 상기 제빙 트레이(21)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27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힌지(272)의 회전은 상기 캠(29)의 구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3)가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이루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이빙 히터(25)가 동작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히빙 히터(25)가 동작하면 상기 로드(23)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기 로드(23)의 표면과 얼음이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30)로 낙하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트레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트레이(21)에는 복수 개의 아이스 홈(211)이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홈(211)과 아이스 홈(211) 사이에는 소정 깊이의 그루브(213)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그루브(213)를 통하여 인접하는 그루브(213)로 물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그루브(213)는 상기 아이스 홈(211)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아이스 홈(211)의 상단부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21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공급되는 물이 상기 아이스 홈(211)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2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부(26)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상기 가이드(212)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홈(211)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12)에 근접한 아이스 홈(211)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물이 전달되어, 상기 가이드(212)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쪽의 아이스 홈(211)까지 채워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212)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 측면에 형성된 아이스 홈(211)의 측면에는 수위 센서(4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21)의 일측에는 온도 센서(50)가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21)가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21)에는 트레이 히터(미도시)가 장착되며, 상기 트레이 히터는 상기 트레이(21)에 매설되는 구조로 장착되거나, 상기 트레이(21)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에서 투명빙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트레이(21)에는 트레이 히터(6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21)에 함몰 형성되는 아이스 홈(21)에는 제빙용 물이 채워지고, 상기 로드(23)는 하강하여 상기 상기 아이스 홈(21)에 채워진 물에 잠기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빙이 시작되면 냉기가 상기 복수 개의 핀(24)에 부딪히고, 열전도에 의하여 냉기가 상기 핀(24)으로부터 상기 로드(23)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23)의 온도가 결빙 온도 이하로 하강하면 상기 로드(23) 주위에 얼음이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히터(60)가 구동하여 상기 트레이(21)는 영상의 온도로 유지된다. 제시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트레이(21)는 영상 1℃ ~ 2℃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헨리의 법칙에 의하여,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기체 용해도는 낮아지므로, 상기 트레이 히터(60)가 작동하면 물속에 녹아 있는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23) 주위로부터 상기 트레이(21) 쪽으로 얼음이 성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21)는 결빙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제빙이 완료되더라도 얼음이 상기 트레이(21)의 내주면에 부착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제빙이 완료되더라도 상기 아이스 홈(211) 내부에는 소정 량의 물이 남아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트레이 온도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온도 제어 방법은 트레이 온도를 다단으로 제어하여 고품질의 투명빙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트레이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낮춤으로써, 물속에 녹아있는 공기가 외부 로 신속하게 방출되고, 제빙 속도를 증가시키며, 제빙 후 잔수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먼저 사용자에 의하여 또는 냉장고 제어부의 자체 판단에 의하여 제빙 모드가 ON 된다(S110).
상세히, 상기 냉장고 제어부의 자체 판단이라고 하면, 상기 아이스 뱅크(30) 내부에 저장된 얼음의 양이 적어서 만빙 감지 수단에 의하여 감지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제빙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제빙 모드가 시작되면 급수가 이루어지고(S111), 트레이(21) 내부에서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급수가 완료된다(S112). 급수 완료 여부는 상기 수위 센서(40)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냉기가 제빙실(11)로 공급되어 로드(23)가 냉각된다. 상기 로드(23)가 냉각되면서 상기 트레이(21)의 아이스 홈(211)에 공급된 물이 결빙되기 시작한다.
한편,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50)에 의하여 트레이 온도가 감지된다.
상세히, 상기 트레이 온도(T)가 제 1 설정 온도(T1)보다 낮은지 여부가 판단되고(S113), 상기 트레이 온도(T)가 제 1 설정 온도(T1)보다 낮은 경우 트레이 히터가 온된다(S114). 상기 트레이 히터가 작동하여 트레이(21)가 결빙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물속에 포함된 공기가 얼음과 함께 결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트레이 온도(T)가 제 1 설정 온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트레이 히터가 오프된다(S115). 여기서, 트레이 히터(60)가 오프된다는 의미에는, 이전부터 오프 상태였던 히터가 계속하여 오프 상태로 유지되는 것도 포함됨을 밝혀 둔다.
