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451B1 - 시프트 록 장치 - Google Patents

시프트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451B1
KR101500451B1 KR20140164205A KR20140164205A KR101500451B1 KR 101500451 B1 KR101500451 B1 KR 101500451B1 KR 20140164205 A KR20140164205 A KR 20140164205A KR 20140164205 A KR20140164205 A KR 20140164205A KR 101500451 B1 KR101500451 B1 KR 101500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hift lever
lever
stag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원
이창식
이헌옥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에스엠씨
Priority to KR2014016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16H2059/0282Lever handles with lock mechanisms, e.g. for allowing selection of reverse gear or releasing lever from park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프트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게이트 형태의 레버조작방식으로 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측면에서 장치되어 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시프트 록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록 장치는, 게이트 형태의 변속 단을 따라 이송되는 변속레버; 상기 변속레버의 몸체 측면에 환봉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봉; 상기 변속레버의 일측에 수평으로 장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수직으로 장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고 끝단이 변속레버 몸체의 측면에 위치되어 돌출봉이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일측에 구동부에 걸려지는 작동돌기가 구비되어 브레이크를 밟으면 구동부에 의해 회전축에서 회전되어 돌출봉으로부터 이탈되는 록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프트 록 장치{shift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시프트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게이트 형태의 레버조작방식으로 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를 대상으로 하며, 상기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몸체 측면으로 록 레버가 설치되어 록 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록레버는 끝단에 록 기능을 집약한 형상으로 되어 변속레버 몸체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시프트 록 장치에 대한 것이다.
시프트 록 장치는 주로 차량의 자동변속기에 장치되어 N단에서 주행 변속 단(D단)의 변속은 허용하되,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N단에서 R단 내지 P단 또는 P단에서 다른 변속 단(R단 내지 D단)으로 변속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조작방식으로는 크게 스트레이트 형태와 게이트 형태가 있다. 스트레이트 형태는 변속 단이 직선으로 형성된 타입을 말하고, 게이트 형태는 변속 단이 단계적으로 굴곡 된 타입을 말한다. 스트레이트 형태는 변속레버의 이송방향에 대한 측면에서 걸림부를 형성하면 록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게이트 형태는 변속 단이 굴곡 되어 있으므로 걸림 위치를 선정하기 어렵다. 이에 다양한 방식의 록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통상 게이트 형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록 장치는, 변속레버의 몸체 일측에 장치되어 브레이크를 밟으면 회전하는 록레버를 구성하고, 상기 록레버는 변속레버가 N단 또는 P단에 위치될 때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다른 변속 단으로 이송되지 못하도록 변속레버의 어느 한 부분에 걸려지게 구성된다.
종래에 제안된 게이트 형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록 장치들은, 공통으로 록레버가 변속레버의 몸체 상단에 걸려지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록레버의 작동범위에 의해 변속레버장치의 하우징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낳는다. 이러한 문제는 운전석에 변속레버의 높이가 높아져 조작이 불편하게 된다.
또한 종래는 록레버에 걸려지는 변속레버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변속레버는 록레버의 걸림구조 외 미션을 작동시키는 비봇암 및 힌지축 등이 부가되는바, 이러한 부가구성을 회피하면서 걸림구조를 형성하기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종래는 하우징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록 방식이 절실하고, 변속레버에 구성되는 걸림구조의 간소화가 요구되고 있었다.
