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556B1 -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556B1
KR101500556B1 KR1020130073644A KR20130073644A KR101500556B1 KR 101500556 B1 KR101500556 B1 KR 101500556B1 KR 1020130073644 A KR1020130073644 A KR 1020130073644A KR 20130073644 A KR20130073644 A KR 20130073644A KR 101500556 B1 KR101500556 B1 KR 101500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glass
heating
temperature
vacuum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048A (ko
Inventor
황성현
안정혁
안기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건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to KR102013007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55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4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33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unusual substances, e.g. wood or other fibrous materials,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s
    • E06B2003/66338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unusual substances, e.g. wood or other fibrous materials,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s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진공 챔버와, 진공 챔버 내면에 각각 설치되되, 프릿 실링부재를 가열하도록 진공 챔버 내면의 각 면에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다수 개의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가열장치와, 진공 챔버에 배치되는 진공 복층유리를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된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다수의 온도감지센서와, 다수의 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전달 받아 프릿 실링부재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다수 개의 가열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진공 복층유리의 영역 별로 소정 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가열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VACUUM PAIR GLASS}
본 발명은 진공 복층유리의 프릿 실링부재를 용융시키는 과정에서 진공 복층유리의 위치에 따라 온도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복층유리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스페이서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제1,2유리판 사이에 프릿 실링부재(Frit seal)을 용융시켜 제1,2유리판을 접합시키고, 용융된 프릿 실링부재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프릿 실링부재를 냉각시키고, 제1,2유리판 중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홀을 통해 접합된 제1,2유리판 내부의 공기 및 가스를 배기시킨 후 배기홀을 캡핑부재를 이용하여 밀봉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의 진공 복층유리는, 진공 챔버와, 진공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진공 복층유리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와, 지지장치에 지지되어 있는 진공 복층유리의 프릿 실링부재를 용융시키는 가열장치와, 가열장치에 의해 용융된 프릿 실링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에서 제조된다.
한편, 종래의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중 가열장치는 진공 챔버의 내면 전체 즉, 전,후,좌,우,상,하면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장치는 진공 챔버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수의 진공 복층유리의 프릿 실링부재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진공 복층유리의 부분 및 지지되는 위치에 따라 온도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공 챔버 내부에 3개의 트레이가 설치될 경우, 중간의 트레이에 지지되는 진공 복층유리의 중앙은 진공 챔버 내면 전체에 설치되는 가열장치로부터 비교적 균일하게 열이 전달된다.
하지만 중간의 트레이에 지지되는 진공 복층유리의 가장자리는 각 가열장치의 거리에 따라 각 가열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열이 전달된다. 이로 인해 중간의 트레이에 지지되는 진공 복층유리의 중앙과 가장자리의 온도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더욱 상측 트레이 또는 하측 트레이에 지지되는 진공 복층유리의 경우 역시 각 가열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열이 전달됨에 따라, 중간 트레이에 지지되는 진공 복층유리와 비교할 때 상이한 온도의 열이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프릿 실링부재를 용융시키는 과정에서 각 진공 복층유리의 온도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2유리판과, 상기 제1유리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1,2유리판을 접합 가능하게 하는 프릿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는,
진공 챔버와, 상기 진공 챔버 내면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프릿 실링부재를 가열하도록 상기 진공 챔버 내면의 각 면에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다수 개의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진공 챔버에 배치되는 상기 진공 복층유리를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된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다수의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다수의 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전달 받아 상기 프릿 실링부재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상기 다수 개의 가열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진공 복층유리의 영역 별로 소정 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가열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에 따라, 진공 복층유리의 프릿 실링부재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과정에서 진공 복층유리의 영역 별로 소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의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의 진공 챔버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되는 가열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의 진공 챔버의 측면에 설치되는 가열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의 냉각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의 가열장치 제어부의 제어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요소들의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 복층유리(10)는 상호 대향하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유리판(11,12)과, 제1,2유리판(11,12)을 이격시키는 다수의 스페이서(14)와, 제1,2유리판(11,12)을 상호 접합시켜 제1,2유리판(11,12) 사이의 공간을 밀봉시키는 프릿 실링부재(13)를 포함한다.
