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110B1 - 용접품질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용접품질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110B1
KR101500110B1 KR1020130087485A KR20130087485A KR101500110B1 KR 101500110 B1 KR101500110 B1 KR 101500110B1 KR 1020130087485 A KR1020130087485 A KR 1020130087485A KR 20130087485 A KR20130087485 A KR 20130087485A KR 101500110 B1 KR101500110 B1 KR 101500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ed
welding quality
piece
split joint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089A (ko
Inventor
김태효
김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8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1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는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모재를 용접한 피용접부재의 성형성을 평가하도록, 상기 피용접부재가 안착되며, 중심에 통과홀이 형성된 하부금형, 상기 피용접부재의 상면에 접하게 제공되고, 중심에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용접부재의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 각각에 대응되게 눌려져서 상기 하부금형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상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의해서 고정된 상기 피용접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통과홀을 관통하게 제공되는 펀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접품질 평가장치{Testing apparatus for welding quality}
본 발명은 용접품질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모재를 용접한 피용접부재의 각각의 부분에 대응되는 폭으로 눌려져서 상기 피용접부재를 밀착하여 지지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산업의 비용절감 및 연비향상 요구 등에 따른 경량화 등으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Tailor Welded Blank: TWB)에 의한 프레스 성형품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TWB에 의한 프레스 성형품은 두께가 다른 둘 이상의 판재의 단부를 맞대고, 그 맞댐 부위에 연속 용접을 행하여 연결한 TWB에 대하여 냉각 프레스 가공을 하여 성형된 제품을 의미한다.
하지만, 종래의 TWB 프레스 성형품의 경우 연결된 두께 차이에 의한 용접품질의 판단이 어려워, 성형하려는 제품의 성형 한계 등의 예측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용접하려는 둘 이상의 판재의 재질이 다른 경우에는 각각의 판재의 두께 관계에 따라서 용접품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더욱 문제되었다.
즉, 대부분의 고강도 강판과 저강도 강판의 조합인 TWB의 경우 이러한 상기 고강도 강판과 저강도 강판의 두께 관계에 따라, 상기 강판들의 맞댄 부위의 용접부의 파단 강도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서로 두께가 상이한 판재들을 용접하는 경우에는 용접품질에 대한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TWB의 한계성형 높이(Limited Drawing Height: LDH)시험을 실시하고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에 통과홀(H)이 형성된 상부금형(20': 도 1의 (a))과 하부금형(10': 도 1의 (b)) 사이에 TWB(즉, 피용접부재: 2)를 고정한 상태로 펀치로 밀어올려 파단 직전의 높이를 측정하여 성형성을 평가하고 있다. 도 1의 (c)에 상기 피용접부재(2)가 밀어져 올려진 것을 하부금형(10')과 함께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용접부재(2)는 두께가 두꺼운 부분인 제1모재(2a)와 두께가 얇은 부분인 제2모재(2b)가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제2모재(2b)는 상기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10') 사이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부금형(20') 또는 상기 하부금형(10')과 밀착되지 않는 틈이 발생하여 정확히 성형성을 평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용접품질 평가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서로 다른 모재를 용접한 피용접부재의 신뢰도 높은 용접품질을 측정하여 성형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피용접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용접품질 평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는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모재를 용접한 피용접부재의 성형성을 평가하도록, 상기 피용접부재가 안착되며, 중심에 통과홀이 형성된 하부금형, 상기 피용접부재의 상면에 접하게 제공되고, 중심에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용접부재의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 각각에 대응되게 눌려져서 상기 하부금형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상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의해서 고정된 상기 피용접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통과홀을 관통하게 제공되는 펀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의 상기 상부금형은 상부바디부, 상기 상부바디부 내부에 제공되어 지지되며, 복수의 피스를 상기 피용접부재와 접하게 제공하는 분할접합부 및 상기 분할접합부의 일 피스가 상기 피용접부재에 의해 눌려지면 일측으로 이동토록, 테이퍼진 눌림면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바디부와 상기 분할접합부 사이에 제공되는 밸런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의 상기 분할접합부의 상기 피스는 상기 분할접합부의 중심에 대한 분할 원으로 제공되며, 상기 밸런스부의 상기 눌림면은 상기 밸런스부 중심을 피크점으로 하여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의 상기 밸런스부의 상기 눌림면은 상기 피스에 대응한 개수로 각각의 상기 피스가 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의 상기 분할접합부의 상기 피스는 상기 눌림면과 접하며, 상기 눌림면의 테이퍼진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단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의 