출원번호 제10-2002-0019900호, 제20-2004-0030068호, 제20-2013-0000298호.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사항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변속레버의 몸체 측면에서 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록레버에 록 기능을 집약하여 상대적으로 변속레버의 걸림구조를 간소화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완력에 의한 변속레버의 변속이 방지되도록 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록 장치는, 게이트 형태의 변속 단을 따라 이송되는 변속레버; 상기 변속레버의 몸체 측면에 환봉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봉; 상기 변속레버의 일측에 수평으로 장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수직으로 장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고 끝단이 변속레버 몸체의 측면에 위치되어 돌출봉이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일측에 구동부에 걸려지는 작동돌기가 구비되어 브레이크를 밟으면 구동부에 의해 회전축에서 회전되어 돌출봉으로부터 이탈되는 록레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록레버의 걸림부는, 변속레버가 N단에 위치될 때 돌출봉이 삽입되는 내측홈부; 변속레버가 P단에 위치될 때 돌출봉이 삽입되는 외측홈부; 상기 내측홈부와 외측홈부 사이를 이어지게 형성되고, 브레이크를 밟아 변속레버가 R단에 위치될 때 돌출봉의 상단에 얹혀지며, 변속레버가 N단에 위치될 때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변속레버의 돌출봉이 걸려져 R단 내지 P단으로 시프트 방향의 이송이 방지되고, 변속레버가 P단에 위치될 때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변속레버의 돌출봉이 걸려져 다른 변속 단으로 시프트 방향의 이송이 방지되는 격벽; 상기 내측홈부로부터 격벽의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어 브레이크를 밟지 않아도 N단에서 D단으로 이송을 허용하는 내측 개방부; 및 상기 내측홈부와 외측홈부에 삽입되는 돌출봉의 끝단을 막도록 안쪽에 형성되고, 변속레버가 N단 또는 P단에 위치될 때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변속레버의 돌출봉 끝단이 걸려져 셀렉트 방향으로 이송이 방지되는 격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홈부와 외측홈부는 돌출봉의 윗면이 막혀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홈부와 외측홈부의 윗면과 격벽의 측면이 이어지는 부분에는 삽입되는 돌출봉의 형태와 대응되게 원호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아랫면은 완곡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측면에서 록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변속레버장치의 하우징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록레버의 걸림부에 록 기능을 집약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변속레버에는 돌출봉의 구성만으로 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변속레버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내/외측홈부에 막혀있는 돌출봉의 윗면은 완력에 의한 변속레버의 이송이 방지되고, 내/외측홈부의 윗면과 격벽의 측면이 이어지는 곳에 형성된 원호형태로 된 부분은 해당 변속 단으로 돌출봉의 삽입 및 정 위치에 대한 고정을 용이하게 하며, 격판의 하단에 완곡지게 형성된 부분은 변속레버가 R단에서 있을 때 P단 또는 N단으로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락 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락 장치의 록레버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락 장치에서 변속레버가 N단에 위치될 때를 나타낸 작동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락 장치에서 변속레버가 D단에 위치될 때를 나타낸 작동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락 장치에서 변속레버가 N단에 위치될 때 브레이크를 밟은 작동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락 장치에서 변속레버가 R단에 위치될 때를 나타낸 작동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락 장치에서 변속레버가 P단에 위치될 때를 나타낸 작동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락 장치에서 변속레버가 P단에 위치될 때 브레이크를 밟은 작동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위치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은 특정 부분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지 않고 그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록 장치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록 장치는 변속레버(10); 돌출봉(20); 회전축(30); 구동부(31); 록레버(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속레버(10)는 몸체(11) 중간의 피봇암(12)를 중심으로 상부의 레버(13)가 게이트(14) 형태의 변속 단을 따라 이송된다. 상기 돌출봉(20)은 록레버(40)에 가려 도면에 표시되지 않지만 변속레버(10)의 몸체(11) 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0)은 변속레버(10)의 일측에 수평으로 장치된다. 상기 구동부(31)는 회전축(30)의 일측에 수직으로 장치된다. 구동부(31)는 브레이크를 밟으면 작동봉(31a)이 슬라이딩 작동하여 록레버(40)을 회전시킨다. 구동부(31)는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밸브로 될 수 있다. 회전축(30)은 도시하진 않았지만 변속레버장치의 하우징에 지지되어 회전된다. 상기 록레버(40)는 회전축(30)에 장착되고, 회전축(30)으로부터 변속레버(10)의 측면 돌출봉(20)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끝단에 돌출봉(20)에 걸려지는 걸림부(41)를 갖는다. 록레버(40)는 회전축(30)으로부터 구동부(31)의 작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작동돌기(42)가 구비된다. 구동부(31)는 작동돌기(42)의 끝단에 고리형태로 걸려져 작동봉(31a)을 아래로 당김으로써 록레버(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록레버(40)는 브레이크를 밟으면 회전축(30)을 중심으로 걸림부(41)가 회전되어 돌출봉(20)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이, 변속레버(10)의 몸체(11) 측면에 돌출봉(20)과 록레버(40)를 구성함으로써 변속레버장치의 하우징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한 회전작동에 의해 록 기능을 해제가 편리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서 표시되지 않은 돌출봉(20)이 나타나도록 함과, 도 1의 록레버(40)를 90도 회전하여 돌출봉(20)과 록레버(40) 간의 연관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봉(20)은 변속레버(10)의 몸체(11) 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돌출봉(20)은 환봉형태로 되어 있다. 돌출봉(20)은 변속레버(10)에 구멍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록레버(40)는 회전축(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축부(40a)와, 상기 축부(40a)의 일측으로부터 변속레버(1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암부(4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부(40b)의 끝단 저부로 돌출되어 돌출봉(20)이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봉(20)은 걸림부(41)에 걸려져 록 기능이 수행된다.