또한, 제빙 시간(t)이 제 1 설정 시간(t1)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S116)되고, 설정 시간에 도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 온도 감지 과정(S113이하)이 반복 수행된다.
한편, 제빙 시간이 제 1 설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 온도(T)가 제 2 설정 온도(T2)보다 낮은지 여부가 판단된(S117). 여기서, 상기 제 2 설정 온도(T2)는 제 1 설정 온도(T1)보다 낮은 온도이다. 즉, 트레이(21)가 소정 시간 동안은 제 1 설정 온도(T1)으로 유지되도록 하다가, 제빙이 어느 정도 경과하여 얼음이 성장하면 상기 트레이(21)가 제 2 설정 온도(T2)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트레이 온도(T)를 낮추어감으로써, 완성된 얼음의 크기가 커지고 투명도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단계적으로 트레이 온도(T)를 낮춤으로써, 제빙 완료 후 아이스 홈(211) 내부에 남아 있는 잔수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얼음의 크기를 증가시키고자 하면 트레이 온도(T)를 낮추는 단계가 많아지도록 하고, 반대로 작은 크기의 얼음을 원한다면 상기 온도 하강 단계가 적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 온도(T)가 제 2 설정 온도(T2)보다 낮은 경우에는 트레이 히터를 온시킨다(S118). 반대로 트레이 온도(T)가 제 2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트레이 히터를 오프시킨다(S119). 이는 제 1 설정 온도로 유지하도록 하는 상위 단계와 제어가 동일하다. 그리고, 제빙 시간(t)이 제 2 설정 시간(t2)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120)하여, 이빙이 수행되도록 하거나(S121), 트레이를 제 2 설정 온도로 유지하는 과정(S117이하)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빙이 완료되면 제빙 모드가 오프된다(S122).
여기서, 상기 트레이 히터는 온/오프 기능이 수행되는 릴레이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트라이악(TRIAC) 또는 싸이리스터(THYRISTOR)와 같은 반도체 스위치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트레이(21)의 온도에 따라 스위치로 인가되는 전압의 양이 증감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21)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트레이 히터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켜 트레이(21)가 가열되도록 하고,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트레이 히터로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켜 트레이(21)의 온도가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제시된 제어 방법에 따른 트레이 온도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21)는 제 1 설정 온도(T)로 유지되도록 트레이 히터가 단속적으로 온오프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21)가 제 1 설정 시간(t1)동안 제 1 설정 온도(T)로 유지된 다음, 제 2 설정 온도(T2)로 제 2 설정 시간(t2)동안 유지된다.
상세히, 상기 트레이(21)가 제 1 설정 온도(T)로 제 1 설정 시간(t1)으로 유지되는 동안, 얼음의 크기가 성장하게 되고,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하면, 제 2 설정 온도(T)로 트레이 온도를 낮추어 제빙 완료 후의 잔수의 양이 감소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설정 온도(T2)도 결빙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에서는 트레이 온도(T)가 2단계로 낮아지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즉, 단계가 많아질수록 생성되는 얼음 은 더 커지고 잔수의 양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트레이 온도(T)가 다단계로 낮아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빙 과정에서 트레이(21)의 온도가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투명도가 높은 얼음의 생성이 가능하게 되고, 잔수의 양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23)의 온도를 낮추는 단계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얼음의 크기를 절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구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아이스 뱅크로 이빙되기 직전의 제빙 어셈블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트레이의 외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에서 투명빙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트레이 온도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8은 도 7에서 제시된 제어 방법에 따른 트레이 온도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

Claims (11)

  1. 트레이에 형성된 아이스 홈에 물이 공급되는 과정;
    로드가 상기 아이스 홈 내부로 하강하는 과정;
    제빙실 내부로 냉기가 공급되어, 상기 로드가 냉각되는 과정; 및
    제빙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가 결빙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투명빙이 형성되도록 트레이 히터가 구동하는 과정;
    제빙이 완료되고 이빙이 수행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히터가 구동하는 과정은,
    제 1 설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히터가 온오프를 반복하면서, 상기 트레이가 제 1 설정 온도로 유지되는 단계;
    상기 제 1 설정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히터가 오프되어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 1 설정 온도보다 낮은 제 2 설정 온도로 냉각되는 단계;
    제 2 설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히터가 온오프를 반복하면서, 상기 트레이가 제 2 설정 온도로 유지되는 단계;
    상기 이빙이 수행되는 과정은,
    상기 트레이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가 상승하는 과정; 및
    상기 로드가 설정 각도로 회전하고, 이빙 히터가 작동하여 얼음이 상기 로드로부터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로드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홈에 저장된 물을 간접적으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결빙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어,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아이스 홈의 내주면 방향으로 얼음 생성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온도는 시간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단계 이상으로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트레이 온도가 하강하는 단계가 많아질수록 제빙 완료 후의 얼음의 크기는 증가하고, 제빙 완료 후의 잔수의 양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11. 삭제
