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510B1 -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510B1
KR101498510B1 KR1020120068269A KR20120068269A KR101498510B1 KR 101498510 B1 KR101498510 B1 KR 101498510B1 KR 1020120068269 A KR1020120068269 A KR 1020120068269A KR 20120068269 A KR20120068269 A KR 20120068269A KR 101498510 B1 KR101498510 B1 KR 101498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aliva
contained
lysozyme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136A (ko
Inventor
고홍섭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510B1/ko
Priority to PCT/KR2013/003844 priority patent/WO2014003307A1/ko
Publication of KR20140006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원은 인체 타액과 유사한 점탄성, 항균 활성 및 살진균 활성을 보유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전단속도 11.3 내지 450.0 sec-1에서 점도 1.0 내지 20 cps 를 나타내는 히알루론산, 리소자임, 락토퍼옥시다아제, 글루코스옥시다아제, SCN- 또는 I-, 당알코올 및 완충제를 포함한다. 본원의 인공타액 조성물은 타액과 유사한 점탄성도를 나타내면서도 첨가된 성분의 항균, 살진균 활성이 유지되어 타액 분비 저하와 관계된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유용하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 {ARTIFICIAL SALIVARY COMPOSITION COMPRISING HYALULONIC ACID}
본원은 타액 분비 저하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인공 타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타액의 감소로 구강이 건조해지면, 구강건조감뿐만 아니라 치아우식증 (충치)이 급속하게 일어나고, 구강 캔디다증 (진균 감염)과 구강 궤양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노인의 경우 폐렴의 위험성도 높아지게 된다. 또한, 구강건조증 환자는 음식물을 씹거나 삼키기 힘들고 자다가 물을 마시기 위해 자주 일어나야 하는 등 삶의 질에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되며,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치료가 필요한 환자 수도 급증하는 추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체 타액을 대체할 수 있는 인공타액의 개발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으며 이에 따라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제품들도 있다.
인체 타액은 힘을 받지 않고 있을 때(구강이 움직이지 않을 때)는 높은 점도를 발휘하여 치아와 구강점막을 보호하고, 구강이 움직여서 힘을 받으면 점도가 떨어져서 음식물과 섞이고, 윤활을 가능하게 하는 비뉴톤 유체 (non-Newtonian fluid)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인공 타액은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여 인체 타액보다 너무 높은 점탄성이 얻어져 실제 구강에 적용하였을 때 환자의 만족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물의 뮤신을 주성분으로 하는 인공타액이 유럽에서 개발되었지만 이것도 기대하는 바의 점탄성에 이르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FDA 허가 역시 얻지 못하였다.
또한, 기존 인공타액에 포함되는 항균 물질은 인공타액의 주요 성분들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항균 물질 단독으로 있을 때와 달리 원하는 바의 항균 효과나 수준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환자의 감소된 항균 기능을 보충해 주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즉, 현재까지 개발된 인공타액은 점도와 윤활력 등의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항균, 항진균 활성과 같은 생물학적 특성의 측면에서도 인체 타액에 크게 미치지 못하여 이들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994-0011001호는 리소자임을 함유하는 인공 타액 형태를 가진 구강 점막 부종 억제제를 개시하고 있고,
일본 등록특허 제09007116호는 증점제로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인공 타액을 개시하고 있으나, 어느 것도 히알루론산을 인공 타액의 구성성분으로 하고 있지 않다.
또한, 선행 논문 (Kang et al., Influences of hyaluronic acid on the anticandidal activities of lysozyme and the peroxidase system. Oral Diseases 2011;17(6, Sep):577-583)은 히알루론산과 항균 물질의 상호작용 결과, 항균물질의 살진균 활성이 감소함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첨가물질의 단독 작용보다는 상호작용의 결과가 효과적인 인공타액 개발에 중요함을 제시한다.
하지만, 인공 타액에 관한 선행 기술은 최종 조성에서 기대되는 유효 효과를 가지는 인공 타액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본원의 목적은 인체 타액과 유사한 점탄성을 가지는 인공 타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또 다른 목적은 구강에 적용하기 위한 최종 조성에서 항균 효소 활성 및 살진균 효과를 보유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양태에서 본원은 전단속도에 따라 점도 1.0 내지 20.0 cps(centipoise)를 나타내는 히알루론산, 리소자임, 락토퍼옥시다아제,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SCN- 또는 I-, 당알코올 및 완충제를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에 포함되는 히알루론산은 전단속도 11.0 내지 450.0 sec-1에서 점도 1.0 내지 20.0 cps(centipoise)를 나타내며, 다른 구현예에서 전단속도 11.3 내지 450.0 sec-1에서 점도 1.0 내지 20.0 cps(centipoise)를 나타낸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에 포함되는 히알루론산은 전단속도 45.0 내지 225.0 sec-1에서 점도 1.0 내지 4.5 cps를 가진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히알루론산, 리소자임, 락토퍼옥시다아제,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SCN- 또는 I-, 당알코올 및 완충제를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인공 타액 조성물은 0.25 내지 0.7 mg/mL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 조성물에 포함되는 리소자임의 농도는 약 10 내지 100μg/mL이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 조성물에 포함되는 락토퍼옥시다아제의 농도는 약 10 내지 70μg/mL이다.
