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708A -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708A
KR20090080708A KR1020080006613A KR20080006613A KR20090080708A KR 20090080708 A KR20090080708 A KR 20090080708A KR 1020080006613 A KR1020080006613 A KR 1020080006613A KR 20080006613 A KR20080006613 A KR 20080006613A KR 20090080708 A KR20090080708 A KR 20090080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or
alignment
light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성
서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0708A/ko
Publication of KR2009008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1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오정렬된 R/G/B 영상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얼라이먼트 보정함에 따라, R/G/B 발광 소자의 배치가 기구적으로 오정렬 되어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고, 하드웨어적인 보정이 필요가 없음에 따라 불필요한 비용을 지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lignment of an image in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투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존 티브이의 화면 크기에 대한 한계로 인해 대화면,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개발 및 출시가 활발한 가운데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마이크로 스캐너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이용한 프로젝터(Projector)의 개발 및 그 보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학교, 기업, 관공서 등에서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시 PC(Personal Computer)의 출력화면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이용할 뿐 아니라 가정 등에서 실내 극장(Home-Theater)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프로젝터에서 R/G/B 발광 소자의 기구적 오정렬(miss-alignment)에 따른 영상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로젝터는, 적색/녹색/청색(이하 'R/G/B'라 약칭함) 발광 소자(1a, 1b, 1c)와, 복수의 다이크로익 미러(2a, 2b)와, 복수의 반사경(3a, 3b)과, 적분기(4)와, 복수의 조명렌즈(5a, 5b)와, 프리즘(6)과, 패널(7)과, 투사렌즈(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G/B 발광 소자(1a, 1b, 1c)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발광하고, 다이크로익 미러들(2a, 2b)은 상기 R/G/B 발광 소자(1a, 1b, 1c)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 또는 반사하여 분리한다.
적분기(4)는 상기 제1 반사경(3a)를 통해 반사된 광을 균일한 광도를 가지는 형태로 셰이핑을 하고, 상기 적분기(4)에 의해 셰이핑된 광은 제1 조명 렌즈(5a)와, 제2 반사경(3b)과, 제2 조명 렌즈(5b)와, 프리즘(6)을 통해 패널(7)로 조명된다.
상기 패널(7)은 상기 적분기(4)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달할 때, 적절한 스위칭 또는 반사 등의 과정에 의하여 프로젝션 되기 위한 영상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영상정보를 투사렌즈(8)를 투사하여 스크린에 결상되게 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로젝터는 제품 출하 시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R/G/B 발광 소자(1a, 1b, 1c)의 배치가 틀어지면, 각각의 R, G 및 B 영상의 얼라이먼트가 맞지 않게 되어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이 깨지게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틀어진 R/G/B 발광 소자(1a, 1b, 1c)의 배치를 다시 맞추기 위해서는 숙달된 전문가가 수동으로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 불 필요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정렬(miss-alignment)된 R/G/B 발광 소자의 하드웨어적인 보정 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R/G/B 발광 소자의 오정렬로 인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조사하여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와;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적색/녹색/청색(이하 'R/G/B'라 약칭함) 얼라이먼트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 상기 영상 투사부의 영상 투사 방향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투사부는 메쉬(Mesh)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R/G/B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각각의 R/G/B 영상 중 어느 하나인 제1 영상을 기준으로 나머지 제2 및 제3 영상을 시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1 영상과 동일하게 얼라이먼트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및 제3 영상의 메쉬 패턴을 상기 제1 영상의 메쉬 패턴에 겹치게 하여 얼라이먼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은, 광을 조사하여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적색/녹색/청색(이하 'R/G/B'라 약칭함) 얼라이먼트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영상 투사 단계는 메쉬(Mesh)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R/G/B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촬영된 각각의 R/G/B 영상 중 어느 하나인 제1 영상을 기준으로 나머지 제2 및 제3 영상을 시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1 영상과 동일하게 얼라이먼트한다. 즉, 상기 제2 및 제3 영상의 메쉬 패턴을 상기 제1 영상의 메쉬 패턴에 겹치게 하여 얼라이먼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오정렬된 R/G/B 영상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얼라이먼트 보정함에 따라, R/G/B 발광 소자의 배치가 기구적으로 오정렬 되어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고, 하드웨어적인 보정이 필요가 없음에 따라 불필요한 비용을 지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100)는 광원부(110)와, 영상 투사부(120)와, 카메라부(130)와,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100)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전원부, 키버튼, 집광 렌즈, 회절 렌즈, 컬러 휠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다.
