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620B1 - 광역동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광역동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620B1
KR101500620B1 KR1020130083060A KR20130083060A KR101500620B1 KR 101500620 B1 KR101500620 B1 KR 101500620B1 KR 1020130083060 A KR1020130083060 A KR 1020130083060A KR 20130083060 A KR20130083060 A KR 20130083060A KR 101500620 B1 KR101500620 B1 KR 10150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knob
optical fiber
outsid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732A (ko
Inventor
채현석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3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62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Photodynamic therapy, i.e. excitation of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9Stomach and/or 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역동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삽입되는 튜브; 튜브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튜브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광조사부를 튜브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튜브의 외부로 펼쳐지고, 동시에 회전되면서 광을 조사하게 된다. 따라서, 위장관(胃腸管)과 같은 굴곡진 부위나 요철 부위(점막 주름 부위)와 같은 생체 내에도 광이 조사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광역동 치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광역동 치료 장치{Apparatus for photodynamic therapy}
본 발명은 광역동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내부의 굴곡이 형성된 부분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광역동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부터 세균을 비롯한 여러 병원체에 대한 치료는 주로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를 수행하고 있으나, 이러한 항생제의 치료에 따라 최근에는 항생제에 대해서 내성을 나타내는 여러 세균(이른바 슈퍼 박테리아) 등의 병원체에 의한 감염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에, 환자의 항생제 순응도가 낮은 경우 또는 항생제에 대한 알러지가 있어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는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치료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장관(胃腸管)과 같은 한정된 공간 내에서 특정 파장의 광을 이용한 광역동 치료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위의 단면도 및 대만 부위의 내시경 사진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이 심한 조직의 경우 광의 조사가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더라도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192533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역동 치료를 이용하여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생체 내의 원인균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며, 생체 내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광의 조사가 어려운 굴곡진 부위나 요철(凹凸) 부위에도 효과적으로 광의 조사가 가능하여 원인균으로부터 발생되는 질병을 쉽게 치료할 수 있는 광역동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튜브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광조사부를 상기 튜브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부의 후단에는 상기 튜브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한 이동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튜브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선단부가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복수개의 광섬유 다발; 및 상기 광섬유 다발의 양측에서 선단부가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광섬유 다발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광섬유 다발이 선단에 연결되고, 상기 튜브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광섬유 다발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가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선단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광섬유 다발이 상기 튜브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생체 내의 광 조사 영역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튜브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1 노브; 및 상기 제1 노브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는 제2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브 또는 제2 노브에는 상기 제2 노브의 회전 또는 상기 제1 노브와 제2 노브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싱부가 결합되어 상기 광조사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튜브의 외부로 펼쳐지고, 동시에 회전되면서 광을 조사하게 된다. 따라서, 위장관(胃腸管)과 같은 굴곡진 부위나 요철 부위(점막 주름 부위)의 생체 내에도 광이 조사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광역동 치료가 가능하다.