본원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 조성물에 포함되는 당알코올은 자일리톨, 솔비톨 또는 만니톨 또는 이의 혼합물이며, 그 농도는 약 50 내지 300 mM이다.
본원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 조성물에 포함되는 글루코스 옥시다아제의 농도는 약 10 내지 200μg/mL이다.
본원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 조성물에 포함되는 SCN-은 KSCN 또는 NaSCN 형태이며, 그 농도는 0.5 내지 3mM이다.
본원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 조성물에 포함되는 I-은 KI 또는 NaI 형태이며, 그 농도는 약 5 μM 내지 0.5 mM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전단속도 약 11.0 내지 450.0 sec-1에서 점도 약 1.0 내지 20.0 cps, 특히 전단속도 약 45.0 내지 225.0 sec-1에서 점도 약 1.0 내지 4.5 cps를 갖는 히알루론산, 또는 약 0.25 내지 0.7 mg/mL의 히알루론산; 약 10 내지 100μg/mL의 리소자임; 약 10 내지 70μg/mL의 락토퍼옥시다아제; 약 50 내지 300 mM의 자일리톨, 솔비톨 또는 만니톨 중 하나 이상; 약 10 내지 200μg/mL의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및 약 0.5 내지 3mM의 KSCN 또는 NaSCN 또는 약 5 μM 내지 0.5 mM의 KI 또는 NaI를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인공타액 조성물은 타액 분비 저하와 관계된 질환, 특히 구강 건조증 또는 구강 건조과 관련된 질환, 예를 들면 치아우식증, 치주염, 구강 진균감염, 혀통증, 혀주름, 구강 궤양, 구강점막 통증, 미각 장애, 치아마모 및 교모 증가 또는 구취의 치료 또는 예방용으로 사용된다.
본원은 종래 기술과 달리 인공 타액 조성물에 히알루론산을 포함함으로써 조성물의 점도를 인체의 타액과 유사하게 조절할 수 있고, 그 외에도 리소자임과 같은 항균 효소, 글루코스옥시다아제 매개 락토퍼옥시다아제 시스템(glucose oxidase-mediated lactoperoxidase system)을 구성하는 효소 및 기질이나 항우식 작용 및 항균, 항진균 작용이 있는 당알코올을 구성성분으로 포함하여 구강의 항균 기능을 보충할 수 있다.
즉, 구강에 적용할 수 있는 인공 타액의 최종 조성에서 자연적인 인체 타액과 유사한 점탄성을 보유하고, 항균 효소 활성 및 살진균 효과를 갖고 있음이 본원에 의해 확인되었으므로, 본원에서 제시하는 조성물은 인체의 타액을 효과적으로 보충, 대체하여 타액 분비 저하와 관계된 질환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원의 조성물은 특정 점탄성도를 갖는 히알루론산, 리소자임, 락토퍼옥시다아제,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SCN- 또는 I-, 당알코올 및 완충제를 포함하며, 최종 조성 상태에서 인체 타액과 유사한 점탄성, 항균 활성 및 살진균 활성을 보유하므로, 구강건조증과 같은 타액 분비 저하와 관계된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유용하다.
이하,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정의를 포함하여 본원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 양태에서 본원은 히알루론산, 리소자임, 락토퍼옥시다아제,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SCN- 및/또는 I-, 당알코올 및 완충제를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따른 인공 타액 조성물은 지금까지 개발된 인공 타액에서와 달리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D-글루쿠론산 및 N-아세틸-D-글루코사민 단위로 이루어진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이다. 글루쿠론산 및 N-아세틸-D-글루코사민은 β(1→3) 연결되어 있으며, N-아세틸-D-글루코사민 및 글루쿠론산은 β(1→4)로 연결되어 있다.
히알루론산은 안구 유리액, 관절의 윤활액 및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에 풍부하다. 이것의 고유의 생체적합성 및 독특한 물리적 특성에 의하여 히알루론산은 약물 전달, 안구 건조 환자를 위한 인공 눈물 및 골관절염의 증상 완화를 위한 물질의 제조에 사용돼왔다(O'Brien and Collum, 2004; Almond, 2007; Fam et al. 2007).
