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024B1 -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024B1
KR101498024B1 KR1020080006614A KR20080006614A KR101498024B1 KR 101498024 B1 KR101498024 B1 KR 101498024B1 KR 1020080006614 A KR1020080006614 A KR 1020080006614A KR 20080006614 A KR20080006614 A KR 20080006614A KR 101498024 B1 KR101498024 B1 KR 101498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tortion
screen
unit
pro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709A (ko
Inventor
서정훈
김재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0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7Optical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keyst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재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왜곡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왜곡된 영상을 표준 영상과 비교하여 왜곡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왜곡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Projector and Method for compensating a distortion of an image in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투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존 티브이의 화면 크기에 대한 한계로 인해 대화면,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개발 및 출시가 활발한 가운데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마이크로 스캐너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이용한 프로젝터(Projector)의 개발 및 그 보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학교, 기업, 관공서 등에서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시 PC(Personal Computer)의 출력화면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이용할 뿐 아니라 가정 등에서 실내 극장(Home-Theater)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 프로젝터에서 발생되는 영상 왜곡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프로젝터는, 적색/녹색/청색(이하 'R/G/B'라 약칭함) 발광 소자(1a, 1b, 1c)와, 복수의 다이크로익 미러(2a, 2b)와, 복수의 반사경(3a, 3b)과, 적분기(4)와, 복수의 조명렌즈(5a, 5b)와, 프리즘(6)과, 패널(7)과, 투사렌즈(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G/B 발광 소자(1a, 1b, 1c)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발광하고, 다이크로익 미러들(2a, 2b)은 상기 R/G/B 발광 소자(1a, 1b, 1c)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 또는 반사하여 분리한다.
적분기(4)는 상기 제1 반사경(3a)를 통해 반사된 광을 균일한 광도를 가지는 형태로 셰이핑을 하고, 상기 적분기(4)에 의해 셰이핑된 광은 제1 조명 렌즈(5a)와, 제2 반사경(3b)과, 제2 조명 렌즈(5b)와, 프리즘(6)을 통해 패널(7)로 조명된다.
상기 패널(7)은 상기 적분기(4)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달할 때, 적절한 스위칭 또는 반사 등의 과정에 의하여 프로젝션 되기 위한 영상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영상정보를 투사렌즈(8)를 투사하여 스크린에 결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프로젝터는 스크린이 대형화됨에 따라서 변환된 광학 신호를 상기 스크린에 투사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존재하게 된다.
즉, 아주 기본적인 문제로서 화면을 구성하는 스크린을 평평한 상태로 장기간 유지하는 일조차 스크린이 대형화됨에 매우 어려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변환된 광학 신호를 직사각형 형태의 스크린에 투사하는 과정에서 광원과 스크린과의 광학적인 광로 차이로 인해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에 왜곡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a)는 스크린에 왜곡이 발생되지 않는 정상적인 영상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도 2의 (b) 및 (c)는 스크린에 왜곡이 발생된 비 정상적인 영상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프트웨어적으로 간편하게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조사하여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와;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기 저장된 표준 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왜곡된 영상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영상 투사부의 영상 투사 방향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준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된 영상의 왜곡량(量)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왜곡량과 상반되는 양(量)을 상기 영상 투사부가 투사할 영상에 적용하여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영상과 상기 표준 영상은 화면상에서 다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메쉬(Mesh)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준 영상의 각 블록들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된 영상의 각 블록들의 왜곡량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왜곡량과 상반되는 양을 상기 영상 투사부가 투사할 영상에 적용하여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영상 왜곡 보정 방법은, 광을 조사하여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에 투사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 저장된 표준 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스크린에 투사되는 왜곡된 영상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재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왜곡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왜곡된 영상을 표준 영상과 비교하여 왜곡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왜곡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100)는 광원부(110)와, 영상 투사부(120)와, 카메라부(130)와, 저장부(140)와,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100)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전원부, 키버튼, 집광 렌즈, 회절 렌즈, 컬러 휠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다.
한편,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져서 구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10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광원부(110)는 적색(R) 광을 출사하는 제1 발광 소자(110a)와, 녹색(G) 광을 출사하는 제2 발광 소자(110b)와, 청색(B) 광을 출사하는 제3 발광 소자(11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광 소자들(110a, 110b, 110c)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및 레이저 다이오드로 형성될 수 있다.
영상 투사부(120)는 광원부(110)로부터 출사된 광을 조사하여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부(120)는 패널 또는 스캐너 형태로 구비될 수 있 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부(12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를 구비한 영상 투사부를 나타낸 일 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구비한 영상 투사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구조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부(120)는, 다수의 다이크로익 미러(121a)와, 반사경(122a) 및 스캐너(12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부(120)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집광 렌즈, 회절 렌즈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다.
한편,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져서 구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를 구비한 영상 투사부(12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다이크로익 미러들(121a)은 특정 파장을 갖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켜 원하는 파장대의 빛을 얻을 수 있는 미러로서, 보통 빛의 간섭을 이용한다.