한편,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져서 구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10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광원부(110)는 적색(R) 광을 출사하는 제1 발광 소자(110a)와, 녹색(G) 광을 출사하는 제2 발광 소자(110b)와, 청색(B) 광을 출사하는 제3 발광 소자(11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광 소자들(110a, 110b, 110c)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및 레이저 다이오드로 형성될 수 있다.
영상 투사부(120)는 광원부(110)로부터 출사된 광을 조사하여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부(120)는 패널 또는 스캐너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부(12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를 구비한 영상 투사부를 나타낸 일 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구비한 영상 투사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구조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부(120)는, 다수의 다이크로익 미러(121a)와, 반사경(122a) 및 스캐너(12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부(120)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집광 렌즈, 회절 렌즈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다.
한편,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져서 구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를 구비한 영상 투사부(12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다이크로익 미러들(121a)은 특정 파장을 갖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켜 원하는 파장대의 빛을 얻을 수 있는 미러로서, 보통 빛의 간섭을 이용한다.
이러한 다이크로익 미러들(121a)은 상기 광원부(110)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을 분리하고, 반사경(122a)은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121a)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을 스캐너(123a)로 반사시킨다.
스캐너(123a)는 상기 반사경(122a)으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광을 스캔 및 x축(수평) 또는 y축(수직)으로 반사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한다.
그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구비한 영상 투사부(120)는, 복수의 다이크로익 미러(121b', 121b")와, 복수의 반사경(122b', 122b")과, 적분기(123b)와, 복수의 조명렌즈(124b', 124b")와, 프리즘(125b)과, 패널(126b)과, 투사렌즈(127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부(120)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집광 렌즈, 회절 렌즈, 컬러 휠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다.
한편,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져서 구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구비한 영상 투사부(12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다이크로익 미러들(121b', 121b")은 특정 파장을 갖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켜 원하는 파장대의 빛을 얻을 수 있는 미러로서, 보통 빛의 간섭을 이용한다.
이러한 다이크로익 미러들(121b', 121b")은 도 5를 예를 들면, 청색(110c) 광과 적색(110a) 광이 교차하는 위치에 제1 다이크로익 미러(121b')가 위치하고, 또한 녹색(110b) 광과 적색(110a) 광이 교차하는 위치에 제2 다이크로익 미러(121b")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다이크로익 미러(121b')는 도 5와 같이, 청색(110c) 광을 투과하고, 녹색(110b) 광 및 적색(110a) 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다이크로익 미러(121b")는 녹색(110b) 광은 반사시키고, 녹색(110b) 광은 투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색(110a) 광, 녹색(110b) 광 및 청색(110c) 광은 두 개의 다이크로익 미러(121b', 121b")를 통과하면서 합성되어 결상하여야 할 이미지에 따라 다양한 컬러의 광으로 합성된다.
상기 두개의 다이크로익 미러(121b', 121b")에 의해 합성된 광은 제1 반사경(122b')을 통해 적분기(123b)로 반사한다.
적분기(123b)는 상기 제1 반사경(122b')를 통해 반사된 광을 균일한 광도를 가지는 형태로 셰이핑을 한다.
적분기(123b)는 막대 형태의 막대형의 로드 렌즈(rod lens) 또는 상자형의 미러로 이루어지는 광 터널과 깔때기, 사다리꼴 형상의 광 퍼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적분기(123b) 대신 플라이 아이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적분기(123b)에 의해 셰이핑된 광은 제1 조명 렌즈(124b')와, 제2 반사경(122b")과, 제2 조명 렌즈(124b")와, 프리즘(126b)을 통해 패널(126b)로 조명된다.