KR1020080017606A 2008-02-27 2008-02-27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KR101500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606A KR101500731B1 (ko) 2008-02-27 2008-02-27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US12/379,438 US20090211266A1 (en) 2008-02-27 2009-02-20 Method of controlling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EP09002689.9A EP2096384B1 (en) 2008-02-27 2009-02-25 Method of controlling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CN2009101179982A CN101520261B (zh) 2008-02-27 2009-02-27 控制用于冰箱的制冰组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606A KR101500731B1 (ko) 2008-02-27 2008-02-27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385A KR20090092385A (ko) 2009-09-01
KR101500731B1 true KR101500731B1 (ko) 2015-03-09

Family

ID=4108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606A KR101500731B1 (ko) 2008-02-27 2008-02-27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0731B1 (ko)
CN (1) CN10152026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237A (ko) * 2018-01-16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20190087238A (ko) * 2018-01-16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2679A4 (en) * 2018-10-02 2022-08-24 LG Electronics Inc. FRIDGE
US20210341209A1 (en) * 2018-10-02 2021-11-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862690A4 (en) * 2018-10-02 2022-07-27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WITH IT
WO2020071771A1 (ko) *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6972591A (zh) * 2018-10-02 2023-10-31 Lg电子株式会社 制冰器
US11703263B2 (en) 2018-10-02 2023-07-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22103738A (ja) * 2020-12-28 2022-07-08 アクア株式会社 製氷機
JP2022178589A (ja) * 2021-05-20 2022-12-02 アクア株式会社 製氷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090A (ko) * 2002-10-31 2004-05-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KR20070119271A (ko) * 2006-06-14 200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090A (ko) * 2002-10-31 2004-05-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KR20070119271A (ko) * 2006-06-14 200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237A (ko) * 2018-01-16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20190087238A (ko) * 2018-01-16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20220013503A (ko) * 2018-01-16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102432022B1 (ko) * 2018-01-16 2022-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20220116112A (ko) * 2018-01-16 2022-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20220146375A (ko) * 2018-01-16 2022-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102466761B1 (ko) 2018-01-16 2022-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102468615B1 (ko) * 2018-01-16 2022-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102503980B1 (ko) 2018-01-16 202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20230031267A (ko) * 2018-01-16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102578067B1 (ko) 2018-01-16 2023-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102631787B1 (ko) * 2018-01-16 2024-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385A (ko) 2009-09-01
CN101520261A (zh) 2009-09-02
CN101520261B (zh)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691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KR101500731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EP2096384B1 (en) Method of controlling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US10775087B2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101455392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및 제빙 어셈블리의 수위 감지방법
KR20180080021A (ko) 제빙장치,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제빙방법
EP2746701A1 (en) Refrigerator with no-frost freezer
KR20070119271A (ko)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KR20190103807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WO2018163332A1 (ja) 自動製氷機及び冷凍冷蔵庫
KR101389674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빙 완료 판단 방법
KR101483028B1 (ko) 냉장고 제빙기의 제어 방법
KR101538165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KR101652585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500732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빙 완료 판단 방법
KR101442838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및 제빙 어셈블리의 물넘침 방지방법
KR20090096790A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JP5055170B2 (ja) 逆セル型製氷機
KR100565607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JP2006078107A (ja) 冷凍冷蔵庫
KR102498724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0621241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제빙방법
JP2009036416A (ja) 冷蔵庫
JP2007285641A (ja) 冷凍冷蔵庫
JP4097596B2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