제1유리판(11)과 제2유리판(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데, 제1,2유리판(11,12) 사이에 마련되는 다수의 스페이서(14)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제1,2유리판(11,12) 중 적어도 실내공간 쪽에 배치되는 제1유리판(11)은 단열효과가 뛰어난 로이(Low-e) 유리일 수 있다.
제1,2유리판(1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2유리판(11,12) 사이의 공간을 진공층으로 만들기 위한 배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홀에는 캡핑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다수의 스페이서(14)는 제1,2유리판(11,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2유리판(11,12)을 상호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각 스페이서(14)는 상호 동일한 형상을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호간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프릿 실링부재(13)는 제1유리판(1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다수의 스페이서(14)에 의해 상호 이격된 제1,2유리판(11,12)을 상호 접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릿 실링부재(13)는 후술할 진공 챔버(20)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장치(40)에 의해 용융되어 제1,2유리판(11,12)을 밀봉시키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는, 진공 챔버(20)와, 진공 챔버(20)의 내부로 진입된 진공 복층유리(1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30)와, 지지장치(30)에 지지된 진공 복층유리(10)의 프릿 실링부재(13)를 가열하는 가열장치(40)와, 가열장치(40)에 의해 가열된 프릿 실링부재(13)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50)와, 진공 챔버(20)를 진공 배기시켜 진공 챔버(20) 내부를 진공의 환경으로 만드는 진공장치(60)와, 진공 챔버 내부의 영역별로 온도를 감지하는 다수의 온도감지센서(70)와, 다수의 온도감지센서(70)에서 감지되는 온도를 이용하여 가열장치(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열장치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진공 챔버(20)는 진공 복층유리(10)의 제조를 위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챔버이다. 이러한 진공 챔버(20)에는 지지장치(30), 가열장치(40), 냉각장치(50), 진공장치(60), 온도감지센서(70) 등 각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21은 진공 챔버(20)의 진공 배기를 위해 형성되는 배기포트이다.
지지장치(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 챔버(20)의 내부로 진입된 진공 복층유리(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장치(30)는 가조립된 상태의 진공 복층유리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조립된 상태의 진공 복층유리는 제1,2유리판(11,12) 사이에 다수의 스페이서(14)가 배치되고, 제1,2유리판(11,12) 사이 공간의 가장자리에 프릿 실링부재(13)가 도포된 상태를 말한다.
상기의 지지장치(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챔버(20) 내부에 배치되는 트레이(31)와, 트레이(31) 상에서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핀유닛(33)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31)는 진공 챔버(20) 내부에서 진공 복층유리(10)가 지지될 수 있게 하는 지지장치의 몸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트레이(31)는 진공 챔버(20) 내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핀유닛(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31) 상에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진공 복층유리(10)를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다수의 지지핀유닛(33)은 진공 복층유리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지지핀유닛(3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4)와, 지지핀(35)과, 탄성부재(36)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34)는 트레이(31)의 상면에 설치되고, 지지핀(35)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지지핀(35)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34)의 내부에 수용되되, 그 상단이 몸체(34)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핀(35)의 상면에는 진공 복층유리(10)와 접촉 시 진공 복층유리(1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쿼츠 재질의 접촉부(37)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36)는 몸체(34)의 내부에서 지지핀(35)의 하측에 설치되어 진공 복층유리(10)가 지지핀(35)과 접촉될 때 지지핀(35)을 탄성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지핀유닛(33)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진공 복층유리(10)는 그 크기가 클 경우 중앙부분이 가장자리 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즉, 벤딩된 상태로 다수의 지지핀유닛(33)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지지핀유닛(33)이 일정 높이로 고정된 상태에서는 벤딩된 부분과 지지핀유닛(33)의 접촉 부위에서 허용치 이상의 힘이 가해져 진공 복층유리(10)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진공 복층유리(10)의 벤딩이 심화되는 중앙 부분에서는 가장자리 보다 큰 힘이 가해져 진공 복층유리(10)가 손상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지지핀유닛(33)이 진공 복층유리(10)의 각 부분을 개별적으로 탄성 지지함에 따라, 진공 복층유리의 벤딩에 의해 각 부분에서 다른 힘이 가해지더라도 진공 복층유리(10)의 손상 없이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장치는 가조립된 상태의 진공 복층유리가 아닌 조립되기 전 상태의 진공 복층유리를 지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유리판(11)이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와, 제2유리판(12)을 지지하며 제2유리판(12)을 제1지지부재에 지지된 제1유리판(11) 측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진공 챔버(20)에는 제1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제1유리판(11)의 가장자리에 프릿 실링부재(13)를 도포하는 도포장치(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지지부재는 도포장치에 의해 제1유리판(11)의 가장자리에 프릿 실링부재(13)를 도포한 후 이 프릿 실링부재(13)를 가열장치(40)에 의해 가열한 상태에서, 제2유리판(12)을 제1유리판(11) 측으로 수직 이동시켜 가압할 수 있다. 이는 가열된 프릿 실링부재(13)를 제2유리판(12)이 가압함에 따라 제1,2유리판(11,12)을 접합시키기 위함이다.