한편, 축부(40a)의 일측에 "ㄱ"형태로 형성된 부분은 수동조작을 위해 형성된 수동조작편(43)이다. 수동조작편(43)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부에 수동조작봉이 구비되고, 수동조작봉은 운전석으로 노출된다. 수동조작봉은 록 기능의 걸림이 구현되지 않을 때 눌러서 강제로 걸려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록 장치의 록레버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나타나지 않는 록레버의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보기 위해 첨부된 도면으로써, (a)는 도 1의 록레버를 180도 회전시켜 도시한 사시도 이고, (b)는 (a)를 저부에서 본 사시도 이며, (c)는 (a)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고, (d)는 (a)를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레버(40)의 걸림부(41)는 내측홈부(41a); 외측홈부(41b); 격벽(41c); 내측개방부(41d); 및 격판(41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홈부(41a)는 변속레버(10)가 N단에 위치될 때 돌출봉(20)이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외측홈부(41b)는 변속레버(10)가 P단에 위치될 때 돌출봉(20)이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격벽(41c)은 내측홈부(41a)와 외측홈부(41b) 사이를 이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개방부(41d)는 내측홈부(41a)로부터 격벽(41c)의 반대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격판(41e)은 내측홈부(41a)와 외측홈부(41b)의 돌출봉(20) 끝단을 막을 수 있도록 안쪽에 형성된다.
도면 (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내측홈부(41a)와 외측홈부(41b)는 정면에서 봤을 때, 삽입되는 돌출봉(20)의 윗면(41f)이 막혀있는 형태로 되고, 격벽(41c)의 반대 측과 아랫면은 개방된 형태로 된다. 상기의 윗면(41f)은 변속레버(10)가 하단의 피봇암(12)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그 회전방향의 외주 면을 덮어주어 완력에 의한 이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내측홈부(41a)와 외측홈부(41b)의 윗면(41f)과 격벽(41c)의 측면이 이어지는 부분에는 삽입되는 돌출봉(20)의 형태와 대응되게 원호(41g)형태로 된다. 상기의 원호(41g) 부분은 돌출봉(20)의 삽입 및 정 위치에 대한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내측홈부(41a)와 외측홈부(41b)와 이어지는 격벽(41c)은 변속레버(10)가 R단에 위치할 때 돌출봉(20)의 위에 얹혀지고, 격벽(41c)의 아랫면은 완곡(41h)지게 형성된다. 상기의 완곡(41h) 부분은 변속레버(10)가 R단에서 다른 변속 단으로 이송시 자연하중에 의해 내려오면서 내측홈부(41a) 또는 외측홈부(41b)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면 (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격벽(41c)은 변속레버(10)가 N단에 있을 때 R단 내지 P단으로, P단에 있을 때 다른 변속 단으로 옮기기 위한 시프트 방향의 이송이 돌출봉(20)의 측방 걸림에 의해 방지된다. 상기 격판(41e)은 변속레버(10)가 N단 또는 P단에서 다른 변속 단으로 변속하기 위해 옆으로 젖혀지는 셀렉트 방향의 이송이 돌출봉(20)의 끝단 걸림에 의해 방지된다. 그러나 변속레버(10)가 N단에서 D단으로는 내측개방부(41d)에 의해 돌출봉(20)이 걸리지 않아 이송이 자유롭다.