상기 패널(126b)은 상기 적분기(123b)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달할 때, 적절한 스위칭 또는 반사 등의 과정에 의하여 프로젝션 되기 위한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영상정보를 투사렌즈(127b)를 투사하여 스크린에 결상되게 된다.
상기 패널(126b)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및 LCD(liquid crystal device)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126b)은 마이크로 스위칭 소자라고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설명된 영상 투사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프로젝터(100)의 현재 동작 상태가 "영상 얼라이먼트" 동작 상태이면, 도 6에서와 같 이, R/G/B 각각의 영상을 얼라이먼트 하기 위해 메쉬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각각의R/G/B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R/G/B 영상이 사각형 형태의 메쉬 패턴을 가지는 것을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R/G/B 영상은 비단 사각형의 메쉬 패턴뿐만 아니라, 원, 삼각형 등의 다각형상 내에 메쉬 패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카메라부(130)는 상기 영상 투사부의 영상 투사 방향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메쉬 형상 패턴의 R/G/B 영상을 촬영한다.
제어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130)로부터 촬영된 메쉬 형상 패턴의 R/G/B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110)의 발광 소자들(110a, 110b, 110c)의 기구적 오정렬(miss-alignment)로 인해 틀어진 영상을 얼라이먼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40)의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현재 프로젝터(100)의 동작 상태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얼라이먼트" 동작 상태이면[S71], 영상 투사부(120)가 메쉬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각각의 R/G/B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도록 제어한다[S72].
그 다음, 제어부(140)는 카메라부(130)를 구동하여, 상기 카메라부(130)를 통해 상기 영상 투사부(120)에서 투사하는 메쉬 패턴의 R/G/B 영상을 촬영한다[S73].
제어부(140)는 상기 촬영된 메쉬 패턴의 R/G/B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110)의 발광 소자들(110a, 110b, 110c)의 기구적 오정렬(miss-alignment)로 인해 틀어진 영상을 얼라이먼트한다[S74].
즉, 제어부(140)는 상기 카메라부(130)를 통해 촬영된 각각의 R/G/B 영상 중 어느 하나인 제1 영상을 기준으로 나머지 제2 및 제3 영상을 시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1 영상과 동일하게 얼라이먼트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상기 제2 및 제3 영상의 메쉬 패턴을 상기 제1 영상의 메쉬 패턴에 겹치게 하여 얼라이먼트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어부(140)의 영상 얼라이먼트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메쉬 패턴을 가지는 각각의 R/G/B 영상이 스크린 상에 투사된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R/G/B 영상의 얼라이먼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R/G/B 영상의 얼라이먼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R/G/B 영상의 얼라이먼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3 실시예 타이밍도이다.
<제1 실시예>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카메라부(130)에서 촬영된 R/G/B 영상 중 R 영상을 기준으로 나머지 G 영상 및 B 영상의 수평/수직 DE(Date Enable) 구간을 시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G 영상 및 B 영상의 메쉬 패턴을 상기 R 영상의 메쉬 패턴에 겹치게 하여 얼라이먼트한다.
즉, 상기 R 영상의 DE 구간이 제일 느리고, 상기 G 영상의 DE 구간이 B 영상보다 느리기 때문에, 제어부(140)는 상기 R 영상의 DE 구간을 기준으로 상기 G 영상 및 B 영상의 DE 구간을 시간적으로 늦추어 얼라이먼트한다.
<제2 실시예>
도 8과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카메라부(130)에서 촬영된 R/G/B 영상 중 G 영상을 기준으로 나머지 R 영상 및 B 영상의 수평/수직 DE(Date Enable) 구간을 시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R 영상 및 B 영상의 메쉬 패턴을 상기 G 영상의 메쉬 패턴에 겹치게 하여 얼라이먼트한다.
즉, 상기 R 영상의 DE 구간이 제일 느리고, 상기 G 영상의 DE 구간이 B 영상보다 느리기 때문에, 제어부(140)는 상기 G 영상의 DE 구간을 기준으로 상기 R 영상이 DE 구간을 시간적으로 앞당기고, 상기 B 영상의 DE 구간을 시간적으로 늦추어 얼라이먼트한다.