상기 밸런스부는 상기 상부바디부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바디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의 상기 상부바디부는 상기 분할접합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이탈방지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접품질 평가장치는 피용접부재의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에 대응되게 눌려지는 상부금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피용접부재를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피용접부재의 두께에 따른 편차를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상기 피용접부재를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피용접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상기 피용접부재의 용접부위의 파단시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여 용접품질 내지 성형성을 평가하는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두께가 서로 다른 모재를 용접한 피용접부재를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경우의 성형 한계를 예측할 수 있어, 제품 성형을 위한 설계를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이점도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용접품질 평가장치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용접품질 평가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용접품질 평가장치의 상부금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접품질 평가장치의 상부금형에서 상부바디부를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접품질 평가장치의 상부금형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용접품질 평가장치의 상부금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용접품질 평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접품질 평가장치(1)는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모재(2a, 2b)를 용접한 피용접부재(2)의 각각의 부분에 대응되는 폭으로 눌려져서 상기 피용접부재(2)를 밀착하여 지지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즉,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모재(2a, 2b)를 용접한 상기 피용접부재(2)의 두께에 대응되게 눌려지는 상부금형(20)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피용접부재(2)를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피용접부재(2)의 두께에 따른 편차를 상기 상부금형(20)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보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피용접부재(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피용접부재(2)의 용접부위의 파단시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여 평가하는 용접품질 내지 성형성 평가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용접품질 평가장치(1)의 상부금형(2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용접품질 평가장치(1)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즉, 도 3a는 두께가 일정한 피용접부재(2)가 밀착시의 분할접합부(22)의 두 개의 피스(22a)가 동일 높이로 상기 피용접부재(2)를 밀착하여 지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도 7에 도시된 용접품질 평가장치(1)에서 상부금형(20)만을 도시한 것으로, 두께가 서로 다른 제1모재(2a)와 제2모재(2b)가 용접된 피용접부재(2)가 밀착시의 분할접합부(22)의 두 개의 피스(22a)가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피용접부재(2)를 밀착하여 지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도 3b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1)는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모재(2a, 2b)를 용접한 피용접부재(2)의 성형성을 평가하도록, 상기 피용접부재(2)가 안착되며, 중심에 통과홀(H)이 형성된 하부금형(10), 상기 피용접부재(2)의 상면에 접하게 제공되고, 중심에 통과홀(H)이 형성되며, 상기 피용접부재(2)의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 각각에 대응되게 눌려져서 상기 하부금형(10)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상부금형(20) 및 상기 상부금형(20)과 상기 하부금형(10)에 의해서 고정된 상기 피용접부재(2)를 가압하도록, 상기 통과홀(H)을 관통하게 제공되는 펀치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1)의 상기 상부바디부(21)는 상기 분할접합부(2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이탈방지탭(21a)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금형(10)은 상기 피용접부재(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피용접부재(2)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모재들이 용접되어 제공되는 부재로써, 용접된 부분의 파단 강도 등의 성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금형(10)에 안착되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금형(10)에는 후술할 펀치수단(3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t심에 통과홀(H)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피용접부재(2)를 가압하는 상기 펀치수단(30)이 상기 피용접부재(2)와 접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10)에는 상기 피용접부재(2)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통과홀의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탭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탭은 후술할 상부금형(20)에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용접부재(2)를 물어서 고정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금형(20)은 상기 