본원에서의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자체와 그것의 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용어 "히알루론산" 은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염, 또는 히알루론산과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히알루론산 염에는,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칼슘,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등과 같은 무기염과,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 등과 같은 유기염이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의 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약 5kDa 내지 20,000 kDa으로, 본원에서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10 kDa 내지 10,000 kDa 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을 포함함으로써 본원의 인공 타액 조성물은 실제 인체의 타액과 유사한 점탄성을 갖게 된다(표 2 내지 표 5 참조). 셀룰로오스를 증점제 등으로 포함하였던 종래의 인공 타액이 인체 타액보다 너무 높은 점탄성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실제 구강에 적용하였을 때 환자의 만족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었던 바, 본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히알루론산은 자연적인 인체 내 성분이므로 안전하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다.
본원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히알루론산은 전단속도 증가시 점도가 감소하는 점탄성을 보유하면서도, 일반적으로 구강이 운동하는 전단속도에서 비자극시 분비되는 인체 전타액 (human unstimulated whole saliva)과 자극시 분비되는 인체 전타액 (human stimulated whole saliva)의 점도범위를 가진다. 한 구현예에서 본원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히알루론산의 점도는 전단속도에 따라 변화하며, 점도 약 1.0 내지 20.0 cps에서 변화하는 점도를 가진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의 히알루론산은 전단속도 약 11.0 내지 450.0 sec-1에서 점도 약 1.0 내지 20.0 cps를 가진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본원 조성물에 포함되는 히알루론산은 전단속도 약 45.0 내지 225.0 sec-1에서 점도 약 1.0 내지 4.5 cps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구강이 일반적으로 운동하는 상태인 전단속도 약 45.0 내지 225.0 sec-1, 예를 들면 연하시 60 sec-1, 말을 할 때 160 sec-1에서 인체 타액과 유사한 점도를 가진다. 그 범위는 전단속도 약 45.0 sec-1에서 약 1.5 내지 4.5 cps 범위이고 전단속도 약 225.0 sec-1에서 약 1.0 내지 2.5 cps 범위이다.
히알루론산의 점도 및 점탄성도는 분자량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상기 특징을 고려하여 적절한 농도 및 분자량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히알루론산은 전체 조성물에 약 0.25 내지 0.7 mg/mL 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농도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바람직한 점탄성과 함께 전체 조성물의 항균 및 살진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원의 인공타액은 또한 항균 효소 활성과 관계된 성분을 포함한다.
통상 인간의 타액에는 10 여종의 소화효소를 비롯하여 비타민, 무기원소, 호르몬, 단백질, 포도당, 요소 및 뮤신 등 많은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이 중에는 구강 내 세균의 번식을 막아주는 성분도 있으며, 특히 효소인 퍼옥시다아제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며, 침의 소독효과를 크게 해준다. 또한, 침속의 항균성분에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일종인 리소자임, 항체기능을 하는 감마 글로불린, 기타 시안화황 등이 포함되어 우리 몸을 방어한다.
리소자임은 세균 및 기타 미생물의 세포벽을 용해할 수 있는 효소 그룹의 구성요소로, 식품 첨가제로 그리고 기타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리소자임"은 세균 세포벽의 특정 뮤코다당류의 가수분해를 촉매화하고 세균 융해를 일으키는 효소의 부류를 의미한다. 용어 "리소자임"은 천연 리소자임, 예컨대 계란 흰자 리소자임, 합성 리소자임 및 재조합 리소자임, 예컨대 인간 재조합 리소자임 및 리소자임 염, 예컨대 유기 및 무기산, 특히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예를 들어 클로리드 산(chloridic acid), 황산, 인산, 락트산, 아세트산, 말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빈산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얻은 것을 포함한다.
원칙상 모든 리소자임이 본원의 조성물에 유용하다. 한 구현예에서, 리소자임은 인간 재조합 리소자임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리소자임은 비-인간 리소자임, 특히 계란 흰자 리소자임이다.
본원의 조성물에서, 리소자임의 농도는 약 10~100μg/mL의 범위 내이며, 특히 약 20~50μg/mL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농도 범위는 생산 단가의 경제적인 면과 함께 원하는 수준의 항균 효과를 고려하여 선택되었다.