가열장치(40)는 제1,2유리판(11,12) 사이의 프릿 실링부재(13)를 가열 용융시켜 제1,2유리판(11,12)을 밀봉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가열장치(40)는 IR 램프 또는 레이저 조사장치일 수 있으며, 프릿 실링부재(13)를 진공의 환경에서 원활하게 가열 용융시킬 수 있으면 다른 수단이 채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가열장치(4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챔버(20)의 내면 전체 즉, 전,후,좌,우,상,하면에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진공 챔버(20) 내면의 상,하면에 설치되는 가열장치는 제1가열장치(140)라 지칭하고, 진공 챔버(20) 내면의 전,후,좌,우면 즉, 측면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가열장치는 제2가열장치(240)라 지칭한다.
상기의 제1가열장치(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챔버(20) 내면의 상면 또는 하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 배열되는 다수의 가열부재(141,142,143,14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가열부재(141,142,143,144)는 진공 챔버(2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어느 한 곳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는데, 각 가열부재(141,142,143,144)는 인접한 가열부재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다수의 가열부재(141,142,143,144)는 동심원 또는 동심다각형과 같은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가열부재가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 4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열장치(240)는 상기의 제1가열장치(140)와 마찬가지로 진공 챔버(20)의 4측면(전,후,좌,우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 배열되는 다수의 가열부재(241a,241b,241c,242a,242b,242c,243a,243b,243c)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가열부재(241a,241b,241c,242a,242b,242c,243a,243b,243c)는 각 가열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가열부재는 각 트레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가열장치(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트레이(31)가 설치될 경우 3개의 층으로 이루질 수 있으며, 각 층의 제2가열장치(240)는 좌측, 중앙, 우측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제2가열장치(240)는 각 층별로 3개의 가열부재(241a,241b,241c,242a,242b,242c,243a,243b,243c)가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의 제2가열장치(240)는 제1가열장치(140)와 마찬가지로 동심원 또는 동심다각형과 같은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냉각장치(50)는 가열장치(40)에 의해 용융된 프릿 실링부재(13)를 냉각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냉각장치(4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챔버(20)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51)과, 압축공기가 저장되어 있는 진공 챔버(20) 외부의 저장탱크(52)와, 다수의 분사노즐(51)과 저장탱크(52)를 연결하는 튜브(54) 상에 설치되는 에어피더(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냉각장치(50)는 진공 챔버(20) 외부에서 저장되어 있는 상온의 압축공기를 진공 챔버(20)로 분사시킴에 따라 프릿 실링부재(13)를 냉각시킨다.
진공장치(60)는 진공 챔버(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킴으로써 진공의 환경으로 만드는 진공펌프(61)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공펌프(61)에 의해 진공 챔버(20) 내부를 진공의 환경으로 만들고, 제1,2유리판(11,1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배기홀을 캡핑부재로 캡핑함에 따라 제1,2유리판(11,12) 사이의 공간을 진공층으로 만들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챔버(20) 내부에 다수 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온도감지센서(70)는 각 트레이(31)에 설치되는 진공 복층유리(10)를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별로 설치될 수 있다.