이와 같이, 록레버(40)는 걸림부(41)의 형상만으로 변속레버(10)의 모든 범위를 단속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변속레버(10)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완력에 의한 변속레버(10)의 이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록 장치에서 변속레버가 N단에 위치될 때를 나타낸 작동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써, (a)는 변속 단의 평면도이고, (b)는 돌출봉 및 록레버의 평면도이며, (c)는 돌출봉 및 록레버의 정면도이다. 이하의 작동도에서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레버(10)가 N단에 위치될 때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은 록레버(40)의 내측홈부(41a)에 위치된다. 상기 록레버(40)는 변속레버(10)를 N단으로부터 셀렉트 방향으로는 젖히고자 할 때에는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이 격판(41e)에 걸려져 변속레버(10)를 셀렉트 방향으로 이송을 제한한다. 또한 록레버(40)는 변속레버(10)를 N단으로부터 시프트 방향으로 옮기고자 할 때에는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이 격벽(41c)에 걸려져 시프트 방향으로 이송을 제한한다. 따라서 변속레버(10)는 N단에서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록레버(40)에 의해 N단에서 R단 또는 P단으로는 변속이 불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록 장치에서 변속레버가 D단에 위치될 때를 나타낸 작동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레버(10)가 D단에 위치될 때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은 록레버(40)의 내측홈부(41a)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록레버(40)는 내측홈부(41a)로부터 축관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변속 단은 게이트(14) 형태가 N단으로부터 D단으로 직선으로 이어짐과 평면상 N단으로부터 록레버(40)의 암부(40b) 반대방향으로 D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N단에서 D단으로 변속시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은 록레버(40)의 축관 방향으로 가까워지면 내측홈부(41a)로부터 이탈됨과 록레버(40)의 암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걸림현상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변속레버(10)는 브레이크를 밟지 않아도 N단에서 D단으로의 변속은 자유롭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록 장치에서 변속레버가 N단에 위치될 때 브레이크를 밟은 작동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레버(40)는 브레이크를 밟으면 구동부(31)가 작동하여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으로부터 들려지게 된다. 이렇게 록레버(40)가 들려지면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이 걸려지는 부분이 사라지게 되어 자유로운 이송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변속레버(10)는 N단에서 브레이크를 밟으면 록레버(40)의 작동에 의해 다른 변속 단으로 자유로운 변속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록 장치에서 변속레버가 R단에 위치될 때를 나타낸 작동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레버(40)는 브레이크를 밟아 R단으로 변속하면 격벽(41c)이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에 얹혀지게 된다. 이때 변속레버(10)는 록레버(40)가 돌출봉(20)에 얹혀진 상태에서 셀렉트 방향으로 젖혀지는 것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변속레버(10)를 R단에서 P단 또는 N단으로 향하는 시프트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면 록레버(40)는 하중에 의해 내려온다. 이렇게 록레버(40)가 하강하면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은 양측의 내측홈부(41a) 또는 외측홈부(41b) 중 어느 하나에 걸려진다. 따라서 변속레버(10)는 R단에 있을 때 셀렉트 방향의 이송은 가능하나, 시프트 방향으로 이송되면 록레버(40)에 자동으로 걸려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록 장치에서 변속레버가 P단에 위치될 때를 나타낸 작동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레버(10)가 P단에 위치될 때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은 록레버(40)의 외측홈부(41b)에 위치된다. 상기 록레버(40)는 변속레버(10)가 N단에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P단에 있을 때는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이 격판(41e)과 격벽(41c)에 걸려 셀렉트 방향과 시프트 방향의 이송이 제한된다. 따라서 변속레버(10)는 P단에서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록레버(40)에 의해 다른 변속 단으로는 변속이 불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록 장치에서 변속레버가 P단에 위치될 때 브레이크를 밟은 작동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레버(40)는 브레이크를 밟으면 구동부(31)가 작동하여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으로부터 들려지게 된다. 이렇게 록레버(40)가 들려지면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이 걸려지는 부분이 사라지게 되어 자유로운 이송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변속레버(10)는 P단에서 브레이크를 밟으면 록레버(40)의 작동에 의해 다른 변속 단으로 자유로운 변속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을 마치며, 본 발명에 해당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변속레버
11: 몸체
12: 피봇암
13: 레버
14: 변속 단
14a: 게이트
20: 돌출봉
30: 회전축
31: 구동부
40: 록레버
40a: 축부
40b: 암부
41: 걸림부
41a: 내측홈부
41b: 외측홈부
41c: 격벽
41d: 내측개방부
41e: 격판
41f: 윗면
41g: 원호
41h: 완곡
42: 작동돌기
43: 수동조작편

Claims (7)

  1.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록 장치로서,
    상기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록 장치는,
    게이트(14) 형태의 변속 단을 따라 이송되는 변속레버(10);
    상기 변속레버(10)의 몸체(11) 측면에 돌출되는 돌출봉(20);
    상기 변속레버(10)의 일측에 수평으로 장치되는 회전축(30);
    상기 회전축(30)의 일측에 수직으로 장치되는 구동부(31); 및