본원의 조성물에는 글루코스 옥시다아제에 의해서 매개되는 락토퍼옥시다아제 시스템이 사용된다. 일반적인 락토퍼옥시다아제 시스템은 락토퍼옥시다아제, 과산화수소 (H2O2), 티오시아네이트 (SCN-)로 구성되어 항균 작용을 발휘한다. 반면 본원에 따른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매개 락토퍼옥시다아제 시스템은 글루코스 옥시다아제가 환자의 구강에 있는 글루코스를 활용하여 과산화수소 (H2O2)를 공급함으로써 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 사용되는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매개 락토퍼옥시다아제 시스템은 락토퍼옥시다아제,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티오시아네이트 (SCN-), 및 글루코스를 이용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본원의 조성물은 글루코스를 포함하지 않고도 환자의 타액에 남아 있는 글루코스를 활용하여 락토퍼옥시다아제 시스템을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글루코스를 포함하는 경우 충치(치아우식증) 유발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원에서 이용하는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매개 락토퍼옥시다아제(GO/LPO) 시스템은 구강에 존재하는 생리적인 글루코스를 소모하므로 치아우식증을 유발시키는 세균이 글루코스를 활용하여 충치를 유발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환자가 당분을 섭취하여 입안의 글루코스 농도가 높아진 경우에는 이를 더 많이 활용, 과산화수소 (H2O2) 생성을 촉진하여 더 강한 항균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특히 당뇨 환자의 경우 타액내 글루코스 농도가 높아져 있으므로 더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진다. 당뇨 환자에서 구강건조증의 유병율이 높고 구강 궤양이 많이 생기며 구강 진균 감염이 높다는 것을 고려하면, 본원의 조성물은 큰 장점을 가진다.
본원에 사용되는“글루코스 옥시다아제”는 포도당(β-D-글루코스)을 공기 중 산소로 산화시켜 D-글루콘산(D-글루코노락톤)을 생성하는 반응의 촉매효소이다. 포도당의 산화에 따라 과산화수소가 생성되어 살균력을 가진다. 다양한 유래의 글루코스 옥시다아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페니실리움 노테이텀(Penicillium notatum), 또는 아스퍼질러스 니거 (Aspergillus niger) 유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퍼옥시다아제”는 산화제(수소 수용체)로서 과산화수소를 이용해 기질을 탈수소화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보통 과산화효소라고도 한다. “락토퍼옥시다아제”는 유선, 침샘 및 다른 점막샘 등에서 분비되는, 헴(heme) 퍼옥시다아제 패밀리를 구성하는 일원이다. 락토퍼옥시다아제 시스템은 우유 및 점막 분비(mucosal secretion)에서 박테리아를 사멸시켜, 선천적면역계(innate immune system)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락토퍼옥시다아제는 아래와 같이 티오시아네이트(SCN-), 브로마이드(Br-)와 같은 수용체 물질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산화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수용체 + H2O2 → 산화된 수용체 + H2O
티오시아네이트 (SCN-) → 히포티오시아니트 (OSCN-)
브로마이드 (Br-) → 히포브로미트 (BrO-)
상대적으로 짧게 존재하는 이들 산화된 중간체들은 강력한 항균 작용을 하므로, 락토퍼옥시다아제는 항균 방어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원에는 다양한 유래, 특히 포유류, 특히 인간 또는 소(bovine)유래의 천연 또는 재조합 락토퍼옥시다아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의 글루코스옥시다아제에 의해서 매개되는 락토퍼옥시다아제 시스템은 항균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서 아래 반응식과 같이 H2O2가 필요하며, 이는 글루코스와 글루코스옥시다아제에 의해 생성된다. 본원의 일 구성성분으로 첨가되는 글루코스옥시다아제는 인체 타액에 원래 존재하는 수준의 글루코스를 활용하여 H2O2를 만들고, 이어 락토퍼옥시다아제가 항균 기능과 관련된 중간체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Figure 112012050632755-pat00001
본원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글루코스옥시다아제는 본원의 조성물에 약 10 내지 200μg/mL, 특히 약 20 내지 80μg/mL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으며, 락토퍼옥시다아제는 약 10 내지 70μg/mL, 특히 약 12.5 내지 50μg/mL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SCN- (thiocyanate)은 상기 락토퍼옥시다아제 시스템에서 과산화수소의 산소 원자를 수용함으로써 항균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본원의 조성물에 첨가되며, KSCN (Potassium thiocyanate) 또는 NaSCN (Sodium thiocyanate)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농도는 약 0.5 내지 3mM, 특히 약 0.5 내지 1.5mM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SCN-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요오드이온 (I-)이 본원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으며, 포타슘요오드 (KI) 또는 나트륨요오드 (NaI)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농도는 약 5 μM 내지 0.5 mM, 특히 약 5 μM 내지 50 μM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농도 범위는 생산 단가의 경제적인 면과 함께 원하는 수준의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고려하여 선택되었다.
본원에서는 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같이, 글루코스옥시다아제 매개 락토퍼옥시다아제 시스템 (glucose oxidase-mediated lactoperoxidase system)이 구강의 생리적 글루코스 농도에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표 10 내지 표 15 참조). 이는 타액에 존재하는 글루코스 농도에서 본원의 인체 타액 조성물이 실제로 항균 효소 활성과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조성물의 경우, 상기 조성물에 첨가되는 성분들이 자체로 항균 효소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글루코스옥시다아제 매개 락토퍼옥시다아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인체 타액에 존재하는 생리적인 글루코스를 활용하여 항진균 기능을 나타내므로, 감염성 질환에 대한 구강건조증 환자의 감소된 방어기능을 효과적으로 보충해 줄 수 있다.