<제3 실시예>
도 8과 도 11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카메라부(130)에서 촬영된 R/G/B 영상 중 B 영상을 기준으로 나머지 R 영상 및 G 영상의 수평/수직 DE(Date Enable) 구간을 시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R 영상 및 G 영상의 메쉬 패턴을 상기 B 영상의 메쉬 패턴에 겹치게 하여 얼라이먼트한다.
즉, 상기 R 영상의 DE 구간이 제일 느리고, 상기 G 영상의 DE 구간이 B 영상보다 느리기 때문에, 제어부(140)는 상기 B 영상의 DE 구간을 기준으로 상기 R 영상 및 G 영상의 DE 구간을 시간적으로 앞당겨서 얼라이먼트한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전술한 실시예들을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매우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프로젝터에서 R/G/B 발광 소자의 기구적 오정렬(miss-alignment)에 따른 영상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를 구비한 영상 투사부를 나타낸 일 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구비한 영상 투사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하는 메쉬 패턴을 가지는 각각의 R/G/B 영상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8은 메쉬 패턴을 가지는 각각의 R/G/B 영상이 스크린 상에 투사된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R/G/B 영상의 얼라이먼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R/G/B 영상의 얼라이먼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R/G/B 영상의 얼라이먼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3 실시예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프로젝터 110: 광원부
120: 영상 투사부 130: 카메라부
140: 제어부

Claims (9)

  1.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조사하여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적색/녹색/청색(이하 'R/G/B'라 약칭함) 얼라이먼트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로젝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영상 투사부의 영상 투사 방향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투사부는,
    메쉬(Mesh)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R/G/B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각각의 R/G/B 영상 중 어느 하나인 제1 영상을 기준으로 나머지 제2 및 제3 영상을 시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1 영상과 동일하게 얼라이먼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및 제3 영상의 메쉬 패턴을 상기 제1 영상의 메쉬 패턴에 겹치게 하여 얼라이먼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6. 광을 조사하여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적색/녹색/청색(이하 'R/G/B'라 약칭함) 얼라이먼트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로젝터의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투사 단계는,
    메쉬(Mesh)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R/G/B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촬영된 각각의 R/G/B 영상 중 어느 하나인 제1 영상을 기준으로 나머지 제2 및 제3 영상을 시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1 영상과 동일하게 얼라이먼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제2 및 제3 영상의 메쉬 패턴을 상기 제1 영상의 메쉬 패턴에 겹치게 하여 얼라이먼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
KR1020080006613A 2008-01-22 2008-01-22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 KR20090080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13A KR20090080708A (ko) 2008-01-22 2008-01-22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13A KR20090080708A (ko) 2008-01-22 2008-01-22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708A true KR20090080708A (ko) 2009-07-27

Family

ID=4129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613A KR20090080708A (ko) 2008-01-22 2008-01-22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07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4998A2 (ko) 2011-08-12 2013-02-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4998A2 (ko) 2011-08-12 2013-02-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1626B2 (en) Image projection system,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projection system
US9664376B2 (en)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771636B1 (ko) 프로젝션 시스템
TWI330748B (en) Projection device and projection control method
JP5477185B2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ー、及び、画像投射制御方法
US20200244938A1 (en) Projection device and projection method thereof
WO2005029174A1 (ja) 照明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US10564528B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including light modulation elements
US10104352B2 (en) Projector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06047531A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及びプロジェクタユニット
JP2012018214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CN113556522A (zh) 一种三片式投影机合光调节方法
CN208903641U (zh) 投影装置
US20080316373A1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JP2012222421A (ja) 会議システム、会議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80708A (ko)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얼라이먼트 조정 방법
KR101498024B1 (ko) 프로젝터 및 그 영상 왜곡 보정 방법
KR20080112504A (ko) 프로젝션 시스템
JP2011227348A (ja) 投写型表示装置
CN114157845B (zh) 投影系统
CN114245085B (zh) 投影系统及投影图像的校正方法
CN114245086B (zh) 投影系统及投影图像的校正方法
JP6866915B2 (ja) 画像投射システム、及び画像投射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0771136B1 (ko) 프로젝터
JP4093841B2 (ja) 投射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