도 1은 사람의 위를 도시한 개략도 및 위의 대만 부위의 내시경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역동 치료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광조사부가 튜브의 내부에 삽입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광조사부가 튜브의 외부로 배출된 것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광역동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역동 치료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광조사부가 튜브의 내부에 삽입된 것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4는 광조사부가 튜브의 외부로 배출된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광역동 치료 장치는 생체 내에 삽입되는 튜브(10); 상기 튜브(10)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튜브(10)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20); 및 상기 광조사부(20)를 상기 튜브(10)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조작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10)는 생체 내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위장관(胃腸管)과 같이 생체 내벽이 굴곡진 부위나 요철 부위(점막 주름 부위)로 삽입되어 광역학 치료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10)의 내부에는 이동부재(12)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부재(12)는 조작부(30)에 의해 튜브(10)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것으로서, 이동부재(12)는 광조사부(20)의 후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부재(12)가 조작부(30)에 의해 이동되면, 이에 연동하여 광조사부(20)가 튜브(10)의 내외부로 이동된다. 또한, 이동부재(12)는 대략 탄력성이 있으며 구부리기 쉬운 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튜브 형상의 고정부(14) 및 상기 고정부(14)의 내측에 삽입되는 회전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6)는 광조사부(20)의 광섬유 다발(22)이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튜브(10)의 외부로 광조사부(20)가 이동된 상태에서 광섬유 다발(22)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16)는 튜브(10)의 전체에 걸쳐 구비되지 않고, 튜브(10)의 선단부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단에 연결된 전선 등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한편, 광조사부(20)에는 원인균에 따라 특정한 주파수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LED 등의 광원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광섬유 다발(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광조사부(20)가 광섬유 다발(22)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섬유 다발(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선단부가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섬유 다발(22)이 튜브(10)의 외부에서는 펼쳐지도록 구성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생체 내의 굴곡진 부위에도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섬유 다발(22)이 튜브(10)의 외부로 배출될 때(도 4 참조)에는 선단부가 방사상으로 펼쳐지도록 구성하고, 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될 때(도 3 참조)에는 튜브(10) 내벽에 의해 오므라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튜브(10)를 생체 내로 삽입할 때에는 광섬유 다발(22)이 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 조사 부위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조사 부위에 도달해서는 튜브(10)의 외부로 배출되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광조사부(20)는 광섬유 다발(22)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부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4)는 이동부재(12)의 고정부(14)의 선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광섬유 다발(22)이 펼쳐지기 전에 위장관(胃腸管)과 같이 생체 내벽의 굴곡진 부위나 요철 부위(점막 주름 부위)를 평평하게 펴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고정부재(24)는 튜브(10)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바깥쪽으로 펼쳐지는 장력을 가진 막대형태이며, 굴곡진 부위나 요철 부위를 편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양측의 고정부재(24) 사이에 광섬유 다발(22)이 방사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고정부재(24)가 굴곡진 부위를 보다 평평하게 펴기 위해서 이동부재(12)와 연결된 고정부재(24)의 단부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탄성부재가 광섬유 다발(22)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고정부재(24)가 생체 내벽의 굴곡진 부위 등을 보다 평평하게 펼 수 있다.
다음으로, 조작부(30)는 광조사부(20)가 튜브(10)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이동부재(12)의 회전부(16)를 회전(고정부(14)는 회전되지 않음)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16)와 함께 광섬유 다발(20)이 회전되면 생체 내의 굴곡진 부위에 보다 효과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광섬유 다발(22)이 펼쳐진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되면 생체 내의 굴곡진 부위의 표면에 광섬유 다발(22) 각각이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광역동 치료가 가능한 것이다.
이때, 조작부(30)는 생체 내의 광 조사 영역에 따라 회전부(16) 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조사 영역이 넓은 경우 조작부(30)는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광섬유 다발(22)이 보다 넓게 펼쳐지도록 할 수 있고, 광 조사 영역이 좁은 경우 조작부(30)는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하여 보다 좁은 영역에 광섬유 다발(22)이 집중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조작부(30)는, 상기 튜브(10)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1 노브(32); 및 상기 제1 노브(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12)와 연결되는 제2 노브(3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노브(32)와 제2 노브(34)를 손바닥과 손가락 사이에 파지한 후 손가락을 오므려 제2 노브(34)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 동작에 의해 이동부재(12)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부(16)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노브(32) 또는 제2 노브(34)에는 제2 노브(34)의 회전 또는 제1 노브(32)와 제2 노브(34)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싱부(미도시)가 결합되어 광조사부(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는 사용자가 제2 노브(34)를 회전시킬 경우 제1 노브(32)와 제2 노브(34)의 접촉을 감지하여 광섬유 다발(22)이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다양한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튜브 12 : 이동부재
14 : 고정부 16 : 회전부
20 : 광조사부 22 : 광섬유 다발
24 : 고정부재 30 : 조작부
32 : 제1 노브 34 : 제2 노브

Claims (9)

  1. 생체 내에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튜브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광조사부를 상기 튜브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튜브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선단부가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복수개의 광섬유 다발; 및
    상기 광섬유 다발의 양측에서 선단부가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동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의 후단에는 상기 튜브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한 이동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동 치료 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광섬유 다발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동 치료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광섬유 다발이 선단에 연결되고, 상기 튜브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광섬유 다발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가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선단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동 치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광섬유 다발이 상기 튜브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동 치료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생체 내의 광 조사 영역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동 치료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튜브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1 노브; 및
    상기 제1 노브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는 제2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동 치료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브 또는 제2 노브에는 상기 제2 노브의 회전 또는 상기 제1 노브와 제2 노브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싱부가 결합되어 상기 광조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동 치료 장치.