본원의 조성물은 또한 항-충치제로 기능할 수 있는 당알코올을 일 구성성분으로 포함한다.
"당알코올"은 단당류의 카보닐기를 환원하여 만들어지는 히드록시기가 두 개 이상인 알코올이나, 그와 같은 계열에 속하는 화합물을 통틀어 일컫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HOCH2(CHOH)nCH2OH (n=2~5)의 화학식을 가지며, 히드록시기의 수에 따라 4가 당알코올(tetritol), 5가 당알코올(pentitol), 6가 당알코올(hexitol) 및 7가 당알코올(heptitol)로 분류된다. 이들은 모두 자연계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나 시판되는 것은 대부분 합성에 의해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당알코올은 우수한 보습성, 용해열의 특성에 힘입어 주로 식품첨가물로 사용되어온 소재로 식품의 이용범위가 제한되어 왔으나, 최근에 당알코올이 비만, 당뇨 등의 원인이 되지 않는 생리적 기능이 밝혀지면서 새로운 감미료 및 증점제로 각종 식품의 주원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껌이나 치약, 의약품 등에도 다량 사용되고 있다.
본원의 조성물은 상기 당알코올로서, 특히 자일리톨, 솔비톨, 및 만니톨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당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자일리톨 및/또는 솔비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들 중 자일리톨 혹은 솔비톨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일리톨 : 솔비톨은 약 0:100,약 25:75, 약 50:50, 약 75:25, 또는 약 100:0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에서 상기 당알코올은 본원의 조성물에 약 50 내지 300 mM, 특히 약 100 내지 200 mM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농도 범위는 생산 단가의 경제적인 면과 함께 원하는 수준의 항균 효과를 고려하여 선택되었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의 조성물은 완충제 또는 완충용액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완충제" 또는 "완충용액"이라는 용어는 구강 내 pH 완충 작용을 나타내는 용액으로 인체 타액과 유사한 이온강도를 가지며, 특히 본원 조성물에 포함된 각 성분들이 고유의 활성을 유지하도록 하거나 상승 작용을 갖도록 한다. 구강 내 완충제의 존재는 구강 내 pH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완충제는 타액내의 인산 이온 및 칼슘 이온을 안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산 이온 및 칼슘 이온의 존재 시 우수한 pH 완충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될 수 있는 pH 완충제는 널리 알려진 완충제들을 인산 이온 및 칼슘 이온 함유 중성 수용액(즉, pH 6~8의 수용액)에 첨가하여 침전의 유무를 관찰하고 이러한 실험에서 침전물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완충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구강은 구강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된 유기산의 효과에 의해 산성화되고, 치아나 플라크가 산성화되면 치아의 칼슘 및 인광체(phosphor)는 Ca 및 P 이온으로 용출되어 충치의 발달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완충제가 존재하게 되면 구강 내 타액 및 치아 플라크의 pH가 중성 pH 상태로 안정하게 되어 충치 형성이 쉽게 진행되지 않는다. 타액의 pH는 일반적으로 중성 상태이다. 따라서 중성 pH에서 완충 작용을 지닌 완충제가 바람직하다.
한 구현예에서 사람 타액과 유사한 완충 용액이 사용되며, 예를 들면 NaCl 및 CaCl22H2O 및 Na2HPO4/NaH2PO4를 포함하는 완충용액 또는 KCl, NaCl, CaCl22H2O 및 K2HPO4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을 제시하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완충제의 농도 및 종류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 및 이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인공 타액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당업계에 공지된, 방부제, 향, 향미 증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와 농도는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에 의한다.