가열장치 제어부(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진공 복층유리(10)의 영역별로 설치되는 각 온도감지센서(70)에서 감지되는 온도를 토대로 각 가열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에서 가열장치의 각 가열부재를 제어하는 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2,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진공 복층유리(10)는 진공 챔버(20) 내부에서 다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31) 상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트레이(31) 상에 각각 지지된 진공 복층유리(10)의 프릿 실링부재(13)를 가열하기 위해 진공 챔버(20) 내부는 소정 온도, 예컨대, 대략 460℃의 온도로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열장치 제어부(80)는 가장 먼저 진공 챔버(20) 내면 전체에 걸쳐 설치된 각 가열부재를 작동시켜 진공 챔버(20) 내부의 온도를 설정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이때, 각 트레이(31)에 설치되는 진공 복층유리(10)는 각 가열부재를 동일한 온도로 작동시키더라도, 각 진공 복층유리(10)의 영역 별로 온도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열장치 제어부(80)는 각 진공 복층유리(10)의 영역별로 설치되는 다수의 온도감지센서(70)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을 전달받아 각각의 가열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진공 복층유리(10)의 프릿 실링부재(13)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소정 온도로 유지시켜 준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진공 복층유리(10)의 프릿 실링부재(13)를 가열할 때 진공 복층유리(10)의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온도감지센서에서 대략 460℃ 보다 높은 온도가 측정될 경우에는, 가열장치 제어부(80)가 상기 진공 복층유리(10)의 특정 영역에 근접하여 큰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재의 작동을 일시 정지하거나 상기의 가열부재에서 통상 보다 적은 온도를 발생하게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가열장치 제어부(80)가 진공 복층유리(10)의 특정 영역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온도감지센서(70)에서 측정되는 진공 복층유리(10)의 특정 영역의 온도가 대략 460℃에 이를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진공 복층유리(10)의 프릿 실링부재(13)를 가열할 때 진공 복층유리(10)의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온도감지센서(70)에서 대략 460℃ 보다 낮은 온도가 측정될 경우에는, 가열장치 제어부(80)가 상기 진공 복층유리(10)의 특정 영역에 근접하여 큰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재에서 통상 보다 높은 온도를 발생하게 한다.
이때, 가열부재의 동작 제어는 온도감지센서(70)에서 측정되는 진공 복층유리(10)의 특정 영역의 온도가 대략 대략 460℃에 이를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더욱 예를 들면, 진공 복층유리들 중 최상측의 진공 복층유리의 전방 우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70)에서 460℃ 보다 낮은 온도가 측정될 경우에는, 가열장치 제어부(80)가 진공 챔버(20) 상면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가열부재()와, 진공 챔버(20) 전면의 최상층의 우측에 배치되는 가열부재()와, 진공 챔버(20) 우측면의 최상층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가열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재()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의 장소에서 대략 460℃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공 복층유리(10)의 프릿 실링부재(13)를 가열할 때 진공 복층유리(10)를 영역별로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70)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을 토대로 가열장치 제어부(80)가 가열장치(40)의 각 가열부재를 제어하여 진공 복층유리(10)의 각 영역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각 진공 복층유리(10)의 영역별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각 영역별 온도 편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진공 복층유리(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공 복층유리(10)의 프릿 실링부재(13)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에는 진공 챔버(20) 외부의 상온 압축공기를 진공 챔버(20) 내부로 주입하여 프릿 실링부재를 냉각시킨다.
상기와 같이 프릿 실링부재(13)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진공 챔버(20) 내부로 주입되는 상온 압축공기는 진공 챔버(20) 내부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와 비교할 때 낮은 온도를 가짐에 따라 차가운 공기 특유의 성질에 따라 진공 챔버(20)의 하단으로 먼저 유동된다.
다시 말하면 각 트레이(31)에 지지되는 진공 복층유리(10) 중 최하측의 트레이에 지지되는 진공 복층유리의 온도가 나머지 진공 복층유리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공 복층유리(10)의 프릿 실링부재(13)를 가열하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프릿 실링부재(13)를 냉각하는 과정에서도 각 온도감지센서(70)에서 측정되는 진공 복층유리(10)의 온도값을 토대로 가열장치 제어부(80)로 하여금 각 진공 복층유리(10)가 균일한 온도를 갖도록 가열장치(40)의 각 가열부재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킨다.
특히, 프릿 실링부재(13)를 냉각하는 과정에서는 최하측에 배치되는 진공 복층유리의 온도가 다른 진공 복층유리 보다 낮은 관계로 최하측에 배치되는 진공 복층유리에 근접한 가열부재를 동작시켜 열을 발생시키게 한다.