이러한 다이크로익 미러들(121a)은 상기 광원부(110)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을 분리하고, 반사경(122a)은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121a)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을 스캐너(123a)로 반사시킨다.
스캐너(123a)는 상기 반사경(122a)으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광을 스캔 및 x축(수평) 또는 y축(수직)으로 반사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한다.
그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구비한 영상 투사부(120)는, 복수의 다이크로익 미러(121b', 121b")와, 복수의 반사경(122b', 122b")과, 적분기(123b)와, 복수의 조명렌즈(124b', 124b")와, 프리즘(125b)과, 패널(126b)과, 투사렌즈(127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부(120)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집광 렌즈, 회절 렌즈, 컬러 휠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다.
한편,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져서 구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구비한 영상 투사부(12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다이크로익 미러들(121b', 121b")은 특정 파장을 갖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켜 원하는 파장대의 빛을 얻을 수 있는 미러로서, 보통 빛의 간섭을 이용한다.
이러한 다이크로익 미러들(121b', 121b")은 도 5를 예를 들면, 청색(110c) 광과 적색(110a) 광이 교차하는 위치에 제1 다이크로익 미러(121b')가 위치하고, 또한 녹색(110b) 광과 적색(110a) 광이 교차하는 위치에 제2 다이크로익 미러(121b")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다이크로익 미러(121b')는 도 5와 같이, 청색(110c) 광을 투과하고, 녹색(110b) 광 및 적색(110a) 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다이크로익 미러(121b")는 녹색(110b) 광은 반사시키고, 녹색(110b) 광은 투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색(110a) 광, 녹색(110b) 광 및 청색(110c) 광은 두 개의 다이크로익 미러(121b', 121b")를 통과하면서 합성되어 결상하여야 할 이미지에 따라 다양한 컬러의 광으로 합성된다.
상기 두개의 다이크로익 미러(121b', 121b")에 의해 합성된 광은 제1 반사경(122b')을 통해 적분기(123b)로 반사한다.
적분기(123b)는 상기 제1 반사경(122b')를 통해 반사된 광을 균일한 광도를 가지는 형태로 셰이핑을 한다.
적분기(123b)는 막대 형태의 막대형의 로드 렌즈(rod lens) 또는 상자형의 미러로 이루어지는 광 터널과 깔때기, 사다리꼴 형상의 광 퍼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적분기(123b) 대신 플라이 아이 렌 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적분기(123b)에 의해 셰이핑된 광은 제1 조명 렌즈(124b')와, 제2 반사경(122b")과, 제2 조명 렌즈(124b")와, 프리즘(126b)을 통해 패널(126b)로 조명된다.
상기 패널(126b)은 상기 적분기(123b)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달할 때, 적절한 스위칭 또는 반사 등의 과정에 의하여 프로젝션 되기 위한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영상정보를 투사렌즈(127b)를 투사하여 스크린에 결상되게 된다.
상기 패널(126b)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및 LCD(liquid crystal device)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126b)은 마이크로 스위칭 소자라고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설명된 영상 투사부(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프로젝터(100)의 현재 동작 상태가 "영상 왜곡 보정" 동작 상태이면, 도 6에서와 같이, 다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메쉬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상 투사부(120)에서 투사되는 영상이 사각형 형태의 메쉬 패턴을 가지는 것을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영상은 비단 사각형의 메쉬 패턴뿐만 아니라, 원, 삼각형 등의 다각형상 내에 메쉬 패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카메라부(130)는 상기 영상 투사부의 영상 투사 방향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메쉬 형상 패턴를 가 지는 영상을 촬영한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40)는 왜곡된 영상을 보정하기 위한 표준 영상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표준 영상은 도 6에서와 같이, 다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메쉬 형상의 패턴을 가진다.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부(13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표준 영상과 비교하여 영상 투사부(120)에서 투사되고 있는 왜곡된 영상을 보정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50)의 영상 왜곡 보정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영상 왜곡 보정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현재 프로젝터(100)의 동작 상태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왜곡 보정" 동작 상태이면[S71], 영상 투사부(120)가 화면상에서 다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메쉬 패턴을 가지는 영상을 스크린 에 투사하도록 제어한다[S72].
그 다음, 제어부(150)는 카메라부(130)를 구동하여, 상기 카메라부(130)를 통해 상기 영상 투사부(120)에서 투사하고 있는 메쉬 패턴의 영상을 촬영한다[S73].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표준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부(13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의 왜곡량(量)을 파악하고[S74], 상기 파악된 왜곡량과 상반되는 양(量)을 상기 영상 투사부(120)가 투사할 영상에 적용하여[S75], 상기 영상 투사부(120)에서 투사하고 있는 영상의 왜곡을 보정한다[S76].
즉, 제어부(150)는 상기 표준 영상의 각 블록들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된 영상의 각 블록들의 왜곡량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왜곡량과 상반되는 양을 상기 영상 투사부(120)가 투사할 영상에 적용하여 상기 투사되는 영상의 왜곡을 보정한다.