본원의 인공 타액 조성물은 인체 타액과 유사한 점탄성, 항균 활성, 살진균 활성을 보유하므로, 구강건조증 및 그 관련 질환 예를 들면 치아우식증, 치주염, 구강 진균감염, 특히 구강 캔디다증, 혀통증, 혀주름, 구강 궤양, 구강점막 통증, 미각 장애, 치아마모 또는 교모 증가 또는 구취의 예방이나 치료에 유용하다. 뿐만 아니라, 구강 이외의 다른 부위의 다양한 면역성, 염증성 질환 치료제로서도 응용, 개발 가능하다. 본원의 조성물은 생체 물질 및 안정성이 입증된 물질을 활용하므로, 시장 진입이 용이하여 산업적 효과가 신속하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어 관련 산업 예를 들면 노인 보건의료 분야, 치의학 분야, 난치성 질환 치료 분야, 제약 산업 분야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원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원의 요지에 따라 본원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인공타액 조성물의 제조
완충액 및 당알코올의 종류를 달리하여 하기와 같이 상이한 4 종류의 인공타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인공타액 조성물 1의 제조
히알루론산 (1,630 kDa, Sigma-Aldrich, USA), 암탉 난백 리소자임(Sigma-Aldrich, USA), 소락토퍼옥시다아제(Sigma-Aldrich, USA), KSCN(Sigma-Aldrich, USA), 글루코스옥시다아제(Sigma-Aldrich, USA) 및 자일리톨(Sigma-Aldrich, USA)을 36 mM NaCl, 0.96 mM CaCl22H2O, 및 21 mM Na2HPO4/NaH2PO4(pH 7.0)를 포함하는 완충용액에 용해하여 인체 타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들의 조성물에서의 최종 농도는 다음과 같다.
히알루론산 - 0.3 μM (0.05%),
암탉 난백 리소자임 - 2.0 μM (30 μg/mL),
소 락토퍼옥시다아제 - 0.32 μM (25 μg/mL),
KSCN - 1.0 mM (97.2 μg/mL),
글루코스 옥시다제 - 0.313 μM (50 μg/mL),
자일리톨 - 131 mM (20 mg/mL)
실시예 1-2 인공타액 조성물 2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자일리톨을 솔비톨(Sigma-Aldrich, USA)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인체 타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경우 솔비톨의 농도는 131 mM (24 mg/mL)이었다.
실시예 1-3 인공타액 조성물 3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16 mM KCl, 14.5 mM NaCl, 0.96 mM CaCl2 ·2H2O, 및 1.95 mM K2HPO4(pH 7.1)를 포함하는 완충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인체 타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인공타액 조성물 4의 제조
실시예 1-2에서 16 mM KCl, 14.5 mM NaCl, 0.96 mM CaCl22H2O, 및 1.95 mM K2HPO4(pH 7.1)를 포함하는 완충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인체 타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인공 타액 조성물의 물성 및 활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각 조성물들에 대하여 각각 pH, 점도, 리소자임 활성, 락토퍼옥시다아제 활성 및 살진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각 실험 당 6회 측정한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Wilcoxon signed ranks 테스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값 (유의성)이 0.05 미만인 것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하였다.
실험예 1-1 점도 및 pH 측정
pH는 pH 미터(pH meter 440, Corning Inc., Lowell,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점도는 LVT Wells-Brookfield cone-and-plate digital viscometer (Brookfield Engineering Laboratorie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전단 속도는 6개의 상이한 속도로 11.3부터 450 S-1까지 증가시켰다. 모든 측정은 37℃에서 수행하였으며, 각 실험별로 0.5mL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 내지 5에 기재되어 있다.
[표 1] 인공타액 조성물의 pH
Figure 112012050632755-pat00002
[표 2] 조성물 1의 전단 속도에 따른 점도
Figure 112012050632755-pat00003
[표 3] 조성물 2의 전단 속도에 따른 점도
Figure 112012050632755-pat00004
[표 4] 조성물 3의 전단 속도에 따른 점도
Figure 112012050632755-pat00005
[표 5] 조성물 4의 전단 속도에 따른 점도
Figure 112012050632755-pat00006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원의 조성물은 pH 7로 인체 타액과 유사한 pH 를 가지고 있으며, 표 2 내지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 조성물은 점도 또한 구강이 기능시 나타나는 전단속도에서 인체 타액의 생리적인 범위에 있고, 인체 타액과 같이 전단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는 점탄성(viscoelastic property)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사용된 두 가지 완충액 및 당알코올 (자일리톨과 솔비톨)의 경우 모두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1-2 리소자임 활성 및 락토퍼옥시다아제 활성 측정
리소자임 활성은 탁도측정법 (turbidimetric method)(Grossowicz and Ariel, (1983).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lysozyme activity. Methods Biochem Anal 29: 435446)을 이용하였으며, 시료를 동결건조된 Micrococcus lysodeikticus ATCC 4698 (시작시 OD450 = 0.65-0.70)에 처리하였다.