    상기 회전축(30)에 장착되고, 끝단이 변속레버(10) 몸체(11)의 측면에 위치되어 돌출봉(20)이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부(4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41)는 일측에 구동부(31)에 걸려지는 작동돌기(42)가 구비되어 브레이크를 밟으면 구동부(31)에 의해 회전축(30)에서 회전되어 돌출봉(20)으로부터 이탈되는 록레버(40);를 포함하는 시프트 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봉(20)은 환봉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록레버(40)는 회전축(30)에 삽입되는 축부(40a)로부터 일단이 변속레버(1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암부(4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부(40b)의 끝단 저부로 돌출되어 돌출봉(20)을 마주보는 면에 하나 이상의 홈으로 되어 돌출봉(20)이 삽입되는 걸림부(41)가 형성됨을 포함하는 시프트 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레버(40)의 걸림부(41)는 록레버(40)의 끝단 저부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걸림부(41)에는 돌출봉(20)이 마주하는 면에 회전축(30) 방향으로 형성되는 내측홈부(41a)와, 상기 내측홈부(41a)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외측홈부(41b)와, 상기 내측홈부(41a)와 외측홈부(41b) 사이를 이어지게 형성되는 격벽(41c)과 상기 내측홈부(41a)로부터 회전축(30)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측개방부(41d)와, 상기 내측홈부(41a)와 외측홈부(41b)의 안쪽에 형성되는 격판(41e)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홈부(41a)는 변속레버(10)가 N단에 위치될 때 돌출봉(20)이 삽입되고, 상기 외측홈부(41b)는 변속레버(10)가 P단에 위치될 때 돌출봉(20)이 삽입되며, 상기 격벽(41c)은 변속레버(10)가 N단 또는 P단에 위치될 때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 측방이 걸려져 R단으로 시프트 방향의 이송이 방지되고, 상기 격판(41e)은 변속레버(10)가 N단 또는 P단에 위치될 때 변속레버(10)의 돌출봉(20) 끝단이 걸려져 셀렉트 방향으로 이송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록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홈부(41a)와 외측홈부(41b)는 돌출봉(20)의 윗면(41f)이 막혀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윗면(41f)과 격벽(41c)의 측면이 이어지는 부분에는 삽입되는 돌출봉(20)의 형태와 대응되게 원호(41g)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록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벽(41c)은 브레이크를 밟아 변속레버(10)가 R단에 위치될 때 돌출봉(20)의 상단에 얹혀지며, 격벽(41c)의 아랫면은 완곡(41h)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록 장치.
KR20140164205A 2014-11-24 2014-11-24 시프트 록 장치 KR101500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4205A KR101500451B1 (ko) 2014-11-24 2014-11-24 시프트 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4205A KR101500451B1 (ko) 2014-11-24 2014-11-24 시프트 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451B1 true KR101500451B1 (ko) 2015-03-18

Family

ID=5302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4205A KR101500451B1 (ko) 2014-11-24 2014-11-24 시프트 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4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2699A (ja) * 1994-11-15 1996-06-04 Kojima Press Co Ltd シフトレバーのシフトロック構造
KR20040036265A (ko) * 2002-10-24 2004-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쉬프트레버의 쉬프트록 장치
JP4847653B2 (ja) 2001-08-01 2011-12-28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シフト装置
KR20130086074A (ko) * 2008-06-18 2013-07-30 이씨에스 엔지니어드 콘트롤 시스템 아게 변속기를 위한 기어변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2699A (ja) * 1994-11-15 1996-06-04 Kojima Press Co Ltd シフトレバーのシフトロック構造
JP4847653B2 (ja) 2001-08-01 2011-12-28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シフト装置
KR20040036265A (ko) * 2002-10-24 2004-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쉬프트레버의 쉬프트록 장치
KR20130086074A (ko) * 2008-06-18 2013-07-30 이씨에스 엔지니어드 콘트롤 시스템 아게 변속기를 위한 기어변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596B1 (ko) 파워 차일드 록 조작장치
US5660083A (en) Gear shifting device for a multi-speed bicycle
US9377100B2 (en) Shifter assembly
AU765566B2 (en) Parking apparatu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144797A (ja) 自転車のフロントディレイラを作動させる装置
KR101500451B1 (ko) 시프트 록 장치
GB2253197A (en) Cable connector for steering lock device
JP2009001231A (ja) 給油口用の開閉装置
KR200373783Y1 (ko)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록 장치
KR100736954B1 (ko) 자동변속기
JP4692360B2 (ja) タンク用開閉装置
EP2515003A1 (en) Shifting device
CN210195479U (zh) 一种限位双锁舌自动开门的智能锁锁体
KR100892514B1 (ko) 차량용 도어인사이드핸들 장치
KR960001132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루우프용 로타리 드라이브 축의 회전수 제한 기구
CN215056294U (zh) 一种多功能汽车门锁的外开传动机构
JP7359442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641872Y2 (ja) セレクタレバーのロック装置
EP0783842A1 (en) Device for locking in closed position the visor of helmets for motorcyclists and the like
JP4264598B2 (ja) 自転車用ハンドル転向装置
JP3920434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20050076520A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KR100428154B1 (ko)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록장치
JP3908367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6082599A (ja) 燃料タンク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