이때, 가열부재의 동작 제어는 각 진공 복층유리(10)의 온도가 균일하도록 최하측의 진공 복층유리가 다른 진공 복층유리와 유사한 온도로 될 때까지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진공 복층유리 11: 제1유리판
12: 제2유리판 13: 프릿 실링부재
14: 스페이서 20: 진공 챔버
30: 지지장치 31: 트레이
33: 지지핀유닛 40: 가열장치
50: 냉각장치 60: 진공장치
70: 온도감지센서 80: 가열장치 제어부

Claims (6)

  1. 제1,2유리판과, 상기 제1유리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1,2유리판을 접합 가능하게 하는 프릿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복층유리를 제조하는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는,
    진공 챔버와,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 복층유리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와,
    상기 진공 챔버 내면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프릿 실링부재를 가열하도록 상기 진공 챔버 내면의 각 면에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다수 개의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진공 챔버에 배치되는 상기 진공 복층유리를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된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다수의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다수의 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전달 받아 상기 프릿 실링부재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상기 다수 개의 가열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진공 복층유리의 영역 별로 소정 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가열장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복수의 지지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핀유닛은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되 그 상단이 상기 몸체를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진공 복층유리와 접촉되는 지지핀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열부재는 상기 진공 챔버 내면에서 동심원 또는 동심 다각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열부재는 상기 진공 챔버 내면에서 다수의 층으로 배치되되, 각 층마다 다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챔버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가열부재는 동심원 또는 동심 다각형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진공 챔버의 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가열부재는 다수의 층으로 배치되되, 각 층마다 다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온도감지센서에서 특정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 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온도감지센서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상기 진공 복층유리의 특정 영역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재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는,
    상기 진공 복층유리로 외부의 상온 압축공기를 제공하여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상기 프릿 실링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장치 제어부는 상기 냉각장치를 통해 상기 프릿 실링부재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가열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진공 복층유리가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KR1020130073644A 2013-06-26 2013-06-26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KR101500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644A KR101500556B1 (ko) 2013-06-26 2013-06-26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644A KR101500556B1 (ko) 2013-06-26 2013-06-26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48A KR20150001048A (ko) 2015-01-06
KR101500556B1 true KR101500556B1 (ko) 2015-03-09

Family

ID=5247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644A KR101500556B1 (ko) 2013-06-26 2013-06-26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5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415B1 (ko) * 1996-09-24 2003-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효과 전자 방출 소자의 봉착 장치 및 방법
JP2005174636A (ja) * 2003-12-09 2005-06-30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415B1 (ko) * 1996-09-24 2003-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효과 전자 방출 소자의 봉착 장치 및 방법
JP2005174636A (ja) * 2003-12-09 2005-06-30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48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530B1 (ko) 진공유리패널 제조장치
KR101650816B1 (ko) 진공 펌핑 장치, 진공유리 제작 시스템, 및 관련 방법
KR101733835B1 (ko) 마감 부재용 프릿 성형체
JP6317933B2 (ja) 貼合基板製造装置及び貼合基板製造方法
JP2019529317A (ja) 真空断熱ガラスパネル組立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1500557B1 (ko)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KR101500556B1 (ko)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KR101442030B1 (ko)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KR20200014278A (ko) 진공 유리 제품
US2019036826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vig unit having improved temperature profile
KR101412512B1 (ko) 진공유리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00558B1 (ko)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KR101378043B1 (ko) 고진공을 갖는 진공유리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11162297B2 (en) Glass panel uni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KR101442029B1 (ko)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KR101708530B1 (ko) 진공유리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공유리 패널
KR101934666B1 (ko) 진공유리 열융착 인라인 시스템
CN112303383B (zh) 真空隔热板的制造装置、真空隔热板及其制造方法
WO2017028869A1 (en) Small diameter evacuation head for vig unit manufacture
KR102458044B1 (ko) 진공 유리 모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유리 모듈 제조 방법
JP3950328B2 (ja) チップ管封止・切断装置
JP6077142B2 (ja) 人工窓製造設備の封口装置
KR101604802B1 (ko) 진공유리패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패널의 제조 방법
KR101833616B1 (ko) 진공유리 열융착 인라인 시스템
KR101517180B1 (ko) 진공창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배기 헤드 및 진공창 제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