퍼옥시다아제 활성은 퍼옥시다아제에 의한 SCN-의 산화과정에서 생성되는 OSCN- 이온에 의해 5-티오-2-니트로벤조산(Nbs)의 5,5 '-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Nbs)2로의 산화율로 측정하였다 (Mansson-Rahemtulla B, et al., (1986). Specific assays for peroxidases in human saliva. Arch Oral Biol 31: 661668). 리소자임 및 퍼옥시다아제 활성은 각각 Unit/mL과 mUnit/mL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표 6 내지 13에 기재하였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대조군으로 HEWL 및 GO/bLPO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본원 조성물에 포함된 리소자임의 경우, 대조군과 필적하는 효과를 가지며, 퍼옥시다아제의 경우는 이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본원 조성물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본원 조성물은 인체 타액과 유사한 점도를 보이면서도 리소자임 단독으로 있을 때와 필적한 항균 활성을 여전히 가지고 있고, 퍼옥시다아제 단독으로 있을 때보다 더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어, 구강건조증 환자의 타액감소로 인한 항균 기능 저하의 보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글루코스옥시다아제 매개 락토퍼옥시다아제 시스템이 단독으로 사용될 때의 퍼옥시다아제의 활성과 비교하여, 본원의 최종 조성 상태에서 동일한 시스템에 존재하는 퍼옥시다아제 활성의 증가율을 백분율 (조성물/(GO/bLPO)x100)로 나타내었다. 표 10 내지 표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원 최종 조성 상태에서 성분 간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퍼옥시다아제 활성이 GO/bLPO 시스템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보다 약 20% 이상 증가하였으며, 이는 본원 조성물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 6] 조성물 1의 리소자임 활성
Figure 112012050632755-pat00007
[표 7] 조성물 2의 리소자임 활성
Figure 112012050632755-pat00008
[표 8] 조성물 3의 리소자임 활성
Figure 112012050632755-pat00009
[표 9] 조성물 4의 리소자임 활성
Figure 112012050632755-pat00010
[표 10] 조성물 1의 퍼옥시다아제의 활성
Figure 112012050632755-pat00011
[표 11] 조성물 2의 퍼옥시다아제의 활성
Figure 112012050632755-pat00012
[표 12] 조성물 3의 퍼옥시다아제의 활성
Figure 112012050632755-pat00013
[표 13] 조성물 4의 퍼옥시다아제의 활성
Figure 112012050632755-pat00014

실험예 1-3 항진균 활성 측정
항진균 활성 측정을 위해 Candida albicans ATCC (18804, 10231, 11006)를 10mL의 Sabouraud dextrose broth (Difco, USA) 에 접종하고 37℃에서 교반하면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어 세포를 수확한 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완충용액(pH 7.0)으로 세척한 후, 1x105 세포/mL의 농도로 상기 완충용액(pH 7.0)에 재현탁하였다. 이어 40μl의 조성물 1 또는 2를 20μl의 상기 현탁액에 첨가하고, 37℃에서 교반하며 1.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배양물을 인체타액 유사완충용액(pH 7.0)에 10배 희석한 후, 50μl를 SDA (Sabouraud Dextrose Agar, Difco) 플레이트에 도말하고 (3회 반복) 37℃ 에서 하룻밤동안 배양하였다. 캔디다 균에 억제 활성은 대조군 플레이트 (본원의 조성물로 처리되지 않은 시료)와 시험군 플레이트의 형성된 콜로니 수 (Colony Forming Unit)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결과는 표 14 및 15에 기재되어 있다.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의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구강 진균 감염의 주 균주인 Candida albicans (3가지 strain에 모두에서)에 대해 살진균 효과를 여전히 보유하고 있으며 (10.7% - 20.6%), 이러한 현상이 자일리톨과 솔비톨의 경우에 모두 유사하였다. 이는 본원 조성물이 구강건조증 환자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구강 캔디다 증(Oral Candidiasis)에 치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4] 조성물 1의 항진균 활성
Figure 112012050632755-pat00015
[표 15] 조성물 2의 항진균 활성
Figure 112012050632755-pat00016

종합하면 위와 같은 결과는 최종 조성물 상태에서도 각 유효성분이 물성이나 활성을 잃지 않고, 인공 타액에 요구되는 유용한 특성을 그대로 보유함을 의미한다. 즉, 본원은 최종 조성 상태에서 인체 타액과 유사한 pH, 점탄성(viscoelasticity), 항균 효소 활성(antimicrobial enzymatic activity) 및 살진균 작용(candidacidal activity)을 나타내므로, 본원의 조성물은 환자 구강에 적용시 종래 제품의 불만족도를 해소하면서도 효과적인 항균 기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원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원에 도입된다.

Claims (13)

  1. 전단속도 45.0 내지 225.0 sec-1에서 점도 1.0 내지 4.5 cps 를 나타내는 히알루론산, 리소자임, 락토퍼옥시다아제, 글루코스옥시다아제, SCN- 또는 I-, 당알코올 및 완충제를 포함하며, 상기 락토퍼옥시다아제와 글루코스옥시다아제는 동일 몰라 (Molar) 농도로 포함되며, 상기 당알콜은 자일리톨 또는 솔비톨 중 하나 이상인, 인공 타액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퍼옥시다아제는 10 내지 70μg/ml, 상기 글루코스옥시다아제는 20 내지 145μg/mL로 포함되는 것인, 인공타액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0.25 내지 0.7 mg/mL로 포함되는 것인, 인공 타액 조성물.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 내지 100μg/mL의 리소자임을 포함하는 것인 인공 타액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일리톨 또는 솔비톨은 50 내지 300 m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인공 타액 조성물.