제어부(150)는 상기 "영상 왜곡 보정" 동작 상태를 "영상 투사"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의 왜곡량과 상반되는 양이 적용된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투사부(120)와 스크린 사이의 위치 관계 및 외부 환경에 따라 발생된 영상의 왜곡 형태와 상반되게 영상 투사부(120)가 투사할 영상을 역으로 왜곡함으로써, 현재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량과 상기 영상 투사부(120)가 투사할 영상의 왜곡량을 서로 상쇄되게 하여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것이다.
이하, 도 8을 일 예로 하여 제어부(150)의 영상 왜곡 보정에 대한 동작 과정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왜곡 보정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설명도이다.
먼저, 도 8의 (a)와 (b)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표준 영상(80)의 각 블록들(a1 내지 a9)과 카메라부(130)에 의해 촬영된 왜곡된 영상(90)의 각 블록들(b1 내지 b9)을 크기를 각각 비교한 후, 상기 표준 영상(80)의 블록들(a1 내지 a9)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된 영상(90)의 각 블록들(b1 내지 b9)의 왜곡량을 파악한다.
이어서, 도 8의 (c) 내지 (e)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상기 파악된 영상(90)의 왜곡량(91)과 상반되는 양(92)을 상기 표준 영상(80)에 적용하고, 상기 상반되는 양(92)이 적용된 표준 영상(80)의 형태로 표시할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의 왜곡을 보정한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전술한 실시예들을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매우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 프로젝터에서 발생되는 영상 왜곡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를 구비한 영상 투사부를 나타낸 일 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구비한 영상 투사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메쉬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영상 왜곡 보정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왜곡 보정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프로젝터 110: 광원부
120: 영상 투사부 130: 카메라
140: 저장부 150: 제어부

Claims (9)

  1. 프로젝터에 있어서,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조사하여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기 저장된 표준 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왜곡된 영상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영상과 상기 표준 영상은, 화면상에서 다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메쉬(Mesh) 형상의 패턴을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준 영상의 각 블록들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각 블록들 사이의 크기를 각각 비교한 후, 상기 표준 영상의 블록들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된 영상의 각 블록들의 왜곡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각 블록들의 왜곡량과 상반되는 양을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영상에 적용하여 왜곡을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영상 투사부의 영상 투사 방향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프로젝터의 영상 왜곡 보정 방법에 있어서,
    광을 조사하여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에 투사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 저장된 표준 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스크린에 투사되는 왜곡된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과 상기 표준 영상은,
    화면상에서 다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메쉬(Mesh) 형상의 패턴을 가지고,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표준 영상의 각 블록들과 상기 촬영된 영상의 각 블록들 사이의 크기를 각각 비교한 후, 상기 표준 영상의 블록들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된 영상의 각 블록들의 왜곡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각 블록들의 왜곡량과 상반되는 양을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영상에 적용하여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영상 왜곡 보정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006614A 2008-01-22 2008-01-22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 KR101498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14A KR101498024B1 (ko) 2008-01-22 2008-01-22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14A KR101498024B1 (ko) 2008-01-22 2008-01-22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709A KR20090080709A (ko) 2009-07-27
KR101498024B1 true KR101498024B1 (ko) 2015-03-03

Family

ID=4129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614A KR101498024B1 (ko) 2008-01-22 2008-01-22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04B1 (ko) 2017-01-19 2017-09-12 한국과학기술원 몰입형 극장 시스템의 콘텐츠 시점 왜곡에 대한 실시간 보정방법 및 보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896A (ja) * 2000-12-05 2002-09-06 Eastman Kodak Co 自動立体像投影システムおよび立体像投影方法
KR20040056489A (ko) * 2002-12-23 200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의의 영사면에 대한 화면 왜곡현상 보정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70042709A (ko) * 2005-10-19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보정 프로젝터 및 영상 보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896A (ja) * 2000-12-05 2002-09-06 Eastman Kodak Co 自動立体像投影システムおよび立体像投影方法
KR20040056489A (ko) * 2002-12-23 200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의의 영사면에 대한 화면 왜곡현상 보정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70042709A (ko) * 2005-10-19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보정 프로젝터 및 영상 보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709A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854B2 (en) Projector and pattern image display method
US10341626B2 (en) Image projection system,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projection system
US9664376B2 (en)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938739B1 (ko) 투영장치 및 투영제어 방법
US7163296B2 (en) Projector
JP2017129703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GB2567524A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US20130113812A1 (en) Projector
US10104352B2 (en) Projector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12018214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101498024B1 (ko)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
US20120057138A1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JP3867916B2 (ja) 空間光変調器(slm)ピクセルを判定する方法
JP6665543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撮像画像の補正方法
JP2008089836A (ja) プロジェクタ
US9386260B2 (en) Projector with variable synchronization timing
JP2008275909A (ja) 投射型表示装置
KR20090080708A (ko)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
JP2004304479A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輝度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76637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08089837A (ja) プロジェクタ
JP2006279581A (ja) プロジェクタ
WO2012172655A1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4245085A (zh) 投影系统及投影图像的校正方法
JP2005024855A (ja) 液晶投射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