하부금형(10)과 협력하여, 상기 피용접부재(2)를 지지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동시에, 두께가 서로 다른 모재(2a, 2b)가 용접된 상기 피용접부재(2)를 견고하게 밀착하여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피용접부재(2)의 두께에 대응되게 눌려저서 상기 하부금형(10)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금형(20)은 상부바디부(21), 분할접합부(22), 밸런스부(23)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부(21)는 상기 상부금형(20)의 바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 분할접합부(22) 및 밸런스부(23)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바디부(21)는 상기 분할접합부(22)와 상기 밸런스부(2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탈방지탭(21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탈방지탭(21a)은 상기 상부바디부(21)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분할접합부(22)와 밸런스부(23)가 상기 상부바디부(2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바디부(21)에 결합되어 제공됨으로써, 상기 분할접합부(22)와 상기 밸런스부(23)가 상기 상부바디부(21)의 내측에서만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할접합부(22)는 상기 피용접부재(2)를 구성하는 두께가 서로 다른 모재(2a, 2b)들에 대응하여 분할되어 제공되는 부분으로, 후술할 펀치수단(30)이 관통할 수 있는 통과홀(H)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금형(10)의 고정탭에 대응되는 고정홈이 상기 통과홀(H)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할접합부(22)가 분할되어 제공되는 피스(22a)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밸런스부(23)는 상기 분할접합부(22)와 협력하여 두께가 서로 다른 모재들로 구성된 상기 피용접부재(2)를 지지하는 폭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펀치수단(30)은 상기 하부금형(10)과 상기 상부금형(20)에 의해서 고정되는 상기 피용접부재(2)를 가압하여 성형성을 평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펀치수단(30)은 상기 하부금형(10)의 통과홀(H)을 통하여 상기 피용접부재(2)와 접할 수 있으며, 상기 피용접부재(2)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펀치수단(30)이 상기 피용접부재(2)의 성형성을 평가하는 것은 상기 펀치수단(30)이 상기 피용접부재(2)를 계속 가압하여 미는 동안에, 상기 피용접부재(2)에 파단이 발생할 때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여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펀치수단(30)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피용접부재(2)를 가압할 수 있다면, 다른 종류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접품질 평가장치(1)의 상부금형(20)에서 상부바디부(21)를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1)의 상기 상부금형(20)은 상부바디부(21), 상기 상부바디부(21) 내부에 제공되어 지지되며, 복수의 피스(22a)를 상기 피용접부재(2)와 접하게 제공하는 분할접합부(22) 및 상기 분할접합부(22)의 일 피스(22a)가 상기 피용접부재(2)에 의해 눌려지면 일측으로 이동토록, 테이퍼진 눌림면(23a)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바디부(21)와 상기 분할접합부(22) 사이에 제공되는 밸런스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바디부(21)는 상기 분할접합부(22)와 밸런스부(23)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이에 대하여는 전술하였으며, 이후에는 상기 분할접합부(22)와 상기 밸런스부(23)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분할접합부(22)는 상기 피용접부재(2)와 접하는 부분으로, 분할된 복수의 피스(22a)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피스(22a)는 상기 분할접합부(22)의 중심(22c)에 대한 분할 원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분할접합부(22)가 복수의 상기 피스(22a)를 제공함으로써,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모재(2a, 2b)가 용접된 피용접부재(2)에 밀착하여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피스(22a)가 후술할 밸런스부(23)와 협력하여 상기 피용접부재(2)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피스(22a) 마다 상기 상부바디부(21)에서 돌출되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후술할 밸런스부(23)가 테이퍼진 눌림면(23a)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피스(22a)는 상기 눌림면(23a)을 타고서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는데, 이를 상기 피스(22a)마다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게 제공하여 각각의 피스(22a)가 돌출되는 정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하나의 눌림면(23a)은 하나의 피스(22a)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피스(22a)가 각각의 눌림면(23a)을 타고 오르락 내리락함으로써, 상기 피용접부재(2)의 두께에 대응하여 돌출되고 함몰되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추가적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밸런스부(23)는 상기 분할접합부(22)의 피스(22a)가 돌출되거나 함몰될 수 있도록 협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밸런스부(23)에는 테이퍼진 눌림면(23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피스(22a)가 상기 눌림면(23a)을 타고서 올라갈 수도 있고 내려갈 수도 있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하부금형(10)에 안착된 상기 피용접부재(2)가 부분마다 두께가 다르게 용접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상부금형(20)이 상기 피용접부재(2)의 상부면과 접하게 제공되면, 각각의 피스(22a)는 눌려지는 폭이 상기 피용접부재(2)의 두께가 다른 부분마다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피스(22a)는 상기 피용접부재(2)에 의해서 많이 눌려지는 부분의 피스(22a)는 상기 밸런스부(23)의 눌림면(23a)을 따라서 상부로 올라가 함몰되게 되고, 적게 눌려지는 부분의 피스(22a)는 하부로 내려와 돌출되게 된다.