  8. 삭제
  9.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CN-은 KSCN 또는 NaSCN 형태로 포함되며, 0.5 내지 3m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인공 타액 조성물.
  10.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 는 KI 또는 NaI의 형태로 포함되며, 5 μM 내지 0.5 m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인공 타액 조성물.
  11.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타액 조성물은 구강건조증, 치아우식증, 치주염, 구강 진균감염, 혀통증, 혀주름, 구강 궤양, 구강점막 통증, 미각 장애, 치아마모 및 교모 증가 또는 구취의 치료 또는 예방용인 인공타액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KR1020120068269A 2012-06-26 2012-06-26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 KR101498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269A KR101498510B1 (ko) 2012-06-26 2012-06-26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
PCT/KR2013/003844 WO2014003307A1 (ko) 2012-06-26 2013-05-03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269A KR101498510B1 (ko) 2012-06-26 2012-06-26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36A KR20140006136A (ko) 2014-01-16
KR101498510B1 true KR101498510B1 (ko) 2015-03-04

Family

ID=4978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269A KR101498510B1 (ko) 2012-06-26 2012-06-26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8510B1 (ko)
WO (1) WO2014003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9993A (zh) * 2017-05-09 2019-11-29 诺维信公司 具有牙齿护理组合物的动物咀嚼玩具
KR102133693B1 (ko) 2018-12-28 2020-07-13 서울대학교병원 타액선 유래 줄기세포를 타액선 조직으로 분화시키는 방법 및 구강 건조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88593B1 (ko) * 2019-04-03 2020-1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두 가지의 상이한 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타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2600A1 (en) * 1986-10-20 1988-04-21 Otto Melchior Poulsen Enzyme-containing bactericidal composition, and dental and wound treatment preparations comprising this composition
US20090317484A1 (en) * 2006-09-01 2009-12-24 Unither Developpement Salivary substitut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6344A1 (fr) * 1999-03-24 2000-09-28 Seikagaku Corporation Salive artificielle
NZ537735A (en) * 2002-07-03 2006-08-31 Pericor Science Inc Compositions of hyaluronic acid and methods of use
KR101126132B1 (ko) * 2005-02-03 2012-03-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균 효과가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2600A1 (en) * 1986-10-20 1988-04-21 Otto Melchior Poulsen Enzyme-containing bactericidal composition, and dental and wound treatment preparations comprising this composition
US20090317484A1 (en) * 2006-09-01 2009-12-24 Unither Developpement Salivary substitut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ral Diseases. 2011. Vol.17. pp.577-583. *
Oral Diseases. 2011. Vol.17. pp.577-58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36A (ko) 2014-01-16
WO2014003307A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eszczyńska et al. (1→ 3)-α-d-Glucan hydrolases in dental biofilm prevention and control: a review
JP6038167B2 (ja) 口腔疾患を予防及び治療する組成物及び方法
EP2696890B1 (en) Treatment of microbial infections
AU2007307921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vaginal diseases employing peroxide-producing enzymes and peroxidases
KR100911382B1 (ko) 항-충치 기능을 지닌 조성물
CN111558033A (zh) 一种口腔清洁组合物及其应用
KR101498510B1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 타액 조성물
KR101304766B1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타액
KR102188593B1 (ko) 두 가지의 상이한 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타액
CN108743926A (zh) 一种含有溶菌酶的添加剂组合物
EP1242043B1 (fr) Composition d'hygiene bucco-dentaire a base d'enzymes
CN116999344A (zh) 一种生物酶组合物及其制备方法及制得的牙膏
Salem et al. Alkaline tolerance and biofilm formation of Root Canal isolates of Enterococcus faecalis: an in Vitro Study
US20230332124A1 (en) Or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fructanase
US8852584B2 (en) Bactericide having selectivity to cariogenic bacterium, and a method for sterilization of cariogenic bacterium
Kochańska et al. Determination of the hydrolytic activity of whole saliva using chitosan ascorbate as a substrate
Yuce et al. Growth behavior of eikenella corrodens and streptococcus gordonii in response to a short chain fatty acid metabolite-acetic acid
CN113749969A (zh) 具有维持口腔微生态平衡消减牙菌斑功效的口腔护理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김범수 (The) effects of xylitol and sorbitol on the enzymatic and candidacidal activities related with lysozyme and peroxidase
AU2013204669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Vaginal Diseases Employing Peroxide-Producing Enzymes and Peroxid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