KR1020130083060A 2013-07-15 2013-07-15 광역동 치료 장치 KR10150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060A KR101500620B1 (ko) 2013-07-15 2013-07-15 광역동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060A KR101500620B1 (ko) 2013-07-15 2013-07-15 광역동 치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32A KR20150008732A (ko) 2015-01-23
KR101500620B1 true KR101500620B1 (ko) 2015-03-10

Family

ID=5257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060A KR101500620B1 (ko) 2013-07-15 2013-07-15 광역동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84A (ko)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아모스팜 암치료에서 국소표적용 광역동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806548B2 (en) 2020-06-23 2023-11-07 Amos Pharm Co., Ltd. Photodynamic therapy apparatus for local targeting in cancer treat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01B1 (ko) * 2015-02-26 2016-10-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동 치료 캡 및 이를 결합한 내시경
KR101670400B1 (ko) * 2015-02-26 2016-10-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동 치료가 가능한 내시경
KR102084742B1 (ko) * 2018-03-30 2020-03-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동요법용 치료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4528B1 (en) * 2003-02-24 2008-03-18 Maxwell Sensors Inc Optic fiber probe
KR20080028893A (ko) * 2005-06-29 2008-04-02 온딘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광 전달용 핸드 피스 및 핸드 피스를 사용하는 시스템
KR100893761B1 (ko) * 2008-07-31 2009-04-20 박만수 캡슐형 광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4528B1 (en) * 2003-02-24 2008-03-18 Maxwell Sensors Inc Optic fiber probe
KR20080028893A (ko) * 2005-06-29 2008-04-02 온딘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광 전달용 핸드 피스 및 핸드 피스를 사용하는 시스템
KR100893761B1 (ko) * 2008-07-31 2009-04-20 박만수 캡슐형 광 치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84A (ko)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아모스팜 암치료에서 국소표적용 광역동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261641A1 (ko)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아모스팜 암치료에서 국소표적용 광역동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806548B2 (en) 2020-06-23 2023-11-07 Amos Pharm Co., Ltd. Photodynamic therapy apparatus for local targeting in cancer treat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32A (ko) 201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620B1 (ko) 광역동 치료 장치
JP6514640B2 (ja) 副鼻腔アクセスシステム
JP5922129B2 (ja) 副鼻腔開口部の治療のための医療装置
US9345864B2 (en) Methods for treating sinus ostia using balloon catheter devices having a slidable balloon portion
JP2006014960A (ja) 内視鏡
JP7138214B2 (ja) 処置具、内視鏡装置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2019520961A (ja) モジュール式体腔アクセスシステム
AU2013343041A1 (en) Paranasal sinus access system
JP2003220023A (ja) 生体内で装置を操作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214464B2 (ja) 内視鏡システム
CN109731208A (zh) 具有导航传感器的扩张导管和末端中的排气通道
JP3852033B2 (ja) 能動チューブおよび能動チューブシステム
EP3636163A1 (en) Micro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joint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KR101176864B1 (ko) 내시경수술용 수술도구 구동장치
US10549113B2 (en) Therapeutic apparatus for photodynamic therapy for investigating curved portion
WO2017109986A1 (ja) 可撓管挿入装置
ES2509317T3 (es) Endoscopio flexible para la ablación de tumores por radio frecuencia con acceso endoluminal
KR101484491B1 (ko)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KR101670401B1 (ko) 광역동 치료 캡 및 이를 결합한 내시경
JP4813630B2 (ja) 内視鏡装置
CN107115090B (zh) 内视镜装置
US20170112358A1 (en) Bending device, control device, and medical instrument
JP2020507432A (ja) 内視鏡補助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670400B1 (ko) 광역동 치료가 가능한 내시경
JP5132427B2 (ja) 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