여기서, 한쪽의 피스(22a)가 함몰되면 상기 밸런스부(23)는 돌출되는 피스(22a) 부분으로 밀어지게 되어, 함몰되는 피스(22a)와 돌출되는 피스(22a)의 밸런스를 조정하여, 상기 피용접부재(2)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밸런스부(23)는 상기 상부바디부(21)의 내부 직경(D2)보다 작은 직경(D1)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접품질 평가장치(1)의 상부금형(20)을 도시한 저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1)의 상기 분할접합부(22)의 상기 피스(22a)는 상기 분할접합부(22)의 중심(22c)에 대한 분할 원으로 제공되며, 상기 밸런스부(23)의 상기 눌림면(23a)은 상기 밸런스부(23) 중심을 피크점(23b)으로 하여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1)의 상기 밸런스부(23)의 상기 눌림면(23a)은 상기 피스(22a)에 대응한 개수로 각각의 상기 피스(22a)가 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런스의 눌림면(23a)이 상기 피스(22a)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기 위해서, 상기 피스(22a)가 분할 원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눌림면(23a)도 상기 밸런스부(23)의 중심을 피크점(23b)으로 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피스(22a)가 상기 분할접합부(22)의 중심(22c)에 대한 분할 원으로 제공하는 경우는 상기 피용접부재(2)의 두께가 다른 모재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의 (a)는 2 분할된 피스(22a)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피용접부재(2)가 두께가 다른 제1모재(2a)와 제2모재(2b)로 구성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분할접합부(22)이다.
한편, 도 5의 (b)는 4 분할된 피스(22a)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피용접부재(2)가 두께가 다른 모재 4개로 구성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분할접합부(22)이다.
여기서, 상기 밸런스부(23)는 상기 피스(22a)이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밸런스부(23)의 중심을 피크점(23b)으로 하여 경사진 눌림면(23a)으로 제공되며, 상기 피스(22a)가 2개인 도 5의 (a)의 경우에는, 상기 눌림면(23a)도 2 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스(22a)가 4개인 도 5의 (b)의 경우에는, 상기 눌림면(23a)도 4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밸런스부(23)는 상기 밸런스부(23)를 잘 나타내기 위해서, 상기 피스(22a)와 약간 떨어뜨린 경우로써, 2면이 형성된 밸런스부(23)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용접품질 평가장치(1)의 상부금형(20)을 도시한 측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1)의 상기 분할접합부(22)의 상기 피스(22a)는 상기 눌림면(23a)과 접하며, 상기 눌림면(23a)의 테이퍼진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단부(22b)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품질 평가장치(1)의 상기 밸런스부(23)는 상기 상부바디부(21)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바디부(21)의 내부 직경(D2)보다 작은 직경(D1)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부(22b)는 상기 밸런스부(23)의 눌림면(23a)과 접하는 상기 피스(22a)의 하단부로써, 상기 밸런스부(23)를 타고 오르락 내리락하기 위해서, 상기 피스(22a)의 하단부도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공된 것이다.
즉, 상기 접촉단부(22b)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공되지 않으면, 상기 피스(22a)는 상기 밸런스부(23)와 면접촉할 수 없게 되어, 상기 밸런스부(23)를 타고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효과가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접촉단부(22b)를 상기 눌림면(23a)에 대응하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런스부(23)는 상기 상부바디부(21)의 내부 직경(D2)보다 작은 직경(D1)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밸런스부(23)가 상기 상부바디부(21)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간격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피스(22a)가 상기 밸런스부(23)의 눌림면(23a)을 누르는 경우에, 상기 밸런스부(23)가 상기 밸런스부(23)를 누르는 피스(22a)가 제공되는 위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다른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는 틈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밸런스부(23)를 눌러주는 피스(22a)는 상기 상부바디부(21)로 함몰되고, 그와 반대편에 있는 피스(22a)는 상기 밸런스부(23)가 이동하여 오면 돌출될 수 있는 작용에 대하여는 전술하였다.
1 : 용접품질 평가장치 2 : 피용접부재
10: 하부금형 20: 상부금형
21: 상부바디부 22: 분할접합부
23: 밸런스부 30: 펀치수단

Claims (7)

  1. 삭제
  2.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모재를 용접한 피용접부재의 성형성을 평가하도록,
    상기 피용접부재가 안착되며, 중심에 통과홀이 형성된 하부금형;
    상기 피용접부재의 상면에 접하게 제공되고, 중심에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용접부재의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 각각에 대응되게 눌려져서 상기 하부금형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상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의해서 고정된 상기 피용접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통과홀을 관통하게 제공되는 펀치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금형은,
    상부바디부;
    상기 상부바디부 내부에 제공되어 지지되며, 복수의 피스를 상기 피용접부재와 접하게 제공하는 분할접합부; 및
    상기 분할접합부의 일 피스가 상기 피용접부재에 의해 눌려지면 일측으로 이동토록, 테이퍼진 눌림면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바디부와 상기 분할접합부 사이에 제공되는 밸런스부;
    를 포함하는 용접품질 평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접합부의 상기 피스는 상기 분할접합부의 중심에 대한 분할 원으로 제공되며,
    상기 밸런스부의 상기 눌림면은 상기 밸런스부 중심을 피크점으로 하여 경사지게 제공되는 용접품질 평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부의 상기 눌림면은 상기 피스에 대응한 개수로 각각의 상기 피스가 접하게 제공되는 용접품질 평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접합부의 상기 피스는 상기 눌림면과 접하며, 상기 눌림면의 테이퍼진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단부;
    를 제공하는 용접품질 평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부는 상기 상부바디부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바디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공되는 용접품질 평가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부는 상기 분할접합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이탈방지탭;
    을 제공하는 용접품질 평가장치.
KR1020130087485A 2013-07-24 2013-07-24 용접품질 평가장치 KR10150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485A KR101500110B1 (ko) 2013-07-24 2013-07-24 용접품질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485A KR101500110B1 (ko) 2013-07-24 2013-07-24 용접품질 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089A KR20150012089A (ko) 2015-02-03
KR101500110B1 true KR101500110B1 (ko) 2015-03-06

Family

ID=5248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485A KR101500110B1 (ko) 2013-07-24 2013-07-24 용접품질 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8734B (zh) * 2016-04-25 2020-09-25 永康市隆智科技有限公司 可收集落料的金属焊接部位可靠性检测装置的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811Y1 (ko) * 1994-12-31 1998-07-01 김만제 용접부 특성평가 장치
KR19990053962A (ko) * 1997-12-24 1999-07-15 이구택 테일러드 블랭크의 성형성을 평가하기 위한 용접부 파단 유도방법
KR20100075143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재의 용접부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9618A (ko) * 2011-01-05 2012-07-13 주식회사 세원정공 갭 조절이 가능한 레이저용접용 지그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811Y1 (ko) * 1994-12-31 1998-07-01 김만제 용접부 특성평가 장치
KR19990053962A (ko) * 1997-12-24 1999-07-15 이구택 테일러드 블랭크의 성형성을 평가하기 위한 용접부 파단 유도방법
KR20100075143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재의 용접부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9618A (ko) * 2011-01-05 2012-07-13 주식회사 세원정공 갭 조절이 가능한 레이저용접용 지그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089A (ko)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238B2 (en) Method and apparatus that forms a closed cross-sectional structure
US20060016859A1 (en) Cold-pressure welding method and metal product welded by the method
JP6673760B2 (ja) 突起部成形装置、突起部成形方法
JP2009241082A (ja) プレス加工装置及びプレス加工方法
KR101500110B1 (ko) 용접품질 평가장치
JP6438182B2 (ja) プレス成形装置
CN205650703U (zh) 一种自动调整冲压行程的改良型高精度冲压模具
JP5135694B2 (ja) 接合良否判定方法及び接合装置
CN104550454A (zh) 模具结构
JP7035695B2 (ja) 接合装置および接合体の製造方法
JP2016215242A (ja) 金属薄板の成形限界試験方法および成形限界試験装置
TWI618585B (zh) 切斷加工裝置及切斷加工方法
CN112439826A (zh) 用于帽形横截面部件的制造装置和制造方法
KR101647211B1 (ko) 가변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1825660B1 (ko) 마찰 교반 홀 클린칭을 통한 이종소재 접합방법
KR20090070742A (ko) 성형성 평가장치
KR101803665B1 (ko) 복수의 저항 용접 요소들을 세팅하기 위한 도구
JP4622591B2 (ja) プレス加工用パンチ
JPWO2016158688A1 (ja) 薄鋼板のスポット溶接方法及びスポット溶接継手
JP2011245506A (ja) 段曲げ加工装置および方法
CN106334758B (zh) 起伏剧烈冲压件整形模具
JP5933299B2 (ja) プレス成形装置
CN207508095U (zh) 一种金属板材的槽口翻边冲压模具
CN114433727A (zh) 轮罩及轮罩制造方法
JP6063349B2 (ja) ファインブランキ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